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9/02 22:18:20
Name 황제의마린
File #1 cz.png (502.1 KB), Download : 48
Subject [LOL] LoL e스포츠 매니저가 출시하면 어떤 시즌 페이커가 가장 강할까요?




오늘 선발전 간만에 너무 재밌게 봤고
선수들도 부담감이 덜 한 상태에서 너무 멋진 합을 보여준거같아서 이번 롤드컵도 문제없겠다

생각해 기분 좋았는데
롤드컵까지 경기가 없다고 생각하니 시무룩해져서 관련 기사나 검색하다보니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대충 게임의 스샷이나 이런걸보면 프야매식 가챠 게임으로 나올것같고
그럼 페이커도 등급이 나뉜다는 소리인데..

제 개인적으로는 아마 가장 좋은 유력 카드는 13페이커나, 16페이커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로는

반박 불가 팀의 최고 에이스이자 핵심 포지션이였다는점

반박불가 mvp 시즌이라는점
(13시즌은 mvp가 따로 없었지만 만약 있었으면 페이커라는건 다들 아시지않을까..)

13시즌 페이커는 다시는 볼수없을거같은 차원이 다른 체급을 가진 선수라고 정의가 가능하다면

16시즌 페이커는 제가 본 선수중에 가장 깔끔하게 1시즌을 지배한
라인전+운영+노련함+커리어+포스까지 다 챙겼다고 생각이 듭니다

16시즌 페이커가 노련한 선수로 발전했다고 느낀 계기는
msi초반에 그렇게 팀이 흔들리고 고생했는데도
우승을 했다는점

그리고 당대 최고의 라이벌팀을 이기고 우승했다는점에서 더 가산점을 주고 싶습니다


아 물론 다른 시즌 페이커도 못해도 어지간한 선수들보단 등급이 높을테니 나오면 무조건 써야겠죠
미드 존엄 게임이고 그중에서도 최고의 선수니까


만약에 프야매식 가챠가 아닌 피파 시즌별이라면 더더욱 복잡해집니다..

13 LCK 페이커
13 월즈 페이커
통합시즌 페이커
16 MSI 페이커
16 월즈 페이커
아이콘 페이커
대륙권 대회 페이커
다전제 페이커
라이브 페이커
시즌 베스트 페이커
MSI MVP 페이커
월즈 MVP 페이커
국가대표 페이커
LCK 올프로 페이커

대충 생각나는대로 적었는데도.. 이정도니..

이 선수 경력이 보통이 아니다 싶으니 마음 먹고 시즌별로 부여하면
끝없이 나올수있고 카드 수도 가장 많겠죠..

굳이 생각하자면 18시즌 정도가 능력치가 좀 낮을려나? 생각이 들긴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올해는다르다
21/09/02 22:19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라면 13페이커는 삼국지에서 능력치 100 주는거 기준으로 108 입니다. 비교 불가
스덕선생
21/09/02 22:20
수정 아이콘
코에이 삼국지의 여포가 겉보기엔 무력이 관우 장비와 1~2 차이나도 실제론 보이지 않는 내부보정으로 무력이 130~140정도로 적용되곤 했었죠.

그 정도의 인게임 성능차이 없으면 불공평한게 아닐까요.
올해는다르다
21/09/02 22:23
수정 아이콘
카드게임도 히든스탯은 국룰아닌가요 크크
21/09/02 22:19
수정 아이콘
포변 시스템 있으면 좋겠어요. 5페이커 돌려 보고 싶네요.
21/09/02 22:21
수정 아이콘
13윈터
박수영
21/09/02 22:26
수정 아이콘
무조건 13페이커라고 봅니다
힝구펀치
21/09/02 22:28
수정 아이콘
13페이커는 다른 프로를 갖고 놀던 수준이에요
곰감독
21/09/02 22:28
수정 아이콘
다른 선수들과 차이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나던건 13페이커지만 시즌별 페이커끼리 비교하자면 피지컬이면 피지컬 뇌지컬이면 뇌지컬이 가장 빛나던게 16페이커라 생각합니다
다레니안
21/09/02 22:2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시대반영해서 능력치 반영이 이루어질거라 최근 년도로 갈수록 능력치가 높게 배정될 것 같습니다.
대신 페이커 우지같은경우 레전드카드라던가 스타카드라던가 이런걸로 따로 챙겨줄겁니다. 크크...
그리고 설령 시대반영이 없더라도 정글은 19티안이 넘사벽 원톱이라 만일 오픈 이벤트로 10연가챠를 준다면 무조건 19티안 먹고 시작해야할듯 크크크
황제의마린
21/09/02 22:33
수정 아이콘
아마 제 생각에 중국인 월즈 우승 체급 선수면 능력치가 말도 안되게 높을꺼같긴합니다
능력치가 뭐 비슷하다고 치면 히든이 말도 안되던가..

뭐 피파시리즈로 치면 능력치는 티안이 벵기랑 비슷하다고치면
대신 패스마스터, 강뚝, 감아차기가 있다던지..
Extremism
21/09/02 22:32
수정 아이콘
이거 LPL 한정해서만 나온다는 말이 있어서...
황제의마린
21/09/02 22:33
수정 아이콘
그게 처음에는 LPL만 나온다고 알고있는데 그뒤로는 아직 정보가 없긴합니다
카서스
21/09/02 22:33
수정 아이콘
13 시즌에 페이커 상대로 라인전에서 솔킬만 안따여도 s급이라고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폰독수리
21/09/02 22:34
수정 아이콘
13윈터죠. 페이커의 다른 어떤 시즌을 가져와도 이때보다 못합니다.
21/09/02 23:07
수정 아이콘
15니 16이니 하지만 13윈터 페이커가 진짜 역대급이죠. 포지션 불문하고 이시절 페이커보다 압도적인 선수 없었습니다.
VinnyDaddy
21/09/02 23:17
수정 아이콘
상대 미드가 하다하다 못버티고 봇듀오랑 스왑을 했는데 그 스왑한데서도 cs 먹으면서 라인전 잘하던 미친…
난 아직도...
21/09/03 00:31
수정 아이콘
그 봇듀가 임프 마타....덜덜
21/09/02 22:36
수정 아이콘
17페이커 스탯도 궁금하네요 퍼포먼스는 아직도 가끔 기억날 정도라
실제상황입니다
21/09/02 22:37
수정 아이콘
fm 같은 걸로 나왔으면 좋았을 텐데... 페이커 스탯 같은 것도 에디터로 만질 수 있었을 테고
Yi_JiHwan
21/09/02 22:37
수정 아이콘
13이나 15페이커이지 않을까 합니다
공항아저씨
21/09/02 22:37
수정 아이콘
만약 하게된다면 제 팀 정글러로는 18 Ning
다시마두장
21/09/02 22:39
수정 아이콘
저도 13페이커라고 봅니다.
그 시절은 그 누구도 감히 범접할 수 없는 레벨이었으니까요.
Dena harten
21/09/02 22:40
수정 아이콘
꼬치피셜 절대적으로 가장 잘할때는 17년이라 하던데 어떠려나
로티세리치킨
21/09/02 22:40
수정 아이콘
프야매로 치면 13페이커가 EX카드 느낌?
16페이커는 10코 코레기(?)일거같고 실속은 15페이커가 8~9코 갓성비 카드로...?
반니스텔루이
21/09/02 22:42
수정 아이콘
보통은 13페이커가 정배아닐까요 크크
메펠마차박손
21/09/02 22:42
수정 아이콘
FM 수준으로 나오면 좋겠지만.. 별 기대 안하고있습니다
Arcturus
21/09/02 22:49
수정 아이콘
상대적으로 동시대에 가장 강력했던건 13 페이커겠지만

개인적으로 순수 실력이 가장 뛰어났던건
꼬치가 말했던 17 페이커 아닌가 싶네요

게임을 지고 있어도 언제 뒤집힐지 모른다는
섬뜩함이 항상 있었어요

그 때 맞상대하는 선수들도 뭔가 위축되는 포스도
넘쳤던거 같고.. 살벌했죠
아이는사랑입니다
21/09/02 22:55
수정 아이콘
5연갈이 가능했던 17페이커가 순수 능력치로는 가장 높아야하는게 아닐지....
21/09/02 23:01
수정 아이콘
순수 기량은 17페이커가 가장 강했다고 생각하지만 롤드컵을 못먹었으니 크크
Hudson.15
21/09/02 23:03
수정 아이콘
16 페이커가 제일 높지 않을까요? 라이엇 역사상 유일한 국제대회 더블 mvp 시즌이라서요
판을흔들어라
21/09/02 23:15
수정 아이콘
리븐 꺼낸 페이커가 13이었죠? 진짜 잊혀지지 않아요. 그 존재감은
21/09/02 23:21
수정 아이콘
상대적인 격차를 생각하면 13페이커요. 페이커는 시즌별로 월드 베스트 뽑으면 퍼스트에 들어갈 시즌이 4시즌(13 15 16 17)이라는게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21/09/02 23:48
수정 아이콘
무력은 13 오버롤은 16이요. 16페이커가 팀파워 대비론 가장 강했다 생각합니다. 16은 탑정글이 상대 컨텐더에 비해 많이 밀렸었죠.
21/09/02 23:50
수정 아이콘
나오면 5무력조합 한번 만들어보고싶습니다
전술 대 무력으로 뭍여보고싶어요 크크
21/09/02 23:51
수정 아이콘
13 페이커. 고전파 그 자체.
포프의대모험
21/09/02 23:57
수정 아이콘
상대비교 13년
오버롤 17년
팀이 개못하는데 증명하는 선수가 있다?
쵸비도 같은맥락으로 세체다툼할 자격이 있다고 봅니다
21/09/02 23:59
수정 아이콘
13페이커.
개인적으로는 성적 생각 안하고 능력만 본다면 1:9 느낌인데 미친듯이 버티던 14페이커도 비빌만 하다고 봅니다.
미드 소라카로 망한 한타 살리던 페이커는 진짜 존경스러웠죠.
클레멘티아
21/09/03 00:06
수정 아이콘
14페이커는 아니죠... 14폰이 3연속 솔킬 내던 때인데;;
21/09/03 07:56
수정 아이콘
음.. 죄송합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제 기억에 남아있는 그 경기가 없네요..
상상속의 소라카였나 봐요 ㅠ
그럼 13 = 16(라이즈 한정) >15 > 16 쯤 봅니다.
21/09/03 00:04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면 13은 오버롤이 넘칠거 같은데
클레멘티아
21/09/03 00:07
수정 아이콘
13을 높게 줘야죠.
13 페에커를 평범하게 주면, 다른 선수 카드는 쓰레기가 됩니다... (13페이커랑은 차이가 나야하니...)
안필드원정출산
21/09/03 00:49
수정 아이콘
13 or 15 페이커죠. 비교 대상이 없는 수준.
21/09/03 00:49
수정 아이콘
13 >> 15 = 16 = 17 > 19 > 20 > 14 > 18

21은 아직 지켜봐야 하니
아보카도피자
21/09/03 01:39
수정 아이콘
15 이후부터는 사실 최정상급 중에 손꼽히는 정도고, 최정상 미드들을 아래로 깔고 앉은 신선급은 13 페이커 뿐이라고 봅니다.
21/09/03 02:02
수정 아이콘
13페이커는 잘못봐서 15페이커가 제일 기억에 남네요
어바웃타임
21/09/03 02:03
수정 아이콘
13페이커는 그냥 상대적 격차가 났어요

이윤열이나 최연성이 남들보다 빠른 빌드나 개념으로 앞마당 먹은 시리즈로 박살내고 다니던 시절

혹은 김택용이 남다른 저그전 개념으로 저그 찢고 다니던 시절 그 느낌입니다.
아웅이
21/09/03 12:02
수정 아이콘
롤이 미드 1:1게임이었으면 13페이커는 승률 90%정도 되지않았을까 싶습니다. 크크크
미하라
21/09/03 02:34
수정 아이콘
스1때 최연성이 한창 잘나가던 시절 같은 스타리거급 선수들 상대로도 프로가 아마추어 갖고 노는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며 이기곤 했었는데 13 윈터 페이커가 그랬죠. 그땐 그냥 LCK의 항우였습니다.
21/09/03 07:45
수정 아이콘
일단 최근 기준들로 나올것 같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거 레전드 선수들 가챠로 풀리지 않을까요 크크크
21/09/03 08:04
수정 아이콘
다른 프로와의 상대적인 격차는 13페이커 겠지만,
개인적으로 절대적인 실력적으로 생각하는건 16페이커 였습니다.
13은 무력 몰빵의 느낌이였다면, (그렇다고 지력이 떨어지는건 아니였지만,)
16의 그냥 무력 100 지력 100의 롤의 정수를 보여주는듯한 느낌이였어요.
켈로그김
21/09/03 08:12
수정 아이콘
새삼 13페이커가 21에도 쇼비페쵸라는거.. 놀랍네요
이른취침
21/09/03 08:23
수정 아이콘
lck괴담...
21/09/03 09:57
수정 아이콘
13 페이커 때는 윗분들 말씀대로 라인전 솔킬만 안따이면 A~S급이라고 불리던 시기니까요..

그 이후 등장한 폰이나 루키, 도인비, 쇼메, 쵸비 등등 와 졸라 잘한다 세체미 세체미 그랬지만

당시 페이커는 그냥 지금 나오면 안되는 선수가 등장한 느낌이라..
분란유도자
21/09/03 11:04
수정 아이콘
어제 쵸비가 페이커 솔로킬내고 오리아나로 쇳덩이 가지고 노는거보고 세월 무상하던데요. 예전에 페이커가 저렇게 했었는데 하고.. 근데 또 어찌어찌 이기는거 보고 아직안죽었네 했네요.
성큼걸이
21/09/03 14:14
수정 아이콘
13페이커는 신화 속 고대 괴수 같은 느낌이죠.
다른 선수들과 얼마나 격차가 나는가가 기준이라면 13페이커가 단연 원탑
솔랭에서 미드리븐으로 문자 그대로 1대 5 상황인데 리븐이 전진하니까 5 쪽이 오히려 뒷걸음치는거 보고 경악했던 기억이 지금도 나네요. 그런 위압감으로 상대를 뭉개버릴 수 있는 격차는 13페이커가 유일할겁니다
반반치킨
21/09/03 15:33
수정 아이콘
13페이커는 솔직히 혼자 다른레벨의 겜을 하던 존재였죠.
21/09/03 17:20
수정 아이콘
상대평가라면 13페이커가 가장 압도적일 것 같네요. 혼자 다른 시대의 게임을 하고 있었으니까요. 스타로 치면 임요환의 시대에 갑자기 이영호가 나타난 정도의 임팩트?
지금 우리
21/09/04 13:05
수정 아이콘
임요환도 그 시대에 나오면 안될 테란 맞습니다 스포닝풀150원인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786 [LOL] 이번 스토브 리그는 4대미드를 중심으로 굴러갈것같네요. [142] 라라 안티포바17766 21/11/01 17766 0
72762 [LOL] LCK 팀들을 응원합니다. [16] 라라 안티포바11510 21/10/30 11510 7
72687 [LOL] [칼럼] 아펠리오스 하나로 이긴 T1 [50] JoyLuck17429 21/10/23 17429 15
72678 [LOL] 클리드 vs 퍽즈. 월즈 최초 3연속 다전제 성사 [33] Leeka12849 21/10/22 12849 0
72670 [LOL] [칼럼] 8강 앞두고 변화된 최신 메타는? [16] JoyLuck12732 21/10/21 12732 11
72668 [LOL] 2021 롤드컵 8강 선수들 나이 [46] Dango12136 21/10/21 12136 0
72666 [LOL] [펌]칼럼 번역) 레이캬비크의 환희. DetonatioN FocusMe가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 대회의 예선을 돌파하기까지 7년 [14] 1등급 저지방 우유13529 21/10/21 13529 12
72664 [LOL] 업커머 롤드컵 설문조사 코멘트 번역 및 추가질문 [43] Dango14568 21/10/20 14568 2
72663 [LOL] 업커머가 설문조사한 포지션별 순위 [51] 이브이15567 21/10/20 15567 2
72651 [LOL] 롤드컵 2017~2020, 조별 1위 LCK 잔혹사 [12] 엔타이어11092 21/10/19 11092 6
72649 [LOL] 그룹 스테이지 포지션별 픽률 TOP5 [21] 이브이9918 21/10/19 9918 2
72634 [LOL] 10인 로스터 이야기 [7] Hell10301 21/10/19 10301 25
72593 [LOL] 브실(골)의 시선으로 본 롤드컵 메타 분석 [17] ipa11699 21/10/14 11699 8
72592 [LOL] 2021 Worlds 그룹스테이지 1R 감상 [33] Hestia15251 21/10/14 15251 16
72504 [LOL] 뎁스 vs 시너지, 그 사이의 딜레마 [51] Davi4ever13834 21/10/04 13834 3
72435 [오버워치] [OWL] 그랜드 파이널 대진 확정 + 사소한 이벤트 [24] Riina10873 21/09/25 10873 2
72413 [LOL] Peter Dun & IWDominate 선정 롤드컵 TOP 25 [19] Leeka9715 21/09/22 9715 0
72376 [LOL] 리그 온 락 선정 TOP 20 플레이어 [67] Leeka15686 21/09/17 15686 1
72369 [모바일] 구슬을 쏘고 튕겨서 승리하라! 월드 플리퍼 소개(리세 50연 3분) [40] 라쇼11911 21/09/16 11911 2
72334 [LOL] PGR21 선정 2021 롤드컵 플레이어 파워랭킹 TOP 20 [33] 김솔라23253 21/09/11 23253 33
72320 [LOL] 레딧에서 뽑은, 2021 롤드컵 TOP 20 플레이어 [48] Leeka13358 21/09/10 13358 1
72287 [LOL] 시즌 종료후 열릴 스토브리그, 포지션별 FA 리스트 [131] 아롱이다롱이16885 21/09/06 16885 1
72276 [LOL] 롤드컵에 오게 되는 LCK & LPL 포지션별 선수들 명단 [65] Ensis14604 21/09/06 1460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