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5/02/23 21:35:40
Name Davi4ever
Subject [LOL] 2025 LCK 컵이 한화생명의 우승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수정됨)
독특한 조 편성 방식, 피어리스 방식 등 상당히 여러가지 실험들이 시도됐던
2025 LCK 컵이 한화생명 이스포츠의 우승으로 마무리됐습니다.

각 팀들이 이 대회에 대한 무게감을 어느 정도까지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제우스를 영입하는 과감한 선택을 한 한화생명 이스포츠가 일단 좋은 출발을 하는 데 성공했네요.
제우스도 파이널 MVP를 받으면서 자신의 역량을 입증했고요.

다른 팀들도 이번 대회를 통해 정비해야 할 부분들을 잘 파악하고 LCK를 준비할 듯 합니다.
(각 팀들의 기대되는 부분과 정비해야 할 부분들은 더 깊이있게 보시는 분들이 댓글로 달아주시...겠죠? 크크
컵대회 하나만 보고 "아 이번 시즌은 틀렸어 이 선수는 안돼" 하진 않았으면 합니다)


저는 이번 컵대회의 조편성 방식은 흥미롭기는 했지만
"지는 게 더 유리해질 수 있는" 형태는 분명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해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피어리스 방식... 저는 라이엇이 입장을 번복해서 LCK에 피어리스 방식을 올해부터 도입한다고 해도
그걸 두고 번복한다고 절대 뭐라 하지 않겠습니다 크크크 (아마 번복하진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블루 승률이 너무 높은 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도 있는데 뭐 그건 어차피 높을 때가 많아서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 25/02/23 21:38
수정 아이콘
뭐 올해는 이제 시작이니 벌써부터 막 심하게 말하는건... 사실 늘 있던 일이라 어쩔수 없는듯도 어차피 맨날 한경기마다 그래왔던것도 같고
+ 25/02/23 21:41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 번복은 착한번복이죠
김삼관
+ 25/02/23 21:51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와 밴카드 조정 둘 중에 적정선을 잘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데몬헌터
+ 25/02/23 21:58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 보는입장에서는 확실히 재밌어요 흐흐
위원장
+ 25/02/23 21:59
수정 아이콘
블루 승률이 너무 높은게 아쉽긴 합니다
반니스텔루이
+ 25/02/23 22:01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는 밴한것도 못쓰게 하라~
그리고 우제야 축하한다 크크
태엽감는새
+ 25/02/23 22:03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 너무 재밌었습니다.
2024헌나8
+ 25/02/23 22:08
수정 아이콘
블루의 힘은 필밴챔과 나머지들 사이의 격차에서 나오고, 레드의 힘은 후픽 카운터에서 나오는건데
초반부터 필밴픽 꼬박꼬박 닫으면서 정석밴픽하면서 진행하면 점점 블루사이드가 강해지는거같네요. 필밴챔은 계속 살아있으면서 나머지픽들 티어가 점점 떨어지니 블루의 강점은 점점 커지고, 실제 쓸수있는 챔 숫자는 점점 줄어드니 후픽 카운터는 점점 어려워지고...
1경기레드팀이 2경기 블루사이드 잡았을때 손해보기싫다고 1경기에서 정석밴픽하다가 그냥 시리즈 스무스하게 밀리는거죠. 그런식으로 맞이한 3경기 5경기 레드는 1경기 레드보다 더 스윙하기 힘들어서
기타솔로컴온
+ 25/02/23 23:00
수정 아이콘
후픽카운터라고 꺼낸 챔들이 40개 짜르고 난 뒤에 나오는 버러지니 카운터 효과가 전혀 안나는 느낌이네요
반면 선픽으로 가져오는 키카드의 가치는 올라가고요
JILLSTUART
+ 25/02/23 22:19
수정 아이콘
4연 20꽉의 살떨리는 승부.. 한화팬으로서 너무 즐거웠고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준 선수들에게 고맙네요. 퍼스트 스탠드에서도 좋은 성적 냈으면 좋겠습니다
+ 25/02/23 22:50
수정 아이콘
제우스 존재감이 엄청나네요. 올해 정규시즌은 3강(한젠티)+다크호스(딮) 구도겠네요. 작년처럼 1황 젠지 요런 느낌은 아니라 더 재미있을듯
반니스텔루이
+ 25/02/23 22:51
수정 아이콘
농심도 생각보다 잘해서 재미있을듯요 (KT전 3:0 승, 젠지랑 풀꽉 패 등)
서린언니
+ 25/02/23 22:50
수정 아이콘
초반에 2패하고 영 불안했는데 댄딩크의 밴픽과 제우스 활용법을 찾아서 결국 우승했네요
시즌에도 좋은 모습 기대합니다
+ 25/02/23 22:51
수정 아이콘
이제 리그가 진행이 되면 될수록 레드쪽이 불리한 거 같다는 생각이..
일단 레드 1페이즈 고정밴2개가 너무 큰데다
그렇다고 레드5픽이 맛을 살리는 것도 너무 힘들고..
키모이맨
+ 25/02/23 22: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피어리스 도입전에도 나왔던 예상이긴 한데
요즘 LPL쪽에서도 계속 이야기나오는것들 중 하나가 피어리스로 다전제하니까 레드에서 그냥 한경기 버리고간다는겁니다
시원하게 좋은거 상대방 잘하는거 다 열어주고 발밴픽해서 한경기 밴픽 집어던지고 밴픽이점 가져오겠다는건데
이런게 심해지면 이제 블루에서도 좋은거 잘하는거 열렸다고 얘내 대놓고 한경기 던지는데 우리도 좀 적당히해볼까?
뭐 이렇게되겠죠 근데 전 이건 확실히 좀 문제가 맞다고생각합니다
이상적으로는 매 판 남은 카드중에 양 팀이 최대한 최선을 찾아야되는게 맞고 이게 기대한 방향성인데
현실은 '그냥 한판 던지는게 더 나은거 아님?'이 되어버리니까요
전 아마 피어리스를 만약 계속 하면 이런 경향성이 심해지면 심해졌지 줄어들거같지는 않아요
한 판 던지고 거기서 쓴 10개챔프는 밴되니까 이걸로 뒤쪽세트 밴픽이점을 가져오겠다
누가봐도 좋으면서 상대 주력챔프 껴있는 1티어 조합 상대한테 주고, 우리는 티어는 어느정도 높은데 상대팀이 잘 쓰고
우리팀은 별로인 조합 일부러 왕창 레드에서 골라서 한 판 하면
혹시 아다리맞아서 이기면 대박이고 져도 뒤쪽에서 밴픽이 편해지니까 이득임 이런식이라
이게 피어리스방식상 밴픽에서 꽤 합리적인 방향성인데 실제 프로경기에서 절대 바람직한 방향성은 아니라서
이부분은 전면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좀 열심히 고민을 해봐야되지않나싶음
표팔이
+ 25/02/23 23:11
수정 아이콘
한 세트 버리고간다 치면 원딜 약한쪽에서 레드측 5원딜픽하고 한세트 버려서 좋은거 다 죽여버리거나 이런것도 가능하겠네요
여명팔공팔
+ 25/02/23 22:56
수정 아이콘
플레이한 캐릭터를 밴하는 방식말고 밴된 캐릭터가 계속 밴은 방식은 어떨까요? 그럼 레드 밴픽이 좀더 편할것 같은데.. 크크(아무것도 모름)
신사동사신
+ 25/02/23 23:03
수정 아이콘
5꽉만으로 대만족입니다.
피어리스 방식 너무 좋네요.
앞으로 메타바뀌고, 피어리스 5꽉가면
어떤챔프까지 나올지도 궁금해지구요.
티젠한 3강이라 불렸지만
사실상 젠티판이었던 국내리그에
확실히 한화가 더 분발해주니
3강구도도 제대로 잡히는것 같고
딮기도 (젠지만 극복하면) 언제든
우승까지 노려볼 수 있어보여서
정규리그도 더 즐겁게 볼 수 있을것같네요.

한화선수들 축하드립니다.
페이커에 가려있지만
노장에 속해가는 피넛의 우승이
너무나 기쁘네요.
파르릇
+ 25/02/23 23: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같은 챔피언이라도 포지션이 갈리면 재사용 가능하다면 이상해 질까요 ?
비에고를 쵸비가 미드에 썻지만 다른 셋트에선 정글로 픽 가능 하게끔 하는거죠
예를 들어 뽀삐 같은 챔은 정글, 서폿 혹은 탑까지도 쓸 수 있는데

진짜 앞 라인 세울 정글이 필요해서 억지로 트런들까지 꺼내든 5셋 레드가 너무 불리해 보이긴 하더라구요
먹보대학생
+ 25/02/23 23:10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가 정말 인상적이였던...

블루 우세라는 점이 안타깝긴 한데...
이젠 하다가 안하면 오히려 보는 맛이 떨어질 거 같아요
레드빠돌이
+ 25/02/23 23:11
수정 아이콘
상대가 사용했다고 해서 나도 사용 못 하는건 너무 불공평한거 같아요 최소 한번은 사용하게 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밴픽합쳐서 소프트피어리스를 해보는게 어떨까 싶어요
+ 25/02/23 23:16
수정 아이콘
숙련도 차이로 결정될 줄 알았는데 그런것보다 그냥 진영차이로 끝나네요.
+ 25/02/23 23:25
수정 아이콘
결국 5꽉이 많이 나온 이유도 블루망겜떄문이지 않았나 싶기도 한..크크 덕분에 5꽉 재밌게 즐기긴했는데
취급주의
+ 25/02/23 23:29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는 블라인드처럼 픽할 때 재미있고 막상 게임은 흠...이라는 생각이 드는 경우가 많은데 lck나 lpl은 수준이 높은 편이라 그나마 괜찮지만 다른 리그는 안 그래도 경기력 아쉬운 판국에 픽까지 난잡하니까 이상한 내용이 많아 보이더라고요. lck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블루차기라고 불릴만큼 불균형이 있는 상황이라 레드에서 카운터픽을 넘어서 뭔가 요상한 승부수를 던지지 않으면 게임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 구조도 이상하고요. 리그 초반에 비슷한 전력의 팀 대결이라 2대1이 많이 나왔던 게 마치 피어리스 때문에 재미있었다고 착각하게 되는 부분도 있는 것 같네요. 하드 피어리스 외에 소프트 피어리스나 밴카드를 늘리는 것들도 고려해볼만 한 것 같아요.
이른취침
+ 25/02/23 23:36
수정 아이콘
초반 밴카드를 늘리는 건 진짜 고려해볼만 합니다.
전 아예 경기 하루 전에 양팀이 3~5장 정도 밴을 먼저 해서
이번 매치는 이 챔들 빼고 갑시다 하고 시작하는 것도 좋아보여요.
밴은 서로 블라인드로 제출하고 이후 통보만 하는 걸로 하구요.
그럼 경기 전부터 팬들도 밴 평가하면서 경기양상 그려 보는 재미도 더 생길 듯 하구요.
티아라멘츠
+ 25/02/23 23:30
수정 아이콘
LPL은 지금 해설진에게서 험한 소리 나오고 있고 LEC는 아예 아우성이 나오는 수준이라 이걸 내년에 그냥 바로 전면도입 이건 좀 무리고
하더라도 내년도에 마찬가지로 룰을 좀 수정해서 컵대회로 시범을 한번 더 해보고 내후년에나 해야될 거 같습니다
저는 피어리스 하면 숙련도 좋은 쪽이 이기겠구나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고 그냥 블루가 압살을 하는 구도라 너무 생각한거랑 다르네요
대놓고 LPL은 지금 어 레드야 어차피 레드에서 지는 건 좀 당연한거야 걍 아예 질생각하고 픽이나 빼 이런 전략까지 나오는데 이게 대회에서 나와도 되는 전략인가?? 모르겠습니다.
티아라멘츠
+ 25/02/23 23:35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고 한화는 피어리스에서 무지하게 잘했습니다. 레드에서 거의 유일하게 밴픽에서 '잉?'소리 안 나고 매번 매번 레드에서 할만한 조합 짜와서 비벼보는 건 한화뿐이었어요. 한화가 이긴 원인이 다른 팀보다 레드에서 더 잘 이겨서라.
댄디가 이렇게 밴픽이 출중한 감독이었나??
표팔이
+ 25/02/23 23:45
수정 아이콘
댄린스만 소리 듣던게 작년이었는데...
모그리
+ 25/02/23 23:32
수정 아이콘
한화 선수, 팬분들 우승 축하드립니다
+ 25/02/23 23:36
수정 아이콘
일단 한화 우승 축하하고
일단 라이엇이 밑에글처럼 라인스왑을 막으니 피어리스가 블루망겜일까는 또 모르겠네요.(일단 카운터픽을 내도 불리한 라인전을 피해간다 라는 전제조건입니다.)
여튼 그냥 이젠 눈과 손이 딸려서 직접 테스트해볼수도 없고
일단 시청자 입장에서는 블루망겜이구나는 확실히 느꼈는데
이제 시즌시작부터는 일반구도의 밴픽으로 돌아서니 의문점이 해소되지 않은채 1년이 지나겠네요
당근케익
+ 25/02/23 23:39
수정 아이콘
레드에게 밴카드를 더 주는 방식은 어떨까요?
아무튼 피어리스는 대찬성입니다

근데 레드에서 밴픽 힘든건 어느정도 인정하지만
그걸 떠나 한화는 잘했어요 레드에서조차
타르튀프
+ 25/02/23 23:41
수정 아이콘
한화 우승 축하합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가치를 완벽히 증명했네요. 밴픽에서부터 상대에게 주는 부담감이 어마어마 크크.

피어리스의 단점도 볼 수 있었던 시리즈였던 것 같아요. 레드가 원래부터 불리했다라고 하기에는 롤판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더 심화시키는 게 피어리스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다른 분이 댓글 쓰신 것처럼 LPL에서는 던지는 밴픽도 많이 나오는 추세인 것 같네요. 이 부분 보완하지 못하면 월즈에서 피어리스 보기는 어렵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티아라멘츠
+ 25/02/23 23:50
수정 아이콘
2세트에서 LPL에서 레전드 밴픽이
블루 럼블 스카너 아지르 애쉬 레나타 vs 레드 우디르 자이라 리신 이즈 레오나 이렇게 나왔습니다
미드 리신 맞습니다
타르튀프
+ 25/02/24 00:19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딱 그 경기 보고 밴픽 일부러 저렇게 한다 싶은 생각이... 미드 리신은 진짜 뭔가 했어요 아무리 도인비라지만
+ 25/02/23 23:41
수정 아이콘
스카너 칼리스타 너프 하고 다시 피어리스 갑시다!
자아이드베르
+ 25/02/23 23:42
수정 아이콘
스코어는 2번 다 3:2였는데 그 이상의 차이가 느껴지는 경기력이었습니다. 특히 젠지가 타팀 상대로 밴픽에서 온몸 비틀기하는 건 정말 오랜만에 보네요. 한화는 블루에서든 레드에서든 적어도 왜 이 픽을 했는지 이해가 가는 합리적인 밴픽을 했고요. 올라갈만큼 단단한 팀이 우승했다 싶네요. 두 팀 다 고생많았습니다.
조미운
+ 25/02/23 23:45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 덕분에 이번 대회 재밌게 보긴 했는데... 다 보고 난 뒤의 감상은 이대로 전면 도입은 부작용이 너무 클거 같네요. 기존에도 문제있던 블루 레드 밸런스가 피어리스 도입되면서 더더욱 구려지는데 이대로는 안됩니다.
+ 25/02/23 23:49
수정 아이콘
경기전 양 팀이 2밴을 미리하고 해당 매치동안
글로벌 밴 상태로 진행하면 어떨까 싶긴 합니다.
여기에 전략성을 가미하려면 양팀이 동시 같은 밴을
하면 다시 살아나는 식으로..
김소현
+ 25/02/23 23:49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는 하드보다는 소프트가 당장은 경기력면에서 좋을것 같아요
레드가 너무 밴픽적으로 불리한데 좋은 픽들까지 블루에서 뺏어가서 시리즈내내 못쓰는건 아닌것 같아요
+ 25/02/23 23:51
수정 아이콘
저는 피어리스 재미없어서 흥미가 떨어져서 결승도 안 봤네요... 한화가 잘 했다니 LCK에서도 잘 해서 재미있는 게임 많이 만들어줬으면 좋겠습니다.
+ 25/02/23 23:56
수정 아이콘
다전제 뒷세트로 갈수록 경기 퀄리티가 떨어져도 너무 떨어집니다.
시즌초 컵대회니까 우당탕탕 헛짓거리 해도 보는 맛이 있지 롤드컵 결승에서 트런들이니 소라카니 구린내나는 픽 억지로 꺼내들고 밴픽부터 게임 터진다 생각하면 끔찍했을듯.
개인적으로는 정규리그 피어리스+다전제는 기존처럼이 정답인 것 같아요 작년 엘피엘 비슷하게
두드리짱
+ 25/02/24 00:05
수정 아이콘
곰곰히 생각해 봤는데, 원래 블루 망겜이지만 씹망겜으로 만들 여지는 있어 보이고 타리그 사례를 보니 아직은 시기상조란 지적도 있고.. 어려운 문제내요. 그리고 밴픽 순서는 언젠간 손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블루 123픽>레드 45픽 밸런스 땜에 뭘 도입하든 블루 망겜은 변함 없어서..
+ 25/02/24 00:06
수정 아이콘
피어리스는 안되겠더군요.
비슷한 팀들끼리 5꽉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그냥 블루가 너무 유리해서 인듯.
챔프 밸런스, 진영과 밴픽의 유불리 때문에 레드가 갈수록 할게 없어요.
아르타니스
+ 25/02/24 00:08
수정 아이콘
Lpl이나 lck나 블루 승률이 76프로 나오는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하이퍼나이프
+ 25/02/24 00:27
수정 아이콘
젠지 선수들 고생하셨습니다. 좀 헤매는 구간도 있었는데 저력을 보여주며 준우승이라는 성적 거둔것도 잘했습니다.

피어리스는 돌이킬수 없는 흐름이라고 봅니다. 피어리스 없는 리그 시작하면 역체감 심할거에요. 블루 레드 밸런스 문제때문에 돌아갈 수준은 넘었습니다. 다만 다양한 배리에이션의 피어리스 룰(밴카드까지 모조리 누적되는 초하드 피어리스, 상대 픽은 고를 기회가 있는 소프트 피어리스 등등)을 시도해보면서 영점조정 했으면 좋겠네요
+ 25/02/24 0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LCK는 피어리스 아예 처음이라 아직 감이 없어서 그렇고, 좀 더 하면 레드사이드에서는 일부러 던지는 밴픽 (좋게 얘기하면 우리 블루할때 쓸 수 있는 좋은 픽 레드에서 소모하지 않은 밴픽)하고 초반에 터뜨리면 이기고 아님 말고 식으로 요행을 바라는 밴픽이 진지한 전략 중 하나가 될 거라 봅니다. 1경기 블루 1픽이 제일 좋은 픽인건 자명한 사실인데 그걸 1경기 레드한 팀은 5세트 내내 못하는 게 이제와서 보니 말도 안되게 불합리하네요.

뭐 기존 스포츠식으로 따지면 테니스에서의 브레이크 개념이 될 수 있는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98951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6911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36738 13
80935 [발로란트] 방콕 마스터즈 2월 23일 경기 결과 [4] 일렉트388 25/02/24 388 0
80934 [LOL] 2025 LCK 컵이 한화생명의 우승으로 마무리됐습니다 [46] Davi4ever3726 25/02/23 3726 2
80933 [LOL] LCK Cup 2025 플레이-인 이후 전적 보기 [17] lemma1896 25/02/23 1896 0
80932 [LOL] 라인스왑? 너 죽어도 하지마 [69] 한입6606 25/02/23 6606 1
80931 [발로란트] 방콕 마스터즈 DRX vs VIT 경기 결과 [7] 일렉트2848 25/02/23 2848 0
80930 이스포츠 올림픽, 2027년 사우디에서 개최 [7] 반니스텔루이5195 25/02/22 5195 0
80929 [LOL] 호랑이 컴백 [70] TAEYEON10414 25/02/22 10414 6
80928 [LOL] DK, 이제는 목줄을 끊어내야 할 때 [71] ELESIS8980 25/02/22 8980 5
80927 [LOL] 라인스왑을 막는 패치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136] 라면10137 25/02/22 10137 2
80926 [발로란트] 방콕 마스터즈 T1 vs VIT 경기 결과 [8] 일렉트3549 25/02/21 3549 0
80925 [LOL] 2025 LPL 스플릿 1 MVP - 도인비 [24] Leeka5287 25/02/21 5287 1
80924 [LOL] RAZER 바이퍼 V3 Pro 페이커 에디션 출시 [22] ELESIS5059 25/02/21 5059 2
80923 [LOL] LCK 컵 CGV 상영관 대폭 축소 [62] SAS Tony Parker 7425 25/02/21 7425 0
80922 [뉴스] 나고야 아시안게임 e스포츠 종목 7개→11개…日게임 대거 추가 [29] EnergyFlow4916 25/02/21 4916 1
80921 [발로란트] 방콕 마스터즈 DRX vs SEN 경기 결과 [13] 일렉트3186 25/02/21 3186 3
80920 [LOL] 선비 쵸비 [55] 김삼관8763 25/02/20 8763 11
80919 [PC] [STEAM] 브루스 웨인의 생일을 축하하는 -80% 할인 [9] 일신4319 25/02/20 4319 0
80918 [기타] 스피릿제로 백인수(사울아비스)님이 별세하셨습니다 [38] STEAM9865 25/02/19 9865 4
80917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2/19(수)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5] 캬옹쉬바나5201 25/02/19 5201 0
80916 [기타] 최근 즐긴 스팀 게임들 감상 [29] Cand10049 25/02/18 10049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