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4/12 09:36:06
Name League of Legend
Subject [LOL] 구마유시 위주로 본 LCK 결승전


원딜/바텀 관점이라기 보다는 구마유시 위주로 편집된 영상입니다.
결승전이 끝난지 좀 지난 시점에서 다시 보니까 재미도 있고.. 바론 둥지에서 르블랑 평타 날아가는 부분이랑 또 징크스 덫을 계속 칭찬하는 부분이 인상깊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4/12 09:59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티원이 케리아의 로밍에서부터 다양한 변수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옵저빙이 그 위주로 되다보니 저평가된 선수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케리아가 바텀 유기해도 꾸역꾸역 CS 는 따라가는 것 부터, 대놓고 2:1 구도가 만들어져도 잘 버티면서 성장하는 것만 봐도 굉장히 높은 수준의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현 메타에서 초중반에 원딜이 주목받기 힘들다 보니, 뜬금 4코어 나와서 하드캐리하는 그림이 꽤 자주 나왔죠.
메타몽
22/04/12 10:08
수정 아이콘
20/21년 고스트/베릴과 비슷하네요

물론 성장 후 퍼포먼스는 구마유시가 더 낫습니다
한사영우
22/04/12 10:04
수정 아이콘
이번 티원은
초반에는 캐리아 + 오너가 이겨주겠지
중반에는 페이커가 이니쉬 걸고 변수 만들어줄거야 , 한타 이겨줄거야
후반에는 구마~유시!!
이길수 있는 플랜이 계속 있는 느낌이였네요.
요한나
22/04/12 10:16
수정 아이콘
이번 결승엔 대놓고 원딜이 후반 캐리 하는 장면이 두번이나 나왔는데 (1세트 케틀, 3세트 징큿) 2세트 룰러의 자야 퍼포먼스만 논하는것도 부당하죠.
아겜 라인업을 순전히 현 시점 퍼포먼스를 기준으로 한다면 구마유시 말고 다른 원딜을 거론하는거 자체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자만두
22/04/12 10:17
수정 아이콘
이렇게 전프로가 특급칭찬을 해도 구마유시는 어쩌구 저쩌구 캐리형이 아니다 이런 X소리하는사람도 있죠.
22/04/12 10:44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도 한 분 계셨어서 검색해보니 벌점맞고 탈퇴하신 모양이네요
대법관
22/04/12 10:18
수정 아이콘
원딜보다 더 포커싱을 많이 받는다는 것 자체도 케리아가 대단한 점이지만, 케리아에 가려서 그렇지 구마유시는 스프링에서 독보적인 1황 원딜이었죠.
22/04/12 10:23
수정 아이콘
현재 티원 전술 자체가 오너가 있는 곳에서 교전을 일으키자가 기본 전제고 그래서 오너가 카정갈 수 있는 픽을 고른 다음 페이커랑 케리아가 시야 확보를 해서 많이 서포트해주는 편입니다. (약간 14 삼화스러운 느낌) 그럼에도 잘 안 풀릴 경우를 대비해서 플랜 B로 후반 캐리 가능한 픽을 구마유시한테 쥐어주는데 그런 챔프를 잡고도 바텀에서 홀로 파밍도 잘 해주고 2대 1 상황도 잘 버텨주는 거 보면 전술이해도가 높은 것 같아요.
22/04/12 10:24
수정 아이콘
케리아가 로밍갈수있는 타이밍을 만들어주는부분 로밍갔을때 바텀손해 최소화시키는부분 이런게 능력이죠
후반캐리력도 증명했다고 봅니다.
구마유시가 앞으로 증명할부분은 원딜이 다른메타가 됬을때 그부분까지 잘해줄수있느냐인거같습니다.
지금은 퍼스트원딜 자격이 충분하죠
22/04/12 10:26
수정 아이콘
제 아무리 티원이라도 후반에 구마유시가 케리를 못 하는 상황이 되면(픽이 진이라던지.. 적 챔이 원딜 억까하는 픽이 넘 많다던지..) 후반에 생각보다 힘을 못 쓰더라구여
파비노
22/04/12 10:32
수정 아이콘
후반에 캐리를 못하는 원딜을 잡았다. 이건 전략상 픽을 상체에 몰아줌. 근데 그픽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초중반에 끝내지 못하고 후반감. 이렇게 되면 전성기 우지가 와도 힘을 쓸수가 없죠.
애플리본
22/04/12 10:26
수정 아이콘
뱅/울프가 역상성으로도 투자 안받고 라인전부터 이겨나가는 스타일이었지만.. 요즘은 그런건 안되고 원딜이 서포팅 없이 얼마나 버티고 상체에서 이기느냐 싸움 같네요. 근데 시즌 초만 해도 텔포 패치로 바텀이 거의 주전장이었었는데, 이때도 구케는 잘했죠.
헤나투
22/04/12 10:30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가 제일 떨어진다고 평가받는게 후반캐리능력이라고 할정도로 그외 부분은 완벽합니다.
후반캐리능력도 기회가 오면 훨씬더 고평가 받을 여지는 충분해 보이구요.
지금까지 본 원딜중에 육각형의 크기는 최고수준인거 같아요. 특히 멘탈적으로는 역대 최고 같아요. 인게임내에서 실수가 정말 적은 선수
작은형
22/04/12 10:44
수정 아이콘
일단 기회가 안오죠.

마이턴~까지 안오고 앞에서 다 처리해버리는것이 문제..
러프윈드
22/04/12 10:34
수정 아이콘
자꾸 케리아빨로 국대간다도 하는데(pgr에서조차)
그냥 구마유시가 싫다고 하는게 더 설득력있죠

국내 해외 커뮤 통틀어서 구마유시를 가장 저평가하는 커뮤니티가 pgr21이라고 생각합니다
애플리본
22/04/12 10:41
수정 아이콘
과연 그비환 할 것인가.. 크크.
대법관
22/04/12 10:50
수정 아이콘
사실 여기만 그런게 아닌게 라인전 기복있다 불안하다 이런 얘기 많이 나왔는데 경기보는 사람들은 알지만 케리아가 자잘한 실수로 라인전에서 기복이 있지 구마유시는 안정감이 가장 뛰어난 툴이었는데 말이죠..
nekorean
22/04/12 11:25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어떤 판이었는지 기억이 안나지만 구마유시가 케이틀린으로 7킬먹고 엄청 잘 컸었는데 한 번 무리해서 죽었다가 게임 졌던 판이 있었어요 그 때 이후로 구마유시 안정성에 대해 말이 많아진 것 같아요
대법관
22/04/12 11:27
수정 아이콘
이번 시즌에 구마유시는 케이틀린으로 진 적이 없어서 어떤 경기를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래도 드레드한테 걷어차여서 졌던 농심 징크스 경기를 말하시는 것 같은데..
nekorean
22/04/12 11:29
수정 아이콘
아마 1라운드였던 것 같아요 제가 기억을 하는게 구마유시가 봇라인전부터 엄청 잘 컸었는데 상대 블루쪽에서였나 미드 2차 타워쪽이었나 거기서 한 번 죽고 그 뒤로 업셋 되어서 게임이 끝났었거든요
그게 2세트였고 그 다음 3세트에서 구마유시 실수 하나도 없이 게임 마무리 시켰었구요
nekorean
22/04/12 11:33
수정 아이콘
근데 제가 케이틀린은 기억을 잘 못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밖이라서 확인을 못하겠네요ㅜㅜ
22/04/12 12:39
수정 아이콘
징크스일거에요
nekorean
22/04/12 14:04
수정 아이콘
말씀 들어보니 징크스가 맞는 것 같기도 하네요
제 기억력...ㅜㅜ
유자농원
22/04/12 12:24
수정 아이콘
국대못간다면 지난 논란때문이지 실력때문일까 싶긴 하네요 흐으응...
22/04/12 15:07
수정 아이콘
이거 구마유시 입장에선 좀 억울한 게, 라인전 사고 나올 때 의외로 케리아 실수도 꽤 있거든요. 나중에 그걸 자기 스스로든, 아니면 미드정글 도움받아서든 다 메꿔버리니까 문제가 안되는 거지. 지금 티원은 각각 선수의 체급+좋은 운영+한몸과 같은 합 이런 게 다 합쳐진 결과물 같은 것인데, 개인적으론 페이커나 케리아 외에도 제우스든 오너든 구마든 잘하는 부분들이 이렇게 디테일하게 소개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작은형
22/04/12 10:44
수정 아이콘
저도 안그래도 땅우양님 방송에서 보니까 못봤던것들이 엄청 많아서 피지알에도 글링크를 해볼까 고민했는데 올려주신..

이정도 디테일의 해설은 이런 파트너 천상계 비제이들이 하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라이엇에서 공식 지정한 경기리뷰를 담당하는 포지션별 파트너 비제이들이 있었으면 좋곘다는 생각을 했어요.

누구의 팀 입장에서 보는것보다 어떤 포지션의 눈으로만 경기를 풀어나가는것도 재밌더라구요.
쎌라비
22/04/12 11: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킬캐치능력이 진짜 좋더라구요. 그리고 암만봐도 원딜로 아칼리는 진짜;;
22/04/12 11:04
수정 아이콘
팬 입장에서 SKT 전성기 뱅의 향기가 느껴진다는 점에서 만족스럽습니다. 바라는건 징크스, 아펠같은 뚜벅이 원딜은 이미 lck 원탑으로 잘하는 것 같은데 뱅의 안정감 상징이었던 이즈리얼로도 좋은 모습 보여주면 더 좋을 것 같네요.
올해는다르다
22/04/12 11:09
수정 아이콘
라인전 무빙 딜링 이런것도 좋지만 이런건 사실 다들 90점~99점에서 노는 능력치인데, 구마유시의 특징이라면 시야가 참 넓습니다. 다른 라인에서 교전이 생기려고 할 때 이미 출발해서 싸울 때 딱 지원하고 다시 라인먹고 이런게 일상이에요. (자기 라인에서 밀리면서 도망다니는게 아니라는점이 중요) 프레이가 최전성기 때 신궁이다, 맵넓게 본다 소리 듣던 그 플레이의 현대판입니다.
22/04/12 11:11
수정 아이콘
저는 이친구 올해 제대로 보기 전까지는 아무래도 그전 행실도 그렇고 자신감 넘치는 발언들 때문에
피지컬 좋고 케리력 좋은데 던지는 경우도 많을거 같은 스타일인거 같았습니다.
근데 인게임 플레이는 전혀 안그렇고 스마트하더군요. 정말 게임 지능 좋은 원딜.....
이미지랑 게임플레이랑 약간 괴리가 있었어요 저한텐....
22/04/12 11:28
수정 아이콘
킬, 딜, 생존, 시야, 판단력 뭐 하나 빠짐없이 리그 최상위권인데도 pgr에선 이상하리만치 저평가가 심하긴 하죠.
22/04/12 11:28
수정 아이콘
오히려 외부 이미지때문에 저평가되는 스타일이죠. 게임 내에서 보여주는 스타일은 굉장히 스마트하고 안정감있음
22/04/12 11:32
수정 아이콘
제가 구마유시 좋아하는게 전성기 G2보는거 같았기 때문이거든요
입은 마구털어대는데 인게임 준비를 굉장히 꼼꼼하게 해옵니다.
22/04/12 11:39
수정 아이콘
그래서 그런 느낌 때문에 한번정도는 참교육(?) 받았으면 하는데, 서폿이 케리아고 팀이 티원이라 올해은 요원할 듯 합니다 크크크
22/04/12 11:34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를 저평가하는 사람이 있긴 한가요?
T1 팀내에서 상대적 저평가는 그럴수있죠.
구마유시가 캐리할만한 상황을 만들기전에 다른팀원들이 게임을 터트려놓으니까요
꾸르륵
22/04/12 12:04
수정 아이콘
이미 보이는 실력이 있어서 저평가를 대놓고는 못하고 팀빨이지 룰러, 데프트랑 차이없다고 하죠.
봄날엔
22/04/12 12:34
수정 아이콘
룰러 데프트보다 더 잘하지 않는다는건 저평가가 아니고 개인 생각이니 존중해 줘야죠
그걸 저평가라고 하는게 오히려 오만하다고 봅니다
머나먼조상
22/04/12 13:10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도 두명 있었는데 둘다 탈퇴했군요 크크
한명은 대놓고 열등감인지 뭔지 개인 감정으로 까내리는게 보였고 한명은 없는사실 지어내서 깔정도였으니 저평가는 아니려나요
kartagra
22/04/12 11:39
수정 아이콘
뱅 이후로 뱅과 원딜은 본 적이 없었던 것 같은데 구마유시가 딱 그런 느낌입니다. 스마트하고, 안정감있고, 딜 해야할 때 딜 우겨넣고. 포지션 잡는 거 보면서 뱅 생각날 때가 한두번이 아니었네요.
마카롱
22/04/12 11:43
수정 아이콘
구마 억까는 한분이었던 걸로 기억하고,
다른 분들은 구마 저평가라기보다 다른 원딜팬이 많은 커뮤라서 애써 무시에 가깝지 않나 생각됩니다
22/04/12 11:53
수정 아이콘
뱅보다는 프레이에 가깝지 않나 싶은데... 하여튼 충분히 잘 하는 원딜이죠.
안철수
22/04/12 12:01
수정 아이콘
가끔 우지? 처럼 하려다가 망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인 강점인 스마트한 플레이에 집중하면 거의 완벽하죠.
버거킹맘터
22/04/12 12:16
수정 아이콘
게임이 개인 피지컬은 기본으로 두고 스마트함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서
구마유시같은 똑똑한 플레이를 하는 선수들이 앞으로 더
고평가 받을 것 같아요
절대불멸마수
22/04/12 12:24
수정 아이콘
징크스 궁쏘는거랑 덫까는거는 진짜 스마트하고 다른 프로 원딜들에서도 쉽게보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평타 쏘는거나, 눈이 3개달려있어서 여러곳 공격하는거, 대치상황에서의 포킹, 위치선정 등도 다른 상위 원딜 (..이라지만 결국 궁금한건 룰러죠.) 과 비교해서도 차이가 나는건지 궁금합니다.

연결되는 질문인데, 징크스 1 vs 자야+유미 2 상황이
픽바꿔서 룰러 vs 구마유시+케리아 라면 다를까요? 다이브당하고 라인 못받아먹고 그런식으로..?

결국 구마유시 원탑론을 밀기 위해서는 잘하는 수준 보다는 다른 상위권 원딜과 비교해서 더 압도한다는 점을 보여야할것같아서요.
22/04/12 13:20
수정 아이콘
대부분 지표가 압도적인데 뭐 더 보여줘야하는게 있나요? 바텀 라인전을 케리아 혼자 하는 것도 아니고 전령 타이밍도 바텀 둘이 같이 만드는거라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도 잘하는거죠.
22/04/12 15:23
수정 아이콘
심지어 서포트는 바텀에 거의 없음
인접률보면 처하
그 상태에서 이 정도 포퍼먼스이면 인정이죠
22/04/12 18:53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 선수가 어지간하면 혼자 있는 거 다 알고 있음 이라는 조건이 빠졌네요.
보통 원딜들한테 서폿 뒤에 없는데 있는 척 잘한다 평까진 있는데 여긴 대놓고 없는 거 아는데 안 말립니다.
케리아 선수가 첫 전령 나오기 전부터 바쁘게 돌아다니는 거 모르는 팀 없을텐데 구마유시 선수가 망한 적 거의 없잖아요.
결승전 중에 봇에서 구마유시 선수 상대로 다이브 킬 나온 게 4세트가 처음이자 마지막인 걸로 압니다.
심지어 저 때는 이미 구마유시 선수가 죽던 말던 상관 없어진 때라...
22/04/12 12:45
수정 아이콘
저는 바루스픽에서 뱅의 느낌이 나더라고요
예전 뱅도 어느 순간 어느 원딜을 해도 안정감이랑 딜을 잘해 주던 시절이 있었거든요
카바라스
22/04/12 12:52
수정 아이콘
세체원이 구마유시인지는 좀더 봐야할수도 있는데 적어도 지금 세체원 되려면 구마유시처럼 플레이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2/04/12 12:55
수정 아이콘
작년은 트집잡아볼 부분이 은근 많았다고 생각하는데
올해는 아니에요
그냥 잘함 저도 락스시절 프레이 생각나요
협곡떠난아빠
22/04/12 12:59
수정 아이콘
역시 똥손인 나를 잠깐이나마 플4로 올려줬던 땅우양 크크크 영상 공유 감사합니다.
모래알
22/04/12 13:08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가 커뮤니티에선 종종 저평가 받아도 해외 원딜 프로게이머 사이에선 거의 신 취급 받더라구요.
옛날 우지 급으로 평가 받는 것 같아요.
22/04/12 13:08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 징크스 초초로는 항상 상황 만들 때마다 팀적으로 같이 쏴주는게 너무 보기 좋아요
코우사카 호노카
22/04/12 13:14
수정 아이콘
올해는 완전체죠
잘한다고 계속 생각해왔는데 해외에서는 거의 원딜의 신 취급 받더군요
오히려 내가 저평가 하는건가? 싶을 정도;;
도라지
22/04/12 13:20
수정 아이콘
페이커도 한국에서 가장 저평가 당하죠.
그냥 자국선수라는 것 때문이 아닌가 싶어요.
과수원옆집
22/04/12 13:24
수정 아이콘
자기만큼 찬양하지 않는다고 비아냥거리고 조롱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이는데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전 구마유시가 현재 제일 잘하는 원딜이지만 티원의 핵심은 오너-페이커-케리아로 이어지는 미칠듯한 합류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구마유시의 장점은 그런 합류전에서 원격지원이 탁월하고 한타 때 잘 안 물리면서 킬캐치를 미칠듯이 잘 한다고 생각하구요. 그래서 뱅하고 비슷한 느낌이 들고 데프트 룰러랑은 스타일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구마유시 저평가인가요? 몇몇 댓글 보다가 짜증나서 댓글 하나 남깁니다.
22/04/12 14:03
수정 아이콘
스타일이 다른거다라면서 비슷한 선에 두려는 것도 이상하지 않나요?
과수원옆집
22/04/12 14:17
수정 아이콘
비슷한 선에 두려고 했다는 말이 무슨 말씀이신지요? 제일 잘 하는 원딜이 구마유시라고 쓰고 데프트 룰러랑 스타일 다른 거 같다고 이야기하면 비슷한 선에 두려는 거고 그게 구마유시 저평가라고 생각하신다면, 제가 그런 생각들 때문에 윗 댓글을 달았음을 밝힙니다.
애플리본
22/04/12 14:34
수정 아이콘
1. 구마유시가 제일 잘하는 원딜
2. 구마유시와 데프트&룰러는 스타일이 다르다

여기까지는 공감하는데 이 이후의 결론이 어떤가에 따라서 다르겠죠. 그냥 스타일이 다르다. 라고까지만 하면 아무도 저평가라고 안하죠. 스타일이 다르니까 아모른직다. 이런 소리 하면 그때부터 저평가가 되는거지.
과수원옆집
22/04/12 14:45
수정 아이콘
제가 애플리본님 정리한 거까지만 이야기해도 비슷한 선에 두려고 한다면서 지금 댓글이 달렸네요. 이걸 저평가로 받아들이는 분이 있다는 겁니다. 전승우승에 이렇게 잘하는데 그냥 감탄하면 될 일을 이렇게 구마유시가 잘하는데 구마유시를 깠네 스타일 이런 이야기 하는거 어이없네 이런 취지의 말이 많으니까 솔직히 좀 짜증났구요.

그러니까 이 댓글은 억까때문에 짜증난 분들이 단 댓글에 억까 백래시에 짜증난 사람이 단 댓글입니다.
애플리본
22/04/12 14:51
수정 아이콘
앞뒤가 바뀐거죠. 스타일이 다르다. 까지만 얘기했는데 저평가라고 게거품 물고 얘기하는게 아니고, 스타일이 다르니까 아모른직다. 라는 얘길 하는 사람이 있으니까 저평가라고 얘길 하는거죠. 딱 제가 말한 1,2번까지만 말씀하시면 더 얘기할 거리가 없죠.
과수원옆집
22/04/12 14:56
수정 아이콘
그런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에게 이야기할 문제죠. 뷰데님은 제 댓글만 보고도 비슷한 선에 두려한다고 하시는데요. 애플리본님과는 말씀하신대로 이야기할 거리가 없죠.
22/04/12 15:05
수정 아이콘
현재 제일 잘하는 원딜이지만, ~와는 스타일이 다르다. 스타일 차이로 그 간격을 뭉게려는 뉘앙스로 보여서요. 저만 그렇게 느끼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과수원옆집
22/04/12 15: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는 그게 과잉해석이라고 주장하는 겁니다. “구마유시는 모든 원딜의 정점이며 다른 원딜들은 구마유시보다 못하다.”라고 이야기해야하는 건가요. 그렇게 이야기를 안하면 구마유시는 저평가받은 것이라고 하는게 이해도 공감도 안 갑니다. 물론 티원이 저평가 받고 억까 당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그런 세세한 것도 혹시 저평가하나 하고 댓글다시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저는 그게 싫은 거고요.

아 그리고 원글 분께는 죄송합니다. 구마유시 칭찬 댓글 달러 왔다가 짜증이 좀 났습니다. 구마유시 진짜 잘합니다. 패배의 위기때마다 구마유시가 결정지은게 어마어마하다는 걸 알고 이런 안정성과 클러치 능력은 사실 다른 원딜들보다도 유독 돋보입니다.
작은형
22/04/12 16:03
수정 아이콘
과수원옆집 님// 굳이 이렇게까지 칭찬글에서 불판을 여시는 이유가 뭔가요 진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본인이 왜 불판을 여셨는지 모르시는건 아니시죠?

구마유시는 현재 가장 잘하는 원딜이다 로 끝나야하는 문장을 원딜이지만< 이지만 에서 그냥 불판열러 들어오신거 같은데요.

~지만 :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시인하면서 그에 반대되는 내용을 말하거나 조건을 붙여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그냥 어법사용에서 광역 어그로 시전하신건데 그냥 거기서 끝내면 안될까요. 왜 굳이 조건을 달고 반대되는 이야기를 다세요.

제오페구케 다 잘해서 1등했자나요. 근데 굳이 뉘앙스가 상체버스 합류전이다. 라고 할 이유가 있나요?
과수원옆집
22/04/12 16:29
수정 아이콘
작은형 님// 1.제가 댓글 단 이유는 이미 많이 달아서 다 안달겠습니다. 2.저는 제가 구마유시에 대해 달았던 감상을 다 붙여서 문장을 만든 거고 그 과정에서 ‘지만,썼습니다. 먼저 구마유시 칭찬을 하고 다만 제가 불판에서 달았던 티원의 핵심에 대한 제 감상을 붙이니 ‘지만’이 들어갔죠. 그거 오해살까봐 ‘제일’ 잘한다고 한거고요.

제 문제의식은 시즌 중 가벼운 감상을 달았는데 그것도 저평가인가? 왜 선수에 대한 이야기도 하기 힘들만큼 구마유시를 저평가했네 마네 이야기하냐는 겁니다. X소리네 뭐네 하면서 말이죠. 그게 싫었습니다. 광역어그로라고 하신 표현은 달게 받겠습니다.
작은형
22/04/12 17:20
수정 아이콘
과수원옆집 님// 저는 개인적으로 구마유시에 대한 저평가가 피지알에서 많다는 부분은 아시안게임 선발 이야기때 꽤 많이 봤어서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런 사람이 있다고 언급하는 것이 일반화를 했다는 건 아니죠. 저런 사람이 있었다고 과수원옆집님이 그사람이다 라고는 생각하지 않을 겁니다. 일반적으로는요..

오히려 피지알에서 가장 많이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는건, 특정 모사이트에서 활동하는 인원이 티원팬이라고 일반화 하는 것 아닐까요? 페이커가 흘린 눈물을 즙이라고 놀리고, 그가 이뤄낸 영광을 물로켓이라고 몇십개의 글을 몇천개의 추천 수로 비웃고 하는 사람들이 갑자기 스탠스를 바꿨는데 티원팬들은 참 지독하다~ 독하다 하는게 오히려 일반화의 오류 같아요. 그저 모두까기의 소재거리로 쓰일 뿐인데 말이죠.
과수원옆집
22/04/12 18:07
수정 아이콘
작은형 님// 즙이나 물로켓 그런건 저 역시 매우 싫어합니다. 여하간 저도 칭찬 달려고 왔다가 몇몇 표현에 화가 났고(시즌중 감상평도 못남기냐) 개운치 않은 어그로를 끌었네요.
그래프
22/04/12 14:48
수정 아이콘
짜증날말한 댓글은 없어보이는데 뭘보고 그러신걸까요?
올해 구마유시만큼 케리아빨로 저평가 받은 선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지금 일련의 평가들은 이제서야 어느정도 본인기량대로 평가받는 느낌입니다 당장 시즌초는 데프트 올프로때도 룰러에 순수 기량은 아직 밀리지 않냐는 이야기도 종종 나와서요
과수원옆집
22/04/12 14:54
수정 아이콘
억까 댓글들 저도 봤지만 너무 그걸 일반화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시즌 초에는 당연히 그런 이야기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평가는 시즌을 두고 하는 건데요. 당장 시즌 중반에 저는 구마유시 뱅같다 대단하다고 댓글 달았다가 최근에 흔들리는 거 같다는 댓글 달렸었어요. 그런 의견 정도는 말할 수 있는거 아닐까요? 시즌 마무리된 시점에서 구마유시를 저평가하는 건 우스꽝스럽지만 시즌 중인데요.

구마유시가 캐리형이 아니네 뭐네 X소리를 했다고 하는 글 그리고 회원탈퇴를 했네 이런 이야기가 짜증났습니다. 불판이나 겜게에서 마음에 안드는 댓글보면 그걸 쟁여놨다가 조롱하는 거라고 봅니다. 그게 대세였던 이야기도 아니었는데요.
그래프
22/04/12 15:19
수정 아이콘
아 한분은 누군지 모르겠고 한분은 억까정도가아니라 아예 없던 이야기를 지어내서 루머 퍼트리셔서...
뭐 그럴만한 이야기가 나올만하다고 봅니다
과수원옆집
22/04/12 15:31
수정 아이콘
루머를 퍼트린 거라면 그건 욕먹어야한다는데 동의합니다.
22/04/12 19:23
수정 아이콘
제 댓글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마음에 안 드는 댓글이라고 다 쟁여두고 그러는 건 아닙니다. 팬이라면 각자 시각차가 있을 수 있기 마련이고 따라서 말씀하신 정도의 평가를 내리는 분들의 의견까지 이상하다고 여기지는 않아요. 단지 제 기준에서 단순 의견 제시만 하는게 아니라 어그로 심하게 끌거나 장판파세우는 경우라고 판단될 때는 개인화해두었다가 가끔씩 오늘같은 일로 생각이 났을 때 아이디 검색해서 탈퇴했으면 개인화 명단을 정리하는 것 뿐이죠..
고스트
22/04/12 14:54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전승우승이라 개개인에 대해 사실 함부로 말하기 힘들죠.
조말론
22/04/12 13:56
수정 아이콘
그냥 급 차이가 나는데 한타에서 당연히 준수한 원딜이라면 보여줘야하는 포지셔닝 딜링만 보고 어 걔네 거의 다 비슷한 급이야~
재미있어요
이리떼
22/04/12 14:37
수정 아이콘
한국 롤판에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척 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 “티원 선수를 저평가한다.”이기 때문에 자주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한사영우
22/04/12 14:43
수정 아이콘
까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잘 하고 우승 하면 팀원빨 이고.
잘 하고 우승 못하면 한계가 분명한, 능력이 부족한 선수이고
못 하고 우승 못하면 팀을 망친 원흉이 되는거죠.
못 하고 우승..이건 불가능
22/04/12 15:02
수정 아이콘
라인전 기복 이야기는 이상하리만큼 1세트에 케리아랑 같이 터지던 시절 이야기지 지금은 아니죠.
키모이맨
22/04/12 15: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저는 어떤 스포츠 보던간에 걍 자주 생각하는건데 생각보다 only one급 선수는 잘 없어요
동포지션에서 정말 다른 선수와 확연한 차이가 있는 단 한명의 최고의 선수는 어느정도 급 되는 프로스포츠에서는 자주 나오지 않습니다
스포츠 역사에 남을 엄청난 선수들조차도 단일시즌으로 끊어서 보면 진짜 범접불가능한 시즌 일부, 나머지는 해당 시즌에
고점찍은 다른 선수랑 재볼만한 시즌 일부 이렇게 나옵니다 물론 그 선수가 역사에 남을 선수인 이유는 여러 시즌동안 최정상급
기량을 유지했기 때문이고

그 외에 최정상급 선수들은 보통 매 시즌 기량적으로 비빌만한 후보군은 몇명정도 있는데 이제 그때의 상황이나 팀이 어디냐
이런걸로 우승이라던가 하는 업적이 세워지는거죠
물론 뭐 제가 롤알못이라 이선수는 확연하게 최고의 선수인데 너가 못알아본거다 이럴수도 있긴한데
롤이 개인 눈으로 보는거말고는 딱히 평가방법이 없다보니....전 개인적으로는 그냥 그렇게 생각합니다 정말 확연한 최고의
선수라는건 쉽게 나오지 않고 나머지의 경우는 최정상급 선수끼리 막 유의미한 개인기량차이는 딱히 없지않나

팀이 워낙 잘해서 딱히 눈에 안띄일뿐이다 이건 저는 솔직히 동의가 안됩니다
그 선수가 만일 진짜로 동포지션에서 확연하게 1인자인 최고의 선수다 하면 겨우 저런걸로 절대 안가려집니다 크크
해당시즌 최고의 팀에서도 낭중지추로 안 보일수가 없을정도로 튐 저정도 레벨이면
빨간딸기
22/04/12 15:27
수정 아이콘
저는 구마유시를 보면 전성기 우지가 떠오릅니다
단지 팀이 너무 강하니까 우지만큼 눈에 띄지 않을뿐입니다
순간 순간을 쪼개서보면 이렇게 완벽한 선수가 없거든요
엔드로핀
22/04/12 16:46
수정 아이콘
구마는 후반에도 빡캐리되는 고스트라고 생각하는데

봇 방치해도 구마는 꾸역 꾸역 따라잡고 후반엔 캐리롤 맞습니다. 봇 밀어주고 집중 투자라는 다른 팀이 볼 때는 경이로운 복구 수준이죠.

의외로 봇이 망가질때는 구마 보다는 케리아 실수가 많습니다. 그래서 케리아는 잘하지만 고평가 받고 있고 구마는 실력이상으로 저평가 받고 있죠.
그러지말자
22/04/12 16:48
수정 아이콘
좋은 원딜입니다. 20고스트에 후반 캐리력을 한큰술 끼얹은 느낌.
혹여 므시섬머에 다른 팀과의 격차가 줄어들면 더 두각을 드러낼 선수라고 봅니다.
22/04/12 16:55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가 범인이 되서 지는 경우가 일단 드뭅니다.

원딜이란 포지션 자체가 극후반 캐리이면서도 동시에 죽기 쉬워서 극후반에서 범인되기 쉬운 포지션인데(주로 레고 먹는다고 하죠) 구마유시는 극후반에 가서 범인이 되는 경우가 적은 편입니다.

그렇다고 극후반 캐리를 못보여줬나? 그렇지도 않습니다. T1후반 게임 승리 공식에서 구마유시가 빛나지 않은 적이 별로 없죠.
22/04/12 17:03
수정 아이콘
팀이 압도적이라 빛을 못 보는 선수..
22/04/12 19:03
수정 아이콘
2015년 뱅도 숟가락원딜소리들었습니다.
마린 나가고 벵기 폼 내려가면서 후반비벼지면서 본격적으로 후반캐리의 아이콘된거죠.
뱅이 이즈리얼,루시안 등으로 본격적으로 주목받은건 2016년 이후..
문재인대통령
22/04/12 22:03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 딱봐도 겁나 센데 저평가 각이 나오나요?
탑 미드 정글 서폿 이 친구들이 힘 빠질때쯤 간달프가 지원군 불러오듯이 혼자 마무리해주는데 ?
오늘보다 나은 내일
22/04/13 10:57
수정 아이콘
구마가 고스트와 가장 다른 점은 구마유시는 직스, 진으로 바텀에서 2:1을 하고 있는게 아니라는 점이죠..

뚜벅이 하이퍼 캐리 원딜로 cs 맞춰가며 버티고 있다는게 대단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75 [기타] 한 1년째 원신을 하면서 느낀점 [47] 하얀수건9586 22/04/16 9586 12
74172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이현우(클라우드 템플러)해설 사과문.official [620] 이호철38793 22/04/15 38793 6
74171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신규 각성 PV (그런데 대상이?) [6] 캬옹쉬바나4340 22/04/15 4340 0
74170 [모바일] 던파 모바일 소식(신규직업, 로터스레이드, 서버통합, 편의성패치) [17] 라쇼5740 22/04/15 5740 0
74169 [LOL] LOL 국대 평가전 상대팀이 결정되었습니다 [91] FruitDealer10422 22/04/15 10422 1
74167 [LOL] 오늘도 평화로운 KESPA [191] 대법관16046 22/04/15 16046 5
74166 [LOL] 12.7패치 역대급 승률을 보여주는 챔피언 [68] MiracleKid9783 22/04/15 9783 1
74165 [기타] 잊혀지지 않는 철권 재능러 꼬마에 대한 기억 [24] 암드맨10132 22/04/15 10132 42
74164 [PC] [스팀] 뱀파이어 서바이버 10% 세일, 2,970원. [17] 及時雨5724 22/04/15 5724 2
74163 젠지훈피셜 평가전 10명중 4명은 바보가 되는 시스템이다.,jpg [14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833 22/04/14 9833 0
74162 얀코스 : 레클리스와 우리는 좀 달랐다 [29] EpicSide6829 22/04/14 6829 4
74161 동남아 PCS리그 이변 발생 [12] 아롱이다롱이5440 22/04/14 5440 0
74160 [LOL] 평가전 상대는 MSI 예선 진출팀이라고 합니다 [225] FruitDealer15909 22/04/14 15909 0
74159 [LOL] 젠지에서 아겜 룰러 엔트리 관련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87] Leeka13495 22/04/14 13495 9
74157 [LOL]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예비명단이 떴습니다 [164] Fin.12585 22/04/14 12585 0
74155 [LOL] 롤 국가대표 평가전? [96] League of Legend16525 22/04/13 16525 0
74154 [LOL] [펌] '생배'에 대해서 [25] League of Legend12644 22/04/13 12644 0
74153 [LOL] 12.7 패치노트 떴따아아아! [58] 이브이9101 22/04/13 9101 0
74152 [LOL] 아시안게임 e스포츠 국가대표 선발기준 발표 [81] 소믈리에10980 22/04/13 10980 0
74151 T1 결승전 히든트랙 [91] 삭제됨13509 22/04/12 13509 2
74150 [LOL] 섬머에 가장 현재보다 기대되는 팀은 어디일까요? [85] 작은형10600 22/04/12 10600 0
74149 [하스스톤] 하스스톤 알터렉 계곡 비밀업적 공략 [4] 치미7924 22/04/12 7924 8
74148 [PC] [고전게임]노부나가의 야망12 혁신 PK 간단 리뷰 [39] 겨울삼각형10243 22/04/12 1024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