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4/24 21:37:13
Name 대법관
Subject [LOL] 간단하게 보는 4대리그 정규시즌 1위 최종성적
전부 다 보기에는 양이 많고 각 리그의 플레이오프 시스템이 다르다보니 비교하기가 어려워서 LEC에서 더블엘리미네이션이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LPL이 단일리그로 변경된 2019년도부터 진행된 7시즌을 기준으로 보려고 합니다.


LCK


19 스프링 정규시즌 1위 그리핀 (준우승) / 우승 : 정규시즌 2위 SKT

19 서머 정규시즌 1위 그리핀(준우승) / 우승 : 정규시즌 4위 SKT

20 스프링 정규시즌 1위 젠지(준우승) / 우승 : 정규시즌 2위 T1

20 서머 정규시즌 1위 담원(우승)

- 플레이오프 시스템 변경 - 

21 스프링 정규시즌 1위 담원(우승)

21 서머 정규시즌 1위 담원(우승)

22 스프링 정규시즌 1위 T1(우승)

정규시즌 1위 우승 4회 / 준우승 3회

LCK : 먼저 더블 엘리미네이션에 관한 얘기부터 하자면, 4대리그의 소속원들이 차례차례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했고 PCS, LJL, LLA, LCO 같은 마이너리그들도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모두 플레이오프에 갖춰져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메이저리그에서는 LCK, 마이너리그에서는 TCL과 VCS가 아직까지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갖춰져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더블 엘리를 좋아하는 입장이지만 제 입장을 제외하고서라도 라이엇이 최종적으로는 모든 지역 리그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고, 월즈에서도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도입하지 않을까싶습니다.

정규시즌 1위 얘기로 돌아가자면 LCK 팬들은 다 아시겠지만 정규시즌 1위 팀들이 이변이 없으면 우승을 했고, 정규시즌 1위 팀이 우승을 하지 못한 시즌에는 특정한 한 팀이 우승을 했습니다. 오히려 정규시즌 1위의 혜택이 기존보다 줄어든 21년부터 진행된 3번의 시즌 모두 정규시즌 1위 팀이 우승했습니다.


LPL


- 단일리그로 시스템 변경 - 

19 스프링 정규시즌 1위 FPX(4강 탈락) / 우승 : 정규시즌 2위 IG

19 서머 정규시즌 1위 FPX(우승)

20 스프링 정규시즌 1위 IG(4강 탈락) / 우승 : 정규시즌 2위 징동

20 서머 정규시즌 1위 TES(우승)

- 4강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도입 -

21 스프링 정규시즌 1위 RNG(우승)

21 서머 정규시즌 1위 FPX(준우승) / 우승 : 정규시즌 2위 EDG

22 스프링 정규시즌 1위 V5(패자조 최종전 탈락) / 우승 : 정규시즌 2위 RNG

정규시즌 1위 우승 3회 / 준우승 4회


LPL : 당연한 얘기지만 정규시즌 1위 혹은 2위가 리그에서 가장 좋은 팀들일 경우가 많죠. 단일리그로 포맷이 변경된 7시즌 동안 정규시즌 1위 아니면 2위가 모두 우승했습니다. 스프링에는 정규시즌 2위가, 서머에는 정규시즌 1위 팀이 우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압도적인 탑독이 나오는 경우가 드문(압도적인 정규시즌 탑독이었던 18 IG조차 콩콩) 리그여서 그런지 더블 엘리 도입 이후에도 정규시즌 1위들이 포스트시즌에서 굉장히 고전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21 스프링 정규시즌 1위였던 RNG도 기세를 타고 올라온 FPX에게 0대3 셧아웃 당하면서 패자조로 굴러떨어졌고, TES - EDG와 연이은 5꽉 끝에 결승전으로 겨우 올라왔죠. 다행히 FPX를 만나서는 복수에 성공했고 MSI 우승까지 이어졌습니다.

RNG는 그나마 다행인 것이 FPX는 도인비 세체미, 월즈 우승후보라는 말을 서머 정규시즌부터 들었지만 EDG에게 완패하고 충격의 4연패 조별딱을 찍으며 완전히 망했고, V5는 정규시즌에 보여준 우려가 포스트시즌에 현실이 되면서 결승도 못 갔습니다. 최근 7시즌 동안 정규시즌 2위가 1위보다 성적이 더 좋았습니다.


LCS


19 스프링 정규시즌 1위 팀 리퀴드(우승)

19 서머 정규시즌 1위 팀 리퀴드(우승)

- 더블 엘리미네이션 도입 -

20 스프링 정규시즌 1위 C9(우승)

20 서머 정규시즌 1위 팀 리퀴드(패자조 최종전 탈락)/우승 : 정규시즌 4위 TSM

- 미드시즌 쇼다운 등 리그 개편 -

21 스프링 정규시즌 1위 C9(우승)

21 서머 정규시즌 1위 TSM(패자조 준결승 탈락)/우승 : 정규시즌 2위 100도둑

22 스프링 정규시즌 1위 팀 리퀴드(패자조 최종전 탈락)/우승 : 정규시즌 ?

정규시즌 1위 우승 4회 / 준우승 3회


LCS : 팀 리퀴드가 더블리프트와 함께 19년을 더블한 이후 더블 엘리미네이션이 도입되었습니다. 시즌 전야제 성격을 가진 락인의 도입, 로컬 선수들의 육성과 데뷔 등으로 상위권 팀들의 전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인지 아웃라이어였던 20 스프링 C9의 압도적 우승 이후에는 리그가 굉장히 혼잡합니다. 더블 엘리미네이션 도입 이후 C9이 정규시즌 1위를 하면 C9이 우승하고 C9이 정규시즌 1위를 못하면 정규시즌 1위들이 결승도 못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곧이어 열릴 22 스프링 결승전에서 EG가 우승한다면 역대 4대리그 우승팀 중에서 정규시즌 승률이 가장 낮은 팀이 됩니다(9승9패 승률 5할).


LEC


19 스프링 정규시즌 1위 G2(우승)

19 서머 정규시즌 1위 G2(우승)

20 스프링 정규시즌 1위 G2(우승)

20 서머 정규시즌 1위 로그(패자조 최종전 탈락)/우승 : 정규시즌 3위 G2

21 스프링 정규시즌 1위 G2(패자조 최종전 탈락)/우승 : 정규시즌 3위 매드 라이온스

21 서머 정규시즌 1위 로그(패자조 최종전 탈락)/우승 : 정규시즌 3위 매드 라이온스

22 스프링 정규시즌 1위 로그(준우승)/우승 : 정규시즌 4위 G2

정규시즌 1위 우승 3회 / 준우승 4회


LEC : 정확히 리버스 LCK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4시즌 연속으로 정규시즌 1위 팀들이 우승에 실패하고 있는데, 포스트시즌에 더욱 강해졌던 매드 라이온스와 정규시즌 포스를 이어나가지 못한 로그가 가장 큰 주역입니다. 그래도 이번에는 결승 무대는 밟아보았으니 다음에는 로그가 우승을 할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데이나 헤르찬
22/04/24 21:47
수정 아이콘
LEC는 정규시즌이 단판제라는게 상당히 큰거같네요. 이번시즌에 플옵전에 3주 쉬니까 경기력 변한것도 원인일테고...
아슬릿
22/04/24 22:11
수정 아이콘
이게 참 골치아픈게, 국제대회 같은거 리그에서부터 준비하려면 단판제 말고 3전2선승제로 하는게 맞는 거 같은데, 정작 그렇게 했던 시즌 뷰어수 흥행이 뚤 떨어져서 다시 단판제로 복귀한 거라...
이미등록된닉네임
22/04/24 23:21
수정 아이콘
저도 굳이 고르라면 아슬릿 님 생각에 가깝지만, 19년도에는 (g2가 결승에서 지기 전까지) 유럽의 창의력이 단판제에서 기인한다는 말도 있었죠. 변칙으로 2판 이기기는 힘드니까 3전2선승에서는 정석 전략만 연구된다 이런 식의 논리였는데 또 아주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아요? 그때 잠깐 빼고는 lpl과 lck의 시대니까 말이 안 나오지만…
그래서 솔직히 예전 lck처럼 정규 우승팀이 다전제 1판밖에 안 하는 극단적인 방식만 아니라면 이런 시스템은 리그 실력과 크게 영향이 없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습니다.
Two Cities
22/04/24 22:38
수정 아이콘
로그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304 [뉴스] [칼럼]e스포츠의 스포츠화(체육종목화)에 따른 주요 담론 [24] manymaster5671 22/05/06 5671 0
74301 [LOL] 2022년 아시안게임 연기 - 中 관영매체 [61] pzfusiler9789 22/05/06 9789 3
74300 [오버워치] [OWL/HOU] 내일, 그리고 2주 뒤 개막하는 오버워치 리그 [8] Riina7726 22/05/05 7726 1
74299 [스타1] 라이브 콘서트가 다시 열리네요 [12] 묻고 더블로 가!8459 22/05/04 8459 1
74298 [콘솔] 플레이한 스위치 게임 평점/플탐/한줄평 [40] 삼화야젠지야10072 22/05/04 10072 3
74297 [LOL] 김대호(cvMax)님 부친상 [98] 초보트레이너17731 22/05/04 17731 6
74296 [LOL] 농심 스브스 전 감독의 최종 입장문이 올라왔습니다. [45] 야경12969 22/05/04 12969 3
74295 [LOL] 제3차 PGR21 문도피구 결과입니다. [11] 진성5245 22/05/03 5245 3
74294 [기타] 디아2 리저렉션 레더 시즌1 간략후기 [41] 겨울삼각형9857 22/05/03 9857 4
74293 [LOL] 농심 대표가 2차 해명문을 올렸습니다 [98] Leeka13216 22/05/03 13216 2
74292 [LOL] [LCS] C9, Summit, Winsome, Isles와 계약 종료 [27] 비오는풍경8114 22/05/03 8114 1
74291 [LOL] (펌) MSI 티켓 판매 안내 [25] League of Legend8502 22/05/03 8502 1
74290 [LOL] 농심의 스브스 전 감독 관련 해명 [81] Two Cities13574 22/05/03 13574 3
74289 [모바일] [블루 아카이브] 5/3(화) 업데이트 정기점검 예정 안내 [13] 캬옹쉬바나4958 22/05/02 4958 2
74288 [LOL] 스브스 : 할말 있음 [43] 카루오스11815 22/05/02 11815 0
74287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5/3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3] 캬옹쉬바나4223 22/05/02 4223 0
74286 [LOL] msi,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패치요소는? [17] gardhi7851 22/05/02 7851 0
74285 [LOL] 2022 MSI 그룹스테이지 일정 공개 [28] Hestia9927 22/05/02 9927 0
74284 [LOL] 제한된 슈퍼 서버의 개설은 어떨까요? [43] 작은형6557 22/05/02 6557 0
74283 [PC] [노스포] 데이즈곤 후기, 대작이 될 수 있었던 아쉬운 수작 [15] 김유라6946 22/05/01 6946 2
74282 [PC] 엑스컴2: 선택받은 자의 전쟁 엔딩 후기 [15] aDayInTheLife6295 22/05/01 6295 5
74281 [LOL] ALL IN S2 EP.02 상처 입은 호랑이 [54] rEhAb10934 22/05/01 10934 2
74280 [콘솔] [스포]파이어 엠블렘 - 풍화설월 리뷰 [12] 삼화야젠지야6423 22/05/01 642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