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11/28 17:45:17
Name Leeka
Subject [LOL] 롤드컵 결승전을 2회 이상 뛴 선수들 (수정됨)
* 로스터에 있었어도 결승전에 안나왔으면 X


5회 : Faker

4회 : X

3회 : BeryL / Bengi / Bang / Wolf

2회 :
LCK - Blank / CuVee / Ambition / Crown / Ruler / CoreJJ / Canyon / ShowMaker / Ghost
LPL - Uzi
lec - Caps / SoaZ



5회 이상 뛴 선수 : 1명
3회 이상 뛴 선수 : 5명
2회 이상 뛴 선수 : 17명


* 동일멤버로 2연속 결승은 16~17 삼갤만 보유한 기록.


이런걸 보면 정말 롤드컵 결승은.. '그 한번의 기회를 잡아야' 되는 무대가 아닌가...  
첫 결승전에서 우승 못한 선수가 월즈를 우승한 경우는 '17 삼갤' 을 제외하고 아직까지 없음.
2번 가는거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alorant
22/11/28 17:45
수정 아이콘
6회 가즈아!
앨마봄미뽕와
22/11/28 17: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페벵뱅울&베릴은 전설이다
22/11/28 18:28
수정 아이콘
울프센세 탑알바 뛰어달라고 하면 한팀 만들어지는 위엄
고오스
22/11/28 17:49
수정 아이콘
SKT T1 황금세대 제외하면 베리릴이 유일하죠

심지어 베리릴은 팀 바꿔서 3연 결승 후 월즈 2번
반니스텔루이
22/11/28 17:50
수정 아이콘
3회 결승 3회 우승 벵기의 위엄..

실제로 페이커는 벵기 이후로 롤드컵 우승을..
파비노
22/11/28 17:59
수정 아이콘
올해 임시감독일때 준우승을 했으니 정식감독이 된 내년에 한번 기대를.....
22/11/28 18:0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 20년대 이후 결승 3회연속 진출해서 팀바꿔 2번 우승한 베릴이 진짜 레전드 같음.
올해 결승까지 올라온 페이커도 대단하긴 한데 페벵울로 롤드컵 3번 먹을땐 야구 데드볼 시대같은 느낌이라..
고오스
22/11/28 18:31
수정 아이콘
그렇죠 skt t1 시대는 운영, 개개인 컨트롤 등 부분에서 대놓고 티어 차이가 났는데

그런 시대를 지나서도 3연 결승, 2우승 한다는건 진짜 미친거 같아요
루비치즈
22/11/28 18:45
수정 아이콘
이게 전형적인 물로켓론의 논리 기조인데요;
22/11/28 18: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물로켓론이 뭔가 봤는데... 선수들을 폄하하려는 의도는 없습니다 폄하하지도 않았구요.
데드볼 시대에도 베이브 루스를 비롯한 수많은 선수들이 레전드로서 기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 아웃 라이어였던 티원의 3회 우승보다
베릴의 최근 3연속 결승+팀바꿔 2회 우승을 더 높게 평가하고 표현할수는 있다고 생각해요.
루비치즈
22/11/28 19:24
수정 아이콘
그 아웃라이어가 될 수 있었던게 타팀 수준이 떨어져서라고 주장하는게 물로켓론의 전형적인 논지라 말씀 드리는겁니다. 언제가 되었든 과거의 선수는, 더 나아가 과거의 인물들은 언제나 폄하당할 수 밖에 없는 논리라 개인적으로 굉장히 싫어합니다. 베릴이 지금 굉장한 선수는 맞지만 최근에 한 우승이라고 가산점을 주는게 웃긴 일이죠. 지금은 상향평준화 시대이니 그런 시대에 우승을 한 베릴이 더 높은 성취를 거머쥔 선수이다? 당대의 팀은 모두 당대의 기준으로 타팀들을 짓밟고 우승했기에 강했던겁니다. 타팀이 약한게 아니라 그팀이 강했던거죠. 또 데드볼 시대라는 발언 자체가 굉장히 불쾌한데 데드볼 시대는 구조적으로 투수에게 유리한 시대였고 그로 인해 기록들이 다양하게 세워졌었습니다. 그런데 13~16의 롤이 티원한테만 유리했나요? 라이엇이 게임 시스템 구조적으로 티원이 성적이 유리하게 나오는 구조를 만든게 아닌데 데드볼 시대에 비교하는게 말이 안되는거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리고 페뱅울로 롤드컵 세번이 아닌, 페이커+벵기가 3번, 그리고 페벵뱅울이 2번입니다
사나없이사나마나
22/11/28 18:24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니 결승전 2회 이상 출전자 중 전승은 벵기 딱 한 명이군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2/11/28 20:04
수정 아이콘
베릴이 진짜...
비올라
22/11/28 22:57
수정 아이콘
역체폿 베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757 [LOL] LPL 스프링 전반기 주요팀 주관적인 감상평 [19] gardhi11169 23/02/27 11169 4
76753 [LOL] G2 Esports, 2023 lec 윈터 우승 (MSI 진출 확정) [32] Ensis11683 23/02/27 11683 2
76697 [LOL] [lec] lec 깜짝 질문 "lec 우승 팀 맞히기" 한글 자막 [11] Silver Scrapes10487 23/02/16 10487 0
76679 [LOL] 더블리프트와 프린스, lec 티저 [11] Life's Too Short11431 23/02/12 11431 2
76668 [LOL] [lec] 스토브 일찍 맞은 팀들의 리빌딩 루머 [21] BitSae11883 23/02/09 11883 1
76662 [LOL] 현재까지 가장 많이 나온 챔피언들 + 주요 리그별 승률 차이 [26] Ensis11334 23/02/08 11334 6
76657 [LOL] 2023 lec Winter 1라운드 결과 [29] BitSae10455 23/02/07 10455 1
76651 [LOL] 도인비가 방송에서 말한 이번 오프시즌 4대리그 연봉 및 재정 이야기 [41] 아롱이다롱이20414 23/02/05 20414 3
76610 [LOL] LCK + LPL 관련 소식 [23] 아롱이다롱이12756 23/01/26 12756 0
76552 [LOL] 9개 리그의 MSI & 월즈 티켓 정리 [7] Leeka9578 23/01/11 9578 1
76547 [LOL] 개편된 msi, worlds 방식과 개최국 [104] 말레우스14523 23/01/10 14523 0
76474 [LOL] Lck 개막일 예측해보기 [13] newness12286 22/12/25 12286 0
76466 [LOL] 오셀롯 : 변함없이 앤드류 테이트를 지지한다 [25] 이거쓰려고가입14039 22/12/23 14039 0
76454 [LOL] 월드컵에 고무된 ‘캡스’? “국가대항전 개최 희망” [72] 아롱이다롱이16569 22/12/20 16569 1
76438 [LOL] LCK 경기 시간대 변경 [17] 반니스텔루이14884 22/12/16 14884 0
76405 [LOL] lec Team Heretics 로스터 발표 [11] 타바스코10780 22/12/11 10780 0
76374 [LOL] 일본리그 폐지썰때문에 검색해본 2022 서머시즌 각 리그 뷰어쉽 [4] 아롱이다롱이11657 22/12/08 11657 1
76371 [LOL] 23년 LJL 로스터 찌라시 정리 두번째 [8] 타바스코13029 22/12/08 13029 0
76318 [LOL] 23년 LJL 로스터 찌라시 정리 [23] 타바스코15674 22/11/30 15674 5
76289 [뉴스] 라이엇, 2023년에 롤/발로란트 소외된 성별을위한 더많은 대회를 도입예정 [67] 아롱이다롱이12222 22/11/29 12222 1
76273 [LOL] 롤드컵 결승전을 2회 이상 뛴 선수들 [14] Leeka9664 22/11/28 9664 0
76202 [LOL] 기인이 kt를 선택한 이유 [69] 반니스텔루이14927 22/11/23 14927 2
76194 [LOL] LCK 현 시점 기준 오피셜 + 거피셜 선수들 & 남은 선수들 [46] Leeka13978 22/11/23 139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