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30 05:50:43
Name 비역슨
Subject [LOL] 백투백 우승, 유럽의 새 왕조를 연 매드 라이언즈





2021 LEC 서머 파이널 
매드 라이언즈 3-1 프나틱

플레이오프에서 파죽지세의 미라클 런을 질주하던 프나틱도 나름대로의 경쟁력은 보여줬지만, 두 팀 간의 격차는 명백했습니다. 선수 개개인의 실력 및 팀적인 조직력 모든 면에서 매드가 한 수 위의 팀이었고 2021 LEC 서머의 주인공은 매드 라이언즈가 되었네요.


MSI 이후의 매드 라이언즈

서머 1라운드: 5승 4패
서머 2라운드: 7승 2패 
플레이오프: 세트 전적 9승 2패 

매드는 분명 단판제에서 상대적으로 흔들리는 경향이 있는 팀이긴 하지만, 빡빡했던 MSI 일정(+자가격리)의 후유증을 감안하면 서머는 꽤 솔리드한 정규시즌을 보낸듯 싶습니다.

2라운드 넘어오면서 성적이 확실히 개선되었고, 본격적으로 플레이오프가 시작된 이후 다전제에서는 타 유럽팀들과는 티어 하나 이상 차이가 났다고 봐야겠죠.


다전제의 매드 라이언즈

스프링: vs 로그 3:1 승, vs G2 3:1 승, vs 로그 3:2 승
MSI: vs 담원기아 2:3 패
서머: vs G2 3:1 승, vs 로그 3:0 승, vs 프나틱 3:1 승

1년 동안 유럽 내에서의 다전제는 패한 적이 없습니다. MSI에서 담원에게 당한 패배가 유일한 다전제 패배. 이 다전제조차도 매드에 대한 기존의 기대치에 비하면 꽤 잘 싸웠던 다전제이기는 하죠.

확실히 다전제에서 더 강해지는 팀이라는 점에서는 과거의 G2가 연상되는 면도 있긴 합니다. 철저한 준비, 강인한 멘탈 등 여러 측면에서. 매드가 안고있던 다전제의 불안요소도 몇 가지 있었는데 (아르무트의 챔프폭, 상대적으로 약한 바텀 라인전 등) 이런 약점들도 점차 개선되어 가는 추세라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유럽 역사상 최고의 팀파이팅 역량을 갖춘 팀?

위의 평가를 내린 대표적인 인물이 과거 매드의 감독이던 피터 던이기 때문에 팔이 안으로 굽는 면은 있겠습니다만, 교전/한타에서의 역량만큼은 현재의 매드가 유럽 역대 최강이라는 평은 심심찮게 나오고 있습니다. (전성기 G2 포함)

국제대회에서 증명해내기 전까지는 섣부른 평가이지만, 이번 서머 플레이오프에서 보여준 매드의 팀파이팅 실력은 확실히 유럽에서는 독보적인 수준이었습니다. 향후 메타의 대격변이 있더라도 현 메타에서 팀파이팅이 가지는 중요성 자체가 확 떨어지지는 않을것 같으니, 롤드컵에서도 기대를 걸어볼만한 중요한 강점이기도 합니다.


아르무트의 성장

MSI 4강전에서 칸에게 판정패한 이후 서머 정규시즌 경기력이 크게 저하되었던 (번아웃 증세도 꽤 심각했다고 하죠) 아르무트는 서머 후반부부터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고, 플레이오프에서는 이견의 여지가 없는 유럽 최고 탑라이너로서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챔프폭에 대한 지적을 항상 달고 살아온 선수였는데 (소위 '나르 오공 투툴' 이라는 지적) 이번 플옵에서 제이스, 그웬, 갱플 등 여러 챔피언들을 꽤 수준급으로 다뤄내는데 성공하면서 그런 우려를 상당히 불식시켰습니다. 유럽의 탑라이너 풀이 타 메이저 지역에 비해 취약함은 감안해야겠지만, 아르무트의 절대적인 실력 자체는 스프링~MSI때에 비해 확실히 향상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이 선수의 클러치 상황에서의 놀라운 활약은 이제 표본이 너무 많이 누적되었기에, '빅 게임 헌터'로서의 강렬한 존재감은 이제 운이나 우연으로 취급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비지챠치가 탑 라인 포지션 코치로 영입되어 아르무트를 1:1로 전담하여 코칭중인데, 우연의 일치일지도 모르겠지만 비지챠치가 영입된 즈음부터 아르무트의 경기력이 확 올라와서 정말 챠치 효과가 꽤 큰걸지도 모르겠네요.


강한 미드정글

휴머노이드는 올해 스프링-서머 두 차례 플옵에서 화려한 활약으로 명실상부 유체미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습니다. 한때는 사이드에서 매번 짤려 죽는다는 걸로 밈까지 만들어지던 선수였는데, 지금은 넓은 시야와 신속한 판단으로 협곡 전체에 영향력을 퍼뜨릴 줄 아는 미드라이너가 되었죠. 특히 그런 운영을 극대화 시킬수있는 챔프인 라이즈 활용에 있어서는, 전세계적으로도 현재 휴머노이드의 수준을 따라올 수 있는 미드라이너가 몇 안 될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현재 세계 최고의 미드로 인정받는 쇼메이커나 도인비를 상대로 한다면 휴머노이드의 손을 들어주기는 어렵겠지만, 롤드컵에서 상위권 미드라이너로 꼽기에는 손색이 없는 선수라고 봐야겠죠.

엘요야는 확실히 규격외의 루키이고 정글러로서 점점 완전체에 가까워지는듯한 느낌도 듭니다. 게임을 이길 때나 질 때나 본인이 해야 할 플레이를 정확히 인지하고, 그걸 침착하게 실행에 옮겨내어 타율도 높죠. 현재까지는 메타 변화에 매우 유연하게 대처해온 선수라 롤드컵 때에 갑자기 폼이 떨어질 우려도 적어 보이고요. (모르가나에는 적응을 좀 못 했지만, 이건 엘요야만의 문제는 아니었으니..)

MSI때도 매드의 미드정글에는 기대가 컸고, 개인적으로는 그 기대치에 비하면 보여준 퍼포먼스는 좀 부족했었다고 생각을 하는데, 그 때에 비해 두 선수 모두 한층 더 발전했다는 생각이 들어 다가오는 롤드컵에서는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롤드컵에서의 재도전

지난 시즌 플레이인의 악몽이 아직 그림자처럼 따라붙는 팀인데, 다가오는 롤드컵에서는 유럽을 대표하는 1시드로서 도전하게 되는 만큼 기대치가 훨씬 높아졌습니다. 이제 '매드가 롤드컵 4강권 팀이다'라는 평가가 마냥 우스갯소리로 들리지는 않는 분위기가 되었으니까요.

유럽의 플레이오프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았던 문제점들이 한국/중국의 강팀들을 상대로는 다시 검증을 받게 될 테고, 최근에는 좀 잠잠하지만 과거엔 꽤나 기복을 보여왔던 팀이기에 롤드컵에서 문제가 터질 가능성도 없진 않습니다. 

그래도 너무 매력적인 게임을 하고 있고 점차 성장해 가는 모습이 보이는 팀이기에 롤드컵에서 부디 좋은 성적을 냈으면 좋겠네요. 플인딱의 오명을 이제는 깔끔하게 씻어낼 수 있도록..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항아저씨
21/08/30 06:03
수정 아이콘
엘요야 평이 캐니언의 평과 흡사하네요.
티모대위
21/08/30 06:12
수정 아이콘
이제는 매드라이온즈를 인정해야 할 때가 왔죠.
LEC는 G2와 프나틱 둘뿐이라는 편견이 저한테도 깊게 있었는데
매드라이온스는 이번 롤드컵에서 일 낼수 있을것 같습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1/08/30 06:47
수정 아이콘
매드라이온즈 우승 축하합니다
그리고 본문내용에 공감하는 부분이 많네요
개인적으론 롤드컵 높은순위까지 올라갈거 같습니다 매드는
카바라스
21/08/30 07:27
수정 아이콘
유럽1시드는 1617 암흑군주 정도빼면 어지간하면 4강은 갔는데 최소 기대치가 4강은 되지않을까싶네요
니시노 나나세
21/08/30 07:28
수정 아이콘
어쨋든 담원상대로 5전제에서 풀세트까지 끌고간 유이한 팀이죠.

사실 올해 LEC는 리그전체적으로는 발전했다고는 해도 작년이나 재작년 g2만큼의 강력한 아웃라이어는 없다고 생각했는데 매드보면서 생각이 달라지네요.

4강 이상은 갈거같아요.
모두안녕
21/08/30 08:44
수정 아이콘
롤드컵에서의 휴머노이드는 너무 다른 사람이라 롤드컵 조별 스테이지에서 봐야할듯 합니다.
비밀....
21/08/30 11:15
수정 아이콘
유머노이드 시절에도 오히려 롤드컵에선 본인만 사람 구실했었죠. 작년 플인딱 때는 휴머노이드가 밴카드 다 뽑아주기까지 하고 경기에서도 그나마 잘해서 원맨팀 수준이었고요.
에바 그린
21/08/30 19:45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Lwx랑 휴머노이드 둘다 첫 이미지가 너무 잘못박혀서 저평가가 심하다고 생각합니다.

둘다 19롤드컵때 갈수록 잘했었는데..
21/08/30 08:46
수정 아이콘
담원 - FPX - 매드 여기가 현재 롤드컵 1티어 팀인거 같습니다.
21/08/30 08:54
수정 아이콘
롤드컵 우승 3순위 후보는 티원도, 알앤지도, 이디지도 아닌 바로 자신이라고 쩌렁쩌렁하게 외치는 경기였습니다. 게임 정말 잘하네요. 특히 팀명처럼 정신나간 템포가 크크크
아마도악마가
21/08/30 09:01
수정 아이콘
아직 어린 팀이라 므시 때 경험치 많이 쌓을거라 봤는데 백투백 우승을 차지하니 괜시리 흐뭇해지네요 롤드컵이 기대됩니다
서지훈'카리스
21/08/30 09:13
수정 아이콘
매드는 강하다고 봅니다. Fpx 담원 바로 아래급은 충분하다고 봅니다.
닉네임뭐하지
21/08/30 09:20
수정 아이콘
플옵 매드라이온즈는 유럽 어나더레벨 소리듣기 충분했습니다. 멋진 퍼포먼스였어요
Cazorla 19
21/08/30 09:30
수정 아이콘
월즈에서 매드를 주목하셔야 할 겁니다.
티맥타임
21/08/30 10:10
수정 아이콘
19 g2급 까진 아니어도 충분히 역대급 서양권팀중에 하나 인듯합니다. 특히 미드정글 정말 잘합니다 lec에서 클라스가 다름(캡스정도 제외하고)
아이폰텐
21/08/30 10:13
수정 아이콘
3경기까지 보다가 4경기 못보고 잠들었는데 역시나 3:1로 끝났군요.

매드의 단단한 멘탈이 돋보였던 2세트가 진국이었습니다. 비록 진 게임이었지만 지는 와중에도 어떻게든 역전하려고 운영하고 상대 던지는거 잘 받아먹고 하는게 굉장히 인상적이었네요. 대진에 따라 롤드컵 4강 이상이 가능한 팀으로 보였습니다.
21/08/30 10:52
수정 아이콘
어제 EDG WE의 눈썩경기를 매드 프나틱 경기로 정화했네요
프나틱은 미드 탑이 너무 아쉽네요.. 미드는 수납 가능한데 아담은 흠..
TranceDJ
21/08/30 11:38
수정 아이콘
매드걸리는 조가 무조건 죽음의조 일것 같아요. 티원 매드 EDG 조도 가능.
스톤에이지
21/08/30 11:40
수정 아이콘
전 lec 이번에 로그가 압도적으로 우승할줄알고 봤는데 매드 진짜 잘하더라고요 전 세계에서 펀플 담원다음은 매드라고 봅니다.
헤나투
21/08/30 12:14
수정 아이콘
프나틱도 자신들의 강점을 살려서 초반설계 잘하던데 매드가 유연하게 잘 받아치더군요.
위에서도 언급됐지만 현재의 티원보다도 강해보였습니다.
담원이 붙어도 쉽지않아보여요
토레타
21/08/30 12: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평으론 미드 라인전이 강한 농심 느낌이 납니다.
kartagra
21/08/30 12:29
수정 아이콘
매드 특성이 단판보다 다전제에서 강하다라 매드가 조별 뚫고 올라오면 좀 조심해야 되긴 할겁니다. 펀플이나 담원도 잘못하면 충분히 매드한테 갈 수 있을 것 같아요.
블래스트 도저
21/08/30 12:48
수정 아이콘
작년 롤드컵은 유럽쪽이 메타해석을 완전 잘못하는 바람에 G2 정도만 빼면 말 그대로 폭망했는데
올해는 메타해석도 비슷해서 어느정도 위협은 될거같네요
당근케익
21/08/30 13:22
수정 아이콘
메이저지역 2시드팀들보다 무조건 강해서
4강이상 봅니다
msi때 그팀 아니더군요 성장했어요
김연아
21/08/30 14:30
수정 아이콘
MSI 때도 잘 한다고 생각하는데, 지금은 더 잘 하더군요.
21/08/30 13:32
수정 아이콘
매드라이온즈 미드정글 잘 하는건 원래 싹이 보여서 그렇다치고 아르무트의 성장이 제일 놀랍습니다. LEC가 탑흉가인거 감안해도 아르무트의 클러치 플레이와 롤지능(비지차치 영입이후 급상승함)은 뛰어나다고 평가합니다. 리치 상위호환 느낌이 드는 친구에요.
Extremism
21/08/30 14:08
수정 아이콘
19년도에는 3대리그 1위 팀들이 메타해석, 스타일이 완전 달랐고 20년도에는 아시아 상위 3팀이 정답을 내놓고 G2는 어떻게든 따라해볼려고 노력한 형국이라 약해보였는데 (그럼에도 젠지를 3:0으로 개박살내긴했지만)

이번에는 펀플,담원,매드 전부 메타해석이 비슷해서 (한편으로 라이엇이 패치 의도가 한 방향으로 너무 쎈 시즌이였다 생각합니다. 신화템과 오브젝트 밸런스가 무너진 형국) 진짜 누가 더 토너먼트에서 폼 끌어올리르냐가 관건이겠네요. 펀플은 도인비가 13, 16페이커 강림인데 다른 라인이 롤러코스터 기복이고. 너무 폼이 좋아서 이 폼이 월즈까지 유지되냐 사실 걱정이거든요. 담원은 캐니언, 고스트가 귀신 같이 월즈 앞두니 작년 수준으로 폼 끌어올렸고 칸이 좀 내려간게 걸려서 이쪽 회복이 관건이고. 매드는 담원만큼 끈끈하지만 때로는 분명 밴픽은 딱 정석인데 인게임플레이가 그 정석에 들어맞지 않아서 던지는 장면이 있거든요. 그런데 클러치 상황에서 여유로움, 침착함이 돋보이는 팀이라 이게 월즈에서 아시아팀 상대로도 발휘되면 2시드 이하들 충분히 다 두들겨 팰 것 같아요.
김연아
21/08/30 14:3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유럽팀과 PSG의 선전을 기대/기원하고 있는데, 매드 라이온즈는 기대가 많이 됩니다.
AdolChristin
21/08/30 14:50
수정 아이콘
일단 두 팀이 만나니 템포가 크크크
스프링때는 매드가 강팀이라는 느낌이 크게 없었는데 이제는 강팀 느낌이 납니다 그냥
특히나 아르무트가 진짜 비지차지 효과인지는 몰라도 이렇게 잘했나 싶을 정도로 잘하더라구요
21/08/30 17:07
수정 아이콘
1세트는 정말 최상급 재미였습니다.
라프텔
21/08/30 15:55
수정 아이콘
8강에서 담원이나 펀플을 만나지 않는 이상, 다른 팀은 다 이길 거 같아요.
에바 그린
21/08/30 19:47
수정 아이콘
참 재밌는팀이에요.

요 몇년새 멘탈리티가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팀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517 [LOL] 플레이인 1일차 핫픽 정리 [60] 대관람차16931 21/10/06 16931 7
72511 [LOL] 재미로 쓰는 LCK World 2021 진출팀 최고/최악의 시나리오 [43] Bronx Bombers14512 21/10/04 14512 25
72457 [LOL] 배당률로 보는 2021 월드 챔프 밴/픽 순위 [5] Leeka9723 21/09/28 9723 0
72445 [LOL] 주관적인 롤드컵 전 챔피언 티어 예측 [26] gardhi10810 21/09/27 10810 5
72409 [LOL] 롤드컵 패치버전 11.19가 공개되었습니다 [18] 반니스텔루이17123 21/09/22 17123 0
72356 [LOL] 11.19 패치 (롤드컵 버전) 내역 공개 [21] BlazePsyki11097 21/09/15 11097 1
72266 [LOL] 3대리그 플옵 기준 자주 나온 챔피언들 [7] gardhi13118 21/09/04 13118 6
72236 [LOL] 롤드컵티켓을 거머쥔 한화의 여정 (장문) [50] 원장16642 21/09/01 16642 24
72223 [LOL] dk vs t1 결승전 4경기 라이즈궁은 페이커의 실수인지? [63] ush19131 21/09/01 19131 2
72199 [LOL] 백투백 우승, 유럽의 새 왕조를 연 매드 라이언즈 [32] 비역슨12696 21/08/30 12696 4
72181 [LOL] 21 T1은 어디까지 와 있는가? [40] Hestia15326 21/08/29 15326 22
72178 [LOL] 롤드컵에서의 t1을 기대합니다 [43] emonade10955 21/08/28 10955 9
72158 [LOL] [LPL] 도인비의 픽, 그리고 FPX vs WE 프리뷰 [14] 김연아15483 21/08/27 15483 1
72114 [LOL] [여윽시 티원이다. 티이이이이이이원~] [17] 분란유도자17870 21/08/23 17870 4
72110 [LOL] 담원기아팬으로서 티원이 너무 무섭네요. [132] TranceDJ24352 21/08/22 24352 4
72102 [LOL] 농담전 1세트 향방을 가른 쇼메 초반 5분 움직임 [9] 따라큐16146 21/08/22 16146 5
72096 [LOL] [LPL] FPX vs LNG 프리뷰 및 좌우엔지전 감상 [24] 김연아13463 21/08/21 13463 0
72086 [LOL] 타잔이 속해있는 LNG, RNG 격파! [74] TranceDJ18735 21/08/20 18735 1
72067 [LOL] [LCK] PO 1라운드 예상 [63] 올해는다르다15040 21/08/18 15040 1
72010 [기타] 세계 주요 게임회사 시가총액 순위 [38] 소플24028 21/08/12 24028 5
71885 [LOL] 하이라이트 미드라이너 고리 [56] Leeka13813 21/07/24 13813 0
71882 [LOL] AF vs T1 경기 이후 말.말.말 [89] 대관람차20852 21/07/23 20852 5
71832 [LOL] 양대인 감독님, 제파 코치님 고생 많으셨습니다. [44] 플라톤15766 21/07/15 15766 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