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
2023/02/14 12:15:10 |
Name |
티아라멘츠 |
File #1 |
1664384151.jpg (121.1 KB), Download : 700 |
Subject |
[기타] [유희왕 마스터 듀얼] 탄산절이 왔다, 다같이 탄산맞이 |

드디어 그날이 왔습니다.
스프라이트가 옵니다.
다행히도(?) 떡과 캐리어는 돌아가신 채로 출시되어서
전성기의 그 맛까지는 아니겠습니다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1티어인건 확정사항.
어디까지 해드실지 어느 축이 대세일지까지는 모르겠지만
1티어 해드시는건 100%입니다.
스프라이트 메타의 특기사항은
패트랩이 거의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돌파계가 차라리 후공용으로 훨씬 나은 메타라고 보시면 됩니다. 증쥐 이외엔 제대로 1장값을 하는 패트랩 하나도 없습니다.(그나마 토끼 혹은 기간틱에 타격시가 유효타)
다만 돌파계도 그 나름대로 한계가 있긴 한게 고민이죠(선공에선 썩는 카드니)
각 축별 장단점은
순수 스프: 제일 덱스페가 넓고 유연하며 도깨비 개구리 goat카드 대신 빌드고점이 다른 축보다 약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거 메꾸려고 도그라 섀도르크 첨가하는 연구가 보이네요.
스프 트라게: 스프린드가 아직 나오지 않은 점이 걸리는 부분입니다. 이쪽은 트라게를 스프가 서포팅하는 느낌이 좀 있고, 유연성은 순수보다 떨어지나 빌드는 순수보다 셀 겁니다. 다만 제약덩어리라 처음 익힐때 좀 귀찮습니다(대신 다 익히고 나면 역시 할게 정해져있어 쉽습니다. 자유도가 높은 덱이 아님)
스프 트윈: 빌드는 센데, 트윈 기믹이 멍청하다는 게 큰 문제라 개인적으로 불신하고 있습니다.
스프 메르피: 의외로 쎈데 스프 미러전에서 약하다는 큰 문제가 존재
스프는 좀 다뤄보긴 했지만 메인덱은 아니었어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메인덱은 닉값입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