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4/10/25 18:08:01
Name 원장
Link #1 https://tl.net/forum/starcraft-2/632264-a-few-facts-about-the-sc2-balance-council
Subject [스타2] 현재 스타2 밸패진에 관련된 폭로글 (수정됨)


현재 스타2의 밸런스 패치안은 밸런스 카운슬이란 곳에서 패치안을 내놓습니다.

대강 스2의 인플루언서나 프로 선수들 소수가 모여서 서로 토론을 해서 밸런스 패치안을 내놓는 느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 스타2 프로게이머 Risky란 선수가 해외 스타2 사이트 TL.net이란 곳에 현 스투 밸런스 카운슬에 관한 폭로글을 올렸습니다.

https://tl.net/forum/starcraft-2/632264-a-few-facts-about-the-sc2-balance-council


영알못이라 구글 번역으로 복붙해서 전문을 옮기자면

Risky

서문: 약 1년 전, 저는 몇 가지 이유로 균형 협의회 채팅을 떠났습니다.

1) 채팅 내의 프로세스, 의사 결정 및 전반적인 디자인 우선순위에 대한 불만.

2) 저는 완전히 은퇴했고, 채팅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은 제가 아직 활동 중일 때에도 논란의 여지가 있었습니다.

사실:

1) 플레이어는 채팅이 생성된 해(2020년 또는 2021년) 또는 그 이전 해의 EPT 포인트를 기준으로 초대되었습니다. 일부 플레이어는 초대를 거부했고 일부 플레이어는 채팅을 떠났거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초대를 받기 위한 EPT 포인트 요구 사항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각 지역에서 약 10~20명 정도로 추정합니다.

2) 처음에는 협의회가 민주적으로 운영되었습니다. 모든 의견이 반영되었고, 우리는 공개 토론을 통해 각 변경 사항에 대해 투표했습니다. 나중에 프로세스는 각 종족에 대해 두 명의 대표가 있는 "대표" 시스템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현재 대표가 누구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3) 초대 과정의 결과로 종족 분포를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토스 플레이어가 확실히 잘 대표된다고만 말씀드리겠습니다.

4) 제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테란 플레이어가 가장 적극적으로 토론에 참여했으며, 종종 자신의 종족을 열렬히 옹호했습니다. 때때로 저는 다른 종족의 관점을 고려하지 않으려는 듯 그들의 주장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프로토스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더 합리적이었고(최신 패치에 반영되었듯이 너무 합리적일 수도 있음), 반면 대부분의 상위 저그 플레이어는 토론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5) 제 경험에 따르면 채팅에는 명확한 권력 계층이 있었습니다. 상위 레벨의 플레이어나 "똑똑하다"고 여겨지는 플레이어만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고려했습니다. 제 생각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프로가 자신이나 자신의 종족에게 특히 이로운 변경 사항을 옹호하고, 패치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이나 일관된 방향이 부족하며, 다양한 관점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전반적으로 부족했습니다.

여기까지가 전문입니다.

항상 이런 글들은 다른 쪽의 목소리들도 들어봐야 하고 사실 확인을 해봐야 해서 막 지금당장 섣부르게 말을 하기 보통 어려운데
이번 스타2의 밸런스패치안이 너무 토스에게 안좋고 테란 저그 특히 테란쪽에 좋은 상황이라 이 폭로글에 적힌 내용에 힘이 실리는 중...

아랫글에도 올렸었지만 밸패가 어떤식으로 진행된지 보여기 쉽게 이번 PTR 밸런스패치안 첨부해두겠습니다.



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티아라멘츠
24/10/25 18:11
수정 아이콘
토스 대표들이 너무 양심을 지켰나보군요 크크크크
24/10/25 18:12
수정 아이콘
테란은 목소리를 크게내고 토스는 현실적으로 말하고 저그는 아무말이 없었다고 한게 생각해보면 웃깁니다 크크크
티아라멘츠
24/10/25 18:22
수정 아이콘
테뻔뻔 저묵묵 읍읍,...
머나먼조상
24/10/25 18:12
수정 아이콘
프징징 테뻔뻔 저묵묵 생각나게 하는 글이네요
24/10/25 18:13
수정 아이콘
다 저글보고 저묵묵 생각난다 하더라구요 크크크
及時雨
24/10/25 18:14
수정 아이콘
아니 진짜 묵묵해버리면 어뜨케
묻고 더블로 가!
24/10/25 18:15
수정 아이콘
테란들은 할 걸 했고 토스들은 좀 안일했다고 느껴지네요
자기 밥그릇이 걸려있는데 저런 곳에서도 피 튀기게 싸워야죠
24/10/25 18:17
수정 아이콘
이게 프로선수들만 그런게 아니라 그냥 인플루언서들도 있어서 그런 분들 입장에선 좀 자기 밥그릇이 덜 걸려있는 느낌을 받았을수도 있었다고 생각은 듭니다. 물론 저도 말씀하신대로 걍 피 터지게 싸우는게 맞았다고 생각하긴 합니다.

근데 저그는 조용했는데도 좋은거 받아갔.....
24/10/25 18:22
수정 아이콘
근래 세계대회 테란이 우승하지 않았나요? 클레임인가 테란 잘하는 외국유저, 저그는 준우승했고
물론 자기 밥그릇 챙길려면 목소리내는게 맞는데 테란은 양심도 없네
24/10/25 18:25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 가장 큰 대회는 말씀하신 클렘이란 해외 테란 선수가 우승했고
그 전 큰 해외 대회 드림핵 같은 경우는 해외 저그 세랄 선수가 우승했습니다.
팬케익
24/10/25 18:23
수정 아이콘
아무리 전문적이라도 대회 참가하는 프로가 밸런싱에 관여하는게 맞나싶은데..
24/10/25 18:28
수정 아이콘
저도 동의합니다만
그래도 각 종족 프로들이 가고 다른 인플루언서들이 이야기 하는거니까 그래도 종족마다 이야기 하는거면 괜찮지 않을까 라고 러프하게 생각했었습니다..

사실 이상적인건 그냥 블자에서 밸패팀을 만들어 하는게 이상적이긴 하죠. 그게 안되서 지금의 상황이 온거지만
설탕물
24/10/26 07:33
수정 아이콘
의견을 듣는거고 결국 반영할지 말지는 회사에서 정하는거니까요. 프로스포츠들도 선수 의견을 듣는(듣기만?) 곳은 많죠. 반영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팬케익
24/10/26 13:54
수정 아이콘
의견 듣는거 자체가 반영할 의지가 있으니 그런거겠죠?
저런 경우는 반영을 해도 문제, 안해도 문제입니다.
그냥 재미로 얘기하는거랑 저렇게 대놓고 협의체가 있다는 저로서는 이해가 안가는 부분입니다.
메카즈하
24/10/26 07:51
수정 아이콘
과충전만 냅둬도 토스 불만이 이리 크진 않았겠죠 맨날 당하는 입장이었는데 ㅠㅠ
24/10/26 08:16
수정 아이콘
가장 큰걸 건드려놓고 보상안이 에너지 100 하나이니까...
24/10/26 08:53
수정 아이콘
민주적으로 했을때 양심없고 목소리 큰 사람 의견이 반영되는건
어쩔수 없죠. 굳이 멀리 안가도 보이자나요?
24/10/26 09:28
수정 아이콘
헉;;
시부야카논
24/10/26 13:06
수정 아이콘
그냥 개발에 손 놨으면 밸런스 조정을 주최하는 ESL에다가 넘겨버리자는 말은 하면... 안되겠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494 [LOL] MSI 선발전 일정 공개 [6] Leeka5375 24/10/29 5375 0
80493 [LOL] 2025년부터 새로 생기는 LCK CUP 진행방식 설명 [44] EnergyFlow6157 24/10/29 6157 0
80492 [LOL] 2025년 LCK 시즌 변화점 [131] 라면11172 24/10/29 11172 2
80491 [LOL] 캐드럴이 밝히는 "방송에서는 왜 계속 페이커만 띄워주는가"에 대한 생각 [152] EnergyFlow14515 24/10/29 14515 9
80490 [LOL] 월즈 우승 스킨은 무엇이 나올까? [41] T1005986 24/10/29 5986 0
80489 [LOL] 결승전이 확정되고 다시 보는 G2의 역대급 억까 대진 [20] Leeka6397 24/10/29 6397 0
80488 [LOL] 젠지에게 개인적으로 아쉬운 것 [157] 티아라멘츠10905 24/10/29 10905 11
80486 [LOL] 생각보다 잘 했던 T1 [14] 아몬9830 24/10/29 9830 9
80485 [LOL] 용한타에서 보여줬던 기인의 슈퍼플레이 [68] Leeka9799 24/10/29 9799 13
80484 [LOL] [LCP] 소프트뱅크가 감독 공개모집을 합니다. [16] 타바스코5729 24/10/28 5729 2
80483 [기타] 스팀게임 리뷰 [15] 모찌피치모찌피치5551 24/10/28 5551 1
80482 [기타] 삼국지8리메이크 간단 후기 [50] 겨울삼각형12360 24/10/28 12360 2
80481 [LOL] 이렇게 보니 생각보다 더 대단했던 팀 [84] 포스트시즌12222 24/10/28 12222 16
80480 [LOL] 제오페구케, 결성후 3년간 모든 대회 올포디움 달성 [89] Leeka9681 24/10/28 9681 8
80479 [LOL] 뒤늦은 T1 VS 젠지 4강전 후기 [26] TAEYEON8016 24/10/28 8016 10
80478 [LOL] 4강 관련 리플레이 챙겨본 뒤 주저리 주저리 [54] Leeka9948 24/10/28 9948 4
80477 [LOL] 젠지 선수들 한해동안 수고하셨습니다. [29] 토스의로망7587 24/10/28 7587 29
80476 [LOL] 제오페구케에게 진 적이 없는 빈 vs LPL에게 진적이 없는 티원 [60] Leeka8596 24/10/28 8596 3
80475 [LOL] 젠지 vs T1 제가 본 핵심 관전 포인트 [60] 잘생김용현14317 24/10/28 14317 22
80474 [LOL] 따끈따끈한 월즈 결승 배당 + 파엠 배당 [75] 포스트시즌13950 24/10/28 13950 3
80473 [LOL] 기인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160] 사이퍼13391 24/10/28 13391 27
80472 [LOL] 세번 다시는 믿지 않으리... [90] 레드빠돌이12319 24/10/28 12319 10
80470 [LOL] 페이커와 LPL의 월즈 결승 기록들 [7] Leeka6007 24/10/28 600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