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4/12 01:06:54
Name 니시노 나나세
File #1 Screenshot_20220412_005503_Samsung_Internet.jpg (93.4 KB), Download : 3
Subject [LOL] 다음 중 가장 충격적인 결과는?


2018 월드챔피언쉽 그룹스테이지 B조

[디펜딩 챔피언 젠지의 충격적인 1학년 5반 참사]


93yUbmq.jpeg

2018 월드챔피언쉽 8강 RNG vs G2

[그랜드슬램을 노리던 RNG의 꿈을 산산이 조각내버린 G2]


gEQKrT3.jpeg

2019 MSI 4강 IG vs 팀리퀴드

[김동준:감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정말 롤 역사상 최고의 업셋이라고 생각합니다]


sP2dmLI.jpeg

2021 월드챔피언쉽 그룹스테이지 A조

[아이슬란드에서 가장 먼저 짐을 싸게 된 우승후보 1위 FPX]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애플리본
22/04/12 01:08
수정 아이콘
단언컨데 한국인에게는 RNG vs G2 일겁니다. 앞 경기 KT가 3:2로 지고 RNG가 이제 캘린더 그랜드슬램 달성이구나.. 하고 모두 다 포기한 그 순간.......!
묻고 더블로 가!
22/04/12 01:09
수정 아이콘
전 3번이요
Enterprise
22/04/12 01:10
수정 아이콘
전체 롤씬으로 꼽자면 다 비슷비슷하지 않을까 싶지만, 한국인이라서 1번을 꼽고 싶군요. 18년 롤드컵은 정말로 킅 앞 젠 모두 다 말그대로 멸망해버린지라 LCK가 커다란 흐름에서 뒤쳐졌다는 걸 모두가 알게 된 사건이어서...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롤 팬이라 그런지 솔직히 압도적 1번입니다. 그냥 제 기준에서 1학년 5반은 살면서 롤 대회 보면서 느낀 가장 큰 충격이고 비교대상이 아예 없습니다... 티원 1557 당한거나 G2에게 젠지가 캡짱스에게 사일러스 슈퍼울트라캐리 당한것 조차도 1학년 5반에 비하면 별일 아니었음.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1
수정 아이콘
게다가 1번은 젠지 하나만 무너진게 아니고 그해 롤드컵 간 팀이 다 개작살났죠. 그때 PGR 분위기 아직도 기억 납니다. 좀 과장하면 운석떨어진 분위기였음...
대법관
22/04/12 01:12
수정 아이콘
1557은 IG였고, 몇 경기 뒤에 제대로 갚아줬죠..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3
수정 아이콘
아니 참 잘못썼네요 G2를 먼저 떠올리고 쓰다보니
대법관
22/04/12 01:14
수정 아이콘
솔직히 1557은 충격급에도 못 든다고 생각합니다. 강팀끼리 대결에서도 얼마든지 원사이드한 전개는 나오는터라..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5
수정 아이콘
애초에 한판 심하게 진거랑 6판을 통으로 만거라 비교대상 전혀 안되긴 하죠.
22/04/12 14:53
수정 아이콘
사실 그건 보면서도 아 미드 이렐+바텀 소나 대 드븐 게임에서 초반에 터지면 이렇게 되는구나 하고 그냥 별 감흥 없던.. 무엇보다 다음 게임에서 역으로 털면서 이겨서 사실 놀림 받은 거 말곤 게임 자체적으로야 별 타격은 없었죠.
스덕선생
22/04/12 01:48
수정 아이콘
페이커를 극복했다는 말을 들으며 리그에서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던 쿠로가 무려 북미 미드에게 레슨당하는 대참사가 났었죠.

당시 젠지보고 왜 플라이 안 데려갔느냐는 성토가 많았는데 누가 나갔어도 그냥 썰리는데는 딱히 차이가 없었을겁니다.
정글러
22/04/12 01:12
수정 아이콘
2번요
Dončić
22/04/12 01:12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라 느낀 최고 충격은 프로스트 TPA
비선광
22/04/12 08:38
수정 아이콘
저도한표... 나진 m5 프로스트 도장깨기..
실시간으로 보며 참 슬펐죠
18롤드컵도 비참했던것 같아요
술마시면동네개
22/04/12 09:31
수정 아이콘
이게 진짜....크크 당시 유럽도 아니고 북미도 아니고 nlb에서도 죽쓰던 어디 이상한팀이 우승했다...?
올해는다르다
22/04/12 01:13
수정 아이콘
애매할 땐 북미
아슬릿
22/04/12 01:14
수정 아이콘
RNG G2네요 저는, 저 때 앞 경기에서 KT가 IG한테 지는거 보고 다들 초상집 모드였는데 불과 몇시간만에 위아더월드로 바꿔버린...
22/04/12 01:15
수정 아이콘
1번이 가장 충격이 컸죠 LCK 다같이 멸망해서
남의집 불타는거야 뭐 그냥 즐기는거죠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6
수정 아이콘
그때 한국 롤 커뮤니티는 좀 과장하면 세상이 망한 분위기가 느껴졌죠.
22/04/12 01:18
수정 아이콘
그때부터 LCK는 잘못됐다 망했다 이런얘기가 확나온거라 생각합니다
최근에 겜게를 달궜던 이슈들도 이때부터 시작됐다 보고요
피카츄볼트태클
22/04/12 01:19
수정 아이콘
맞아요. 지금까지도 떠도는 LCK는 어떻다 하면서 까는 이야기의 9할이 저 시기부터 시작됬다고 생각합니다.
Bronx Bombers
22/04/12 06:29
수정 아이콘
2017 올스타 멸망, 2018 MSI 멸망, 리라 멸망, 아시안게임 멸망하다가 그래도 우리에게는 롤드컵이 남았다! 하다가 롤드컵까지 개같이 멸망해서 당시 LCK 팬들의 절망 정도는 뭐.....
문문문무
22/04/12 01:16
수정 아이콘
맥락상 FPX가 맞지않을까 싶습니다.
IG는 롤드컵우승이후 정규리그에서도 휘청휘청거리긴했었고
MSI때 킹존이 탈탈털리면서 LCK의 위기를 조금씩 느끼는 사람들도 있었고
RNG도 그래도 조별뚫고 8강 풀세트접전까지는 갔었는데
FPX는 당시 가장 최근시즌 LPL정규에서 말그대로 무적의포스를 보여줘서
LPL팬덤의 온갖기대를 한몸에 안았었는데 성적면에서나 인게임면에서나 1학년 5반시절 젠지마냥 처참했어가지고...
그다음이 근소한차이로 LCK 18롤드컵 멸망이 아닌가 싶네요
Bronx Bombers
22/04/12 06:39
수정 아이콘
IG가 정규리그에서 휘청거렸다기엔 그 해 스프링 우승해서 MSI 간거고....(특히 당시 더샤이는 거의 탑의 신 포스....롤 역사상 그 탑 라이너가 그 정도 포스 낸 적이 없었죠) MSI도 그룹스테이지 9승 1패로 올라간거라.....당시 TL이 4승 6패였죠.....
나의다음숨결보다
22/04/12 01:18
수정 아이콘
리퀴드가 IG 잡은거요.
조별때 똥만싸던 엑스미시가 닝을 이길거라고 누가 상상이라도 했을까요?
22/04/12 01:18
수정 아이콘
팀리퀴드가 IG 탈락시킨 거요. 다른 일들은 이후에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겠지만 북미가 다전제에서 이런 업셋 일으키는 건 이후에 다시 볼 수 있을까 의문임.
위원장
22/04/12 01:19
수정 아이콘
2번
22/04/12 01:2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2, 3 박빙인데 3 봅니다
올해는다르다
22/04/12 01:22
수정 아이콘
젠지가 1승으로 떨어질지는 몰랐지만 떨어지는거 자체는 극단적인 이변까진 아니었고.. 한국팀이 진게 이변이라면 차라리 아프리카 c9가 더 이변이었죠
코우사카 호노카
22/04/12 01:27
수정 아이콘
3이 확률은 더 낮을것 같긴한데 충격은 2였네요
22/04/12 01:29
수정 아이콘
저는 프로스트 vs TPA가 가장 충격이있습니다.
당근케익
22/04/12 01:36
수정 아이콘
1번인데, 단순히 젠지가 탈락해서가 아니라,
b조 자체가 굉장히 충격적으로 재밌었어요
지주케형 못 잊어~
암드맨
22/04/12 01:46
수정 아이콘
제일 확률상 희박한게 IG 대 리퀴드 업셋인데..
임팩트는 18년 한국 봇듀오들을 쓰레기통에 박아버린 rng를 원더 퍽즈가 날라다니며 침몰시키던게 제일 컷던거 같아요.
저기서 유일무이한 그랜드 슬램 최초 달성 했으면 우지 위상이 2위는 확정에 페이커에 비비려는 중국팬들도 많았을겁니다.
거의 릅신이 노비츠키한테 머리통이 꺠지신 급으로 향후 롤판에 영향을 줬다 생각합니다.
랜슬롯
22/04/12 02:03
수정 아이콘
4번은 이미 1/2/3번을 다 맞아봐서 충격이 덜했고..

아마 다른 분들이 2/3번은 다 충격이라고 말해주실거같아서 남는 1번 뽑고 싶네요. 선발전에서 잘해서 1/5 예상 거의 못하긴 했습니다.
엔타이어
22/04/12 02:06
수정 아이콘
TPA vs 나진이 없군요
22/04/12 02:18
수정 아이콘
여기엔 없지만 롤드컵 점령하고 온 역대 최강의 팀이었다는 15 SKT를 잡고 케스파컵 결승갔던 세미프로팀 esc ever요.
욱상이
22/04/12 02:33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다가 1번. 두 경기가 가장 충격적인 업셋이었습니다.
22/04/12 02:18
수정 아이콘
프나틱의 하루4승이 없네요

저는 4>2>3>프나틱4승 입니다. 1번은 개인적으로 안타깝긴 했지만 별 감흥은 없었습니다
이브이
22/04/12 02:21
수정 아이콘
tpa우승이 세계선 붕괴 수준
22/04/12 02:26
수정 아이콘
TL 대 IG 업셋은 분명 확률로 따지면 롤 역사상 가장 불가능에 가까운 사건인데 임팩트가 이상하게 없었습니다. G2에게 허무하게 마무리당해서 그런가.
난이도와 관계없이 가장 큰 임팩트를 준 사건이라면 TPA 우승과 RNG G2 8강을 꼽겠습니다.
반니스텔루이
22/04/12 02:33
수정 아이콘
여긴 없지만 TPA 쇼크가 원탑인듯..
22/04/12 03:50
수정 아이콘
1학년 5반이 가장 컷죠
이때는 다른 lck팀들은 떨어진것도 아니라서 젠지 하나의 문제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후...
다시마두장
22/04/12 03:56
수정 아이콘
RNG대 G2가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라이벌로 따라붙던 IG를 계속 잡아서 리그 1인자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MSI, 사실상 RNG+@로 출전한 아시안게임까지 다 먹어버리며 롤드컵만 먹으면 역체팀으로 등극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던 때
사실상 롤드컵이 RNG를 잡아라! 가 되고 그걸 수행해낼 수 있는 건 kt밖에 없다는 이야기가 돌던 때
그 kt마저 IG에 꺾여버리고, '이 IG를 계속 2인자로 무릎꿇린 RNG는 얼마나 강력한 것인가' 라며 모두가 좌절하고 있던 때
심지어 8강 상대까지 그냥 좀 하는 들러리 수준으로 평가받던 G2라 IG, kt를 안 만난 대진운까지 좋다고 부러움을 사고있던 때

어라?...
22/04/12 05:03
수정 아이콘
다른 건 다 예상했는데 3번은 못 맞췄습니다.
3번은 지금 생각해봐도 진짜 저런 일이 있었나? 생각이 들어요.
승률대폭상승!
22/04/12 05:29
수정 아이콘
1-5
22/04/12 06:03
수정 아이콘
저는 fpx 21월즈 조별광탈
4등으로 탈락하게 될줄은..
키모이맨
22/04/12 06: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3번이요 크크
제 기억에 첫경기 IG가 걍 무난히 압승하는 분위기였는데 탑에서 오바하다가 임팩트 니코E맞았던가
그러면서 게임 개말리기 시작했는데
정말 우주의 기운이 몰빵된 그런날이 아니였나생각합니다 그때로 돌아가서 다전제 100번쯤하면 99번은
IG가 이길거같은데 1번이 터져버림
우리는 하나의 빛
22/04/12 06:32
수정 아이콘
3
CrazY_BoY
22/04/12 06:36
수정 아이콘
어쩔수 없는 2번 선택 크크
왜냐하면 그때 그 현장에서 직관했었기 때문에 크크
쿼터파운더치즈
22/04/12 06:43
수정 아이콘
전 3번
1번때는 충격과 공포가 어마어마하긴 했는데 일어나지 못할일은 아니라고 봤어요 rng g2도 rng 조별 경기력이 안좋았다는 근거라도 있는데
3번은 진짜 가능성 0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므시 예선 경기력도 파괴적이었고 도저히 북미가 이길거라는 생각이 안들었었거든요..
22/04/12 07:19
수정 아이콘
3번이요. 잘하던 한국팀 롤드컵 가서 이상한짓 하는 건 역사가좀 있죠
허무와환상
22/04/12 07:21
수정 아이콘
전 여기없지만 18 롤드컵 KT IG 요.
비록 msi를 내줬지만 lck는 여전히 세계최강급이라 생각하고 있었고, 그리고 lck 서머우승을한 kt를 막을것은
rng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IG와 붙을당시에 평가가 상체는 비스무리하지만 그당시 국내에서 평이 안좋았던 재키러브를 상대로 데프트 마타가 압승할것이라 생각했는데 웬걸 무력에 압도적으로 밀리면서(특히 템도 안 사온 루키한테 밀렸던 유칼) lck전원이 4강을 못 가고 탈락하면서 충격이였네요.
성큼걸이
22/04/12 09:02
수정 아이콘
그경기는 경기 시작 전에 도박사 배당률에서 IG가 정배였어서 그렇게 쇼킹한 결과는 아니었던걸로...
경기 보면서도 더 느꼈던건데, 3:2는 kt가 낼수있는 최선의 결과였다 봅니다. kt입장에서 이긴 경기는 진땀승이고 진 경기는 죄다 개발려서 기본적으로 체급이 IG쪽이 훨씬 위라는 느낌을 받았었습니다
22/04/12 07:23
수정 아이콘
1학년 5반... C9에게 0:3 대떡... 18 롤드컵 대참사...
그때가 정말 그 유명한 LCK 수동적 게임 방식의 정점이었죠.
그땐 정말 너무 화가 나서, 내가 왜 시간 아깝게 LCK 따위를 보고 있어야 되지? 라는 생각이 들었던 유일한 시기였습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2/04/12 07:46
수정 아이콘
3번에 한 표
류수정
22/04/12 08:00
수정 아이콘
국가대항전의 논리에 입각해서 생각해보자면
1번 lck 최종결과 8강
2번 lpl 최종결과 ig 우승
3번 lpl 롤드컵 결과 fpx 우승
4번 lpl 최종결과 edg 우승
상처뿐이었던 1번이 최악이었던걸로...
22/04/12 08:00
수정 아이콘
다시 일어날 가능성을 따졌을 때 뭐가 가장 낮을까 생각하니 쉽네요 크크

한국팀의 부진, 유럽팀의 약진, 중국팀의 부진은 다 언젠가는 일어날 수도 있다 생각되지만 반년 전에 롤드컵 우승한 중국팀을 북미가 MSI 4강에서 3:1 내는 건 영원히 안나올 것 같습니다.
Bronx Bombers
22/04/12 08:05
수정 아이콘
심지어 그룹스테이지에서도 IG가 TL 두 게임 다 이겼고 무려 9연승 하다가 마지막 경기 1패하고 4강 간건데 말이죠 크크
김하성MLB20홈런
22/04/12 08:01
수정 아이콘
객관적으로 보면 3>1인데 1을 가장 먼저 접했다보니... 주관적으로 느낀 충격파는 1이 넘사벽이긴 합니다
22/04/12 08:04
수정 아이콘
2번도 RNG가 충분히 우승하는 세계선이 나올법 했는데 그래도 북미가 사고친 3번이죠.
22/04/12 08:12
수정 아이콘
저도 3번요 2번보다 3번!!
22/04/12 08:14
수정 아이콘
제일 큰 충격은 tpa고 그 다음은 아프리카 vs c9인데 여기선 3번이요.
22/04/12 08:14
수정 아이콘
2, 3번이 박빙인데, 당시에는 G2 v. RNG가 더 충격적이었던 느낌이라면, 지금 생각해보면 RNG가 조별에서 삐긋하기도 했고 경기 자체도 5꽉이었던 점에서, 북미팀이 LPL 우승팀을 상대로 그것도 조별리그 9승 1패로 올라온 팀에게 3대 1 승리한게 더 예상하기 어려운 결과었던거 같기두 하구 그러네요.

+ 그리고 여긴 없지만 시즌2 롤드컵 TPA v. 소드, M5, 프로스트 도장깨기도 굉장한 충격이었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4/12 08:14
수정 아이콘
별로 생각해본 적 없는 주제라 임팩트 있는 기억이 없네요.. 저는 1번 하겠습니다.
하얀수건
22/04/12 08:18
수정 아이콘
2015년 IEM이 엄청난 충격이었습니다.
Equalright
22/04/12 08:32
수정 아이콘
무조건 1번
LCK 암흑기(?)의 시작이었죠. 심지어 뇌신이 서양롤 엄청 세게 까고 사람들도 다 서양롤에 대해 엄청 안좋게 평가할 때 저 대격변이 발생함
머나먼조상
22/04/12 08:33
수정 아이콘
TPA VS M5요
롤드컵 우승은 M5가 맡아놨다고 생각했는데...
진짜진짜라면
22/04/12 08:39
수정 아이콘
3번 엔딩까지 완벽..
실제상황입니다
22/04/12 08:46
수정 아이콘
1학년 5반
2학년 5반
크크
성큼걸이
22/04/12 08:55
수정 아이콘
뭐가 더 쇼킹했는지면 3이 제일이었죠
22/04/12 08:57
수정 아이콘
이건 FPX죠
22/04/12 09:04
수정 아이콘
3번.. 다전제라서.
22/04/12 09:06
수정 아이콘
충격의 장르가 다 달라서 뽑기가 애매하네요 크크
메가트롤
22/04/12 09:13
수정 아이콘
RNG요
22/04/12 09:14
수정 아이콘
3... 나머지는 다시 보면 그럴만했네 생각은 드는데, 이건 진짜 다시 봐도 매번 놀라워요.
다레니안
22/04/12 09:19
수정 아이콘
9승1패의 전시즌 롤드컵 우승팀을
4승6패의 북미팀이
MSI에서
다전제를 잡아낸다???
이건 앞으로도 절대 나올 일 없는 기록입니다. 크크크크
참고로 경기 전 배당률은 IG (1.03 ) / TL ( 13.26 ) 입니다.
이게 얼마나 대단하냐면 TL이 IG를 잡고 결승전을 가니까 결승전 배당률이 TL (2.39 ) / G2 ( 1.59 )라는 박빙이 나왔죠.
당연히 결과는 3:0으로 셧아웃 크크크크
다레니안
22/04/12 09:45
수정 아이콘
나름 충격적 업셋이라고 생각했던 매치들을 배당률로 보면 생각보다 그리 높지 않네요.
17 MSI 4강 WE(1.30) vs G2(3.57)
17 롤드컵 8강 롱주(1.37) vs 삼성(3.15)
18 롤드컵 8강 아프리카(1.37) vs C9(3.15)
18 롤드컵 8강 RNG(1.08) vs G2(8.22)
19 MSI 8강 SKT(1.36) vs G2(3.22)

3배수정도면 충격적이긴한가...? 싶지만 본댓글의 13배의 IG vs TL이나 8배의 RNG vs G2가 있다보니 평범하게 느껴지네요. 크크
22/04/12 09:27
수정 아이콘
18롤드컵 8강 아프리카vsC9
LCK 역사상 최악의 졸전 다전제인데 대부분 다 잊고있는
심지어 이글에서도 언급 없고 댓글에만 하나 있는 그 게임
랜슬롯
22/04/12 09:49
수정 아이콘
사실 이거도 진짜 충격적이긴했죠. 질수는 있다고 저는 그때당시 생각하긴했는데 (다른 LCK팀들 부진보고)

그 인게임 내용자체가 거의 최악 오브 최악으로 갔죠. 2경기에 엄청 유리하던거 던지고 기인혼자서 1대5하던거도 기억나고..
마지막에 전캐의 절규도 생각나고..
당근케익
22/04/12 16:09
수정 아이콘
제 입장으로만 보자면 서순차이가 컸던것 같습니다
젠지 탈락 -> kt 탈락 -> rng 탈락 후여서
더이상 심리적으로 충격받을 기력이 안 남은 느낌?
어차피 이당시 아프리카가 결승가거나 뭐할 능력치는 안된다고 봤어서요
조별 탈락 안한게 다행이었던 팀
서현고객님
22/04/12 09: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이런 롤역사에 남을 업셋 기록 정리해서 언급한 적 있는데 그때 말씀드렸던게
2,3번 RNG-G2, IG-TL이랑 17월즈8강 삼성-롱주 3대0이었죠.
17이면 그래도 LCK가 지배하던 시대였고 내전이었기에 지금 결과보면 그럴수있다 라고 생각들겠지만
당시 양팀의 포스,조별리그경기력,선수들 폼 따져보면 삼성이 이긴다?그것도 3대0?진짜 충격이었습니다.
21로 치면 그룹스테이지 6승한 1시드 담원이 3승3패 4자동률 겪고온 젠지한테 3대0 당한느낌?
22/04/12 09:46
수정 아이콘
제일 오래 기억될만한건 TL IG 업셋이라 생각합니다.

북미팀이 다시 저런 성과를 내는 날이 언제일지 모르거든요...
22/04/12 09:49
수정 아이콘
4번은 결과만 보면 굉장히 큰 이변이 맞긴한데, 롤판에 그 어떤 이변이 있을 수 있다는 게 그 전 사건들로 보여져서 충격 자체는 덜했다고 생각합니다.
소믈리에
22/04/12 09: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피했구요 일단 잭트롤 피했고요 맞힌 다음에 룰러가 한번 아니 이거 아 우르곳이 우르곳이 딜이 좀 코장 빠져 코장 빠져 어어어어어 말자하가 아아아아악!!!말도 안되긴 하는데 아아아아 자 아틸라가 쎄요 아틸라가 쎄요 ! 아틸라가 쎄요!!!! 아아아아아아아악!!!! 아아아아아아악!!!! 아아아아아악! 제발 제바알! 자 이제 어디로 가는겁니까! 자 바이탈리티.. 바이탈리티 죄송해요옷!!!!


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 아아아아악 으으아아악!!!!!! 와 렛미!!! 으헣헣헣허허헉헉헝 와 렛미!! 큐베 부탁해!! 큐베 부탁해!! 큐베가 어디까지 갈 수 있나요!! 이거 근데 게임이 끝나요 게임이 끝나요 막으러 와야 되요. 어떡해요ㅠㅠ 미드가 열렸습니다. 미드의 억제기가 제거됐습니다.자 크라운 게임이 끝나요 한방에~~~~ 으헝헝헝헝 이거 막아야 돼요!! 큐베 부탁해 큐베!! 으어어어어어억!!! 결국은 한번이면 족했습니다 RNG 와!! 누가 렛미를 저평가 합니까? 강제이니시가 곧 렛미에요!! 강제이니시를 걸었던 결정적인 이유는!! 경기 끝납니다 GG!!
Bronx Bombers
22/04/12 10:13
수정 아이콘
렛미 그 이니시야말로 당시 LCK가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었던 듯요.....

그냥 평범한 국밥형 탑솔러, 국제대회 오면 한국 탑솔한테 샌드백처럼 쳐맞는 선수가 렛미였는데 그런 선수에게 보였던 이니시 각을 LCK 선수 및 관계자가 아무도 못 봤다는게.....팬들도 그걸 가지고 범인 따지고 열심히 논쟁했지만 결론 난게 없었죠.

다시 생각해봐도 그 해 LCK는 진짜 다른 세 개 지역에 비해 많이 뒤떨어져 있던게 맞았던거 같습니다.
더치커피
22/04/12 10:06
수정 아이콘
전 3번이요... IG가 TL한테 그렇게 발릴 줄은 생각도 못함
벌점받는사람바보
22/04/12 10:15
수정 아이콘
저도 TPA 크크크
마포구보안관
22/04/12 10:35
수정 아이콘
리라 졌다고 매국 드립으로 못살게 굴기 시작한게 lck에 가장 큰 해악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무슨 스포츠 진다고 매국이라니...
그 이후로 성적 스트레스가 극도로 올라간 느낌
로피탈
22/04/12 10:40
수정 아이콘
3번이요. 다른 건 모르겠는데 3번은 다시 일어날 일일 것 같지가 않아요
switchgear
22/04/12 11:05
수정 아이콘
다시 돌아봐도 TPA의 8강 4강이상의 충격적인 경기는 없었네요. 결승은 앞선 8강, 4강때문에 있을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충격은 덜했네요.
22/04/12 11:08
수정 아이콘
저거 외에는 개인적으로 19 SKT가 G2한테 MSI,월즈에서 연이어 무릎꿇을때 가장 충격이었습니다. 그리고 18~19 스크림도르 1황 19 그리핀, 담원이 8강 다전제에서 무너질때는 덤. 19 SKT는 적수가 없을줄 알았습니다. SKT는 물론이고 그리핀 담원도 정말 체급 자체는 월즈 결승권은 된다고 생각했었는데..
사이먼도미닉
22/04/12 11:13
수정 아이콘
https://ppt21.com/free2/68072

이거 배당률로 정리해놓은 글을 봤었는데 최고의 업셋 다전제는 IG vs TL이었다고 합니다.
킹이바
22/04/12 11:41
수정 아이콘
무조건 3..
신류진
22/04/12 11:53
수정 아이콘
KT가 경우의 수를 뚫고 선발전 탈락한게 제일 충격이었는데
22/04/12 12:03
수정 아이콘
저도 2012 TPA네요.
8강 나진 잡을때만 해도 나진 삽질이라고 생각했는데 4강에서 M5 잡는거보고 뭐지? 하고 결승에서 프로스트 개박살..
피우피우
22/04/12 12:07
수정 아이콘
2>1>3 >>> 4 의 순서로 충격적이었습니다.

3이 제일 신기하긴 했는데 경기를 본 게 아니라 나중에 결과만 전해들어서, 생방으로 보면서 실시간으로 느끼는 충격은 아무래도 덜했던듯.
JimmyEatWorld
22/04/12 12:1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19 월즈의 SKT vs G2 였습니다. 그 전까지는 그래도 LPL 팀들이 공격적이네 싸움을 잘 거네 이런 느낌이었다면, 저 시리즈는 운영으로 완벽하게 압살 당한 느낌이라 충격적이었어요. 특히나 그 중심이 미드 캡스인 걸 보면서 '아니 페이커를 상대로 이렇게 운영 차이를 내는 미드가 있어?" 라고 소름이 돋았죠. 정말 LCK가 1, 2년은 뒤쳐져 있구나 앞으로 어떡하지 라고 절망감을 느꼈었음
22/04/12 13:07
수정 아이콘
1번…18년 국내 커뮤니티 분위기는 말 그대로 핵폭탄 맞은 수준이었죠…
밀크카밀
22/04/12 13: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랜드 슬램을 노리던 2018 RNG가 G2한테 진 건 너무 충격이었어요. 그 전에 KT가 IG한테 진 아픔이 무뎌질 정도로 너무 충격적인...
IG가 TL한테 진 건 워낙 도깨비 같은 팀이라 충격이 덜한..
Bronx Bombers
22/04/12 13:14
수정 아이콘
당시 4,5경기 불판 보면 진짜 대박입니다 오전에 KT가 진거 완전 다 잊어버린듯한 반응이었음 (특히 티원팬분들 크크)
밀크카밀
22/04/12 14:35
수정 아이콘
제가 딱 그런 반응이었는데 흐흐
우리가 못한 그랜드 슬램을 중국 순혈팀이 할까 봐 걱정했는데 기대도 안 한 G2가!!!
유유할때유
22/04/12 13:11
수정 아이콘
TPA가 없어??
MegaDrive
22/04/12 13:44
수정 아이콘
lck붕괴의 상징과도 같던 전년도 디펜딩 챔피언의 1학년5반 광탈이죠.
신량역천
22/04/12 14:34
수정 아이콘
무조건 TPA인게 녹턴발사같은 말도 안되는 짓거리를 하던 팀이 롤드컵에서 당대 최강팀들을 다 때려잡고 우승했죠
22/04/12 14:58
수정 아이콘
전 무조건 19년 msi. 이때 리퀴드가 결승 갈지 진짜 아예 생각도 못 했어요. 전 지금도 저게 역대 롤판 최고의 업셋이라 생각합니다.
이혜리
22/04/12 16:45
수정 아이콘
티원이 지투한테 진 롤드컵이 제일 충격이었고..
18롤드컵4강..
킅과 알앤지의 대박매치봐야지 하고 광주행 열차랑 다 예매했는데..
주인없는사냥개
22/04/12 17:03
수정 아이콘
저도 3번이요
Silver Scrapes
22/04/12 17:21
수정 아이콘
3214 정도
답답하네
22/04/13 12:27
수정 아이콘
IG TL

솔직히 제 발에 걸려서 한판은 넘어질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5판 중에 3판을 못 이길거라 생각 못했네요. 제가 북미를 좀 무시해서 그럴수도 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75 [기타] 한 1년째 원신을 하면서 느낀점 [47] 하얀수건9586 22/04/16 9586 12
74172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이현우(클라우드 템플러)해설 사과문.official [620] 이호철38793 22/04/15 38793 6
74171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신규 각성 PV (그런데 대상이?) [6] 캬옹쉬바나4340 22/04/15 4340 0
74170 [모바일] 던파 모바일 소식(신규직업, 로터스레이드, 서버통합, 편의성패치) [17] 라쇼5740 22/04/15 5740 0
74169 [LOL] LOL 국대 평가전 상대팀이 결정되었습니다 [91] FruitDealer10422 22/04/15 10422 1
74167 [LOL] 오늘도 평화로운 KESPA [191] 대법관16046 22/04/15 16046 5
74166 [LOL] 12.7패치 역대급 승률을 보여주는 챔피언 [68] MiracleKid9783 22/04/15 9783 1
74165 [기타] 잊혀지지 않는 철권 재능러 꼬마에 대한 기억 [24] 암드맨10132 22/04/15 10132 42
74164 [PC] [스팀] 뱀파이어 서바이버 10% 세일, 2,970원. [17] 及時雨5724 22/04/15 5724 2
74163 젠지훈피셜 평가전 10명중 4명은 바보가 되는 시스템이다.,jpg [14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833 22/04/14 9833 0
74162 얀코스 : 레클리스와 우리는 좀 달랐다 [29] EpicSide6829 22/04/14 6829 4
74161 동남아 PCS리그 이변 발생 [12] 아롱이다롱이5440 22/04/14 5440 0
74160 [LOL] 평가전 상대는 MSI 예선 진출팀이라고 합니다 [225] FruitDealer15909 22/04/14 15909 0
74159 [LOL] 젠지에서 아겜 룰러 엔트리 관련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87] Leeka13495 22/04/14 13495 9
74157 [LOL] 항저우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예비명단이 떴습니다 [164] Fin.12585 22/04/14 12585 0
74155 [LOL] 롤 국가대표 평가전? [96] League of Legend16525 22/04/13 16525 0
74154 [LOL] [펌] '생배'에 대해서 [25] League of Legend12644 22/04/13 12644 0
74153 [LOL] 12.7 패치노트 떴따아아아! [58] 이브이9101 22/04/13 9101 0
74152 [LOL] 아시안게임 e스포츠 국가대표 선발기준 발표 [81] 소믈리에10980 22/04/13 10980 0
74151 T1 결승전 히든트랙 [91] 삭제됨13509 22/04/12 13509 2
74150 [LOL] 섬머에 가장 현재보다 기대되는 팀은 어디일까요? [85] 작은형10600 22/04/12 10600 0
74149 [하스스톤] 하스스톤 알터렉 계곡 비밀업적 공략 [4] 치미7924 22/04/12 7924 8
74148 [PC] [고전게임]노부나가의 야망12 혁신 PK 간단 리뷰 [39] 겨울삼각형10243 22/04/12 10243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