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5/25 10:30:22
Name Leeka
Subject [LOL] 2019 MSI와 2022 MSI의 공통점

1. 럼블 순위

중국 - 1위
T1 - 7승 3패
G2 - 5승 5패
북미 - 4위
대만 - 5위
버팔로 - 2승 8패

* 티원, 지투, 버팔로는 19년과 순위 및 승패까지 똑같으며
중국/북미/대만은 19년과 다른팀이 참가했으나 순위가 똑같음.


2. 북미와 대만의 탑


북미의 탑은 임팩트
대만의 탑은 하나비.

진출 팀은 바뀌었지만, 탑은 그대로.




3. 경기 내용


버팔로는 이번에도 G2 상대로 이겼다.
한국은 중국 상대로 처음에는 졌으나, 순위와 무관한 마지막 경기에선 멋지게 이겼다.



4. 대진표

중국과 북미가 금요일
T1과 G2가 토요일





5. 마무리

이왕 이렇게 된거,  19년하고 동일하게 북미는 중국을 이겨서 세상을 놀라게 하고.
티원이 지투를 이기면서 결말만 바꾸고 복수를 성공하는 엔딩이 최고 아닌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소믈리에
22/05/25 10:36
수정 아이콘
팀 리퀴드 그립읍니다?
도라지
22/05/25 10:37
수정 아이콘
티원과 지투의 경기내용이 너무 달라져서…
제우스가 브로큰 블레이드한테 도망다니는 그림이 안그려져요.
감전주의
22/05/25 10:38
수정 아이콘
egg2 결승?
22/05/25 13:54
수정 아이콘
0:6에서 EGG2 결승전
스코어 0:8 까지 몰리는데...
PolarBear
22/05/25 10:46
수정 아이콘
원더에게 도망가야되요!!는 없을테니
22/05/25 10:53
수정 아이콘
이걸 보고 애슐리강 기자님이 트위터에서 육두문자를 날리셨다는 후문이...
FarorNear
22/05/25 10:54
수정 아이콘
뭐 이런식의 소위말하는 징크스는 많이 깨졌어서..
트레비
22/05/25 11:08
수정 아이콘
딱봐도 EG vs G2 나오겠네요 에휴
애플리본
22/05/25 11:13
수정 아이콘
신기하게 비슷하긴 함. 크크. 그래도 이번엔 우승 가능하리라 봅니다. 화이팅.
버거킹맘터
22/05/25 11:16
수정 아이콘
19msi보다 상위팀과 하위팀의 격차가 더 크다고 느껴지긴 하는데 그당시에도 설마 ig가 질거라곤 생각하진 못했어서 크크크
진짜 재현되면 무서울듯요
22/05/25 11:22
수정 아이콘
원더도 없고 퍽즈도 없어서 흐흐
전성기 원더에 비해 브로큰블레이드는 영 느낌이 없어서 걱정 안 합니다
이번에는 역으로 EU caster meltdown 기대하고 있습니다 크크
22/05/25 11:31
수정 아이콘
과연…!!
22/05/25 11:32
수정 아이콘
EG한테 지면서 경기력이 드라마틱하게 바뀌는게 참 묘합니다.
2라운드 G2 버팔로 RNG 상대 경기력은 스프링 때 그 T1이 맞습니다. 크크
G2나 RNG가 더 강한지는 모르겠는데 젠지나 담원과는 대응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예상이 어려움.
마포구보안관
22/05/25 11:33
수정 아이콘
그때는 그룹스테이지에서 g2한테 0대2 당하지 않았나요? 크크 세부결과에서 세계선이 뒤틀렸습니다
22/05/25 12:07
수정 아이콘
동준좌도 안계시니.. 분명 세계선은 뒤틀렸을겁니다..

라기보단 rng가 아무리 생각해도 eg가 질각이 보이질 않읍니다..

어디라인 하나 안 밀려요 ㅠ
22/05/25 13:55
수정 아이콘
뭐 사실 IG도 그건 같았습니다만 흐흐흐
늘지금처럼
22/05/25 15:37
수정 아이콘
그건 ig vs TL도 마찬가지 크크크
더치커피
22/05/26 11:55
수정 아이콘
동준좌는 어디 가셨나요?
22/05/25 12:19
수정 아이콘
19년처럼 g2가 우승하면 lck 시드가 3장이 돼버려서 4강은 무조건 이겨야겠네요. 만약 g2 vs rng 결승이 성사되면 rng를 응원해야 되는 웃픈 상황이 연출 될 수 있어요. 기본적인 전력 차이는 있는 걸로 보이는데 g2도 추스릴 시간이 생각보다 있어서 준비 잘 해야겠습니다.
트리거
22/05/25 12:32
수정 아이콘
g2가 티원 이기는것도 공통점이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쿼터파운더치즈
22/05/25 12:39
수정 아이콘
LCL 불참이 거의 확실해서 오히려 티켓 하나가 더 남거든요
제 생각엔 메이저 3곳에 티켓4장 줄거같아요 최근 성적 순 고려해서 EG가 우승하지만 않는다면 LCK는 4장 받지않을까 합니다
League of Legend
22/05/25 13:42
수정 아이콘
Vcs2장 보고싶네요 . .
22/05/25 13:48
수정 아이콘
20 / 21 에도 베트남이 불참했지만 그냥 플인 자리를 줄이고 진행했듯이..
22에도 러시아가 안온다고 해서 티켓을 더 줄거 같진 않다는게 중론에 가깝습니다..
manymaster
22/05/25 14:40
수정 아이콘
문제는 참가팀이 23팀이 되기 때문에 작년, 재작년처럼 플인을 구성하면 6개 팀이 1조가 되어서 일정이 너무 빡빡해지고, 그렇다고 기존 플인처럼 3/3/3/2로 짜도 2개 팀이 1개 조가 되는 모양새도 좀 그래서...

굳이 방법을 찾자면 4번 풀 직행 티켓을 한 장 특정 리그에 주고, 플인 그룹은 작년, 재작년처럼 구성하고 그룹 1위는 4번 풀 직행 그대로 가는 대신, 남은 4번 풀 한 자리는 2,3위 크로스 이후 마지막 진출결정전으로 주는 것이 가장 깔끔해보이기는 합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5/25 13:03
수정 아이콘
그때와 다른 건, 럼블에서 G2를 이겨 봤다는 거죠.
당연한 말이고 티원도 그렇지만, 그때의 G2와 지금의 G2는 완전히 다른 팀입니다. 캡스의 폼이 변수일 뿐, 그때처럼 티원을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요리하는 모습은 보이기 힘들 겁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5/25 13:21
수정 아이콘
말이 나왔으니 하는 이야기인데, 2019년에도 2015년과 평행이론이 있어서 기대 꽤 했었습니다. 그런데 안 되더라고요. 크크
올해는다르다
22/05/25 13:08
수정 아이콘
만약 결승 t1 vs rng 에서 티원이 이긴다면 티원은 rng를 상대로 국제대회 토너먼트 모든 단계에서 승리하게 됩니다(로얄을 인정한다면)
22/05/25 13:47
수정 아이콘
로얄은 공식적으로 다른팀이기 때문에.. 인정 안하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우지는 페이커 상대로 월즈 사이클링 패배 기록이지만 RNG는 아닌.. )
22/05/25 13:28
수정 아이콘
원더퍽즈가 없음...
22/05/25 13:46
수정 아이콘
원더가 없어서 이번 지투는 크게 기대가.....뱀발이지만 저는 19MSI때의 원더가 그당시 세계 최강의 탑솔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당시 칸이나 더샤이보다 무력자체는 반티어 정도 낮더라도 다른 부분에서 더 나았다고 봐요.
더치커피
22/05/26 11:57
수정 아이콘
19년에 비해 확실히 이번 G2는 좀 반짝반짝한 면이 떨어지죠..
파란무테
22/05/25 13:56
수정 아이콘
만약에 RNG vs G2 결승전되면,
여러분은 누구를 응원하실건가요?

RNG응원 : 한국 롤드컵 티켓 4개
G2응원 : RNG 우승은 절대 못봐
하프늄
22/05/25 14:02
수정 아이콘
무조건 G2입니다. 경기장에 오지도 않는 선수들이 트로피 들어올리는 광경은 차마 못보겠네요
22/05/25 14:05
수정 아이콘
저는 롤드컵 티켓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ㅠ 응원팀이 갈지말지가 3장이냐 4장이냐에 달려있어서.
파란무테
22/05/25 14:12
수정 아이콘
오. 엄대엄. 저는 저상황되면 RNG응원합니다. 롤드컵 티켓수가 파워라고 생각해요. 지금은 아쉽지만 더 큰 복수를 위해
페로몬아돌
22/05/25 14:29
수정 아이콘
4티켓 팀이 나가도 사실상 힘을 거의 못 쓴다 보고 지투 응원 크크크
다레니안
22/05/25 14:34
수정 아이콘
롤드컵의 재미를 위해선 4장이 필수입니다.
작년에 한화 vs 티원이 마지막 티켓이 걸린 경기였다면 즐겁게 보질 못했겠죠. ㅠㅠ
manymaster
22/05/25 14:44
수정 아이콘
저는 G2요.

정정당당히 싸우는 팀이 이겨야 공정하다는 이미지가 살죠.
22/05/25 16:29
수정 아이콘
저도 G2요.
마감은 지키자
22/05/25 16:32
수정 아이콘
우엔지가 우승하는 꼴은 못 보겠으나 G2가 우승해서 티켓 한 장이 줄어들면 다른 LCK 팬들한테 미안해서 그냥 잠적할 겁니다....( '-')
다시마두장
22/05/26 05:22
수정 아이콘
이건 무조건 G2입니다. 정의구현 해야죠.
더치커피
22/05/26 11:56
수정 아이콘
티젠담 팬 아니면 눈물을 머금고 우앤지 응원해야죠 ㅠ
마갈량
22/05/25 14:45
수정 아이콘
g2는 공략법이 좀 나온느낌이더라구요
bb오른안주고 캡스 픽으로 맞춰잡아서 초중반 발묶고 국지전으로 가면 bb 얀코스 기량이 급락해서.. 거기에 가능하면 노틸까지 안주면 베스트구요
키모이맨
22/05/25 15:59
수정 아이콘
G2는 정말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MSI시작전에 LEC는 훨씬 약해진 지역이라고 생각했거든요
G2도 이름값이 높아서 그렇지 6할찍고 도장깨기 하고 우승했지만 어차피 LCK/LPL경쟁이 될거라고 생각했는데

럼블 초반 단판제에서는 잘하면서 승승장구하더니
그다음부터는 이상한픽 쓰면서 다 지다가 4강 확정되고 마지막에도 또 이상한 픽 쓰면서 즐겜모드
유럽특으로 그냥 단판제 예선은 단판제 예선일뿐이였는지 원래 생각처럼 걍 별로 안쌘건지
모르겠음 크크
22/05/25 16:14
수정 아이콘
탑차이 때문에 g2힘 못 쓰죠
Msi의 칸과 제우스 원더와 BB는 급이 다릅니다
교자만두
22/05/25 16:46
수정 아이콘
지투 3대0 봅니다. 티원승. 제우스 오너는 점점 미치고있고 페이커는 아리 르블랑 등등 바텀도 폼회복햇고 자야 등등
대한통운
22/05/25 18:23
수정 아이콘
다전제하면 g2는 힘 못 쓴다고 봅니다.많이 이겨야 한판.
아우구스투스
22/05/25 22:56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442 [LOL] 참 작년부터 찝찝하게 우승컵 가져가는 RNG [153] 원장11536 22/05/29 11536 8
74440 [LOL] 작년하고 패턴이 똑같네요 크크크크 [131] 패마패마10289 22/05/29 10289 4
74439 [LOL] 말해주세요 퍼플 병X 밴픽해서 진거라고 [126] 리니시아11400 22/05/29 11400 13
74438 [LOL] MSI 결승전이 끝났습니다. - 왜 진유미?!?! [244] Leeka13599 22/05/29 13599 2
74437 [LOL] 밴픽에서 지는건 보통 챔프폭 문제 아닌가요? [34] 잘생김용현7258 22/05/29 7258 1
74436 [LOL] THE GRAND FINALE | MSI 2022 Finals Tease | T1 vs. RNG [34] 삭제됨9151 22/05/29 9151 1
74435 [스타1] 승부조작이 일어난 지 벌써 12년이 지금. 스타판은 정말로 승부조작때문에 무너졌을까요? [59] 산딸기먹자11210 22/05/29 11210 2
74434 [LOL] DRX 측 "감독은 단순 근로자 아냐, 재심 청구" [43] 아슬릿9494 22/05/29 9494 1
74433 학을 떼는 듯한 티원 [245] 묻고 더블로 가!16588 22/05/29 16588 0
74432 [LOL] 코인토스 전패의 T1 [15] 반니스텔루이9521 22/05/29 9521 2
74431 [LOL] 오늘 경기는 국제대회 다전제 경기시간 2위를 기록했습니다 [14] Leeka7758 22/05/29 7758 1
74430 [LOL] [코라이즌 이스포츠] T1 준결승 후 인터뷰 [32] 삭제됨7476 22/05/28 7476 3
74428 [LOL] 4대리그 동양팀, 서양팀에게 4연속 3:0 승리 [42] 묻고 더블로 가!9073 22/05/28 9073 0
74427 [LOL] 정정당당하게 홈 대 홈으로 붙자! [86] Leeka11508 22/05/28 11508 12
74426 [스타2] 2022 GSL Season 2 Code S 20강 조편성 [6] SKY926918 22/05/28 6918 0
74425 [LOL] 3년의 기다림. 드디어 온 홈그라운드에서 복수의 기회 [20] Leeka7155 22/05/28 7155 2
74424 [LOL] 패배를 승리로 바꾸는 법 (T1 유튜브영상) [8] League of Legend6370 22/05/28 6370 5
74423 [게임 추천] 신작 턴제 축구게임 - EA 스포츠 택티컬 풋볼 [10] 천혜향6665 22/05/28 6665 0
74422 [LOL] 3년의 기다림 - FACE OFF G2 Esports | T1 at MSI 2022 [28] 8529 22/05/27 8529 4
74421 [기타] [얼리] V rising 팁들 [4] 겨울삼각형17493 22/05/27 17493 0
74420 [LOL] [펨코 펌] 도인비가 얘기해주는 짧은 썰 [27] SAS Tony Parker 12997 22/05/27 12997 0
74419 [모바일] SD건담 G제네레이션 이터널 발표 [26] 김티모6784 22/05/27 6784 0
74418 [LOL] e스포츠 마케팅 이야기 [22] 노틸러스9240 22/05/26 9240 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