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4/01 16:41:29
Name MelOng
Link #1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28350
Subject [일반] XZ Utils(데이터 압축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초고위험 취약점 발생에 따른 주의
2024년 3월 29일,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압축 도구인 xz-utils에서 백도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리눅스와 macOS 시스템에서 흔히 사용되며, 소프트웨어 패키지, 커널 이미지 등을 압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발견된 백도어는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만 활성화되며, 원격에서 비권한 시스템이 공개 SSH 포트에 연결할 때 트리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성능 문제를 일으키고, 더 깊은 분석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영향을 받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glibc를 사용하는 배포판
- xz 또는 liblzma의 버전 5.6.0 또는 5.6.1을 설치한 시스템

주로 systemd와 패치된 openssh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다른 구성에서도 취약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의 시스템이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sshd를 운영하고 있다면, 취약성에 대응하기 위해 즉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도어는 빌드 과정에서 악의적인 테스트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에 삽입되며, glibc의 IFUNC 메커니즘을 이용해 OpenSSH의 인증 루틴을 우회합니다. 이는 정상적인 사용을 위한 도구이지만, 이 경우 공격 경로로 악용되었습니다.

백도어가 활성화되면, /usr/sbin/sshd 프로세스 이름을 가진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페이로드가 활성화됩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도 활성화될 수 있으며, 페이로드가 의도하는 바는 아직 분석 중입니다.

조치 방법:

- 취약한 버전의 xz-utils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가능한 한 빨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공식 웹사이트나 신뢰할 수 있는 소스를 통해 패치를 적용하십시오.
- 시스템 보안 팀이나 커뮤니티의 지침을 따르고, 추가적인 취약점에 대비하여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합니다.
- 취약 버전 확인 방법: strings `which xz` | grep '5.6.[01]'XZ Utils 다운그레이드: 5.6.1 이하 버전

리눅스 및 맥 사용자, 개발자 라면 필히 패치(대표적으로 [brew]) 해야 합니다.

[10 점으로 최고 위협 등급]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스타
24/04/01 16:46
수정 아이콘
오픈소스 진영에서 한동안 난리일 것 같습니다. 몇몇은 그동안의 커밋 전부 뜯어보고 있던데 말이죠.
그찮아도 이거 때문에 그저께인가 서버 한번 들었다 놔봤는데, Debian stable까진 영향이 미치기 전이라 괜찮더라고요.
Paranormal
24/04/01 17:08
수정 아이콘
와우 한동안 난리겠네요
24/04/01 17:09
수정 아이콘
제 맥에도 깔려있네요.
홈브루에서도 빠르게 조치를 했는지 업데이트 하니까 5.6.1에서 5.4.6으로 알아서 다운그레이드를 합니다
푸헐헐
24/04/01 17:15
수정 아이콘
이럴 땐 서버 버전을 천천히 가는게 좋군요
Ubuntu 22.04 LTS 로 가는데 xz와 liblzma 버전이 5.2.5 네요
데로롱
24/04/01 17:53
수정 아이콘
저두요 크크 내년쯤 되면 슬슬 업데이트를 해야할터인데..
세크리
24/04/01 20:53
수정 아이콘
저도 업글 귀찮아서 LTS만 쓰니까 제 시스템은 좋네요. 그리고 서버는 대부분 어차피 더 보수적이라 (CentOS 나 Debian이 대부분이죠).
24/04/01 17:42
수정 아이콘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아래 링크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gist.github.com/thesamesam/223949d5a074ebc3dce9ee78baad9e27
24/04/01 18:04
수정 아이콘
BTW I use Arch
24/04/01 18:1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페이로드 분석이 불가능한게 rsa 암호로 특정 공개키로 공격 페이로드를 복호화해서 실행하기 때문에 정확히 뭘 노렸는지 알기도 어렵다합니다.
이오니
24/04/01 20:35
수정 아이콘
EOL 지난 OS가 아직 돌고 있어서 다행이다(?)
[살려주세요]
퀀텀리프
24/04/01 23:46
수정 아이콘
물리적인 망분리를 할수 밖에 없는 이유군요.
Regentag
24/04/03 11:15
수정 아이콘
공격에 대한 전체 타임라인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14122

백도어를 심는 기술적 공격에 앞서서 코드 수정권한을 얻기위한 정밀한 사회공학적 공격이 있었네요.
24/04/03 20:04
수정 아이콘
오픈소스가 위축 될까 걱정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524 [정치] (수정)노인층에 대한 조건부 운전면허 추진 [71] Regentag6276 24/05/21 6276 0
101523 [일반] 32사단 신병훈련소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 중 신병 1명이 사망했습니다. [138] 매번같은10475 24/05/21 10475 2
101521 [일반] 아래 여시 사태에 침묵하는 기자 글 보면서 드는 2018년 혜화역 시위 취재 기자 기사 [59] petrus6813 24/05/21 6813 16
101518 [일반] (스포) 드라마 눈물의 여왕 간단 감상문 [18] 원장3819 24/05/21 3819 2
101517 [정치] 유나 선생이 바라본 '2024년의 일본' [51] KOZE9860 24/05/20 9860 0
101516 [일반] 어제 인천발 샌프란시스코행 항공기가 출발 1시간 반만에 회항한 이유 [30] 매번같은10315 24/05/20 10315 0
101515 [일반] 5/31일 종료예정인 웹툰 플랫폼 만화경 추천작들(1) [14] lasd2417202 24/05/20 7202 3
101514 [일반] 중국 스파이설에 휩싸인 필리핀 조그마한 마을 여성시장 앨리스 궈 [24] 매번같은9435 24/05/20 9435 1
101512 [일반] 나르시시즘의 뿌리, 무가치감 [15] 칼대남6431 24/05/20 6431 5
101511 [일반] (얏후) 한국인들이 생활체육에 관심이 없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는 이유. [102] 캬라11659 24/05/20 11659 28
101509 [일반] 이란 대통령 탑승 헬기 비상착륙…외무장관 동승 [35] 카즈하12369 24/05/19 12369 1
101508 [정치] 윤석열 대통령 “빚만 잔뜩 물려받은 소년가장 같은 심정”…씀씀이 확 줄인다 [132] 베라히15915 24/05/19 15915 0
101507 [일반] 여성시대의 집단성희롱 사태에는 침묵하는, 자격 없는 언론과 기자들 [124] 실제상황입니다13532 24/05/19 13532 34
101506 [정치] 검찰, "김건희 여사 책 주웠다" 아파트 주민 소환 통보 [22] 조선제일검9754 24/05/19 9754 0
101505 [일반] 재미로 코딱지 파는 심리를 통계 분석해 보았습니다. [31] 인생을살아주세요5311 24/05/19 5311 19
101503 [일반] [팝송] 밴슨 분 새 앨범 "Fireworks & Rollerblades" 김치찌개3212 24/05/19 3212 0
101502 [일반]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 기본에 충실한 후속.(약스포) [16] aDayInTheLife4049 24/05/19 4049 2
101501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4) 광명, 서울과 애증의 관계를 맺다 [4] 계층방정3864 24/05/18 3864 3
101500 [정치] 일부 품목 해외 직구 금지 발표 2일만에 보류 [73] 매번같은8812 24/05/18 8812 0
101498 [일반] 요즘 본 애니 잡담 [22] 그때가언제라도3238 24/05/18 3238 2
101497 [일반] 시흥의 열두 딸들 - 아낌없이 주는 시흥의 역사 (13) 우리는 다시 하나될 수 있을까 [6] 계층방정8199 24/05/17 8199 10
101496 [정치] 7공화국 개헌 논의를 조국대표가 먼저 던졌습니다. [143] 빼사스15132 24/05/17 15132 0
101495 [일반] GPT 추론능력의 본질은 무엇인가 [16] 번개맞은씨앗8057 24/05/17 805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