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3/04/11 22:49:30
Name Leeka
Subject [LOL] 야가오가 비리비리를 국제전에 보냅니다

돌고돌아 또 엘피엘은
나이트 vs 야가오 둘이 결승에서 맞붙.. 게 되었으며

야가오는 비리비리를 국제대회에 보낸선수가 되었습니다


이번시리즈에서 가장 놀라운 장면은 탱말파의 펜타킬과

바로 1분뒤 던져서 제압골 퍼주고 아군딜러가 0킬이라
말파 펜타킬은 아무 쓸데없다는걸 입증한 아러신..




현재까지 므시확정은
한국 - 젠지, 티원
중국 - 징동, 비리비리
유럽 - 지투
북미 - 씨나인, 골든가디언즈
대만 - PSG
가 므시에 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인트리
23/04/11 22:53
수정 아이콘
제가 야가오 작년까지 진짜 저평가했었는데 진심으로 반성하고 진심으로 리스펙합니다
대장햄토리
23/04/11 22:53
수정 아이콘
확실히 두팀씩 가니까 미니 롤드컵 느낌이 나네요..
23/04/11 22:53
수정 아이콘
예전의 야가오는 야가오 3신기로 대표되는 특정 챔프 의존 및 적당한 팀게임 능력치를 가진 선수였는데, 작년을 기점으로 완전히 선수 자체의 무게감이 달라지면서 커리어 중반을 지나 다시 스텝업을 했다고 봐야겠네요. 지금 현 메타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챔프를 전부 잘 다루고, 라인전에서 터지지도 않으면서 팀적인 움직임도 좋고 운영/합류도 좋은데다 무엇보다 한타에서의 존재감이 남다르구요.
정규시즌 순위만 보면 1위와 5위팀이 MSI에 오게 되는거긴 하지만, LPL의 플옵 방식은 기어코 플옵 10팀 중 가장 팀 전력이 좋은 두 팀을 가려내서 국제전에 보내는 기능을 또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Santi Cazorla
23/04/11 22:54
수정 아이콘
나를 버린 징동을 죽인다.. 그 생각 뿐이다..
반니스텔루이
23/04/11 23:54
수정 아이콘
안좋게 나갔나보네요. 야가다햄..
Santi Cazorla
23/04/12 00:15
수정 아이콘
징동이 늘 나이트로 바꾸고 싶어했죠 ㅠ
23/04/11 22:54
수정 아이콘
야가다 햄 얼마나 성장한거여
천혜향
23/04/11 23:05
수정 아이콘
전 MSI 2팀씩 가는거 너무 좋다고 생각하구요.
lpl 스프링 3~5위팀 lck 3~5위팀 lec 3위팀 lcs 3위팀
이렇게 8팀이서 리그 하나 했으면 좋겠어요. 상금은 그렇게 많지 않아도 될거 같은데 어차피 롤드컵 전초전이 msi라면 msi유로파 느낌으로 하부리그 하나 만들면 msi 토너먼트 단계에서 구멍난 일정들에 끼워넣으면 되게 풍성할거 같거든요.
23/04/11 23:24
수정 아이콘
우승팀이 있는 국가에게 내년 므시 출전권 1장 지급?
므시 우승팀 국가에겐 롤드컵 진출권 1장 지급하고요 흐흫
Octoblock
23/04/12 00:11
수정 아이콘
므시 우승팀에게 월즈 진출권을 1장 국가별 TO를 무시하고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삼화야젠지야
23/04/11 23:43
수정 아이콘
저도 대회 규모가 커지면서 위상도 올라가는 느낌이라 너무 좋습니다.
모그리
23/04/12 00:38
수정 아이콘
오 재밌을거 같네요 크크
23/04/11 23:07
수정 아이콘
JDG는 큰일났네요 369가 빈을 만나버렸어요..
강동원
23/04/11 23:11
수정 아이콘
와! 아러!
와... 아러...
23/04/11 23:11
수정 아이콘
나이트대 야가오면 5꽉 확정이네요 크크
23/04/11 23:15
수정 아이콘
흔히 쿠로의 최대 업적인 blg 플옵 진출을 넘어버리는게 야가오일 줄은...

저도 솔직히 야가오 쪼금 부족하지 않나 해서 저평가 했는데 이제는 바꿔야겠습니다
23/04/11 23:17
수정 아이콘
야가다햄은 언제나 온몸으로 외치고 있었습니다. 살아남는 자가 강한 거라고...
23/04/11 23: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BLG 징동은 웬만해서는 징동이 정배라 생각하는데 그래도 3대떡 만큼은 안났으면 좋겠어요.
인센스
23/04/11 23:21
수정 아이콘
야가오햄 솔직히 진짜 무서웠는데...
오타니
23/04/11 23:29
수정 아이콘
이번 MSI가 조별리그 이런거 없이
전부 더블엘리라 진짜 재미있을것 같습니다.
더치커피
23/04/11 23:32
수정 아이콘
야가다햄 1시즌만에 비리건설 레전드로 등극..
이른취침
23/04/12 16:00
수정 아이콘
비리+건설 이라니... 너무 찰지네..
다레니안
23/04/11 23:40
수정 아이콘
LCK로 치면 22년에 비디디가 농심을 이끌고 결승 올라와서 젠지랑 맞붙는거죠. 크크크크크크크크
스토리 죽이네요. 크크크크크크
반니스텔루이
23/04/11 23:54
수정 아이콘
아 msi 아직도 한달남았어..
취급주의
23/04/11 23:58
수정 아이콘
야가다성님은 작년부터 그냥 s급 미드가 된 거 같네요.
오타니
23/04/12 00:01
수정 아이콘
아.. 텀 너무길다..
록타이트
23/04/12 00:10
수정 아이콘
사실 야가오가 보냈다는 느낌보다 아러가 보낸 느낌이 강하긴 했습니다. 계속 펜타킬하고 신나서 그 다음부터는 서폿에 1인 궁박던데...
23/04/12 01:10
수정 아이콘
비단 5세트뿐이 아니라 BLG 플레이오프에서 종합적으로 가장 좋은 경기력을 보인게 야가오죠
록타이트
23/04/12 02:0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다만 잘큰 말파가 던진 임팩트가 워낙 컸다는 뜻이었습니다.
이거쓰려고가입
23/04/12 02:18
수정 아이콘
??? : 버돌이 없는 MSI, 가고싶지 않아..
모그리
23/04/12 00:40
수정 아이콘
이상하게 정이가는 선수 크크
23/04/12 00:42
수정 아이콘
blg vs 징동 4강전 5세트 초반까지 blg가 유리했고,
그지 같은 blg 한타때문에 패자로... 어쩌면 blg가 스프링 우승할수도...
23/04/12 00:45
수정 아이콘
빈이 제우스랑 도란이랑 붙는걸 빨리 보고싶네요 크크
록타이트
23/04/12 02:07
수정 아이콘
아러랑 빈은 무력 자체는 비슷한데 빈은 지성까지 갖춘 느낌입니다. 저는 이번시즌 lpl에서 가장 인상 깊은 선수가 빈이었어요.
더치커피
23/04/12 08:47
수정 아이콘
빈은 다 좋은데 챔프폭 좀 늘려야되요
퓨어탱커 안하는건 그렇다쳐도 그라가스는 쓸줄 알아야지.. 잭스 상대로 악어 뽑고 영혼까지 털리는건 좀..
록타이트
23/04/12 08:59
수정 아이콘
그게 챔프폭이 좁아서 그런거였군요. 그런단점이 있었군요. 다행입니다(?). 그나저나 LPL선수들 잭스 왜 이렇게 무섭나요. LCK는 기인정도 제외하면 인상 깊은 잭스 못본것 같아요.
김연아
23/04/12 09:17
수정 아이콘
하지만 카멜을 픽하는데......

한 번은 발사를 못하고, 한 번은 발사를 해버리는데....
이정재
23/04/12 00:56
수정 아이콘
가오햄 퓨식이랑 같이하면 무조건터질거같았는데
키모이맨
23/04/12 01:20
수정 아이콘
가오햄 씨다씨
23/04/12 01:26
수정 아이콘
쿠로보다 위대한 미드가 비리비리에서 드디어 나왔군요..
OneCircleEast
23/04/12 07:11
수정 아이콘
펜타킬 1분후에 꼬라박는거보고 감동했습니다
Meridian
23/04/12 08:25
수정 아이콘
빈이 제일 무섭습니다
더치커피
23/04/12 08:32
수정 아이콘
말파 펜타킬하고 집가서 고작 덤불조끼 하나 사들고 오더군요.. 세상 무의미한 탱말파 펜타킬
23/04/12 08:45
수정 아이콘
역시 야가다
Asterios
23/04/12 09:13
수정 아이콘
비리비리가 국제전에 갔으면 불끈불끈으로 팀명을 바꿔야 하지 않나요 깔깔깔깔
오타니
23/04/12 09:28
수정 아이콘
어허.. 빌리빌리입니다.
무냐고
23/04/12 18:39
수정 아이콘
어질어질 하네요 크크
김연아
23/04/12 09:18
수정 아이콘
야가다햄 적어도 작년부터는 많이 달라졌죠.
qwerasdfzxcv
23/04/12 11:22
수정 아이콘
쿠로는 결국 비리비리 역체미 자리마저 뺏겨버렸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216 [LOL] 리그 오브 레전드 vs 도타2 e스포츠 [15] 만찐두빵8915 23/05/19 8915 1
77215 [LOL] DRX 롤드컵 우승 스킨 사전예약 시작 [13] Leeka9118 23/05/19 9118 0
77214 [LOL] T1 vs JDG 경기, 역대 MSI 동시 시청자 수 1위 달성 [32] Leeka9438 23/05/19 9438 0
77213 [LOL] 졌는데 화가나네? 더블엘리의 위대함 [71] 나따11354 23/05/19 11354 3
77212 [LOL] [국민일보] 바텀게임 팀으로 진화 중인 T1, 딱 1%가 부족했다 [22] 리니어9114 23/05/19 9114 0
77211 [LOL] 티원 징동 후기 [28] 작은형11230 23/05/19 11230 5
77210 [LOL] 안좋은 소리만 하는것도 그러니까, 그냥 T1 응원글 씁니다. [131] Baphomet G10878 23/05/19 10878 7
77209 [LOL] 울프가 예언한 5세트 T1이 이기는 경우의 수 [99] Leeka13445 23/05/19 13445 1
77208 [LOL] 오늘자 티징전 통합 지표.jpg [30] 가변9679 23/05/19 9679 1
77207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불판이라고 막 뱉어도 되는걸까 [18] 에바 그린9635 23/05/19 9635 36
77206 [LOL] LPL 1번시드. 징동의 결승전 진출 - 승자조 결승 이야기 [237] Leeka15223 23/05/19 15223 1
77205 [LOL] 역대 LCK 결승전 장소 총 정리 [13] Leeka9452 23/05/18 9452 0
77204 [LOL] 이제 4일간, 한국과 중국의 정상결전이 펼쳐집니다. [68] Leeka12919 23/05/18 12919 2
77203 [LOL] 2023 LCK 서머 결승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 확정 [53] SAS Tony Parker 10361 23/05/18 10361 0
77202 [LOL] 브리온 OK저축은행과 네이밍 스폰서 체결등 자잘한 소식 [10] 아롱이다롱이8899 23/05/18 8899 0
77201 [LOL] OK저축은행, 프로게임단 브리온과 네이밍 스폰서 계약 체결 [17] BitSae8246 23/05/18 8246 2
77198 [LOL] DRX 롤드컵 스킨에 들어간 포인트들 [23] Leeka12246 23/05/17 12246 2
77197 [LOL] 미스틱 진성준 젠지 스트리머 계약 [16] SAS Tony Parker 10857 23/05/17 10857 0
77195 [LOL] THE UNBREAKABLES: 우승 신화를 다시 마주하다 | 2022 월드 챔피언십 챔피언 DRX - 리그 오브 레전드 [24] Leeka9851 23/05/17 9851 1
77193 [LOL] DRX 스킨 공개되었습니다. [63] 껌정14185 23/05/17 14185 0
77191 [LOL] 웨이보 게이밍 양대인 감독 오피셜 [61] SAS Tony Parker 13961 23/05/16 13961 0
77189 [LOL] LCS 서머시즌 6월 1일 개막 + 개막전 대진표 [13] 아롱이다롱이7787 23/05/16 7787 0
77188 [LOL] 5월 14일 기준 MSI 팀&선수 지표 그래프 [4] 전설의용사9627 23/05/15 9627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