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3/25 09:50:02
Name 작은형
Subject [LOL] 최근 스프링시즌을 보며 느낀 tmi
1. 콩자야가 생각보다 지속딜이 좋다.

최근 롤챔스에서 징크스/아펠구도를 자주보다보니, 유사원딜인 콩자야가 지속딜이 안좋은 케릭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지속딜이 높아보입니다. 물론 lck의 원딜 평균수준이 진짜 역대 최고수준이 아닌가싶긴하지만, w공속만으로도
하드하게 지속딜을 넣는 선수들이 많더라구요.

2. 볼리베어는 함정픽이다.

저는 스프링 후반부~현재 포스트시즌까지 볼리베어는 함정픽같아보입니다. 우선 초반에 다이브 설계하는 경우의 수가 거의 없고
후반에는 매우 말랑말랑한 곰일뿐인...장점을 딱히 모르겠더라구요.

3. 노틸러스가 부동의 1티어이다.

이제는 선픽으로 나와도 되지 않을까 싶은 픽인것 같습니다. 딱히 라인전에서 박살나는 경우의 수도 적고
노틸러스의 궁이 시간차 에어본이다보니 상대적으로 전투이탈 시간이 길어지는 점도 장점의 하나인듯 싶구요.
이러다가도 캐럭이나 이즈카르마 잘못만나면 라인전부터 힘들수도 있을것도 같긴 한데 현재까지는 1티어같아요.

4. 탑탱커의 시대의 밸류가 생각보다 좋다.

KT같이 탑에게 너무 과부하가 걸리는 팀이 아니라면, 탑에서 오른, 사이온, 말파 등 고밸류 퓨어탱커들이 나와도 괜찮아보입니다.
제이스가 나와도 퓨어탱커를 라인전에서 완전히 압도하기가 쉽지않고, 그렇다고해서 피오라같은 챔피언은 리스크가 너무 큰..
물론 라인전이 너무 약하면 격차가 심해질 수는 있겟지만, lck탑들의 라인전 한정 격차가 엄청 크다고는 생각 안해서 좋다고 생각해요.

5. 우르곳 궁이 밸류가 낮다.(진짜 tmi일지도)

저는 레나타 w 스킬로 우르곳 궁이 무산될 수 있는지 처음 알았는데(레나타 출시이후 우르곳을 본적이 없...)
현재 우르곳이 딜도 탱도 약간씩 애매한 챔프인데 궁마저 끊어질수 있다는 사실에.. 우르곳 협회가 다시 들고 일어나는줄 알았네요.



lck후반부~포시까지 생각보다 볼거리가 많고 새롭게 알게 된 점도 생겨서 챔피언 간 밸런스가 참 좋아진 시즌이라 생각합니다.
코로나 이슈로 리그가 1/3정도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점이 아쉽긴 하지만,게임밸런스가 노잼인 메타는 아니란 점은 다행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3/25 09:55
수정 아이콘
티원하고 하는 팀은 무조건 제이스/노틸은 자팀이 픽하거나 밴해야 됩니다.
소주의탄생
22/03/25 10:02
수정 아이콘
레드에서는 그런 밴픽 못하죠 케틀 제리 라이즈 트페 르블랑 뭐 밴할께 너무 많아서요 블루에서도 힘들것 같네요
22/03/25 10:17
수정 아이콘
저는 물론 롤알못이지만, 제가 상대팀이라면 나머지 풀어서 나눠먹더라도 제이스,노틸은 밴..
사나없이사나마나
22/03/25 10:08
수정 아이콘
노틸밴? 케레쉬가 간다!
작은형
22/03/25 10:09
수정 아이콘
노틸은 아마 어떤팀이든 먼저 가져갈것 같아요.
22/03/25 11:13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페블랑을 푸는 것도 아닌거 같은데요
22/03/25 12:42
수정 아이콘
기밀누설입니다만 T1 상대로 이중에서 풀라고 하면 증명(?)된 함정카드 파랑빡빡이가.. 읍읍
메가트롤
22/03/25 10:0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우르곳 궁 정도면 긴급구제는 물론이요 가앤도 씹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작은형
22/03/25 10:09
수정 아이콘
진짜 우르곳 너무 불쌍함..롤초창기부터 있던 챔인데 극초창기에 건웅이 잠깐 그리고 이후에 19년도에 한 세달 반짝하고 다시 안보임
티맥타임
22/03/25 10:25
수정 아이콘
18 롤드컵부터 하면 탑에서 우르곳 강점기는 꽤 길었죠
22/03/25 10:40
수정 아이콘
부활하더라도 광역 공포는 터져야된다 생각...흑흑
메가트롤
22/03/25 10:48
수정 아이콘
와 그거 좋네요...
묵리이장
22/03/25 10:02
수정 아이콘
볼리베어는 정글계의 레넥톤 같음
작은형
22/03/25 10:10
수정 아이콘
진짜 애매해진 케릭이긴 한듯..
마포구보안관
22/03/25 10:03
수정 아이콘
볼베는 커즈엘림의 성명절기인데 다른 정글들이 괜히 따라하다가 피보는 중
챔이 좋아서가 아니라 걔네가 잘해서 하는 것 일뿐..
볼베는 장판 cc 깔아놓고 위치제한 거는게 핵심인데 이게 되게 어렵죠
그리고 헤카림은 어려워서 피오캐 빼고는 잘 쓰지도 못하던데 왜 맨날 밴인가 의문이긴 해요
동부 경기에서 헤카림 밴은 그냥 밴카드 낭비같음
작은형
22/03/25 10:11
수정 아이콘
저는 볼베는 사실 잘쓰는 선수가 있다고는 안보여요.

볼베는 초반에 다이브설계가 좀 잘들어가서 성장격차를 벌려놔야 탱이되는 챔인데, 지금 엘시케이에서 4인다이브 시도하는 팀이 잘없는..
마포구보안관
22/03/25 11:28
수정 아이콘
커엘이 리신이런거 하는거보다 훨 나은거죠 뭐 필밴카드다 이런느낌이라기 보다는
그래도 오래 썼어서 스킬 메커니즘 이해도는 좋아요
Grateful Days~
22/03/25 11:11
수정 아이콘
볼베는 그냥 라스칼의 성명절기..
마포구보안관
22/03/25 11:27
수정 아이콘
라스칼은 잘하는게 한두개가 아니라..크크
이웃집개발자
22/03/25 10:13
수정 아이콘
볼베는.. 진짜.. 구려요..
은때까치
22/03/25 10:13
수정 아이콘
콩자야가 가짜원딜 소리 듣는건 4코어 이후 때문이 아닐까요... 근데 비교대상이 무려 그 4코어 징크스인데 자야는 좀 억울할수도. 나정도면 그래도 괜찮은 편인데!! 왜 상대 원딜이 징크스냐고!!! 이러면서....
작은형
22/03/25 10:15
수정 아이콘
정통원딜들이 정석 3코어(크라켄-고연포-인피)때 모두를 잡아낼수 있는 dpm이 자야에겐 안보이는게 아쉽긴 해요.

다만 1-2코어때 지속딜 잘하는 선수들은 진짜 잘하더라구요.
제이크
22/03/25 10:19
수정 아이콘
볼베는 차라리 예전 메커니즘이 쓰기는 더 편한 것 같습니다. e가 즉발딜+둔화기였을때 가장 좋은 것 중 하나가 근접만 하면 상대가 이동기써도 e로 끊어버릴 수 있다는 거였는데, 이젠 예측 쿨링기로 바뀌면서 예전보다 추노나 갱킹이 훨씬 어려워 진 것 같아요
Un Triste
22/03/25 10:32
수정 아이콘
탱커의 밸류는 나쁘지 않은데 탱커템의 밸류가 역대 최악이죠.
그라가스, (조합에 따라) 사이온 빼고는 진짜 별로같아요
스덕선생
22/03/25 10:37
수정 아이콘
다들마의 25분(?)이라 그러죠. 탱커가 나쁜게 아니라 아이템 효율차이로 뚫려버리니.

버돌이 사이온했던 경기가 생각나는데 버돌 본인은 그럭저럭 1인분 했는데 시간지나니까 그냥 썩다 못해 잉여로 전락했고 졌을겁니다.
StayAway
22/03/25 10:33
수정 아이콘
콩자야가 이론상 라인전 무난하고 확정 생존기에 한타 깃털 변수까지 훌륭한데
상대가 노틸류의 확정 CC로 작정하고 물어버리면 생존기를 적재적소에 활용할 상황이 거의 안 나오더라구요.
스덕선생
22/03/25 10:33
수정 아이콘
콩자야는 해설자들이 몇번 언급했던 것처럼 1코어부터 힘을 빠르게 받고 3코어부터 밀리는건데 잘하는 팀들 보면 그 강한 파워커브를 잘 활용해서 3코어 이전엔 이미 승부를 결정짓더군요.
22/03/25 10:49
수정 아이콘
정글 볼베는 메이저 주요 지역 기준 스프링에 90번 가까이 나와서 57% 승률로 아주 준수한데, LCK에서 최근 15번 나올 동안은 33.3%에 그치고 있습니다 (LPL에서는 49경기 57%) 볼베를 뽑아놓고서도 초중반 적극적 다이브나 교전 설계가 적다보니 초반 강력함 발휘 잘 안되고, 초반에 강력함을 바탕으로 잘 크질 못하다보니 중후반에는 없는 챔프 되고 이러한 양상인데 약간 라이즈가 1라운드에 유독 LCK 승률이 LPL에 비해 안나올때와 비슷한 양상이 아닐까 싶네요
22/03/25 10:53
수정 아이콘
징크스 자체가 티어가 많이 떨어진 느낌이었습니다.
2라 후반부터 픽도 밴도 안되는 경우가 많아짐.
아펠도 뭔가 대응하는 방법이 많이 생긴 모양이더군요.
노틸러스
22/03/25 10:53
수정 아이콘
노틸러스가 부동의 1티어이다.
22/03/25 11:07
수정 아이콘
이거 마따
올해는다르다
22/03/25 11:05
수정 아이콘
콩자야 같은 빌드가 쉽고 셀 때는 안하다가 쉬운 대신 구리니까 하는거는 왜그러는지 모르겠어요.
우공이산(愚公移山)
22/03/25 11:35
수정 아이콘
어허..... 익숙해지는데는 시간이 걸리는거라구욧
당근케익
22/03/25 13:06
수정 아이콘
볼베 구립니다 정말
드로우광탈맨
22/03/25 13:12
수정 아이콘
노틸이 정말 1티어.. 한타때 영향력도 너무 크고 전반적인 플레이메이킹도 가능한 챔프..
HA클러스터
22/03/25 14:12
수정 아이콘
노틸이 둔한 주제에 생긴것과 다르게 몸도 약하다고 쓰레기나 함정카드 취급받던 시절이 엇그제 같은데 어느새 1티어로 추앙받게 되다나.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997 [LOL] 주관적인 선수별 아시안게임 주전 시나리오 [58] qwerasdfzxcv8416 22/03/28 8416 0
73996 [PC] 엘든링 노영체 냉기 거합 타도 보스들 후기 [23] 타시터스킬고어6624 22/03/28 6624 2
73995 22스프링 결승 T1 vs Gen.g 배당률 [144] 니시노 나나세6390 22/03/28 6390 1
73994 [LOL] 피글렛 개인방송 타 팀 및 팬 비하발언 논란 (+실명 논란 부분 수정) [124] Silver Scrapes19280 22/03/28 19280 4
73993 [LOL] 레딧에서 일어나고 있는 해프닝 [23] visco10964 22/03/28 10964 2
73992 [LOL] 캐니언을 보며 떠오른 데자뷰 [56] 에바 그린12870 22/03/27 12870 10
73991 [LOL] 오늘 젠담전 보고 써보는 결승전 예측 [143] 오늘처럼만13395 22/03/27 13395 1
73990 [LOL] 22 젠지는 팬들에게 엄청난 감동을 선사하고 있는거 같네요 [111] Leeka12034 22/03/27 12034 12
73989 [LOL] 담원의 8개 대회 연속 결승 실패 [85] 니시노 나나세9882 22/03/27 9882 0
73988 [LOL] 으아아아아 젠지!!!!!!!!!!!!!!!!! [105] bifrost10663 22/03/27 10663 22
73987 [LOL] 4대미드가 모두 LCK 데뷔한 후 얼마나 해먹었나? [80] Leeka13936 22/03/27 13936 4
73986 [LOL] 다음 주 lck 10팀 연봉 총액 순위 공개 예정 [58] 소믈리에17186 22/03/26 17186 7
73985 [LOL] 이번에도 이어지는 LCK 결승전 미드 매치업 [95] 반니스텔루이12419 22/03/26 12419 0
73984 [모바일] 던전 앤 파이터 모바일 후기 및 영업글입니다. [41] 라쇼10746 22/03/26 10746 2
73983 [LOL] 황부리그 플레이오프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33] Leeka10139 22/03/26 10139 4
73982 [LOL] MSI로 가는 길, 리그별 진행상황 살펴보기 + LCL 스프링 취소 [11] BitSae7882 22/03/25 7882 1
73981 [기타] [철권] 2022 ATL S1 FINAL이 내일(26일) 열립니다. [7] kogang20015375 22/03/25 5375 0
73979 [LOL] [클템] 플레이오프 1R 리뷰 + 2R 예측 [35] 삭제됨9630 22/03/25 9630 1
73978 [LOL] 광동 프릭스 페이트 코로나 확진 [62] 카루오스10222 22/03/25 10222 0
73977 [LOL] 상대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카드를 밴한다 VS OP를 밴한다 여러분의 선택은? [42] 랜슬롯7285 22/03/25 7285 0
73976 [LOL] 아시안게임 메타예상 [32] slo starer8338 22/03/25 8338 0
73975 [LOL] 국가대표 선수 선발 4월, LoL 6인 로스터로 간다 [241] 카루오스11164 22/03/25 11164 1
73974 [LOL] 한국서 처음 열리는 MSI, 부산 벡스코서 개최 [14] 카루오스6481 22/03/25 648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