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2/03/16 14:19:22
Name 아롱이다롱이
File #1 1_vert.jpg (1.82 MB), Download : 2
Subject [LOL] 너구리 근황


어젯밤 10시반? 11시경? 부터 시작해서 불과 2시간전까지 밤을 세워가며
솔랭을 연속 23판을하더니 결국엔 마스터 승급을 이뤄냈습니다  



휴식에 들어갔던 그가..
최근 4일간 어마어마한 솔랭 판수(60판 정도)를 기록, 빡 솔랭모드에 들어가며
건강도 회복하고 충분히 쉴만큼 쉬었다는 판단하에 선수 스스로가 복귀준비에 들어간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사실.. 이전에도 솔랭은 몇판씩 하다가 또 오랜기간 안한적이 있어서 섯부른 판단은 하지 않겠다고 생각했지만
근데 최근 솔랭 돌리는 판수를 보면 이전에 몇판씩 하던 것과는 많이 달라 보이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성파크
22/03/16 14:20
수정 아이콘
그래서 1판당 1억인가요
겟타 아크 봄버
22/03/16 14:20
수정 아이콘
??? : 세트당 큰거 한장이요
조말론
22/03/16 14:24
수정 아이콘
제발 lck어디로든 와줬으면 맞춰줄 구단이 있었으면
22/03/16 14:25
수정 아이콘
포시에 담원 소속으로 출전하면 대박일 것 같은데..
22/03/16 14:27
수정 아이콘
탑그브 지금 라이브 버전은 구린거 같은데 많이하네요.
천혜향
22/03/16 14:27
수정 아이콘
야인에서 선수로 복귀 청신호 각인가요?
DK로 와서 다시한번 세계제패한다?

이거 어디서 자주보던 스토리인데..
Lahmpard
22/03/16 14:30
수정 아이콘
???:1억

담원: 정말? 그거면 돼?

???: 달러
22/03/16 14:38
수정 아이콘
점당 얼마? 제시요
트리거
22/03/16 14:46
수정 아이콘
너구리가 다음시즌 복귀한다는 가정하에 바로 한체탑가능할것인가 아니면 적응기가 필요할것인가...
랜슬롯
22/03/16 14:59
수정 아이콘
일단은 좀 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선수 본인이 하겠다고 의지를 밝힌 상황도 아니라, 막 주위에서 미리 어느 팀 갈래 이러면 스스로 부담 느낄 가능성이 커서.

복귀한다고 가정한다면 복귀한다고 해서 바로 한체탑 이런건 아닐겁니다. 아무리 너구리급 되는 재능이더라도 그런건 불가능할꺼라고 생각해요.
적응 기간자체는 필요할겁니다.
22/03/16 15:00
수정 아이콘
두근두근두근...
깻잎튀김
22/03/16 15:00
수정 아이콘
위기의 담원을 내가 구하겠다?
22/03/16 15:13
수정 아이콘
응애 나 애기 티원 담원왕조 부활신호 무서버..
허저비
22/03/16 15:13
수정 아이콘
탑세나?
MegaDrive
22/03/16 15:17
수정 아이콘
지금처럼 고도화된 프로씬에서 한시즌 쉬고 복귀해서 한체탑을 먹기는 녹록치 않을것 같네요. 나이도 어느덧 99년생 24살이고 건강 이슈가 있었고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쉬기로 한 선수인데 벌써부터 주위에서 시끄럽게 군다면 글쎄요. 예전 프레이 두번째 복귀처럼 큰돈 쓰고 결과를 보장 할 순 없다고 봅니다.
Paranormal
22/03/16 15:28
수정 아이콘
어휴 부담이 어마어마 하겠네요...
애플리본
22/03/16 15:33
수정 아이콘
뭐.. 담원 팬분들은 담원으로의 복귀를 기대하고, 저 역시 담원 복귀가 정배가 아닐까 싶기는 하지만.. 중국에서 돌아온 꼬감과 접촉하지 않았던 티원을 보며.. 담원 너구리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과연 너구리는 어떻게 복귀 할지..
강나라
22/03/16 15:47
수정 아이콘
아무리 너구리라도 섬머에 복귀해서 바로 잘하기는 어려울테고 섬머에 차근차근 적응해서 다음시즌에 활약하는게 최선이겠죠.
22/03/16 15:48
수정 아이콘
폰 처럼 몇몇 게임 번뜩이면서 역시 세체미! 같은 모습을 보여줄 순 있겠는데

결국 멘탈과 건강 이슈가 발목 잡을듯

거기에다가 중국에서 실패?? 하고 한시즌 통으로 쉰 선수가 복귀해서 바로 탑 찍을 만큼 프로씬이 만만한 동네도 아니고
EpicSide
22/03/16 15:55
수정 아이콘
타잔도 비슷한 우려가 있었지만 복귀하자마자 날아다닌걸 보면 기대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애플리본
22/03/16 16:29
수정 아이콘
칸 같은 불가사의한 케이스도 있었죠.. 진짜 애국자인가?
버거킹맘터
22/03/16 15:55
수정 아이콘
쉬는 기간이 길어지면 그만큼 폼을 끌어올리기 힘들테니 최고는 서머에 바로 복귀하는게 베스트인데..
그게 담원에게 베스트일지는 모르겠네요
당근케익
22/03/16 16:01
수정 아이콘
입금 가즈아~
카트만두에서만두
22/03/16 16:11
수정 아이콘
전 너구리 타잔 이런급의 선수들이면 휴식이고 나발이고 복귀하자마자 바로 탑급 찍을 수 있다고 봅니다. 재능의 크기가 다름
22/03/16 16:24
수정 아이콘
화이팅 입니다!
22/03/16 16:38
수정 아이콘
그래도 너구리라면 서머때 한체탑경쟁 가능하다고 봅니다
22/03/16 16:40
수정 아이콘
프레이 등등이랑은 다른게 너구리는 최전성기에 휴식하고 복귀하는 경우죠. 복귀하고 빠른 시일 내 잘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봅니다.
유자농원
22/03/16 16:44
수정 아이콘
그래서 그 싯가가 얼마냐고!
??? : 세트당 1억
Lahmpard
22/03/16 17:09
수정 아이콘
1억? 미쳤나 왜 달러로 달라고 하지 그래

???: 달러? 내가 아무리 그래도 그정도로 미치진 않았다

휴 다행이네 그정도는 돼서

???: 파운드
22/03/16 19:06
수정 아이콘
??? : 미안 장난이야 암만 그래도 파운드로 달라고 하겠어

그럼 그렇지 장난이 많이 늘었네 크크크

??? : (진지) 유로
22/03/16 16:45
수정 아이콘
며칠 뒤면 근황 2라고 하더니 급 챌린저일 거 같아요.
재능으로 꼽으면 제일 앞줄에 설 선수라..
League of Legend
22/03/16 16:56
수정 아이콘
FPX에서는 소통문제가 씨게 엮여있다고 보고 있어서 프로씬에 돌아와도 금방 적응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유자농원
22/03/16 17:12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동의합니다 외국에서 잘 안됐는데 복귀해서 급 잘되는건 콜 많이 주고받는 타입의 선수가 어려움을 겪어서인 비중이 좀 있을 것 같아요. 외국에서도 잘되는 타입은 말 잘 없이 묻따 행동하는 타입이거나 아니면 언어 열심히 배워서 소통이 잘되는 편이거나... 아마?
22/03/16 17:06
수정 아이콘
너구리 선수 다시 lck나 방송으로 보고싶어요
역씌 너구리야~
올해는다르다
22/03/16 17:06
수정 아이콘
말년에 은퇴했다가 번복했을 때가 문제지 전성기 때 휴식하는거는 금방금방 적응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탐사정의위엄
22/03/16 17:32
수정 아이콘
만약 LCK 복귀한다면 담원 정배같긴 합니다. FPX행 결정할 때도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선택지가 담원 잔류였으니..
신류진
22/03/16 17: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 : 천만원...........



??? : 1킬당
유유할때유
22/03/16 18:08
수정 아이콘
FPX 대신 담원에 남아있었다면 모든게 많이 달랐을것 같은데
아무튼 기대되네요
22/03/16 18:37
수정 아이콘
돌아와도 잘할 거예요. 단지 시점이 이번 플옵이라든지 너무 급한 건 선수에게도 독이 될 수도 있고, 그렇게 하지도 않을 것 같습니다. 솔랭도 솔랭인데 실제로 어디 팀이든 들어가서 스크림하며 감을 더 잡겠죠. 탑 급한 팀이 상위권에선 역시 담원이고 과거에 맞춰온 호흡도 있고 너구리에게도 괜찮은 팀일 텐데 어디로 복귀할지 궁금하긴 합니다. 아예 쌩뚱맞은 팀으로 갈지도.
쿼터파운더치즈
22/03/16 18:52
수정 아이콘
너구리 본인 위상에 돈 생각하면 갈 팀 매우 한정적이라 보는데
티원 젠지는 탑이 필요한 팀이 아니죠 그래서 저도 복귀한다면 담원이 유력할거라 보긴 합니다
아이폰텐
22/03/16 18:59
수정 아이콘
담원가서 티젠담 3팀 롤드컵 가면 레알 든든
22/03/16 19:16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락스 만들었을 때가 한시즌 쉰 다음 아니었던가요?
22/03/16 20:08
수정 아이콘
첫번째 복귀 그때 맞죠. 프레이가 레알 재능충. 말년에 2번째 복귀한건 이미 피지컬이 쫌 떨어졌을 때지만, 첫번째 복귀 때는 쉬고 왔어도 바로 LCK 평정했었죠.
사이퍼
22/03/16 19:23
수정 아이콘
프로씬이 만만 어쩌구 하기엔 세체선수 찍어본 선수라 복귀하면 그냥 잘할거 같아요
키모이맨
22/03/16 20:13
수정 아이콘
??:10억
'경기당'
머스탱
22/03/16 20:15
수정 아이콘
너구리 선수 너무너무 기대됩니다. 20 서머시즌 압도적 상체의 담원 경기를 다시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위원장
22/03/16 20:18
수정 아이콘
캐니언과 함께하는 너구리를 생각해보세요.
스덕선생
22/03/16 20:25
수정 아이콘
본인의 최전성기 20너구리급은 당연히 나오기 힘들겠고 현실적인 고점은 19너구리정도일겁니다.

그렇지만 그걸로도 충분한게 본인이 대체할 선수는 버돌이죠. 올 시즌 버돌 보면 올프로 경쟁권 탑 상대로는 같이 존재감 없어지기 or 방패들고 터지지만 않기 둘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도 젠지 티원에 한경기 남은 DRX정도 빼곤 다 꺾었어요.

너구리가 와서 버돌보다만 잘해줘도 전력상승이죠.
안철수
22/03/16 21:52
수정 아이콘
21시즌에도 전성기 너구리는 아니었고 긴 휴식까지 겹쳐서
솔랭 씹어먹는 수준 아니면 담원 입장에서 오히려 몸값을 깎을수 있을거 같은데요.

다른 라인이 다 건재하면 모를까 현재 담원은 캐니언 말고 다 아쉬운 폼이라서...
일모도원
22/03/16 22:36
수정 아이콘
항상 아쉽습니다 너구리 선수, 계속 담원에 있었다면 얼마나 잘했을까 하고..
그냥사람
22/03/16 23:57
수정 아이콘
시즌초에 과열됬던 돈미새 이미지도 희석시켰고... 오퍼야 많이 줄어서 오겠지만 한체탑 기량만 보여준다면야
22/03/17 04:04
수정 아이콘
복귀하면 생애 최초로 직관갑니다.
있을 때 가둘걸 ㅜㅜ
Polkadot
22/03/17 06:23
수정 아이콘
너구리같은 선수는 팀이 어디던 LCK에 있으면 복이라고 생각합니다.
22/03/17 08:54
수정 아이콘
그렇죠. 이런 선수는 리그 경쟁력 자체를 올려줄 수 있는 선수라.
22/03/17 18:17
수정 아이콘
댓글 흐름에서도 세트당 1억 드립이 나올 정도의 기대친데 섬머 복귀하면 본인이 잘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타잔 같은 경우는 개인의 가치가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중국이란 새로운 환경으로 가서 너구리랑 케이스가 아예 다르고요. 드립이라곤 하지만 세트당, 판당 1억 드립들이 너구리의 숨통을 죄어올 수 있다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106 [LOL] LCK 중계 희망사항 두가지 [42] 비선광8241 22/04/07 8241 5
74105 조 마쉬: 구마유시는 내가 본 사람 중 가장 자신감이 넘친다. [163] Two Cities12757 22/04/07 12757 10
74103 [LOL] 나이먹고 솔로랭크 다이아 찍은 후기(30대 초반 직장인) [35] 티맥타임8456 22/04/07 8456 2
74102 [LOL] 스브스 전 감독 인스타 [14] Leeka8212 22/04/07 8212 1
74101 [LOL] LGD 미드 Jay 승부조작 혐의 확인 [58] 아슬릿11283 22/04/06 11283 0
74099 [LOL] LPL 일정이 추가로 연기되었습니다. [52] Leeka8453 22/04/06 8453 1
74096 [LOL] 농심레드포스 배지훈감독과 결별 [80] Lazymind10455 22/04/06 10455 0
74095 [스타2] 전역 앞둔 어윤수, "선수 복귀해야죠...GSL 예선 참가 예정" [17] 及時雨9101 22/04/06 9101 1
74094 [하스스톤] 히드라의 해 핵심 카드 훑어보기, 23.0 정규전/전장 패치노트 [56] BitSae7204 22/04/06 7204 3
74092 [LOL] 12.7 패치 프리뷰 번역 [65] MiracleKid8842 22/04/06 8842 0
74091 [스타2] 2022 HOT6 GSL Season 1 Code S 10강 조편성 [7] SKY928877 22/04/05 8877 0
74090 [LOL] 강퀴의 결승전 리액션 & 분석 [22] 늘지금처럼11487 22/04/05 11487 8
74089 [LOL] 리브샌드박스, 공식 입장 발표 [16] Leeka11089 22/04/05 11089 1
74088 [하스스톤] 새 확팩 나오기 전 전설 후기 [2] ESBL5367 22/04/05 5367 3
74087 [LOL] 샌드박스, 프린스 컴백 [21] 반니스텔루이7475 22/04/05 7475 0
74086 라이엇, MSI 를 앞두고 메타변화 예고 [121] 아롱이다롱이9558 22/04/05 9558 0
74085 울프가 해설한 롤챔스 스프링 결승전 [13] 삭제됨7119 22/04/05 7119 1
74084 [LOL] T1 V10 달성의 순간 보이스 공개 #Shorts [15] 외않됀데7036 22/04/05 7036 2
74083 [LOL] 룰러 방송 요약.TXT [67] 반니스텔루이10871 22/04/05 10871 10
74081 [LOL] 오늘 오후 6시 리브 샌드박스 신규멤버공개 [101] 박수영8349 22/04/05 8349 0
74080 [기타] 인생게임 후속작이 나오는군요 원숭이섬의 비밀 [13] 김경호8373 22/04/05 8373 3
74079 [LOL] 인벤 연봉 공개에 대해 담원 부대표가 반박했습니다 [216] Leeka19952 22/04/04 19952 4
74078 [LOL] LCK 팀들의 마지막 LCK 다전제는 언제일까? [18] Leeka6155 22/04/04 6155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