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5/12 17:54:30
Name insane
File #1 i8248841300.png (533.3 KB), Download : 8
File #2 40658FEC_0BE4_49CC_B577_1060187DB6DE.jpg (91.9 KB), Download : 11
Subject [PC] 의외로 게임에 엄청 진심인 연예인.jpg (수정됨)




행복하게 산책을 하고 있던 어느날 사라져버린 주인을 찾으러 모험을 떠나는 강아지 팝콘의 이야기



게임을 개발하겠다고 했을 때 주변 분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 음... 주변 분들의 돈으로 한 게 아니다 보니... 굳이 뭐 별 말씀은 안 하시더라고요.(웃음)




가장 최근에 플레이한 게임은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얼리어답터 성향이 있어서 VR도 즐겨해서 알릭스(하프 라이프 알릭스)도 끝까지 다 플레이했다고



확실히 연기 일도 하면서 게임을 하긴 힘들텐데, 게임 할 시간이 별로 없지 않나요?

- 맞아요. 그러니 라이브러리만 늘어가겠죠.(웃음) 전부 다 플레이하는건 사실 불가능하고, 때마침 시간이 나면 할 수 있는 정도예요. 전 영화도 게임만큼이나 좋아하고 영화쪽으로도 꽤 헤비컨슈머(3천 편 이상 감상)다 보니 영화 볼 시간과 게임할 시간을 분배하기까지 해야 해요.


전에는 게임을 사면 어떻게든 다 깻는데
요즘은 플레이하는 게임보다 사서 모으는 게임이 더 많아지는 것 같다고


이건 다 비슷비슷하군요 크크크





혹시 특별히 더 좋아하는 장르 같은것도 있나요?

- 말씀드렸다시피 스토리텔링이 기반이 되는 게임들에는 다 관심이 있어요.



게임을 '잘'하는 사람은 아니고 게임이 주는 이야기와 연출에 관심이 많은 편이라고

그럼 게임 IP 기반의 영상물에도 관심이 많으시겠네요?

- 아무래도 본업이 배우이다 보니 당연히 관심이 많아요.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이나 헤비 레인같은 퀀틱 드림의 게임들은 게임임에도 영화적인 문법을 상당 부분 보여주는 게임이라 관심이 많았다고





게임은 게이머의 주관이 곁들여져야 완성되는 미디어이기에 영화만큼 깊은 이야기를 담기는 어렵지만, 이 문제는 세부 장르의 다변화로 해결되는 중이라 생각해요.


소비자의 개입이라는 측면에서 영화는 닫힌 미디어고, 게임은 열려 있잖아요. 그만큼 제작진이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깊이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데, 최근에는 게이머의 자유를 다소 제한하면서도 보다 강렬한 서사로 작품성을 챙기는 게임들이 종종 보이곤 하죠.



데스스트랜딩을 예로 들면 서사 전반에 통일성이 강하게 드러나요. 단순히 게임에 영화의 기법을 더하는 '컷씬'을 억제하면서도, 감독이 원하는 서사를 게임성에 맞춰 완벽하게 표현했거든요.

때문에 단순히 게임으로서의 재미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것이겠지만요. 이런 서사 구조들을 파악하는 과정들 또한 서사의 일부가 되는 연기 활동에는 분명한 도움이 되요.


게임 중에도 미장센이 좋은 작품들이 굉장히 많아요. 과거의 파이널 판타지같은 작품들이 상상을 영상으로 연출했다면, 요즘 게임들은 보다 진보된 연출 기법으로 영상미를 만들어내죠.

라스트오브어스2 같은 경우도 욕은 많이 먹지만 연출 자체는 굉장히 뛰어났잖아요? 데스스트랜딩도 그런 맥락에서 참 좋은 작품이라 생각하는데, 컷씬을 과하게 활용하지 않고서도 그런 영상미를 만들어냈다는 점이 특별하다고 생각해요.


7dc1ed03aefa7820b4edaca759872d14.jpg



https://m.inven.co.kr/webzine/wznews.php?idx=269577


이준혁 게임관련 기사가 있어서 기사를 읽어보니
그냥 단순 게임만 즐기는게 아니라 게임 제작도 해본경험이  있더군요

무지개 다리 건넌 반려견을 추모하면서 3개월 걸려 게임 제작까지 해봣다고
0206294d4057e44ca84bd29dcf59dda1.jpg



인터뷰 읽어보니 게임을 단순하게 게임으로만 즐기는게 아니라
본인 본업이 영화랑도 연결지어서 보는 시각이 새롭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5/12 17:57
수정 아이콘
혹시 링크 클릭하기 전에 본문에 이 분이 누구시고 무슨 일을 하는 지 간략하게나마 적어 주실 수 있을까요?
그리고 맨 밑의 이미지가 안 뜹니다.
이쥴레이
22/05/12 17:59
수정 아이콘
이번 범죄도시3 메인 빌런으로 확정된 이준혁님이네요.
프론트맨
22/05/12 18:01
수정 아이콘
? 인터뷰를 그냥 복붙하신 건가요
Lainworks
22/05/12 18: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뉘신지
Blooming
22/05/12 18:12
수정 아이콘
역시나 만드는 입장에 있어보면 유비소프트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죠 흐흐흐
22/05/13 12:39
수정 아이콘
디비전은 진짜 아직도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에셋들이며 라이팅이며 심지어 다양한 스토리와 설정을 풍부하게 해주는 장치들이 참 많았죠.
싸우지마세요
22/05/12 18:20
수정 아이콘
신과 함께 - 소대장
비밀의 숲 - 서동재 검사
그림자명사수
22/05/12 19:03
수정 아이콘
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 서동재검사셨군요
반갑네요
55만루홈런
22/05/12 18:39
수정 아이콘
잘만든 게임은 걍 영화 드라마 한편이긴하죠 게임이 영화처럼 문화의 집대성이라
22/05/12 19:10
수정 아이콘
그해 우리는에서도 나오셨었죠
세인트
22/05/12 19:32
수정 아이콘
몰랐던 사실인데 호감이네요. 진성 겜덕은 언제나 환영이야!!
개념은?
22/05/12 19:57
수정 아이콘
서검!
이웃집개발자
22/05/12 20:41
수정 아이콘
와 서검 극호감이네요
22/05/12 22:02
수정 아이콘
비숲 정말 재밌게 봤어서 너무 반갑네요 서검사~
드워프는뚜벅뚜벅
22/05/13 00:40
수정 아이콘
와 서동재 급호감
jjohny=쿠마
22/05/13 14:24
수정 아이콘
"개발자 분들이 무척 잘 해주셨지만 아무래도 인건비가 나가고 그분들은 주말이나 업무시간 외엔 쉬셔야 하니 결국 시간을 단축하려면 제가 더 열심히 일을 해야 했고, [결과적으로 혼자 3개월 동안 크런치 모드였어요.(웃음)]"

보통 진심이 아니네요.
이경규
22/05/13 20:13
수정 아이콘
비밀의숲1만 보세요 제발요 2는 보지마세요
남행자
22/05/14 01:00
수정 아이콘
되게 글을 불친절하게 써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399 [LOL] 내일 가장 혼란을 불러올 경우의 수 이야기 [22] MiracleKid10948 22/05/23 10948 0
74398 [LOL] 아는맛 맛있다 [65] 잘생김용현12794 22/05/23 12794 7
74397 [LOL] 지금 T1의 상태에 대한 감상. [15] 예니치카10395 22/05/23 10395 10
74396 [LOL] '벌칸'의 소신 발언? "이번 MSI, 수준 상당히 낮다" [27] 융융융9698 22/05/23 9698 4
74395 [LOL] 자력 1위에 도전하는 티원, 8시 빅매치는 과연? [173] Leeka14402 22/05/23 14402 4
74394 [기타] [얼리] V rising대략 기어50렙 까지 플레이한 후기 겸 팁들 [6] 겨울삼각형15437 22/05/23 15437 1
74393 [LOL] MSI 2022 럼블스테이지 4일차, T1의 반등 응원합니다 [32] 코로나아웃6490 22/05/23 6490 1
74392 [LOL] 베트남, 롤 동남아시안게임 압도적 우승 [16] Leeka5902 22/05/23 5902 0
74391 [기타] DRX 가 새로운 메인스폰서를 공개했습니다. [22] Rated7692 22/05/23 7692 2
74390 [LOL] 임팩트 인터뷰 - 애슐리 강 [7] League of Legend6076 22/05/23 6076 1
74389 [LOL] 칸이 방송에서 했던 말들 [49] Leeka16974 22/05/22 16974 3
74388 [LOL] 220522 MSI 챔피언 밴픽 티어리스트 [15] 은때까치8401 22/05/22 8401 8
74387 [LOL] MSI 2022 럼블스테이지 3일차, 메인은 9시? [16] 코로나아웃7972 22/05/22 7972 0
74386 [LOL] 서밋 FPX행 루머 [28] roqur8809 22/05/22 8809 0
74385 [LOL] T1 응원글이자 럼블 1,2일차 감상 겸 전망 [68] Hestia9596 22/05/22 9596 22
74384 [LOL] 벨베스 인게임 스킬 유출 [21] SAS Tony Parker 6934 22/05/22 6934 0
74383 [LOL] 왜 비등했던 경기를 완패 또는 발렸다고 할까요? [84] PARANDAL10506 22/05/22 10506 7
74382 [LOL] 구마유시의 올타임 챔피언 픽 횟수&승률 [46] Leeka10341 22/05/22 10341 1
74381 [LOL] 세계의 벽은 아직 높은건가? - 2일차 후기 [258] Leeka15713 22/05/21 15713 1
74380 [LOL] [msi] 티원 안일함부터 고쳐야겠는데요 [46] 잘생김용현11465 22/05/21 11465 11
74379 [기타] [얼리] 주말에 즐길만한 신규 노가다 게임 - V rising [9] 겨울삼각형8690 22/05/21 8690 0
74378 [LOL] 신규 정글 챔피언 벨베스 시네마틱 공개 [15] roqur9657 22/05/21 9657 0
74377 [기타] [격겜] 인생은잠입, 미국 대회 밴 [2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238 22/05/20 1323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