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12/11 23:49:44
Name Leeka
File #1 FGVMoNtWQAQmZh4.jpeg (156.8 KB), Download : 5
File #2 스크린샷_2021_12_11_오후_11.48.18.png (225.7 KB), Download : 7
Subject [LOL] 2021년 LPL 올해의 선수는 스카웃 (수정됨)




* LPL 연간 어워드의 경우 '스프링+MSI+서머+롤드컵 을 모두 포함해서 결정합니다'

* 인기상의 경우 15년에 생겼으며, '연간 올스타 팬투표에서 1위를 한 선수' 에게 주어집니다.
(투표 방식은 인기상만 따로 투표한 시즌도 있고, 그냥 올스타 팬투표 1위에게 준 시즌도 있습니다. )

* 한국인의 경우 강조표시 적용했습니다.


라인별로 2회 이상 받은 선수는

Theshy - Mlxg - Xiahou - Uzi - Meiko  단 5명이며

'2개의 라인에서 올해의 선수를 달성한건 Xiahou' 한명입니다.
Xiahou 는 '2개의 포지션으로 국제대회를 우승한 유일한 선수' 라는 기록도 가지고 있습니다.


덤으로 메이코의 경우
LPL 스프링 / LPL 서머 / MSI / 롤드컵 / 리프트 라이벌즈 / 아시안게임 / 데마시아컵  을 모두 우승한 유일한 선수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MVP의 경우 '미드에서 4번,  정글과 원딜에서 2번 나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wice나연
21/12/11 23:52
수정 아이콘
샤오후 - 지에지에 - 스카웃- 바이퍼 - 메이코
올해 세체라인느낌이..
Easyname
21/12/11 23:58
수정 아이콘
나이트 대신 소프엠, 바이퍼 대신 스카웃
그냥 롤드컵 mvp라고 하죠. 올해 내내 중체미도 아니었는데
21/12/12 00:15
수정 아이콘
근데 썸머우승은 EDG고 롤드컵에서도 EDG이기 때문에 막판에는 스카웃으로 기울지 않았을까요?

LPL 썸머결승이 스카웃>>도인비여서
사이먼도미닉
21/12/12 01:03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작년에도 논란이 많았는데 올해도 썩 좋아보이진 않아요.
21/12/12 00:00
수정 아이콘
세체탑 의견이 갈리기도 하던데 2021년 최고의 탑솔러 플랑드레설은 역시 무리수라고 봅니다
Cazorla 19
21/12/12 00:03
수정 아이콘
크..18IG 19Fpx 그립읍니다..
21EDG는 좀 길게 갔으면 좋겠네요
사이먼도미닉
21/12/12 00:39
수정 아이콘
LPL 어워드인데 여기도 맨날 월즈를 최우선으로 반영하는 거 보면 근본 없어 보입니다

경규옹의 연예대상 이론과 다를 바가 없어요
마라탕
21/12/12 00:44
수정 아이콘
연예대상 이론은 일년 중 특출나게 중요한 시기가 따로 없는데, 수상에 가까운 시즌에 잘하면 준다는 거고, 롤판은 확실하게 더 중요한 시즌이 있잖아요? 정규시즌보다 월즈가 명백하게, 몇 배 더 중요하니까요.
사이먼도미닉
21/12/12 00: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년을 결산하는 LPL [리그]의 어워드라면 리그의 일년을 총합적으로 고려해서 수상을 해야한다고 생각해서요.
EPL 최고의 선수를 챔스 우승팀에서만 찾는 느낌이죠.

뭐 LPL이 롤드컵의 하부리그, 예선전이라고 생각하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말은 이렇게 하지만 사실 그런 거 같기도 하고요.
마라탕
21/12/12 00:52
수정 아이콘
종합적으로 고려하되, 국제전 무대에 가산점이 붙는거죠 뭐. 2020년 재키러브는 롤드컵에서 조별만 잘하고 거한 똥을 싸면서 탈락했으나 리그에서의 활약이 대단했어서 올라갔던거고, 지에지에는 그 반대로 리그에선 별로였지만 롤컵에서 잘해서 가산점으로 받은 거고 뭐 그런거죠...
21/12/12 00:54
수정 아이콘
종합적으로 고려했으니
15년에 플랑드레가 탑에서 받고
19년에 uzi가 원딜에서 받고,
20년에 뤼마오가 서포터에서 받고
21년에 샤오후가 탑에서 받은것도 있죠.

롤드컵 비중이 높게 잡혀있는거지. 리그를 안넣진 않습니다.
사이먼도미닉
21/12/12 01:00
수정 아이콘
그렇게 생각해도 바이퍼 대신 스카웃은 말이 안된다고 생각해서요. 개인적으로 작년도 그렇고 이 어워드의 평가 기준이 적당해보이진 않아서 그냥 몇마디 해봤습니다.
더치커피
21/12/12 13:15
수정 아이콘
19년 우지는 좀 놀랍네요
리그 감안해도 lwx가 더 나았다고 생각하는데..
카바라스
21/12/12 00:56
수정 아이콘
1년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니 저렇게 되는거죠. 롤드컵이 상금으로 보나 권위로보나 지역리그 몇배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니. 리그 챔스보다 말그대로 월드컵/지역예선쪽에 훨씬 가까움
Bronx Bombers
21/12/12 07:40
수정 아이콘
팬들이나 LPL, 라이엇의 인식이 그러하니 어쩔 수가 없지요. LPL내에서 가장 잘 한 선수를 뽑는게 아니라 올 한 해 LPL을 빛낸 LPL의 대표 선수라고 하면 말이 안 되는 수상은 아니라 봅니다. 메이저 지역같은 경우는 어차피 롤드컵 우승해야 그 해 성공한 걸로 치니까요.

선수 개인뿐만 아니라 팀으로 봐도 그렇죠. 이번 우승 전까지 LPL을 상징하는 팀하면 IG나 FPX를 꼽았지 RNG나 EDG를 꼽진 않았잖아요? 뭐 RNG야 워낙 LCK랑 많이 붙어서 좀 꼽는 사람이 있을지 몰라도 EDG는 올해 전까지는 그냥 국제대회에서 LPL 망신 시키는 팀으로서의 이미지가 더 강했죠. 심지어 LPL 내에서도. 이 팀이 LPL 최다 우승팀이라는거 모르는 사람이 더 많을거고, 설령 안다해도 [그게 뭐? 어차피 국제대회 나와서 맨날 털렸던 애들 아냐?] 정도의 반응이었죠. 올해 롤드컵 우승해서 이제 그런 이미지는 없어지겠습니다만. 똑같은 논리가 이번에 은퇴한 칸에게도 적용될거고.....칸에게는 더 이상 그걸 만회할 기회가 없을거 같아서 안타깝죠.
나는너의환희
21/12/13 14:15
수정 아이콘
사실 실제로 각 리그는 롤드컵의 예선전인게 아예 틀린 말은 아닙니다. 다수의 팬 뿐만 아니라 관계자들까지 롤드컵쪽에 훨씬 가중치를 두거든요. 그냥 그게 여기 시스템의 룰이라고 생각하면 되고 그렇게 보면 예선에서 잘하고 본선에서 좀 덜 잘하면 표를 못받는건 아니지만 불리할 수 있는거죠
21/12/12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회원님이 잘못됐다는 게 아니라, 전세계 롤판 인식에는 이미 월즈>>서머>>>>스프링이 박혀있는 것 같네요.
이 개념으로 하면 두개에서 충분히 빛났으니...라는 논리로 가겠죠.
MSI는 가치가 있는 건 맞는데 별개 같습니다. 막말로 우승했다고 월즈티켓 보장 이런것도 없잖아요.

+) 스프링이 뭐랄까... 제가 응원하는 팀은 안 그랬으면 좋겠지만,
우승하면 좋지만 3등까지는 나쁘지만은 않아 급으로 평가되는 것 같네요.
게다가 MSI 우승이 명예는 맞는데 대부분의 팀이 항상 갔다오면 1~2주는 꼴아박아야한다는 리스크가 (...)
21/12/12 00:46
수정 아이콘
샤오후는 올해의탑 찍고 다시 미드로 리턴 크크크크크크크
Un Triste
21/12/12 06:38
수정 아이콘
무조건 바이퍼라고 생각했는데 스카웃이 서머-롤드컵 FMVP 2연속으로 먹어버린 게 ...
더치커피
21/12/12 09:07
수정 아이콘
스카웃이면 그래도 스프링 퍼스트미드(도 좀 논란이 있긴 했지만)이기도 하고 리그 우승도 했으니 올해의 선수 뽑힐 자격은 충분했다고 봅니다
- 그래도 바이퍼가 뽑히는 게 더 맞았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진짜 이상한 수상은 작년 소프엠이었죠
21/12/12 09:15
수정 아이콘
롤드컵 몰빵때문에 스카웃 줬다기 보단 큰경기 활약 여부가 더 중요했다봅니다. 바이퍼가 1년 내내 잘해준건 맞지만 edg의 스프링 플옵, 서머 플옵, 롤드컵에서 핵심이자 에이스는 스카웃였다는걸 부정할수없어요.
55만루홈런
21/12/12 22:02
수정 아이콘
저도 mvp를 주면 바이퍼긴 한데 스카웃 준것도 나름 납득은 갑니다 큰 무대서 정말 잘했죠 롤드컵에서만 잘한게 아닌 서머때도 잘했고..
서머 결승땐 세체미가 아닌 세체롤이라고 평가받던 도인비를 압도했고 (그 때 이후 도인비 폼이 떡락했다 생각) 결승도 담원의 핵심인 쇼메 상대로 미드차이를 냈죠 누가 봐도 한 체급 더 높은 수준을 보였기에 mvp를 탄거고... 그 중요경기 활약이 정말 뛰어나서 mvp받은게 이상하진 않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582 [LOL] 2022 LCK 스프링 지표보기 [103] 찌단18439 22/01/31 18439 16
73578 [LOL] 클로저선수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127] 카트만두에서만두14289 22/01/31 14289 1
73530 [LOL] 올시즌 코르키 최고 효율의 사용법은 뭘까요? [44] 작은형9751 22/01/25 9751 0
73504 [LOL] LCK CL 오늘 비공개 경기결과 및 2주차 까지 순위 [9] 아롱이다롱이7105 22/01/21 7105 0
73486 [LOL] LCK CL 오늘 경기결과 / 현재순위 / 목금 비공개, 담주 월요일 방송경기 대진 [9] 아롱이다롱이8662 22/01/18 8662 1
73465 [LOL] LCK 1주차 라인별 밴픽 TOP 5 -> 유일신 레넥톤 [18] Leeka7523 22/01/17 7523 1
73463 [LOL] LCK 1주차 각 라인별로 인상적이었던 선수들 [38] 카트만두에서만두13347 22/01/17 13347 0
73394 [콘솔] [스포, 장문]디스코 엘리시움 완전 비판적 평론 [39] 플레스트린10709 22/01/05 10709 8
73363 [LOL] [LCK 어워드] 2021 시즌 수상자 전체 공개...'쇼메이커' 허수 7관왕 [25] 아롱이다롱이8492 21/12/28 8492 2
73284 [모바일] [블루아카] 총력전 헤세드 개최기념 헤세드 소개글 [19] terralunar10199 21/12/13 10199 3
73269 [LOL] 2021년 LPL 올해의 선수는 스카웃 [22] Leeka10967 21/12/11 10967 0
73233 [LOL] 뱅 은퇴 선언 [94] 디오라마16256 21/12/06 16256 16
73205 [LOL] DRX 2022시즌 을 함께할 멤버 4일 저녁 9시 공개 [34] telracScarlet12185 21/12/03 12185 1
73197 [LOL] LCK 주전 로스터를 포지션별 생년월로 보기 [23] Leeka9824 21/12/02 9824 0
73153 [LOL] 시즌 전부터 팬들을 설레게 하는 테디 [29] 착한글만쓰기15861 21/11/27 15861 0
73140 [LOL] LPL 올스타 2021 근황 (사실상 10명 확정) [6] Leeka8882 21/11/26 8882 0
73136 [모바일] [블루아카] 시로&쿠로 총력전 예고맞이 공략 [15] terralunar10602 21/11/25 10602 5
73036 [스타1] [RTS 이야기] 나이 먹으니 여러모로 서럽다.. [42] 탈리스만13373 21/11/21 13373 3
72974 [LOL] 도브, 샌드박스로 이적 및 탑 라이너로 포지션 변경 [8] 반니스텔루이8935 21/11/18 8935 2
72880 [LOL] 롤드컵 결승전을 정확하게 예측한 한국 전문가 [44] Leeka12086 21/11/10 12086 5
72863 [LOL] 2021년 세체 라인 중 유일하게 논란이 있는 듯한 포지션(?) [107] Ensis13777 21/11/08 13777 0
72803 [LOL] 정상까지 한발짝 남은 탑솔러 칸 (장문) [45] 원장14778 21/11/02 14778 25
72786 [LOL] 이번 스토브 리그는 4대미드를 중심으로 굴러갈것같네요. [142] 라라 안티포바17603 21/11/01 176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