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4/01 11:10:36
Name 박수영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lZnGLoO9Okw&ab_channel=%EB%B9%A8%EA%B0%84%EB%AF%B8%EB%8B%88%EC%96%B8Redminion
Subject [LOL] 넥서스 체력 반토막(5500 -> 3010), 넥서스 억제기 체력 회복 삭제 (수정됨)

넥서스 체력이 3000대로 줄어들고 억제기 체력회복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관전 결과 랭겜에서도 적용중이라고 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데이나 헤르찬
22/04/01 11:12
수정 아이콘
이게 만우절 농담이 아니네
League of Legend
22/04/01 11:12
수정 아이콘
스플릿 챔프들 이걸로 얼마나 더 힘이 실릴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다리우스 잭스 피오라 이런애들이 사이드라인 관리와 백도어 압박 더 하고.. 3대 1 이겨내면서 뚫어버리는 모습이 보고싶네요..
Cazorla 19
22/04/01 11:13
수정 아이콘
이러면 진짜 순삭이네요
묻고 더블로 가!
22/04/01 11:17
수정 아이콘
아니 지금도 후반 가면 엄청 물살인데;;
소믈리에
22/04/01 11:18
수정 아이콘
이걸 진작 패치 했으면 역사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22/04/01 11:19
수정 아이콘
만우절이 아니에요??
박수영
22/04/01 11:19
수정 아이콘
저도 만우절 영상인줄 알았는데 영상 보니까 랭겜에서도 적용중이라고;;
아지매
22/04/01 11:21
수정 아이콘
이건 게임 결과가 아예 바뀔 수도 있는 패치인데..
League of Legend
22/04/01 11:23
수정 아이콘
그거 보상패치 같네요 현상금제도 버프 보상패치
칼잡이질럿
22/04/01 11:23
수정 아이콘
3억제기 역전은 이제 거의 안나온다고 봐야겠네요
랜슬롯
22/04/01 11:24
수정 아이콘
이거는 근데 꽤 큰 패치일거같은데...
PolarBear
22/04/01 11:28
수정 아이콘
18 skt 17 kt 폭풍눈물
22/04/01 11:28
수정 아이콘
넥서스는 몰라도 억제기는 살려두지...
어떻게든 빨리 겜을 끝내고 싶은 라이엇..
Paranormal
22/04/01 11:33
수정 아이콘
백도어 엔딩이 엄청 나올것 같은데...
22/04/01 11:39
수정 아이콘
만우절 장난이 아니네?
아이코어
22/04/01 11:39
수정 아이콘
백도어도 가끔 나와야 재밌지
너무 자주나오면 좀 재미가 떨어질것 같은데
22/04/01 11:46
수정 아이콘
이러면 밀려있을때 나오지도 못하겠네요
유나결
22/04/01 11:48
수정 아이콘
이게 만우절 농담이 아니네…
그러지말자
22/04/01 11:50
수정 아이콘
운영 페이즈에서 판단 조금만 늦거나 엉성하면 스플릿에 사정없이 흔들리겠네요.
까먹었다
22/04/01 11:53
수정 아이콘
하위티어에서는 무지성 사이드가 되어버리겠네요..
1대1 이기는 타워 철거반 넘쳐나면 노잼인데..
소주의탄생
22/04/01 11:53
수정 아이콘
만약 저게 저대로 적용이 된다면 팀들에게 더욱더 정교한 운영을 요구하게 되겠네요. 큰 차이 인지 작은 차이 인지는 모르겠으나 변수가 생겼음에는 틀림이 없고 운영에 있어서 한타와 라인관리를 더 정교하게 해야지 되겠네요 다만 타워는 건드리지 않는것으로 봐서 큰 변화가 아닐것으로는 보입니다
강동원
22/04/01 11:58
수정 아이콘
LEC의 시대가 온다
22/04/01 12:12
수정 아이콘
일단 해보고 백도어 너무 나와서
메타 이상해진다 싶으면
다시 롤백!
그 전까지 즐겨!
손연재
22/04/01 12:20
수정 아이콘
다양한 변화 시도 좋네요
몽키매직
22/04/01 12:21
수정 아이콘
한 번 실수로 질 수 있도록 리스크를 크게 만들면 더 방어적으로 하려고 하지 않을까요? 어떻게 작용될지 모르겠네요. 오히려 어지간히 한타 져도 1~2번 버틸 수 있게 본진이 단단하면 더 공격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버거킹맘터
22/04/01 12:22
수정 아이콘
만우절 낚시인줄 알았는데 찐인가보네요
22/04/01 12:23
수정 아이콘
타워 더 열심히 지키겠네요. 미니언한테 맞기 시작하면 큰일나갰구만
22/04/01 12:33
수정 아이콘
MSI 때까지 유지되면 큰 패치 아닐까요
은때까치
22/04/01 12:40
수정 아이콘
엥 역전이 너무 힘들어지는거 아닌가....?
22/04/01 12:45
수정 아이콘
차라리 현상금을 없애던가
22/04/01 12:54
수정 아이콘
선파자도 그렇고 예전부터 이어진 피오라 버프도 그렇고 스플릿 살리기의 일환 같은데 프로레벨에선 용 때문에 아무리 해도 소용이 없는 듯?
겜양상 고착화 된 지 오래됨
엑스텐션
22/04/01 13:01
수정 아이콘
이거 패치적용되자마자 적용된건가 어쩐지 2억제기 까이고 한타8번인가 무한으로 이겨도 계속 다시 깨지더라구요. 결국 30~50분동안 모든 한타 다 이기고 결국 넥서스강제쩜사에 졌는데 넥서스가 평소보다 빨리 터지는거 같더니만...
쿼터파운더치즈
22/04/01 13:21
수정 아이콘
백도어 진짜 엄청 좋아하네요
다레니안
22/04/01 13:27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 템 팔아서 리치베인사고 영혼의 백도어 가는 게임 경험해볼 수 있겠네요. 크크크
올해는다르다
22/04/01 13:27
수정 아이콘
타워가 약해져야 백도어가 되는거고
이건 한타 이후 앞도어용이죠
22/04/01 13: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통상적인 게임에서는 별 영향 없을것 같고,
정말 가끔 나오는 넥서스 피 조금 남아서 승패가 결정되는 경기에 영향을 줄거 같네요.
저것만 믿고 백도어 조합을 짠다는건 무리수일테니...
22/04/01 13:42
수정 아이콘
뭔가 선 넘는 거 같은데 모르겠네요..
인생은서른부터
22/04/01 13:44
수정 아이콘
마법공학스킨 돌려주세요.. 보석 모아두고 있었는데.. 왜 ㅠㅠㅠㅠ
StayAway
22/04/01 14:09
수정 아이콘
실컷 돌려깍아서 굴려놔봐야
중반에 한타 한번 지면 골드차이 무시하고 미드로 직진하겠네요.
22/04/01 14:12
수정 아이콘
큰체감은 없을거 같아요. 이래도 넥서스 피 100남기고 못깨는 상황 한번은 볼듯 ㅋㅋ
파란무테
22/04/01 15:44
수정 아이콘
(한타 승리후)
야야야야. 넥서스 피 없어 이제.. 가자가자가자...
팀원들 : 안될껄?
아니야.. 가자가자가자 이거 된다니까 고고고고

예전엔 억제기까지만 밀고 귀한할 걸, 괜히 더 가서 역 to the 전
샤르미에티미
22/04/01 14:22
수정 아이콘
아예 양상이 달라지긴 하겠죠. 예전에 체력 한두 대면 부숴질 상황에서 역전한 경기는 그냥 진 경기가 될 거고, 예전엔 각이 애매해서 안 들어오고 상대가 한 타이밍 더 봤던 경기는 지금은 애매하게 들어와서 넥서스 치다가 역전이 될 수도 있는 거고요. 예를 들어 체력을 2배로 올렸으면 예전에 간신히 넥서스 체력의 105%쯤 딜이 딱 되서 간신히 깨고 이긴 경기는 52%쯤 깎고 막히고 지는 경기가 되진 않겠죠. 각이 안 나오니까 넥서스까진 안 치고 물러날 겁니다. 그거에 맞춰서 게임이 굴러가는 거라 대역전극도 똑같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재빠
22/04/01 15:26
수정 아이콘
쌍둥이 가치가 몇 배는 올라가네요.
22/04/01 15:57
수정 아이콘
영혼,장로,바론... 오브젝트가 너무 강력하다보니 교전 유도도 되고 게임이 질질 끌리지는 않지만, 중후반게임양상이 오브젝트 중심으로 강제돼서 다소 뻔해지지 않나 생각해왔습니다. 그래서 시도 자체는 곱게 보이네요
League of Legend
22/04/01 16:41
수정 아이콘
공감이 가는 의견이네요. 오브젝트 싸움이 강제되고 장로, 바론의 가치가 엄청난데 한 팀이 견제만 잘 하면서 사이드로 뚫는 시도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고 봅니다.
22/04/01 16:01
수정 아이콘
스플릿 진짜 개노잼인데; 다섯 명 중에 한 명만 재밌고 나머지 네 명은 개노잼..
드로우광탈맨
22/04/01 16:02
수정 아이콘
흠..
개인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는게 이러면 역전 가능성이 너무 옅어지고..
이게 되려면 현실적으로 쌍둥이 타워가 엄청 강력해져야할 것 같네요.
크크.. 뭐 일단 플레이는 해봐야 알겠지만서도..
김포북변동
22/04/01 16:06
수정 아이콘
참 매년 격하게 방향 틀어버리는거 좋아하는거 같아요

피드백도 빨라서 반응 안좋으면 바로 복구 시키니깐 이런 시도 계속 하는거겠지만

이번 시도는 결과가 어찌될려나요
피우피우
22/04/01 16:19
수정 아이콘
운영이 오브젝트 중심 한타 위주로 흘러가고 스플릿 의미는 너무 줄어들고 있어서 이런 방향 시도해보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4/01 16:42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네~ 다음
22/04/01 18:43
수정 아이콘
이쪽의견에 동의.
스플릿이 너무 맛없는 느낌 나죠 지금은.
AaronJudge99
22/04/01 16:35
수정 아이콘
허;;이건좀 ㅋㅋ
사경행
22/04/01 16:44
수정 아이콘
전 좋아보이네요 어짜피 고정된 메타가 있는 것도 아닌데 이런것도 시도해보면 재밌죠
후반에 오브젝트 싸움 이제 슬슬 지겨워요
22/04/01 17:03
수정 아이콘
이게 어느게 옳다고 말하기가 힘들죠.
오브젝트가 버려지던때와 라인스왑, 버티기와 포킹시대
맵핵시대를 상징하는 백정과 도구... 시대마다 게임양상이야기는 나왔거든요.
매년 바꾸는것도 나름 괜찮아보입니다.
22/04/01 17:13
수정 아이콘
지금이 딱 좋은거 같은데 이러면 억제기 타워 밀리면 바로 게임이 루즈해질거 같은데
22/04/01 17:15
수정 아이콘
운영과 타워의 중요성이 올라가는 패치군요.
넥서스앞 쌍타 날아가면 역전 불가능에 가까운....
도라지
22/04/01 17:18
수정 아이콘
넥서스 깨지기 전 우물다이브 하는거 줄이는거 하고, 넥서스 포탑만 남았을 때 한번 더 트라이해보는 정도 이상은 없을 것 같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2/04/01 17:35
수정 아이콘
프로메타는 적절한데 솔랭은 진자 개판될듯

평균 30분경기가 5분은 빨라질듯
달은다시차오른다
22/04/01 19:44
수정 아이콘
그게 좋다고 생각하나 보죠... 솔직히 한판에 30분 걸리면 나이 든 사람은 진 다 빠집니다.
블래스트 도저
22/04/01 19:46
수정 아이콘
지금도 유리건물인데
반찬도둑
22/04/01 21:39
수정 아이콘
g2식운영
22/04/01 22:48
수정 아이콘
그럴러면 차라리 와일드리프트 내각처럼 만들어라...
22/04/02 15:58
수정 아이콘
최근 '탑은 승패와 관계없는 라인'이 정설인데, 스플릿이 강해지면 탑도 충분한 아이덴티티를 가지게 될 것 같네요.
무지성 백도어냐 영리한 스플릿을 할 수 있느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47 [LOL] 구마유시 위주로 본 LCK 결승전 [87] League of Legend11911 22/04/12 11911 7
74146 [LOL] 다음 중 가장 충격적인 결과는? [109] 니시노 나나세11295 22/04/12 11295 0
74145 [LOL] 2022 MSI 5번째 진출팀이 결정되었습니다 [5] FruitDealer6630 22/04/11 6630 1
74144 [LOL] 김정수 drx 전감독이 1심에서 승리했다고 합니다 [88] 카루오스12115 22/04/11 12115 10
74143 [모바일] [카운터 사이드] 4/12(화) 업데이트 점검 및 패치노트 안내 [6] 캬옹쉬바나4350 22/04/11 4350 0
74142 [LOL] 주관적인 LCK 스프링 총평 [39] 원장9629 22/04/11 9629 11
74141 [LOL] 이순(耳順) [35] 쎌라비7479 22/04/11 7479 67
74140 [LOL] 리그제 이후, 티원의 매년 마지막 상대는? [6] Leeka6167 22/04/11 6167 0
74139 [LOL] 게임의 승패에 운이라는게 있을까? [114] 아몬8861 22/04/11 8861 0
74138 [LOL] 페이커의 습관 - 상대를 숨 막히게 하는 방법(by P.S.) [115] roqur14240 22/04/11 14240 0
74137 [LOL] 지투 부산행 확정 기념, 티원과 지투의 상관관계는? [13] Leeka6102 22/04/11 6102 5
74136 [LOL] ??"두렵지 않은가, 혁" [66] roqur10630 22/04/11 10630 1
74134 [LOL] 2022 MSI 세번째 진출팀이 결정되었습니다 [27] FruitDealer7145 22/04/10 7145 0
74133 [LOL] 이번 시즌 거의 노골적이였던 티원의 용주고 전령먹는 전략 [77] 랜슬롯13569 22/04/10 13569 7
74132 [콘솔]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15시간 플레이 리뷰 [19] 삼화야젠지야5980 22/04/10 5980 1
74131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진짜 페이커 싫어하는거 같다고 느꼈던 해설 [17] 칰칰폭폭11282 22/04/10 11282 8
74130 수정잠금 댓글잠금 [LOL] 왜 티원팬이 해설을 공격할 때만 악성 팬의 짓이 되는가? [184] 올해는다르다15649 22/04/10 15649 67
74129 [LOL] 오늘과 내일사이 MSI 진출팀 3팀이 가려집니다 [32] 아롱이다롱이4699 22/04/10 4699 1
74128 [LOL] 주말에 무슨 큰일인가요? [117] itzy11464 22/04/10 11464 36
74127 [LOL] 2022 MSI 두번째 진출팀이 결정되었습니다 [2] FruitDealer7077 22/04/10 7077 1
74125 [스타1] ASL13의 우승자가 결정됐습니다(스포있음) [28] 김재규열사11169 22/04/09 11169 3
74124 [LOL] 클템 이현우 해설에 관한 논란에 대해. [194] 하얀수건18536 22/04/09 18536 22
74123 [LOL] 아시안게임 국대 후보군 루머 [345] roqur16905 22/04/09 1690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