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3/25 13:03:17
Name 카루오스
File #1 1bd3683a62f3585a2da84e1149b3e207.png (148.6 KB), Download : 3
Subject [LOL] 국가대표 선수 선발 4월, LoL 6인 로스터로 간다


국가대표 선수 선발 4월, LoL 6인 로스터로 간다https://m.inven.co.kr/webzine/wznews.php?idx=269896&iskin=esports
아시안게임 e스포츠 종목의 국가대표 선수 선발은 4월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와 이러면 진짜 로스터 짜기 빡빡하겠네요. 10인까지 기대하진 않았지만 7인정도일줄 알았는데 말입니다. 팀 배분이라던가 이런게 어떻게 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3/25 13:04
수정 아이콘
철권은 왜 없는걸까요?
코코볼
22/03/25 13:43
수정 아이콘
중국이 안하니까요..
아이는사랑입니다
22/03/25 13:48
수정 아이콘
중국 민속놀이 킹오브는 왜 빠진걸까요?
코코볼
22/03/25 13:52
수정 아이콘
15출시가 불과 한달전이니까요
이디야 콜드브루
22/03/25 13:05
수정 아이콘
롤 국대는 누가 뽑는거에요?
Your Star
22/03/25 13:05
수정 아이콘
와 6명 소수정예네.

그리고 ‘차출’ 이게 핵심인듯
로각좁
22/03/25 13:06
수정 아이콘
6인이면 기인 캐년+피넛 페이커 룰러 케리아 이게 정배인듯 합니다.
개인적인 욕심은 데프트+케리아 듀오를 한번 더 보고 싶긴한데...가능성은 낮을 듯
22/03/25 13:07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
22/03/25 13:08
수정 아이콘
캐년+오너가 정배로 보이는데요.
22/03/25 13:09
수정 아이콘
오너가 들어갈 경우 18년도 멤버인 피넛이 제외됨 + 티원 3명으로 팀별 밸런스 망가짐... 문제로 저도 피넛이 가능성 높지 않나 싶습니다.
로각좁
22/03/25 13:12
수정 아이콘
오너 선수가 두 선수에 비해 못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도박사들한테 누구 뽑힐지에 돈 걸라면 캐년+피넛에 걸지 않을까 라고 생각해서...
Your Star
22/03/25 13:08
수정 아이콘
저도 한표2
18아겜 인원 실력도 좋고 그때 가준 거랑 케리아, 캐니언 압도적이니까 4+2 딱 맞네요
타르튀프
22/03/25 1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여기에 한 표입니다.
솔직히 티원 5인+캐년은 티원팬의 희망사항인 것 같고 군 면제 기회 있는거 생각하면 한 클럽 전원을 출전시키는 건 구설수가 안 생기기 힘들어서, 꼬감 성격상 그렇게는 하지 않을 것 같네요. 뎊트는 어제 DRX가 광동에게 지는 바람에 매우 애매해진 것 같네요.
작은형
22/03/25 14:08
수정 아이콘
오히려 반대죠. 해당 아시안게임이 팀 일정에 지장을 주고, 섬머에 일정으로 인한 어드밴테이지를 주는게 힘들어서 각팀에서 차출하는걸로 협의했습니다만, 지난번 중국이 4rng 나온경우도 있었을만큼, 스프링우승팀에서 다수 출전하는게 우승을 위해서 무리가 없을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작은형
22/03/25 14:10
수정 아이콘
물론 개인적인 희망사항은 기인-캐년/피넛-페이커-데프트-케리아 인데 이건 그냥 제가 좋아하는 선수들을 적은거라 주관적이고 어떻게될지는 감독성향에 따라 갈릴것 같아요
러프윈드
22/03/25 13:46
수정 아이콘
오너 대신 피넛은 이해가 되는데
바텀듀오를 찢는건 리스크가 너무 클거같은데요

구마유시가 못갈이유가 하나도없어보이는데...
사이퍼
22/03/25 14:06
수정 아이콘
국제전 lck 경력 징계 여부 18아시안게임 등 굳이 따지면 룰러가 모든면에서 우위입니다.
러프윈드
22/03/25 15:20
수정 아이콘
실력 및 듀오의 합은 고려 안하시나요..?
룰러의 18 AG 참여경력은 확실히 우위인데요 구마유시도 징계받은적은 없습니다
요한나
22/03/25 15:39
수정 아이콘
징계 얘기는 왜 나오는지 모르겠는데다, 현 퍼스트팀 원딜이 당연히 최우선으로 고려되는게 너무나 당연해보이는데요.
마포구보안관
22/03/26 07:55
수정 아이콘
징계는 원딜들 다 없는데요..
아이폰텐
22/03/25 14:36
수정 아이콘
룰러가 결승 이기면 뭐 할말 없긴하죠
러프윈드
22/03/25 15:18
수정 아이콘
결승하고 뽑는거면 결승전을 국대승선 단두대매치로!
회전목마
22/03/25 13:06
수정 아이콘
팀배분은 안할것같아요
거의가 1~2년 계약이라서
야구나 축구 이런종목보단?
22/03/25 13:06
수정 아이콘
기캐페룰케 + 피넛이겠네요
그런데 또 뚜겅은 열어봐야..
강나라
22/03/25 13:07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 피눈물
린 슈바르처
22/03/25 13:07
수정 아이콘
너무 빡빡하네요.. 병역면제때문에 그런가..
대법관
22/03/25 13:07
수정 아이콘
팀팬의 입장을 떠나 18년도 멤버들은 하자가 없다면 무조건 승선시켜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스덕선생
22/03/25 13:09
수정 아이콘
?? : 다들 나를 그리워하는줄 몰랐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Lcs NA 명예도 지키겠다
타르튀프
22/03/25 13:11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동의하는게, 18년도에는 아무런 혜택도 없었는데 일정 차질 생기는거 다 감수하고 국가를 위해 나간거라 가산점 줘야 한다고 봅니다.
Arcturus
22/03/25 13:14
수정 아이콘
메리트도 없는데 국대라는 자부심 하나로 갔었고

지금 거의 대부분이 폼 좋은 현역이라
안해줄 이유가 없죠..

아마 기인 피넛 페이커 룰러 무조건이라고 봅니다
랜슬롯
22/03/25 13:5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또 그렇긴하네요. 심지어 여기다가 다 여전히 잘하는 사람들이니 -_-
22/03/25 14:05
수정 아이콘
얻는건 하나도 없이가서 닭발 맨빵 먹으면서 고생은 고생대로 다하고
결승 졌다고 욕은 욕대로 쳐먹고
다시마두장
22/03/25 14:26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18년도 그 멤버들이 모두 건재한 상황이군요.
- 북미로 떠난 코장을 케리아로 대체
- 식스맨 멤버에 스코어 대신 캐니언

깔끔하게 떨어지네요.
LeCorbusier
22/03/25 14:5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당시에 선발된 선수들보다 커리어나 폼이 좋던 여러선수들도 국가대표에 대한 의지를 공공연하게 밝혔습니다.
선발된 선수들의 고생한 부분 감사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에 무조건 승선으로 보상하는 건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당시에 팀배분으로 인해서 승선하지 못한 선수들이 무조건 사명감이 떨어진다고 보는 건 어불성설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lck 최고 베테랑 2명 중 1명인 데프트도 당시 유력한 선발 후보 중 1명이었고 워크에식은 두말하면 잔소리인 선수죠.
18년도 기준으로 보면 가장 솔리드하게 폼 좋은 한체원이었는데 다소 억울할 수 있다고 봅니다.
대법관
22/03/25 15:48
수정 아이콘
일단 제가 말한 하자는 실력의 문제인데, 당장 18년도 멤버 전원이 이번 올프로에 승선할 정도로 폼이 좋습니다. 저도 18년 아시안게임에 빠진 선수들의 사명감이 모자라다고 생각은 안하지만, 참여한 사람에게 아주 높은 점수의 가산점은 무조건 줘야한다고 봅니다. 폼이 폐급이면 이런 생각을 하지도 않았죠.
LeCorbusier
22/03/25 23: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선발과 관련한 기사에서 국제대회를 본다고만 언급했지, 무조건 아시안게임에 가산점을 준다고 표현된 문구는 일절 없습니다. 아겜도 여러 국제대회의 하나로써 사명감 측면에서 고려사항 중 하나라고는 봅니다만, “무조건, 아주 높은 가산점”을 줘야한다는 건 동의하기 힘듭니다.

당시 국가대표라는 명예로운 자리에 기꺼이 뛰고자 했으나 팀배분 때문에 밀려난 선수들이 있었습니다. 18스프링 기준으로 lck경력이 일천한 선수나 올프로에 들기 힘든 선수들도 포함되었죠. 물론 팀배분 측면에서 형평성 있다는 평이 자자했고, 선발된 선수들은 모두 충분히 훌륭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22아겜과 같은 선발기준을 적용시켰으면 후순위로 밀려날 선수가 절반은 되었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실상 msi,월즈,리프트 라이벌즈 등도 모두 국가대항전의 성격이 강합니다. 실제로 못하면 매국노 소리 듣기 일쑤고..:또 선발기준에서 lck 선수가 타리그 선수보다 선발에 유리하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봅니다. 한국의 리그에서 한국팀 소속으로 나간 대회를 중시했다고 생각합니다.

흠..어쨌든 아시안 게임의 취지가 뭐고, 형평성이 정확히 뭔지 저는 잘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이번에 군면제가 걸려 있지 않았더라도 “국가대표”라는 영광스런 타이틀을 얻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지원할 좋은 선수들이 많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올프로에 든 모든 선수들 그리고 올프로가 아니더라도 몇몇 선수들도 충분히 자격은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공정한 기회가 주어졌으면 합니다.
LeCorbusier
22/03/26 23:49
수정 아이콘
커뮤를 돌다가 발견한 글이라 추가합니다.
팀 배분에 밀린 선수들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https://m.fmkorea.com/4465207545

[제가 평생 살면서 언제 나라의 태극기 한번 달아보겠습니까? 국가가 부르면 어디든지 갑니다. 정말 좋을 것 같은데…혜택 없어도 가고 싶어요. 진짜 가고 싶어요. 욕 먹어도 가고 싶어요. ]
해달사랑
22/03/26 00:07
수정 아이콘
아니죠
마포구보안관
22/03/26 07:57
수정 아이콘
4년이나 지났는데 그간의 기량 변동 감안해야죠.. 롤판에서 4년 이상 기량유지가 쉽나요
22/03/25 13:08
수정 아이콘
어마어마하게 빡빡하네요. 아쉬운 선수들 많겠어요
22/03/25 13:09
수정 아이콘
6명빼고 다아쉽죠. 다미필인데
윈드워커
22/03/25 13:11
수정 아이콘
18아겜 어드밴티지까지 가산하면 기인-캐니언+피넛-페이커-룰러-케리아가 확률 높아보이네요.
slo starer
22/03/25 13:11
수정 아이콘
폼에 큰 문제가 없다면 18년 맴버로 꾸리는게 가장 무난한 선발이 될듯
MegaDrive
22/03/25 13:11
수정 아이콘
팀별 할당제 얘기도 없는데 실력+합으로 가야지요. 스프링 티원 우승한다면 티원에서 3+가도 아무 문제 없다고 봅니다.
22/03/25 13:14
수정 아이콘
티원에선 페이커 케리아 빼고 딱히 메인으로 뽑힐 선수는 없죠. 기준이 실력으로만 정해져 있는건 아니라서
MegaDrive
22/03/25 13:15
수정 아이콘
시즌 퍼스트에 결승 우승한다면 구마유시를 안뽑으면 이상한거죠.
바텀 합을 고려한다면 더더욱
22/03/25 13:16
수정 아이콘
그 친구는 3년 내내 구설수에 휘말렸고 국제대회 경험이나 경력에서 룰러, 데프트에 비해 한참 밀려서 전 애매하다고 봅니다.
MegaDrive
22/03/25 13:19
수정 아이콘
지난 아시안게임에서 룰코 조합이 범인 수준으로 몰렸던걸 생각하면 경력이 장점인지 의문이고 구설수라고 해봐야 당시에나 티원이 언제나 논란의 중심이라 난리 였던거지 타스포츠에 비하면 논란거리도 안될수준입니다. 범죄가 있는것도 아니고 일베를 한것도 아닌데 넘쳐나는 솔랭에서 트롤 좀 한게 차출이 한참 밀릴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22/03/25 13:27
수정 아이콘
비매너행위 및 채팅기록이 있냐없냐가 이미 기준인데 님이 밀릴정도는 아니고 뭐고를 왜 하세요... 구룰데가 올프로에 들었다는건 실력에서 큰차이가 없다는거고 그럼 경력, 사명감, 도덕성의 기준으로 갈릴텐데 구마유시가 무슨 당연한거처럼 말하시나요.

그리고 자기 팀 출신 사람들한테 트롤하고 입턴게, 그것도 세번이나 그것도 똑같은 사람한테 두 번, 별거 아닌가요? 지금이야 정신차리고 잘하던말던 과거 행위가 없어지는건 아니죠. 이런거 선발할 때 다 업보로 돌아오는거 아니겠어요? 다른 선수들은 못해서 트롤안하고 채팅 안쳤을까요??
MegaDrive
22/03/25 13:32
수정 아이콘
당연하다 한적 없습니다. 처음부터 우승한다면이라고 단초를 달았고 그러면 바텀 특성상 세트로 가는게 더 나은게 당연한거죠.
그리고 여전히 구마유시가 뭐 대단히 큰잘못 한거처럼 얘기하는데 다시 봐도 제기준에선 대단한 일이 아니에요. 국대 잘만 나가는 다른 스포츠에 비하면 굳이 차별받아야 할 만큼 큰일이 아닙니다.
마카롱
22/03/25 13:26
수정 아이콘
3년 내내요?
설마 트래쉬토크 한 것도 구설수라고 하시는건 아니겠죠
22/03/25 13:30
수정 아이콘
피레안 트할이랑만 해도 세번 아닌가요? 이미 도덕성에서 문제가 있다고 충분히 생각할만 한데요?
마카롱
22/03/25 13:33
수정 아이콘
대표 선발에 대해서는 제가 알지도 못하는데 누가 된다 평가도 안했고, 누가 뽑히던 전 아무말 안할랍니다.
근데 말도 안되는 왜곡에 대해서는 한마디 하고 싶네요.
세번이 삼년 내내입니까?
22/03/25 13:37
수정 아이콘
3년 연속 해마다 한건씩 해줬으니 삼년 내내라고 한 표현입니다. 그 표현이 뭐가 그렇게 중요하다고...
애플리본
22/03/25 13:40
수정 아이콘
해마다 1건 3년이랑 삼년 내내는 엄청난 차이가 있죠. 아예 내용이 달라지는데 당연히 중요하죠.
도라지
22/03/25 13:41
수정 아이콘
뭐 뉘앙스에 따라 다르긴 하죠.
룰러가 아시안게임 시범경기 나가서 부진했는데, 그거가지고 룰러는 국가대표만 나가면 부진하더라 라고하면 맞는말인건가요?
마카롱
22/03/25 13:44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에 대한 페이커의 경고성 발언이 이미 1년이 넘었어요. 네 이미 일년이 지났습니다.
22/03/25 15:10
수정 아이콘
실력만으로 메인뽑으면 캐니언 오너 경합일뿐 무조건 티원 전원이 정배아닌가요? 전승하고도 이런소리를 듣다니 참
절대불멸마수
22/03/25 18:21
수정 아이콘
서머 +29에 롤드컵우승한 고스트가 세체원취급못받는것보면..
상하이드래곤즈
22/03/25 19:26
수정 아이콘
세체원 취급만 못 받았지 결국 당시 담원은 ‘고스트가 마지막 퍼즐’이라는 평이 대부분이었죠.
그만큼 합이 중요하다는 얘기도 되겠네요
절대불멸마수
22/03/25 19:40
수정 아이콘
마지막 퍼즐 이란 말 자체가 세체보다는 낮은 평가같아서요.

저는 고스트선수 엄청 잘했다고 생각하고, 지금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자격이 있는 선수라고 생각하는데 (바텀듀오 바뀌면서 옆그레이드 소리들은건 폄하..라고 생각합니다.)

오너선수도 들어오고나서 날아올랐으니 마지막퍼즐 느낌도 좀 나고, 제생각엔 고스트의 업적 >>> 오늘까지 오너가 쌓은업적 인데,
오너가 받는 대접이 유별나게 억울할정도는 아니라는 의미였습니다.
상하이드래곤즈
22/03/25 20:00
수정 아이콘
세체니 뭐니 따지는 것보다 5명의 합이 맞는게
더 중요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말씀하신 바에는 충분히 동의합니다.
뒤늦게 원댓글 글쓴이 확인하고나니
괜히 절대불멸마수님에게 댓글 단 거 같아요;;
저분 어그로인데 낚인 듯 ㅠㅜ
타르튀프
22/03/25 13: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티원이 현 폼 최강인 건 맞는데, 선발 기준에 대놓고 LCK 기여도와 다른 정성적인 요소들(인성)이 포함돼 있어서, 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서 어려울 것 같네요. 꼬감이 논란 생기는거 싫어하는 스타일이기도 하고.
22/03/25 13:12
수정 아이콘
기인 캐년 페이커 케리아까진 확정인거 같고,,, 룰or데 + 서브를 어느 라인에서 데려갈지
로각좁
22/03/25 13:13
수정 아이콘
꼬감이면 서브 정글에서 데려가지 않을까요?
22/03/25 13:18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서브는 정글이려나요... 그럼 피넛 아니면 오너라는 건데... 기준 상 피넛이 더 적합한거 같은데 모르겠네요
애플리본
22/03/25 13:13
수정 아이콘
기or제 캐 페구케에 서브 오너 예상합니다. 기든 제든 서브는 정글러일 듯.
22/03/25 13:13
수정 아이콘
최대한 잡음 안나는 방향으로 잘 선정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림자명사수
22/03/25 17:17
수정 아이콘
어떻게 뽑아도 잡음은 생길것입니다...
스덕선생
22/03/25 13:14
수정 아이콘
올프로팀에 가산점 + 플옵 경기력으로 큰 경기에 대한 증명 정도가 적당하다고 봅니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데프트는 아쉽겠지만 룰러나 구마유시가 바텀차로 패하는게 아닌 이상 후보권에서 좀 밀렸다고 봅니다.

퍼스트팀인 제 캐 페 구 케에서 캐 페 케는 유력하고 탑 원딜 경쟁이 있겠죠.
김치와라면
22/03/25 13:14
수정 아이콘
1위팀 2명, 2위팀 2명, 3위팀 1명, 그외 팀 1명 갑시다
22/03/25 13:15
수정 아이콘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 + 피넛
이 아니면 잡음이 엄청 엄청 많을텐데요. 쵸비가 너무 아쉽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강한 팀을 꼽으라면
기인 캐니언 쵸비 구마유시 케리아 + @ 라고 생각합니다
타르튀프
22/03/25 13:22
수정 아이콘
쵸비는 아직 어리니까 다음을 기약해야죠. 저도 쵸비 정말 좋아하는 선수고 팬이지만 아직 페이커가 건재해서 어려울 것 같네요.
22/03/25 13:25
수정 아이콘
그쵸 결국 성적으로 증명해야 하고 그럴만한 밸류가 충분한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버거킹맘터
22/03/25 13:47
수정 아이콘
결승까지 다 보고 선발 할 것 같은데
젠지가 우승하거나 아니면 우승못하더라도 쵸비가 페이커 상대로 우위 또는 압도하면 쵸비 선발로 여론이 바뀔테니
아모른직다라고 봅니다.
마포구보안관
22/03/25 13:16
수정 아이콘
18년 어드밴테이지 얘기는 없는 것 같은데 제가 잘못 본건가요..
스덕선생
22/03/25 13:17
수정 아이콘
딱히 이야기가 없긴 한데 기성스포츠에선 비슷한 조건이면 국대경력을 중시하긴 합니다. 아무래도 큰 대회 경험 문제와 연결되기도 하고요.
타르튀프
22/03/25 13:23
수정 아이콘
LCK 기여도에 충분히 포함된다고 생각하고, 어차피 지금 거론되는 선수들 모두 실력 한 끗 차이인데 국가를 위해 봉사했던 선수들에게 가산점 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Uncertainty
22/03/25 13:16
수정 아이콘
기페구케에 넛+오냐 넛+캐냐겠네요.
Dončić
22/03/25 13:16
수정 아이콘
피넛 제발...
22/03/25 13:17
수정 아이콘
팀 배분이 굳이 필요한가 싶네요. 위에 언급하신 분들 말씀처럼 롤은 길어야 2년 계약인데 야구나 축구와는 다르게 봐야 할 것 같아요.
페이커,구마유시,케리아는 폼으로 봐도 무조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죠.
제우스랑 오너가 좀 안타깝긴 하네요.
22/03/25 13:19
수정 아이콘
팬들끼리 설레발 치기 전에 선발기준이 명확하게 재공지 되어야 견적이 나올듯

우승시킬수 있는 확률만 따지면

제우스 - 캐니언 - 페이커 - 구마유시 - 케리아 + (오너 or 쵸비)

국대가산점, 기여도 등등등 따지기 시작하면

기인 - 캐니언 - 페이커 - 룰러 - 케리아 + (피넛 or 오너)

쵸비가 좀 제일 불쌍하긴 하네요. 7인이면 무조건 들어갈텐데 하필 6인이라. 뭐 그렇게 따지면 2년동안 쇼메이커가 LCK 평정 했는데 올시즌 못했다고 빠지는 것도 억울할법 하지만
League of Legend
22/03/25 13:1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바텀듀오가 따로 선발되었을때 어떤 모습을 보여줄 지 궁금하네요. 어떤 선수들이 선발될지는 모르겠지만 정식 종목으로 채택이 된 만큼 '진짜' 첫 우승은 한국 국가대표팀이 쟁취했으면 좋겠습니다.
아이는사랑입니다
22/03/25 13:22
수정 아이콘
이러면 그냥 스프링 우승팀 보내는게 뒷말이 가장 덜 나오겠네요
22/03/25 13:23
수정 아이콘
극단적이긴 한데 광동이 우승해서 광동 5명 뽑아버리면 엄청 논란이 일겠죠..
스덕선생
22/03/25 13:24
수정 아이콘
사실 T1우승이 정배에 젠지가 그 다음으로 유력이라 나름 5명이 다 괜찮아 보여서 그렇지

언더독 우승 나와서 버돌이나 엘림이 국대라고 하면 뒷목깨나 잡을겁니다 크크
강나라
22/03/25 13:24
수정 아이콘
사실 한국보다는 중국 대표팀이 어떻게 뽑힐지가 궁금하네요. 예전처럼 RNG 중심팀 나오기도 힘들어 보이고 나온다 하더라도 한국보다 약해보이고요.
엑스텐션
22/03/25 13:24
수정 아이콘
근데 6인이면 다들 2정글러 예상하시는데 저만 미드에 써서 페이커+쵸비가 좋아보이나요? 캐니언이 육각형정글인데 교체할 일도 없어보이고 특히 피넛이 가면 깍두기된다고 봅니다. 오너가 가면 같은팀 미드정글이니 지고있을때 혹시 투입될지몰라도 피넛이면 나갈일없을거 같음 페이커도 올시즌 퍼스트지만 쵸비가 강점인 부분도 있다고 보고 미드원딜이 그나마 선수마다 장단점있으니 서브둘만 하고 정글은 굳이 두명뽑을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22/03/25 13:25
수정 아이콘
아시안게임이 당장 다음달에 하는것도 아니고, 메타 바뀔때마다 제일 변화가 큰 부분이 정글이라 그렇죠

만에 하나 또 모르가나 럼블같은 메타 오면??
Bronx Bombers
22/03/25 13:27
수정 아이콘
정글러가 가장 메타빨을 많이 받는 라인이라 서브 데려간다면 정글러가 가장 안전하긴 합니다. 지금 다른 라인은 챔프 폭이나 메타빨로 지적 받는 선수가 없다시피 해서
소믈리에
22/03/25 14:16
수정 아이콘
MSI 버전으로
럼블 모르가나 패치가 되기 시작하는데...
다시마두장
22/03/25 14:28
수정 아이콘
갑자기 작년처럼 캐니언 죽이기 메타가 도래해버릴수도 있으니까요 ㅠ
반니스텔루이
22/03/25 13:24
수정 아이콘
오너도 참 폼이 좋은데
퍼스트 선정에도 밀리고 (캐니언) 국대 선발 경력 (피넛)도 밀리고 피눈물 나겠네요..
니하트
22/03/25 13:25
수정 아이콘
말 나올때부터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 주장했는데 진짜 그렇게 될것같네요
League of Legend
22/03/25 13:26
수정 아이콘
작년 말인가 올해 초인가 아시안게임 로스터 구상 관련해서, 18년도에 중국이 거의 하나의 팀에서 대부분 데려온 것 때문에 이번에는 그 부분에 대해서 확실히 하고 로스터를 정한다는 것 같아서, 그 부분에 대한 언급이 빠져있다는건 아직 합의가 안되었거나 밝히기 어렵다는 것 같네요.

한 팀에서 대부분 차출이 불가하다고 합의를 봤더라도 3명까지는 참가할 수 있지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고 2명까지만 가능하다면 중국 측이 더 유리할 수 있다고 봅니다. 바텀듀오를 확실하게 뽑을 수 있는 중국과 그러기에는 팀 분배를 해야하는 한국..
22/03/25 13:27
수정 아이콘
주전: 제우스 캐니언 페이커 구마유시 케리아 (퍼스트 그대로)
서브: 기인 or 오너 or 쵸비 or 룰러 or 피넛 or 베릴
팀당 인원제한 둘 필요 없죠. 매년 이적 많이 하는데요 뭐.
플옵에서 큰 변화 없다면 퍼스트 멤버 그대로 가고 서브로 기인(탑 세컨+18년도 국대 가산점), 오너 (정글 세컨), 쵸비(미드 세컨), 피넛 (정글 써드 + 18년도 국대 가산점), 룰러 (바텀 세컨 + 18년도 국대 가산점) + 베릴 (서폿 세컨) 중에 하나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서브 정하기가 어려울 듯요. 저라면 포지션 특성 + 18년도 국대 가산점으로 피넛 데려갈 듯 합니다.
스띠네
22/03/25 13:27
수정 아이콘
걍 원딜 누가 가냐만 쟁점이 될 것 같습니다. 나머지 라인은 그냥 정답이 있는 문제같아서
EpicSide
22/03/25 13:28
수정 아이콘
오너도 아직 확실히는 모른다고 봅니다 이후 준결승, 결승에서 미친 폼 보여주면서 원맨캐리 보여주면 충분히 가능할 듯.... 특히 캐년 혹은 피넛을 상대 할 때 브론즈도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 확실하게 정글차이 보여준다면...... 여튼 스프링 결승 끝날 때 까지는 아모른직다.....
묻고 더블로 가!
22/03/25 13:28
수정 아이콘
6명이면 기캐피페케는 고정이고
국대경력자 룰러와 케리아 파트너 구마유시의 싸움 같네요
묵리이장
22/03/25 13:32
수정 아이콘
사실 경력이 뭐가 중요한가 싶습니다. 현 시점에서 제일 잘하는 사람으로 뽑아야죠.
데프트는 4강 못가서 아마 안될거 같고..
기인은 4강 들었으니 될 듯 합니다.

기인 - 우승팀 정글러 - 페이커, 쵸비 - 우승팀 원딜 - 케리아
정도가 괜찮을 듯 합니다.
교자만두
22/03/25 13:33
수정 아이콘
국대에 경력이 뭔필요가있는지.. 우승가능성을 최우선으로 높게 가야죠.
기. 캐 .페 .구 .캐 에다가 오너/피넛 정도되겠네요.
22/03/25 13:36
수정 아이콘
우승가능성을 최우선으로 보면 스프링 우승팀이 가야죠..
교자만두
22/03/25 13:40
수정 아이콘
저도그렇게생각하긴 합니다..
22/03/25 14:30
수정 아이콘
아겜이 4월에 열리는 거면 모를까, 대회 시기(9월 중순)를 감안해보면 스프링 우승팀이 가는게 무조건 맞는지도 사실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 같긴 합니다. 그리고 우승가능성이 높으려면 우승팀이 그대로 가는게 맞다라는 얘기도 사실 의문인 것이, (어디까지나 가정 하에) 젠지나 담원이 만약 우승한다고 해도 우승팀이 그대로 가는게 센지, 케리아나 기인 같은 선수가 리헨즈나 버돌 대신 가는게 우승가능성이 높은지 생각해보면... 좀더 포지션별 밸런스가 뛰어난 T1도 크게 맥락은 다르지 않을 것 같구요
로각좁
22/03/25 13:37
수정 아이콘
국대는 말 그대로 국가를 대표하는거라 실력외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좀 있는 편이죠
22/03/25 13:35
수정 아이콘
6명은 너무 적군요... 아쉽
22/03/25 13:36
수정 아이콘
우승팀이 제일 강한팀이지만 지금까진 T1+캐니언이 올 퍼스트에 가장 세보임...
이정재
22/03/25 13:42
수정 아이콘
6인이면 그냥 18 4인에 캐니언 케리아일듯
올해는다르다
22/03/25 13:42
수정 아이콘
경력이 길다는건 다양한 상황에서 견적을 낼 수 있다는 얘기죠.

예컨대 선수 평가를 이런식으로 매긴다고 칩시다

기인 : 큰무대 5 스플릿 6 탱커 5 브루저 5 짤챔 6 ap 5
제우스 : 큰무대 ? 스플릿 ? 탱커 ? 브루저 5 짤챔 6 ap ?

캐니언 : 탱커 4 브루저 6 성장형 7 ap 3
오너 : 탱커 ? 브루저 6 성장형 5 ap ?
피넛 : 탱커 5 브루저 5 성장형 5 ap 5

숫자의 정확성을 좀 별론으로 하고, ?표가 많은 선수들을 국대로 넣는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 고전파도 13올스타는 못 갔어요.
애플리본
22/03/25 13:48
수정 아이콘
그건 그냥 당시 페이커는 이름값에서 앰비션에게 밀려서 그랬던거죠. 아무리 페이커라도 그때 올스타 당시 13 스프링에 처음 출전중이었는데 올스타에 뽑히는게 이상합...

제우스가 큰무대 경험이 없어서 밀릴 수는 있는데 메타 챔피언 폭은 크게 차이나나? 싶긴 하죠. 뭐 저도 기인이 정배라고 봅니다. 오너도 마찬가지구요.
은때까치
22/03/25 14:47
수정 아이콘
오 저도 여기에 동의합니다
55만루홈런
22/03/25 17:39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제대로 뜬게 제드제드 이후 롤드컵 우승이지 13올스타땐 유망주포지션이었죠 암만 앰비션솔킬따도 앰비션이 가야 크크
피우피우
22/03/25 22:59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캐니언이 럼블 모르가나 메타에서 빌빌댈 줄 누가 알았겠어요.
저 ?는 진짜 긁어봐야, 그리고 길게 보고 평균내봐야 정확해지는 거라 경력짧은 선수들 많이 넣기는 어려울 거라고 봅니다.
린 슈바르처
22/03/25 13:44
수정 아이콘
로스터 발표는 언제인가요?
우승팀 정확히 나오고 로스터 발표하는게 나을 거 같은데... 안그러면 서로 감정싸움 + 우승팀 나온 이후 우롱싸움일 듯..
다레니안
22/03/25 13:44
수정 아이콘
팀 당 인원제한을 두는건 병역혜택을 나누자는 의도가 아니라 손해를 나누자는 목적입니다.
대회기간인 15일은 물론 대회 전 연습에도 꾸준히 참여해야할테니까요.
최악의 경우 우승도 못하고 심지어 차출된 선수가 컨디션까지 떨어져서 돌아와서 롤드컵 선발전에 영향을 미친다…? 어우….
패스파인더
22/03/25 13:46
수정 아이콘
기인 그라가스 어제 너무 멋있더라고요
경기는 자주 안보지만 폼은 그대로인 것 같습니다
성큼걸이
22/03/25 13:47
수정 아이콘
팀당 최대 2명이 확실한가요? 그렇다는게 거의 정설처럼 퍼져있던데 오피셜은 없는거같아서
지난 아시안게임에서 보상없이 자원해서 뛴 선수들한테 가산점 붙는다는 얘기도 있던데
종합적으로 모든 요소를 고려하면
기인 캐니언 페이커 케리아는 확정적이어 보이고,
원딜의 경우 현 실력은 구마유시가 제일 나으나 팀당 2명 TO에 걸리는게 문제죠.
그렇다면 데프트나 룰러인데, 이전 대회 가산점을 생각하면 룰러가 뽑힐 것 같기도 하네요. 다만 금메달 획득에 최대의 난적일 중국팀에 데프트는 강하고, 룰러는 약하다는게 걸리긴 합니다만...
남은건 서브 티오 하나인데,
실력이야 두말하면 잔소리고 여차하면 탑스왑까지 가능한 쵸비
저번 아시안게임 가산점이 있고 캐니언과는 다른 느낌의 정글러인 피넛 중 하나가 선택되지 싶네요
피지알 안 합니다
22/03/25 18:30
수정 아이콘
안 확실합니다. 그냥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시범종목으로 참가할 때 차출 방법으로 생각하는 거죠. 그때는 한 팀 몰빵하면 팀 일정상 손해니까. 그냥 상위권 순위대로 팀 당 1명씩 뽑자고 합의된 거예요. 2명인 이유는 당시에 바텀듀오만 세트로 뽑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번엔 정식종목이고 군면제 포함 메달 혜택도 있는데 사정이 전혀 다르죠. 당장 조마시도 아시안게임 차출 상관없다고 공언했고요. 구단주가 저렇게 말했는데 가능성은 낮지만 극단적으로 5명 그대로 데리고 가도 될 거 같네요.

일단 선수 선발은 김정균 감독 + 협회 담당자들이 뽑을 거 같습니다만
22/03/25 13:47
수정 아이콘
우승으로만 따지면 t1+캐니언 일거같긴한데 밸런스답으면 기캐페구or룰케아닐까시프요
22/03/25 13: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경력이 뭔 대수냐 얘기가 많은데, 사실 리그보다 더 보수적인게 국대선발이고 그게 그냥 꼰대짓은 아니긴 하죠.
그렇게 실력이외의 요소에 너무 집착하다가 세대교체 못하고 패망하는경우도 있지만, 18아시안게임 선수들이 리그에서 그렇게 망도 아니고..
그리고 국대얘기만이 아니라 결국 큰경기 경험을 얘기하는거니까요.

개인적으로는 팀합 문제를 너무 높게보면 그냥 닥치고 같은팀 보내야겠지만 전 그정도로 중요한 문제는 아니라고 보고요.
다만 바텀은 합이라는게 라인전 클래스로 연결되는 문제라고 봐서 좀 갈라지는게 애매하다 싶긴 합니다.

그래서 구마유시는 큰경기경험 미지수인게 마이너스, 케리아와의 팁합이나 궁합문제가 플러스. 룰러는 반대.
둘다 겪어보기전에는 알수없는 꽤 큰 리스크가 있다고 봐요.
구마유시 넣어도 좋고 룰러 넣어도 좋은 정도..구마유시가 탑, 정글, 미드로 비슷한 모습이었으면 퍼스트고 자시고 구설수 제외하고라도 반대였음
밀크카밀
22/03/25 13:49
수정 아이콘
코로나 걱정도 있고 내부 스크림이라도 하라고 10인 로스터 바랐는데 6인은 너무 적다 ㅠ
러프윈드
22/03/25 13:52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는 PGR에서 이미지가 진짜 너무 안좋네요

한창 데프트 잘나갈땐 데프트에밀려서 안된다 (그때 데프트>룰러인 이유는 케리아와의 호흡이었죠)
이제는 룰러한테 밀려서 안된다고 하네요

AG 경험이나 LCK 공헌도를 생각해서 제우스, 구마유시 대신 기인 룰러가 가는거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만, 봇듀오를 갈라놓는건 매우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는데요,
퍼스트팀원딜이고 리그넘버원 바텀듀오인데 왠만하면 같이가는게 맞지 않을까...

그리고 구마유시가 구설수때문에 못가는건 야구 AG멤버만 봐도 말이 안되죠
22/03/25 15:32
수정 아이콘
팀 이름 달고 솔랭에서 상습적으로 입으로 똥싸던 구마유시 이미지가, 적어도 타팀팬들한테 좋은게 더 이상한게 아닌가요?
t1 성골 유스 아니었으면 훨씬 더 안좋았을겁니다
아이폰텐
22/03/25 18:50
수정 아이콘
늘 쓰는 댓글인데 오재원같은 선수죠 크크
팀빠는 미치게하고 타팀팬은 좋아할수 없는
이선화
22/03/25 15:51
수정 아이콘
금지약물 도핑 걸린 선수도 승선하는 게 야구긴 하죠 머...
1등급 저지방 우유
22/03/25 15:55
수정 아이콘
제 기준엔 칸 같은 악동 이미지가 좀 있긴합니다
잘한다...이걸 부인하고 싶지는 않구요
페이커가 속한 티원의 멤버니까 관심가는거구요

만약 비슷한 실력의 대체자가 있으면 그 선수를 쓰고 싶죠
압도적인 실력이라면 당연히 구마유시가 뽑혀야 하구요
쿼터파운더치즈
22/03/25 13:52
수정 아이콘
기인 캐년 페이커 룰러 케리아 피넛 라인업에 100원 겁니다
Rorschach
22/03/25 13:52
수정 아이콘
전반적인 의견이
캐니언-페이커-케리아는 뭐 그냥 확정.
기인 유력이지만 제우스도 가능성은 있지않을까?
룰러와 구마유시 중에서 누가?
서브는 정글 가능성이 높은데 피넛?오너?
이정도로 수렴하네요.

그런데 18아겜 고려안해도 원딜 빼고는 기캐페케에 피넛 서브가 정배 같긴 합니다.
22/03/25 13:55
수정 아이콘
야구처럼 최소 몇 년은 한 팀에 있어야 한다거나, FA 계약을 4년 5년씩 박는 것도 아니고 올해 우승해서 병역 혜택 받은 선수가 아겜 끝나고 서너달 후면 그 소속팀에 있을지 다른 팀을 갈지 알 수 없는 종목에서, 팀 형평성 같은게 왜 나오나요? 티원 팬이긴 하지만, 젠지가 우승해서 젠지 5인이 가는게 제일 금메달 가능성이 높다 하면 그냥 그렇게 가면 되는거지, 팀 형평성은 종목 특성이랑 전혀 맞지 않는 말 같네요.
작은형
22/03/25 14:24
수정 아이콘
저도 사실 이의견에 가장 공감합니다만, 지난 아시안게임에서 섬머에 일정 어드벤테이지를 못주는걸로 합의가 되어서 그냥 각팀에서 한명씩 차출한 것으로 알고있어요. 이번에도 어드밴테이지를 못준다면 구단에서 결정할 문제 아닐까요
처음이란
22/03/26 11:34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이유로 티원이우승해서 티원선수가 다가도 그리고우승해도 그게티원팀에게 좋을지는 미지수라고봐요.진짜빈번하게 선수가바뀌는데.. 그래서 앞으로지속될 룰만정해지고 나면 어떻게보내는지는 큰상관없습니다.다나름의 합리적이유는있다고봐서. 근데지금부터 티원5보내자는분들은 좀 이해는안가요. 딴팀우승해서 페이커 못간다고하면 가만 있을분들은 아닐거같아어
22/03/25 13:58
수정 아이콘
[사명감과 기여도 측정도 흥미로운 요소다. 국가관과 사명감은 국제대회 참가경험이 주된 평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기여도는 리그오브레전드의 경우, LCK 참가 기간이 가산점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게임이나 팀내 도덕성과 책임감도 고려된다. 다시 말해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보다는 국내 활동 선수가 유리하고, 비매너 채팅이나 연습 무단이탈은 선발에 불리하게 적용된다는 뜻이다. 선수들도 이를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비슷한 수준이면 18 아겜 멤버 가산 있음
LCK 참가 기간 가산점 있음
비매너 채팅등으로 인한 징계는 감점 있음.

고려하면 기인 - 캐니언/피넛 - 페이커 - 룰러 - 케리아가 확률은 가장 높을거 같다는 생각은 드네요.
안철수
22/03/25 14:05
수정 아이콘
이 규정 때문에 제우스 구마유시 어쩌면 오너까지 힘들거 같아요.
셋다 lck 경력이 짧아도 너무 짧아요.
22/03/25 14:12
수정 아이콘
lck 참가기간은 그냥 타리그 간 선수들 얘기일 것 같은데..
아이코어
22/03/25 13:59
수정 아이콘
수명짧은 롤판에서 4년전 국대였던 선수들이
4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국대해도 될 정도로 폼을 유지하고 있는걸 보면
확실히 클래스있는 선수들은 다르긴하네요
22/03/25 14: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그내 부정행위, 탈주급의 프로자질 의심행위까진 아니었어서 구마유시가 뽑혀도 상관없다는 입장이지만 안 뽑힐거라 생각합니다.
여론상 모두가 납득할 선수두고 갑론을박하며 투기장 만들 리스크를 감독이 질리가 없죠.
이번 일을 계기로 프로지망생들이 평소 행실의 중요성도 느꼈으면 좋겠고요.
마포구보안관
22/03/25 14:03
수정 아이콘
Lck 리그 내에 징계나 법적으로 물의를 일으킨게 아니라면 물의로 보기는 좀 어렵죠 음주운전 같은 명백한 사회적 사고면 몰라도.. 비매너 채팅으로 징계를 받았으면 그건 적용을 해야 마땅하고요
객관적으로 나온 뭔가가 없는데 그냥 개인적으로 아니꼽다고 물의라고 뭉뚱그리는건 너무 주관적입니다
리그 내 징계여부로 따진다 해도 도란 솔랭으로 징계보면 객관적인지 믿음도 안가고..
아니아니
22/03/25 14:03
수정 아이콘
지금이라도 스프링 우승팀이 간다고 딱 말해주면 좋겠네요. 유력 후보들은 아직 다 남아있으니까요.
쿼터파운더치즈
22/03/25 14:04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는 개인적으로 팀팬들이 자기 선수들 보내달라하는것도 조금 신기하긴 하네요
저야 당연히 팀팬 아니고 LCK 응원하니 국가 대표해서 나가는거 잘했으면 좋겠습니다만
아시안게임 9월중에 하고 쉴 틈 없이 바로 롤드컵에 연습기간 지장받고 혹여나 중국팀에 지면 모든면에서 손해 극심하거든요...
18 아시안게임 한국국대 뿐 아니라 중국 국대도 롤드컵 다 말아먹었죠 한국 중국 대만 18명 전부 기대치에 비해 다 실패했어요 근데 그때보다 타이밍이 더 늦은 9월중이니...
대법관
22/03/25 14:07
수정 아이콘
왜냐면 4년 전과 달리 가고싶다는 선수들이 절대다수라서 그렇죠. 응원하는 선수가 가고싶다는데 막을 수는 없으니..
데이나 헤르찬
22/03/25 14:07
수정 아이콘
저는 응원팀 선수들이 원한다니까 갔으면 하는거지 아니면 당연히 안가는게 좋음....
마포구보안관
22/03/25 14:08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보다 더 잘한다고 인정받는 거니까 그런거겠죠 크크
아이코어
22/03/25 14:10
수정 아이콘
롤판은 선수팬의 비중이 훨씬 높아서 그렇지 않을까요?
사실 팀입장에서만 보면 5명통째로 보낼거아니면 완전 손해여서..
League of Legend
22/03/25 14:16
수정 아이콘
저도 페이커가 간다면 체력문제가 가장 걱정됩니다 ~ ㅠㅠ
탐사정의위엄
22/03/25 14: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6인 로스터면 정글 서브가 정배같고 그러면 캐니언, 피넛 2정글 체제일 확률이 높아 보이긴 합니다. 주전 선수는 아마도 기캐페룰케?
22/03/25 14:12
수정 아이콘
기인
캐니언
페이커, 쵸비
구마유시
케리아

저는 이게 가장 베스트같네요.
페만큼 쵸가 너무 좋아서ㅠㅠ
팀당 2인이상 안뽑으면
티원에서 누굴빼죠?

규정이라면 수정해야할듯
22/03/25 14:18
수정 아이콘
저도 저한테 선발권 주면 이렇게 할 것 같습니다.
쵸비는 탑라인에서도 잘한다는걸 보여줘서 조커카드로 가치가 높을 것 같아요.
22/03/25 14:20
수정 아이콘
센빠이 롤드컵 5회우승만큼이나
보고싶은게 쵸비 우승 ㅠㅠ
성큼걸이
22/03/25 14:13
수정 아이콘
케리아는 스프링 MVP기도 하고... 서폿이 모든 라인 중 1위와 2위간 격차가 가장 큰 라인이라고 생각됩니다.
전 국대 코장이 미국가서 논외가 된 면도 커서... 경력이 오래 된 선수가 아님에도 케리아는 이견이 없게 됐고
기인 페이커는 아시안게임 가산점을 떼놓고 현 개인기량만 봐도 최고인 선수라 생각됩니다. 안 뽑을 이유가 없구요
정글과 원딜의 경우 전 국대 피넛과 룰러가 못 뽑힐 정도로 못하지 않음에도, 최고 수준이라 하긴 어려운 면이 있어서 약간의 논쟁은 있네요.
네~ 다음
22/03/25 14:15
수정 아이콘
스파5는 군필만가겠네 크크크
하스스톤이 제일 기대됨...
22/03/25 14:17
수정 아이콘
저도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 + 피넛.. 사람들 생각하는게 다 비슷하네요.
조말론
22/03/25 14:19
수정 아이콘
저번엔 위원회에서 탑정글미드봇 이렇게 네 덩이로 팀 안겹치게 뽑았었는데 이번에도 봇을 같은 팀 듀오로 뽑을지 어떨지 궁금하네요
저번처럼 하면 기인 캐니언 까지는 쉬운데 미드가 페이커면 구케를 거르고 뎊베나 룰리인데 이러면 뎊베같고
과감하게 페이커를 서브로 데려가고 쵸비를 미드로 하면 구케가 될거같은데 어렵네요
Heptapod
22/03/25 14:19
수정 아이콘
캐니언 케리아 정도가 확정적이고 나머지는 4강 결승 결과에 따라서 뒤집힐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2/03/25 14:20
수정 아이콘
와 6명이면 피터지겠는데요 크크
어떻게 뽑아도 걸고 넘어질수있는 인원수라
여론 신경쓰지말고 소신껏 뽑아서 좋은 성적 내길 바랍니다
22/03/25 14:21
수정 아이콘
팀배분같은 헛짓거리 하지말고 티원 +캐니언으로 가는게 베스트같습니다
18 RNG 중심으로 우승한 중국처럼요
22/03/25 14:22
수정 아이콘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 서브 피넛인데
젠지가 우승하면 서브 피넛대신 쵸비
담원이 우승하면 서브 피넛대신 쇼메
( 6인이면 정글서브가 정배긴한데 쵸비나 쇼메가
우승해버리면 절대 무시할수없다봅니다. 물론 페이커는 우승하든 못하든 확정이고 )
지구 최후의 밤
22/03/26 08:30
수정 아이콘
자기 팀이 우승하는데 자기 이름이 사라지는 마법 ㅠ
RED eTap AXS
22/03/25 14:22
수정 아이콘
SFV 선발전이니까 인필과 엔엘의 가능성도 있을 듯 한데... 채팅창이 얼마나 깨끗할지 기대가 됩니다.
이안페이지
22/03/25 14:22
수정 아이콘
쵸비를 탑으로~!!!
폰지사기
22/03/25 14:23
수정 아이콘
기인 캐니언(피넛) 페이커 룰러 케리아
친구복이많은사람
22/03/25 14:24
수정 아이콘
이 글보면서 느낀게 다른 라인은 베테랑들이 있는데
서폿은 베테랑이라고 불릴 선수가 별로 없는거 같네요 흐흐
그나마 베릴?인데 베릴도 뭔가 예전의 메라나 마타같은 무게감이 부족한거 같고...
서폿이라는 자리가 베테랑들이 오래할수 있을거 같은 이미지인데 젋은선수가 훨씬 많네요
아이코어
22/03/25 14:25
수정 아이콘
코어장전 선수가 LCK 남아있었으면 베테랑 서포터 역할을 했었을텐데
LCS로 떠나버려서,,
소믈리에
22/03/25 14:26
수정 아이콘
실력 보고 뽑음 됩니다. 그건 감독 기준이고요. 결과는 감독이 책임지는거구요

데프트가 플옵에서 떨어졌다고 힘들다? 뭐 그런건 팬들이 키배뜰때나

아 그래서 데프트 스프링 몇 위? 이럴때나 쓰는거지
하위팀 에이스가 국대 못가는 것도 아니고요.

데프트가 가야한다!!라는게 아니라 플옵졌으니까 응 제외 이런게 이상하다는거죠 5대5 팀게임인데요

담원 우승못해도 캐니언 뽑지 말자는 사람 있을까요? 없을껄요
아이코어
22/03/25 14:27
수정 아이콘
흠 중국은 국대를 어떻게 뽑는다는 얘기는 아직 없나요 ?
우리는 팀별 제한해서 선수 뽑는데
중국은 그냥 스프링 우승팀 뽑아서 한국선수만 중국선수로 바꾸는 식으로하면
2018 어게인이 될 가능성이..
22/03/25 14:29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은근 바이퍼도 가능성 있다봅니다.
다른 LPL한국선수들과 다르게 LCK경력도 있고
커리어는 말할것도 없고 올해초 재계약할때 아겜에
대해서 구단이랑 말을 안했을리가 없거든요.
바이퍼 본인이 할맘있으면 충분히 가능성 있습니다.
화씨100도
22/03/25 14:29
수정 아이콘
기캐페케는 고정이라 보고 룰러+피넛 혹은 구마유시+쵸비
식스맨을 기용해서 팀의 성격이 달라지려면 피넛보다는 쵸비라고 봅니다
작은형
22/03/25 14:35
수정 아이콘
저는 원딜포지션이 가장 고르기 힘든 포지션 같네요.

구마유시 : 서폿으로 유력한 케리아와 현재 바텀듀오로써, 자난아시안 게임에서도 봇듀오가 함께 출전한만큼 합이 중요한 포지션이다. 실력도 좋음
구설수가 일부 있음

룰러 : 18아시안게임 출전자이기도하고, lck에 오래 공헌한 선수, 꾸준히 정상권 기량을 소유하고 있으나, 항상 중국에게 좀 약한 모습을 보임

데프트 : 중국담당 일진이라고 불릴만큼 중국이 신기할정도로 강함, 케리아와 재작년에 합 맞춘 이력있음, 그러나 현재폼이 위 둘보다 낫다고 보기 힘듬.

셋다 장단이 있는 선수들이라 여기서 감독들이 제일 고민할것같아요.
마갈량
22/03/25 14:38
수정 아이콘
실력외 요소가 무의미하면 탑은 리치가야죠
최대난적인 lpl평정하고 솔킬1등으로 lpl평정한
현시점 누구보다 중국을 잘이길수있는남자
조말론
22/03/25 14:41
수정 아이콘
http://osen.mt.co.kr/article/G1110918302

저번 대회 로스터 차출 관련 정보가 있던 영상입니다
22/03/25 14:43
수정 아이콘
리치 카나비 루키 바이퍼 코어장전!
리니시아
22/03/25 14:48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
더치커피
22/03/25 14:55
수정 아이콘
백업은 말랑!
초보저그
22/03/25 15:54
수정 아이콘
이팀도 합만 잘 맞으면 (국내)한국대표팀과 겨뤄볼만 하네요. 식스맨으로 더 샤이 넣고.
은때까치
22/03/25 14:50
수정 아이콘
페이커 케리아가 확정적이라고 하고 생각해 봤을때, 구마유시를 안 뽑는건 너무 리스크가 크지 않나요?
대퍼팀까지 안가더라도 20년 젠지의 예시만 봐도 팀합이라는게 얼마나 복불복인지 잘 아실텐데요.

리그에서 극상의 호흡을 보여줬던 페-구-케, 그것도 바텀듀오를 굳이 찢어서 룰러나 데프트를 넣는건
선수 개인 실력적인 면은 차치하더라도, 팀적으로는 지나치게 리스크가 큰 판단이 아닌가 합니다.
(혹시나 해서 첨언하지만 전 개인 실력으로도 구>룰>뎊이라 생각하긴 합니다)
지구 최후의 밤
22/03/26 08:33
수정 아이콘
보통 그 경우 많은 분들이 룰>구나 룰=구 정도로 생각하고 이후 다양한 항목을 놓고 고민하는 것 때문에 이렇게 의견이 많다고 봅니다.
처음이란
22/03/25 14:55
수정 아이콘
팀배분 말이많은데 타스포츠에선 늘 논의됬던문제죠. 관행?같은 구지 따를필요 없긴하겠지만 다어느정도 이유가있으니배분했던거구요. 롤이 그렇게안한다면 전 기준만 제대로잡으면 한팀 몰빵도 괜찮을거같아요. 대충생각해본게 정규리그+플옵 우승 팀 일경우. 리그는계속될거고 담 아겜도 있다면 그기준에 맞춰보내면되니까요.근데세부룰까지 다잘정해야할듯요.
티원다보내자는 분들은 일단 우승하고 얘기하는게맞는거같구요. 타팀이우승하면 그럼 타팀 다보내는게 맞는건지도 같이 말해주셨음하네요.
처음이란
22/03/25 14:57
수정 아이콘
젠지에서 간다면 전 룰러꼭갔음 합니다. 룰 케 넘기대됩니다
쎌라비
22/03/25 14:59
수정 아이콘
저라면 기인, 캐니언, 페이커, 쵸비, 룰러, 케리아 이렇게 뽑을거 같네요. 어차피 누굴 뽑든지 말은 나올거고;;
곰성병기
22/03/25 15:01
수정 아이콘
차출가능성 배제하고 순수 현재폼으로 국대뽑으면 리치 캐니언 페이커 바이퍼 케리아 + 루키
22/03/25 15:01
수정 아이콘
일단 스프링 결승은 끝나야 제대로 논의가 될 사안인 듯해서 일단은 조용히 있는 걸로.
결승까지의 양상에 따라서 이 게시물 댓글 다 무의미해질 수도 있지 말입니다. 크크크.
22/03/25 15:03
수정 아이콘
그냥 스프링 우승팀으로 가야죠. 지금 뭐가 확정이다라는건 사실 무의미하고.. 최소 스프링 우승팀의 1~3옵션에 나머지팀의 1옵션으로 채우면 될듯
22/03/25 15: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캐페룰케 한다음 김아랑 서브로 데려가겠습니다
기인이 다 부숴줄듯
사실 스프링은 끝나고 이야기해볼 문제죠 크크
그러니 제발 결승은 코로나없이 풀전력으로 좀ㅠ
22/03/25 15:09
수정 아이콘
김정균 마음대로
미카엘
22/03/25 15:11
수정 아이콘
어떻게 가던지 가볍게 우승할 듯
바둑아위험해
22/03/25 15:13
수정 아이콘
광동팬인데..
스프링시즌동안 기인도 같이 폼 저하했다, 예전의 기인이 아니다 이런 얘기 많이 나와서 속상했는데

그래도 댓글에 탑 유력하게 거론 많이 되는거보니까 기분이 상당히 좋네요 크
보리차
22/03/25 15:21
수정 아이콘
시즌초만해도 어렵겠다 생각했는데 그래도 어찌어찌 플옵진출하고 특히 어제 이긴 게 큰 거 같습니다. 퍼포먼스도 좋았고요 흐흐
김민둥맨둥
22/03/25 15:14
수정 아이콘
선발자격 요건에 구마는 탈락 아닌가요?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 쵸비 예상합니다.
22/03/25 15:15
수정 아이콘
6인은 좀 아쉽네요. 선수들 연습같은걸 생각하면 그래도 서로 바꿔가면서 연습할 수 있게 10인은 했어야하지 않나 싶은데...
백수아닙니다
22/03/25 15:15
수정 아이콘
T1 이 스프링을 압도적으로 우승한다면 그냥 T1 5인 전원 + 캐니언으로 가서
중국팀 학살해줬으면 좋겠습니다 크크
Janzisuka
22/03/25 15:16
수정 아이콘
전에도 썼지만..개인기량보다 팀적 캐미와 전략이 더 중요하고 그 이후에 개인기량이라고 생각하다보니....녹아들지 않았을때 경기 개판 날까 걱정
Janzisuka
22/03/25 15:18
수정 아이콘
+ 보통 대회에서 롤에 식스맨으로 교체자원으로 많이들 정글을 선호하니...우승팀 + 정글러 이정도가 나으려너ㅠ싶고
22/03/25 15:31
수정 아이콘
티원 우승하면 티원 + 캐년 아니면 뭐 페이커만 포함되면 별 상관없을 듯
22/03/25 15:32
수정 아이콘
아직 스프링 끝나지도 않았는데 결승끝나고 봐야죠...
젠지와 티원은 아직 완전체멤버로 붙지도 않았는데 말이죠
티원이 벌써 우승한줄....
대한통운
22/03/25 21:42
수정 아이콘
정규시즌 전승했는데요?뭐 결승전만 봐야 되나요?
그러면 캐니언도 기인 캐니언도 못 뽑힐수도 있죠.
22/03/26 0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규시즌 + 결승전을 다 봐야죠 당연히
캐니언을 뽑혀도 서브를 누구뽑을지도 봐야되고 피넛 vs 오너 아니면 미드 페이커 쵸비 둘다데려갈것인지
원딜은 구마유시가 나을지 룰러가 나을지 이런걸 큰무대에서 보고 판단해야죠
탑도 마찬가지로 봐야되구요 제우스 도란이 큰무대에서 잘할지 기인보다 나을지요
정규시즌과 플옵 결승전에서 어떻게할지는 또 다른문제죠 다른스포츠만 보더라도 정규시즌 플옵 완전다른선수들도많고
롤에서도 국내리그와 롤드컵에서 폼이다른선수도 많은데요
제가 댓글단이유는 아직 결승도 안했는데 티원전원 선발 미는의견들이 보여서요
결승에서 좋은모습으로 우승한다면 그때는 전원선발도 타당성있다고 생각합니다.
요한나
22/03/25 15:43
수정 아이콘
원딜은 당연히 구마유시가 최우선으로 고려되야 하는거 아닌가요?
룰러, 데프트 등이 언급되는 지금 상황부터가 이해가 잘.....
심지어 지난 아겜에서도 바텀듀오는 세트로 묶었던거 생각하면 더더욱 구마유시가 출전해야죠. 지금 퍼포먼스로 서폿은 케리아가 거의 확정인데.
테오도르
22/03/25 15:45
수정 아이콘
해외 활동 선수들은 아예 가능성 없나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2/03/25 15:46
수정 아이콘
저도 우승 확률 1이라도 높이는 조합으로 갔으면 합니다
시즌mvp케리아 와 캐년은 일단 뽑아두고 나머지 포지션만..

페이커는 지금 폼도 좋고 상징적인 선수라서 뽑히면 좋겠지만 결승진출 실패 혹은 결승에서 패배의 주요인으로 뽑힌다면 고려해봐야 할 것 같아요
6인이라 미드 둘을 데리고 가도 되지만 아무래도 서브는 정글러가 낫지 않나 싶거든요
민초단장김채원
22/03/25 15: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팀별 할당제는 의미 없어 보이는게
기성 스포츠처럼 FA 자격 얻는데 시간이 걸려서 한 팀에 몇 년씩 묶이는 것도 아니고
길어야 3년계약이라 면제 혜택을 받을 때 어느 팀에서 뛰고 있을지는 모를 일이죠.
차라리 어느 한 팀에서 많은 선수가 선발되면 피로때문에 다른 대회에 지장이 가니 분산하자는 거면 모를까

팀 따지지 말고 실력대로 뽑되 우열을 가리기 힘들면 18아겜 출전 선수들에게 가산점을 주고
논란 있던 선수들은 감점하는 식으로 선발했으면 합니다.
22/03/25 15:57
수정 아이콘
근데 코로나로 이 난리인데 서브가 1명인 건 좀 그렇지 않나요...?
이선화
22/03/25 16:01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캐니언은 라이엇 공식 징계가 있긴 하네요. 그게 크다면 피넛 + 오너가 갈 수도 있겠는데 팀당 제한이 있으면 정글 서브는 누가 가야할지?
탐사정의위엄
22/03/25 16:10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비매너 플레이 징계도 아니고 설령 감산이 되더라도 캐니언 선발에 영향 미칠 정도는 아니긴 할 것 같아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2/03/25 16:08
수정 아이콘
추가로...
[우승팀이 전원 가야한다고 주장하는 거엔 전혀 동의가 안되긴]합니다
프릭스팬에겐 많이 실례되는 말인데,
만약 프릭스가 우승해서 5인 전원이 국대로 선발....
이라고 했을때 [아닥하고 좋은 의견입니다] 하실 수 있나요?
조미운
22/03/25 20:42
수정 아이콘
프릭스가 갑자기 경기력 떡상해서 준결승, 결승 3:0 내버리면 반대하기도 쉽지 않을 겁니다. 반대하지 않더라도 스프링 우승팀 광동 선수들의 존재감이 엄청나질테니 선수 선발에 고려안할 수 없을테고요.

아닥하고 좋은의견이라고 하기 힘든건 스프링 시즌 내내 보여준 경기력으로 인한 선입견 때문이죠. 이런 식으로 예시 드는 건 반칙이라고 봅니다.
1등급 저지방 우유
22/03/25 22:41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프릭스의 정규시즌내 폼에 대한 선입견이 있는게 사실이죠
특히 정글-서폿에 대한 신뢰감은 좀 심각합니다

무튼 팀 전체가 우승했다고 [우승팀 전원 국대]는 반대라는걸 피력하고자 다소 극단적으로 프릭스의 예시를 들은것뿐이고
개인적으로는 지난번처럼 팀 별로 분배하는게 좋다고 생각하거든요
22/03/26 07:35
수정 아이콘
프릭스까지 안가고 젠지만 생각해도 저도 동의 못합니다.
세계선 다 엎고 도란이 전 경기 다 캐리하는게 아니라면 제우스, 기인두고 우승했으니 도란은 너무 일차원적인 생각이죠.
Destinyzero
22/03/25 16: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T1팬도 아니고 구마유시가 아겜 가든말든 상관 없지만 계속 징계니 뭐니 하면서 구마유시가 안된다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 건 재미있네요.

그럼 라이엇에게 공식적으로 징계먹은 기인이나 캐니언은 가면 안된다고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긴 하네요.

그보다 이제 본가쪽도 7명으로 늘렸고 9월 되어도 코로나 얌전해질 것도 아닌데 인원 수 6명은 너무 적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솔직히.

Ps. 추가로 적어보자면 저도 기인이나 캐니언보다 구마유시가 더 질나빠 보입니다. 다만 징계만 가지고 제외니 뭐니라고 말하면 안 된다고 말하고 싶었을 뿐입니다.
지구 최후의 밤
22/03/26 08:36
수정 아이콘
라이벌과의 격차 문제겠죠.
제주삼다수
22/03/25 16:42
수정 아이콘
중국은 RNG에다가 한두명 약점보충해서 보내겠죠? 거긴 팀별 나눠먹기보단 강한팀 구성에 더 집중할것 같은데
과연, 퍼스트 네명이 한팀인데 나눠먹기하느라 팀 약화시키는 분열의 나라와는 다른 결론이 나올지
콩순이
22/03/25 16:4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팀합 생각하면 오랫동안 호흡 맞추는 듀오가 가는게 좋을것 같아서 저는 케리아가 간다면 구마유시도 같이 갔으면 좋겠습니다. 데프트 선수랑 합 맞춘지는 꽤 되었으니까요. 페구케 외에 다른 멤버는 아무나...
이디야 콜드브루
22/03/25 17:33
수정 아이콘
말 그대로 lck 퍼스트팀이 가든지 우승팀이 가든지
그 외에는 다 팬심 아닌가요
55만루홈런
22/03/25 17:46
수정 아이콘
플옵 결승이 중요하겠네요 크크
제우스가 기인 도란 버돌 압도하면 탑에서도 말 나올수있고...
케니언도 피넛이 압도해버리면...
페이커도 페이트나 쵸비 쇼메..
룰러 구마 원딜라인이 젤 빡세보이고
케리아가 그나마 원탑 느낌

가장 확정적인건 케리아 캐니언 페이커 순서로 생각 그 이후 기인... 원딜이 제일 물음표

구마 가장 큰 아겜 라이벌이 데프트였는데 데프트가 떨어지니 그 자리를 룰러... 크크

구마 구설수 정도는 아겜 발탁에 큰 영향은 없다 생각하고 룰러의 국대경력이 플러스 요인이라 생각하구요

근데 룰러는 케리아와 합을 맞춰본적 없어서 그 부분은 구마가 플러스고 결국은 플옵결승 누가 더 보여주냐가 중요하겠네요
그 닉네임
22/03/25 17:57
수정 아이콘
토토하면 기캐페룰케 + 피가 정배일듯
쿠키루키
22/03/25 18:06
수정 아이콘
스프링 우승팀을 기준으로 한다면 지금 t1 중심으로 이야기 많이 하시는데 많이 변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광동이 우승한다거나하면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예를 들어서 젠지가 우승한다면 미드 대표는 누구여야 하는가? 같은 문제죠.
22/03/25 18:06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는..

기인 - 캐년 - 페이커 - 룰러 - 케리아

에, 맞춰봤음에도 최종적으로 룰러-케리아 합이 안나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룰러 자리에 구마유시 서브가 어떤가 합니다.

캐년-페이커-케리아 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거라고 보고, 기인-룰러 에 대해서는.. 시즌 퍼스트 팀은 아니지만 한 시즌 내내 위기 상황에서도 충분히 클래스를 증명했다고 생각해서 다른 요인 (경쟁자, 서폿) 등 을 무시하고 순수하게 뽑을만한 픽이라고 생각하네요.
파란짬뽕
22/03/25 18:14
수정 아이콘
일단 18멤버는 우선했으면좋겠네요
오늘하루맑음
22/03/25 18:30
수정 아이콘
구마유시가 지금 시점에서 뽑히기에 국제대회경험, LCK근속기간, 도덕성/책임감이 다른 후보군에 비해서 부족하건 사실이죠

스프링 시작 시점부터 이 조건을 넣는다고 했으니까요

이거 극복할려면 결승가서 덕담이든 룰러든 압도적 원딜갭내고 파엠 먹어야 될 겁니다
피카츄볼트태클
22/03/25 18:31
수정 아이콘
코로나도 있는데 왜 겨우 6명으로 하는지 이해가 어렵네요. 아시안게임 시즌이라고 코로나 사라질리가 없는데.
피카츄볼트태클
22/03/25 18:31
수정 아이콘
번외로 4월가서 뽑는거면 결승전이 매우 크게 반영될것같네요. 당장 여기 댓글만 봐도 어제 플옵이 크게 반영된게 딱 보이고, 선발하는 사람들도 팬과 크게 다르지 않을거라.
22/03/25 18:35
수정 아이콘
기인 캐니언 페이커 룰러 케리아에 서브 쵸비
아이폰텐
22/03/25 18:53
수정 아이콘
오 좋은데요 나름 팀배분도 적절하고
피지알 안 합니다
22/03/25 18:39
수정 아이콘
전에도 댓글 달았는데 대한스포츠 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언급한 국대 결격 요건은 음주운전 + 불법도박 같은 전과자에 준하는 정도에요. 이것도 2020년도 이후에나 좀 신경쓰기 시작한 거고요. 무슨 온라인 키보드 논란이 무슨 국대 결격사유인가요. 저는 딱히 티원 팬은 아니지만 구마유시 뽑혀도 문제 없을 거 같네요. 구단주부터 협조한다고 했는데요. 그냥 실력으로 룰러나 다른 원딜이 가는 건 모르겠는데 무슨 구설수 때문에 구마유시는 자격 없다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네요.
승률대폭상승!
22/03/25 19:04
수정 아이콘
선례가 중요한건 결국 이럴때는 선례대로 가는게 제일 잡음이 없기 때문
22/03/25 19:12
수정 아이콘
진짜 이기고 싶으면 최소 4명은 같은팀에서 차출해야함
블래스트 도저
22/03/25 19:30
수정 아이콘
기캐피페룰케가 공헌도 고려 여러가지 측면에서 괜찮은거 같은데
룰에서 구로 바뀐다고 해서 큰 구설수가 나오진 않을듯 싶네요
오 루즈
22/03/25 19:54
수정 아이콘
같은팀에서 최대 2명 차출제한이면
기 캐 쵸 구 케가 더 나은거 아닌가요?
아니면 기 캐 쇼 구 케
바텀듀오 그대로 데려가고
아래경우엔 미드정글도 한팀이구요.
저는 페이커와 두미드간의 격차보단
구마유시와 나머지 원딜간의 격차가 더 커보입니다.
머스탱
22/03/25 19:56
수정 아이콘
아시안게임이 서머 끝나고 있는데 스프링 시즌 우승팀이 가는 게 제일 우승확율이 높다는 건 말이 안 되죠. 서머 때 폼이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요. 그냥 명분도 있고 실리적인 기캐페룰케+피넛이 맞는 것 같아요.
조미운
22/03/25 20:45
수정 아이콘
아시안 게임 시점과 상관없이, 선수 선발 시점에 [가장 경기력 좋은 선수]를 뽑는 건 당연한 일이죠. 앞으로 폼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경기력을 후순위로 둘 순 없는 일입니다.

원딜 이야기가 많네요. 룰러, 데프트 둘 다 잘하는 선수지만... 구마유시 + 케리아가 이미 더 나은 경기력을 보여주기도 했고, 앞으로도 그럴거라 생각합니다. 팀당 차출 제한 때문에 바텀 경쟁력이 약화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게 좀 우려되네요. 지난 아시안게임 전적이 있기도 하고요.
처음이란
22/03/25 21:19
수정 아이콘
원딜 이야기가 많은데 리헨즈선수한데는 좀미안하지만 베릴,케리아와 함께하는 뎊 구보다 룰러가 원딜 자체로만은 더낫지않나 시즌 평균기량이 비슷하다면 어필해볼만한 지점아닌가싶네요. 젠지에서 뽑혀간다면 쵸비한데 미안하지만 피넛 룰러였으면.. 어린친구들은 기회가 좀더 많이 남아있지않을까 해서.
피카츄볼트태클
22/03/25 22:27
수정 아이콘
서브는 왠만하면 정글일것 같네요. 가장 폼유지도 어렵고 메타변화 타격도 극심한 포지션 같음.
네~ 다음
22/03/26 03:49
수정 아이콘
이번 결승에 만약 티원 젠지라면 아..그래도 원딜은 티원쪽에서 나오기 힘들듯..

서포터가 케리아인건 거의 확정이라..
처음이란
22/03/26 11:39
수정 아이콘
진짜 팀별2명이 맥시멈이고 바텀합이중요하다면 구케가낫겠지만 페이커를 뺄수가없으니 구가 희생해야죠
처음이란
22/03/26 11:41
수정 아이콘
미드를두명 쇼쵸 하고 구케로하는게 전 페이커낀거보다 능력에선 별차이없다보지만 그동안의 역사를 무시할수없죠
Polkadot
22/03/26 07:12
수정 아이콘
선발하는 입장에선 병역 혜택에 대한걸 고려를 안할 수가 없어서 티원 전원 선발은 가능성이 아예 0이라고 봅니다.
지구 최후의 밤
22/03/26 08:09
수정 아이콘
기 캐 피 페 룰 케
처음이란
22/03/26 11:42
수정 아이콘
저도 이리되면좋겠네요
애플리본
22/03/26 10:23
수정 아이콘
이랬는데 결승이 광동 vs 담원이라면?
22/03/26 15:16
수정 아이콘
이건 생각못햇네..
카바라스
22/03/26 10:23
수정 아이콘
제가 감독이면 티원 5명에다 캐니언 데려갈듯
로즈엘
22/03/26 15:10
수정 아이콘
전 원팀으로 뽑는게 반대하는게 가장 강한 팀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요.
정규리그 1등팀인 티원인데 플레이오프에서 젠지나 담원 광동등 타팀에게 패배해버리면 그팀이 원팀이 되버리는건가요.
원팀을 뽑기위한 일정 수립도 불가능하고.
22/03/27 01:52
수정 아이콘
탑 : 기인 (KDF)
정글 : 캐니언 (DK)
미드 : 페이커 (T1)
원딜 : 데프트 (DRX)
서폿 : 케리아 (T1)
서브 : 쵸비 (Gen.G) or 피넛 (Gen.G)
종합 : T1 (2) DK (1) GenG (1) KDF (1) DRX (1)

이정도가 그럭저럭 최대한 다양한 팀에서 뽑으면서 실력적으로 납득할만한 로스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가장 논란될만한 포지션은 원딜인데, 구마유시로 뽑으면 T1에서 좀 많이 차출하는 느낌이고 팀 수도 적어집니다.
룰러로 뽑으면 다른팀에서 서브로 뽑아낼 만한 포지션의 선수가 딱히 보이질 않습니다.
또한 데프트는 케리아와 합을 맞춰봤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꽤 많은 팬들이 아직도 언급하는 "마포고 듀오"의 팬심도 만족시켜줄수 있는건 덤.
물론 현재 폼이 부족한것도 아니고, 대 중국팀 전에서 강점을 보일거라 예상됩니다.

서브는 사실 캐니언과 팀합이 안맞을경우 구원투수를 해줄수 있을 오너가 가장 좋아보이나
마찬가지로 T1 3명은 과하고 젠지에서 아무도 안뽑는건 납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넛 또는 쵸비.
피넛은 페이커와 맞춰본 경험도 있으며, 실력적으로도 충분하고 중국 경험도 있구요.
쵸비는 미드 뿐만이 아니라 탑으로도 어느정도 증명된 선수라 혹시 모를 컨디션 난조를 커버해주기 좋습니다. 갑작스런 코로나 발병이라던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095 [스타2] 전역 앞둔 어윤수, "선수 복귀해야죠...GSL 예선 참가 예정" [17] 及時雨8749 22/04/06 8749 1
74094 [하스스톤] 히드라의 해 핵심 카드 훑어보기, 23.0 정규전/전장 패치노트 [56] BitSae6864 22/04/06 6864 3
74092 [LOL] 12.7 패치 프리뷰 번역 [65] MiracleKid8511 22/04/06 8511 0
74091 [스타2] 2022 HOT6 GSL Season 1 Code S 10강 조편성 [7] SKY928527 22/04/05 8527 0
74090 [LOL] 강퀴의 결승전 리액션 & 분석 [22] 늘지금처럼11151 22/04/05 11151 8
74089 [LOL] 리브샌드박스, 공식 입장 발표 [16] Leeka10774 22/04/05 10774 1
74088 [하스스톤] 새 확팩 나오기 전 전설 후기 [2] ESBL5086 22/04/05 5086 3
74087 [LOL] 샌드박스, 프린스 컴백 [21] 반니스텔루이7158 22/04/05 7158 0
74086 라이엇, MSI 를 앞두고 메타변화 예고 [121] 아롱이다롱이9221 22/04/05 9221 0
74085 울프가 해설한 롤챔스 스프링 결승전 [13] 삭제됨6886 22/04/05 6886 1
74084 [LOL] T1 V10 달성의 순간 보이스 공개 #Shorts [15] 외않됀데6727 22/04/05 6727 2
74083 [LOL] 룰러 방송 요약.TXT [67] 반니스텔루이10598 22/04/05 10598 10
74081 [LOL] 오늘 오후 6시 리브 샌드박스 신규멤버공개 [101] 박수영8076 22/04/05 8076 0
74080 [기타] 인생게임 후속작이 나오는군요 원숭이섬의 비밀 [13] 김경호8144 22/04/05 8144 3
74079 [LOL] 인벤 연봉 공개에 대해 담원 부대표가 반박했습니다 [216] Leeka19644 22/04/04 19644 4
74078 [LOL] LCK 팀들의 마지막 LCK 다전제는 언제일까? [18] Leeka5867 22/04/04 5867 3
74077 [LOL] '보이지 않는 무언가'는 존재하는걸까 [162] 올해는다르다15817 22/04/04 15817 6
74076 [LOL] 잠깐 방송을 킨 케리아 요약.TXT [46] 박수영11830 22/04/04 11830 5
74075 [LOL] 티원 코치진이 그렇게 밴픽을 못했을까? [60] 우승8251 22/04/04 8251 12
74074 [콘솔] jrpg 고전 띵작 -페르소나 3 플레이 후기 [33] 원장9521 22/04/04 9521 0
74073 [LOL] 인벤 e레기 신연재 기자가 공개한 팀별 연봉 [195] 카루오스17426 22/04/04 17426 0
74072 [LOL] 폴트, 최성훈 감독 추가 양성 [34] 반니스텔루이6946 22/04/04 6946 0
74071 [LOL] 3세트. 티원을 이기게 만든 제우스의 판단들 feat 결승 후기 [151] Leeka11183 22/04/04 11183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