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9/05 22:23:21
Name Leeka
Subject [LOL] 더블엘리미네이션 도입한 리그들 결과

lec : 승자조에서 올라간 MAD가 우승 (유일한 승자조 우승 케이스)

PCS : 패자조에서 올라간 PSG가 우승

LPL : 패자조에서 올라간 EDG가 우승

LCS : 패자조에서 올라간 백도둑이 우승

LCL : 패자조에서 올라간 UOL이 우승

LCO : 패자조에서 올라간 PEACE가 우승

LJL : 패자조에서 올라간 DFM이 우승


어 음...

현재 LPL 선발전도 패자조에서 올라간 LNG가 2:1에 4세트도 유리한 상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05 22:41
수정 아이콘
LCO랑 LCS는 제가 잘 모르겠는데 EDG빼면 다 더블엘리 취지에 잘 맞는듯? 결과적으로 더 강팀으로 평가받는팀이 우승한거니..
대회가 그 대회로서만 기능하는게 아니라 롤드컵 진출전으로서의 성격도 있다보니까 약팀의 업셋보다 검증된 강팀을 보내고 싶어하는 기조랑도 맞는거 같고요.

특히 PSG 못 왔으면 PCS는 오히려 롤드컵 기준은 진짜 참사 아닌가 싶은..
21/09/05 22:46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 아니였어도 PCS는 2장이라 오긴 했을겁니다..
21/09/05 22:48
수정 아이콘
앗차..
강동원
21/09/05 2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더블엘리의 가장 큰 약점?은 승자조로 결승에 진출한 팀은 원코인을 못쓰고 끝난다는 거죠.
그동안 다 이기고 결승까지 왔는데 제일 마지막에 1패 했다고 더 기회 없이 준우승으로 끝나버리니
준우승 입장에서는 남들은 다 더블엘리 하는데 나만 싱글엘리 하는거니까요.
21/09/05 23:16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건 잘 알긴 하는데 대회포맷이란게 원래 완벽한 공정성이 목적이 아닌거도 맞고..
플옵이란거 자체가 근본이 어느정도 그런면이 있고요. 정규시즌 다 해놨는데 재검증하는거니.

그리고 결과로 보면 패자조팀이 우승할경우 결승전 팀들은 둘다 1 패씩해서 동등한 조건이 되는건데
이정도 차이는 뒤에 이긴팀에 어드밴티지 주는게 아예 이상한건 아니죠. 패자조팀이 꼭 결승전팀한테 져서 패자조로 떨어지는건 아니니
플옵 상대전적에서 앞설가능성도 높고.. 리그제로 치면 동률에서 상대전적이나 골득실 뭐 이런걸로 앞서는 느낌?

저도 아예 리셋해서 코인하나더 주는 격투게임식 더블엘리에 비하면 승자조팀이 어드밴티지가 부족하다고 보긴 합니다만은
뭐 대회포맷이란게 원래도 완벽한 공정함이 있는거도 아니고..그런 범위를 넘어설 정도로 특이하고 심각한 불공정? 그렇게는 안 봐요
김연아
21/09/05 23:20
수정 아이콘
유일하게 우승한 MAD를 보면

패자준결승 다음날 바로 최종결승을 하는 메릿이라도 얻었죠

FPX는 스프링, 서머에 연이어 손해만... (왈칵)

너무 오래 쉬는 바람에 경기 감각만 무뎌졌네요 크
21/09/06 03:07
수정 아이콘
뒤에 이긴 팀이 우승이라는 어드밴테이지를 준다? 이거 완전 수련회 메타 아닙니까?
완벽한 공정함을 바랄수는 없지만 브라켓 리셋이 없는 더블엘리는 최소한의 공정함조차도 없는 쓰레기 포맷이죠. 범위를 넘어설 정도의 특이하고 심각한 불공정이 맞습니다. 왜 월드컵이나 메이저 스포츠에서 더블 엘리를 도입하지 않는지 생각해보세요.
서지훈'카리스
21/09/06 00:08
수정 아이콘
그게 룰인데요.
억울하면 패자조 가면 되요
21/09/06 03:02
수정 아이콘
정상적인 룰이 아닙니다. 결승전에 문제가 생기니까 편의상 승자조에게 패널티를 주는거죠. [룰]대로라면 승자조가 결승에서 패하면 한번 더 하는게 원래 [룰]입니다.
21/09/06 12:1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만들어놓고 [더블]일리미네이션이라고 하면 사기에 가깝죠.
아라나
21/09/05 22:42
수정 아이콘
한화도 지역 5위로 올라가서 4위 농심을 뚜까 패버린걸 보면 결국..
21/09/05 22:42
수정 아이콘
롤같은 게임에서 더블엘리미네이션은 진짜 별로같아요. 승자조로 결승간팀에 대한 이득이 전혀 없다시피해서
21/09/05 22:46
수정 아이콘
LNG가 이겼네요! 중계진도 마지막에 바이퍼 타잔 쵸비 그리핀의 세 선수가 세개의 다른 팀에서 온다고 흐흐
예킨야
21/09/05 23:22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WE가 더블엘리로 걸러져서 좋네요
wersdfhr
21/09/05 23:47
수정 아이콘
말이 좋아 강팀을 추려내기 좋은 시스템이지 까놓고 말해서 수련회에서 최종 x점 넣고 막판하는거에 더 가까운 시스템이라;;
21/09/05 23:50
수정 아이콘
전 더블엘리미네이션이 훨씬 좋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1/09/05 23:55
수정 아이콘
브라켓 리셋없는 더블엘리는 더블 엘리라고 하면 안됩니다 진짜
서지훈'카리스
21/09/06 00:09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미하면서 LPL은 LPL내에서 다전제 정말 잘하는 4팀 정확히 선발된 것 같네요
21/09/06 03:04
수정 아이콘
LPL 선발전은 정상적인 더블엘리가 맞습니다. 모든 팀에게 공평하게 코인이 부여되었죠.
21/09/06 12:17
수정 아이콘
LPL 선발전도 변형 더블엘리죠. 처음에 승자조 패자조 결정전 안하고 순위 기준으로 승자전 패자전에 배치하고 바로 시작했으니까요. 이 경우에는 패자전 패배팀은 싱글 일리미네이션이 됩니다.
GiveLove
21/09/06 04:46
수정 아이콘
LNG는 다른 얘기지만 더블엘리 지금 다른 지역들이 하는 형식으로 승자결승 어드벤티지 없이 진행했다간 lck 지옥됩니다. 예를 들어 티원이 승자결승으로 결승갔다가 1코인없이 결승에서 지고 준우승한다고 가정해보면......
네~ 다음
21/09/06 16:33
수정 아이콘
그렇게 롤 한두게임에 체력 소모 심하다고 하신분들 많은데 애초에 패자조로 떨어져서 게임수 늘어나는거 자체가 패널티 아닌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285 [LOL] 롤 리그별 최다 자국리그 우승팀들의 기록 [2] Leeka10140 21/09/06 10140 0
72281 [LOL] 이번 월즈에 나오는 선수 중, 국제대회 우승자 라인업 [5] Leeka9204 21/09/06 9204 0
72279 [LOL] 이번 롤드컵 우승후보를 몇강으로 보시나요? [49] gardhi11861 21/09/06 11861 5
72276 [LOL] 롤드컵에 오게 되는 LCK & LPL 포지션별 선수들 명단 [65] Ensis14653 21/09/06 14653 2
72274 [LOL] 롤드컵 진출팀이 확정되었습니다 (베트남 빼고) [5] Leeka12117 21/09/05 12117 0
72272 [LOL] 더블엘리미네이션 도입한 리그들 결과 [22] Leeka11888 21/09/05 11888 0
72271 [LOL] 2021 롤드컵 현재까지의 진출팀/시드 정리 [27] Leeka18918 21/09/05 18918 3
72266 [LOL] 3대리그 플옵 기준 자주 나온 챔피언들 [7] gardhi13627 21/09/04 13627 6
72259 [LOL] 미라클런을 하던 내가 어느순간 단두대매치? [22] Leeka14661 21/09/03 14661 2
72257 [LOL] 최근 3년간 LCK, LPL, lec, LCS 우승팀 & 롤드컵 진출팀 [22] Ensis12486 21/09/03 12486 0
72252 [LOL] 금~일.. 이제 LPL 단두대 매치가 시작됩니다. [26] Leeka13566 21/09/02 13566 0
72251 [LOL] 바이퍼. 박도현 선생님이 무관을 탈출합니다 [89] Leeka17193 21/09/02 17193 7
72249 [LOL] 아 롤드컵 언제하냐고 현기증난다고 [19] 대관람차12808 21/09/02 12808 4
72238 [LOL] 베트남 리그 VCS, 비자-코로나 문제로 롤드컵 2년 연속 불참 [25] 모두안녕13072 21/09/02 13072 0
72216 [LOL] LCK/lec/LCS 서머스플릿 시청률 TOP5 [47] 아롱이다롱이13792 21/08/31 13792 0
72199 [LOL] 백투백 우승, 유럽의 새 왕조를 연 매드 라이언즈 [32] 비역슨13191 21/08/30 13191 4
72198 [LOL] 롤드컵 진출팀이 14팀째 확정되었습니다. [9] Leeka11939 21/08/29 11939 1
72196 [LOL] lck 더블엘미 도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64] gardhi15305 21/08/29 15305 5
72139 [LOL] lec 및 LCS, All-Pro 선정 [38] ELESIS11212 21/08/24 11212 0
72136 [LOL] 4대리그는 그룹스테이지를 얼마나 잘 뚫었나? [35] Leeka18135 21/08/24 18135 0
72122 [LOL] LPL 최고의 근본팀은? [38] 니시노 나나세15390 21/08/23 15390 0
72117 [LOL] 전세계 리그의 롤드컵 코인 근황 [53] Leeka20370 21/08/23 20370 0
72111 [LOL] 롤드컵 lec 대표 3팀이 모두 확정되었고 [48] MiracleKid18395 21/08/23 183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