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8/17 19:00:51
Name Leeka
Subject [LOL] 선수와 코치가 뽑은 퍼스트 표만 정리한 버전
* 선수에게 9표 / 코치에게 9표가 최대로 받을 수 있는 표입니다.

1. TOP


Khan : 선수 2 + 코치 7 = 9
Kiin : 선수 4 + 코치 2 = 6
Doran : 선수 4 + 코치 1 = 5


2. JGL

Peanut : 선수 7 + 코치 4 = 11
Caynon : 선수 3 + 코치 6 = 9


3. MID

ShowMaker : 선수 6 + 코치 6 = 12
Chovy : 선수 3 + 코치 3 = 6
FATE : 선수 1
Bdd : 코치 1


4. BOT

Ruler : 선수 2 + 코치 6 = 8
deokdam : 선수 4 + 코치 2 = 6
Ghost : 선수 3 + 코치 2 = 5
Prince : 선수 1


5. SPT

Keria = 선수 6 + 코치 4 = 10
Kellin = 선수 3 + 코치 1 = 4
Effort = 선수 1 + 코치 3 = 4
BeryL = 코치 2




전체 합산과는 차이가 나는 포지션도. 아닌 포지션들도 있습니다만.. 재미로 볼 정도는 될듯 하여 정리해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17 19:14
수정 아이콘
아이고 도란아 유유
TranceDJ
21/08/17 19:15
수정 아이콘
페이커가 0표인게 의외였습니다. 임팩트있는 실수는 있어도 라인전때 괜찮았던적 있었던것같아서
쇼메,케리아가 생각보다 몰표네요. 타 라인들 대비
다리기
21/08/17 19:19
수정 아이콘
쵸비는 역시 직접 부딪힌 쪽이 고평가
쇼메는 시청자들이 모르는 무언가가 한참 더 있나보군요. 너무 압도적이라..
21/08/17 19: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선수,코치 투표는 팀순위보단 순수실력 및 개인체급이 더 반영된 순위 아닐까 싶습니다. 쇼메,쵸비는 저 중에서도 미드라이너는 쵸비, 타라이너는 쇼메로 표가 좀 갈리더군요. 팀 특성이 반영될수도있는데 맞라이너들은 라인전에서의 강함등을, 타라이너들은 타 라인으로의 영향력 행사등을 고려한 투표가 아닐까 하네요.
Lord Be Goja
21/08/17 19: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쇼메가 솔랭에서 서로 마주치는 미드끼리는 쵸비가 상대하기 제일 어렵다고 하더군요. (쇼메피셜이니까 본인은 포함 안되겠지만)
선수끼리는 대회에서 부딪히는게 가장적고,스크림과 솔랭에서 훨씬 많이 상대하니까 쵸비선수만큼 강한 상대가 드물거같습니다.

타라인들은 정글은 잘 안부르면서 타라인 개입이 더 잦은 쇼메이커가 까다로울거고..
코치진들은 플랜을 방해할수 있는 변수를 만드는 선수가 좋아보일거고
아무래도 직접 겪는거랑 밖에서 보는것의 차이가 있는게 당연한거 같고,그래서 외부인들에게도 투표기회를 주는것 같습니다.
활화산
21/08/17 19:28
수정 아이콘
페이커 0표에서 조사의 신빙성이 매우 높음을 알겠습니다.
모아찐
21/08/17 19:48
수정 아이콘
이런건 절대 놓칠수없죠 크크
The)UnderTaker
21/08/17 20:26
수정 아이콘
왜 저러나 궁금하긴합니다
페이커한테 폭행이라도 당한건지 흠
상하이드래곤즈
21/08/17 23:02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이름으로 검색해봤더니 크크크크크
21/08/17 19: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페이커 0표인 이유는 개인적으로 라인전에서의 압박 능력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페이커 본인이 cs를 잘챙기고 웨이브 컨트롤을 잘해서 골드수급을 앞서가는 능력이 탁월한건 맞는데, 상대방을 딜교로 찍어눌러서 압박을 준 경기는 거의 기억이 안납니다.
오히려 딜교를 졌음에도 노련함과 영리함으로 성장력에서 밀리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죠. 선수들 입장에서 당연히 성장력보다는 라인전에서의 압박감이 더큰 반영요소엿을것이라고 추측합니다
나른한날
21/08/17 19:54
수정 아이콘
쇼메와 유사하다고 봅니다
스덕선생
21/08/17 20:02
수정 아이콘
페이커라는 이름이 다른 선수에게 압박감으로 작용하지 않은지 좀 되긴 했죠. 적어도 20년부턴요.
21/08/17 21:33
수정 아이콘
정작 쵸비 쇼메 상대로도 라인전 딜교 이겨서 게임 잡은 세트도 있었는데... 평균적으로나 고점으로나 올프로 든 선수들에 비해 못했다고 하면 할말 없지만 픽이나 운영빨이라는 얘기도 좀 이해가 안됩니다 같은경길 본게 맞는지...
두둥등장
21/08/18 18:09
수정 아이콘
본문 표를보고 자기생각 덧붙일수밖에없는데 당연한거 아닌가요?왜 0표지에서 생각이 출발할수밖에 없으니까요.님 주장대로라면 적어도 어디서든 1표는 나와야죠.단순히 못한다가 아니라 적어도 지금메타에서 상위호환인 쇼메가 폼이 좋아서 그쪽으로 쏠렸구나 싶은데요 전.불만이면 본문에다 이의를 제기하는게 먼저이지 않나 싶네요...
21/08/18 18:56
수정 아이콘
?? 무슨얘기신지... 쇼메 쵸비보다 시즌 전체를 잘했다는 게 아니고 페이커 경기력에 대해서 라인전 압박을 못하는데 라인이나 배치운영으로 이득봤다고 하는 분석이 잘못됐다는 겁니다. 본문에 그런 얘기가 조금이라도 있나요?
두둥등장
21/08/18 19:01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정도 이득은 타 미드라이너들도 유리하거나 상황이 되면 다 한줄 안다는거죠.페이커만의 권능이 아니라고요
21/08/18 19:54
수정 아이콘
??? 페이커만의 권능이란 얘길 한적이 있나요? 급발진 황당해서 어떻게 반응해야할지도 잘 모르겠네요.
두둥등장
21/08/19 10:24
수정 아이콘
어쩌다 한번 이긴다고 그게 실력이면 페이커보다 고리가 잘한다고 생각하세요?심지어 솔킬낸적도있으니 고리가 더 위겠네요?왜 페이커 선수에만 가끔 보이는 편린을보고 과대평가하시는지 모르겠단말입니다.그런 기준으로따지면 베이조차도 잘했던순간은 있었는데말이죠.저도 0표는 좀 의아하긴한데 본문의 선수들 표를 존중하면 원 덧글분이 없는말 지어낸게 아니라는거죠.이래도 이해못하시면 할말없네요 전
21/08/19 16:38
수정 아이콘
?? 이해를 못하시는건 두둥등장님 같은데... 제 말도 원댓글 말도 본문도 아예 이해를 못하신 것 같은데요.

본문은 '퍼스트' 표만 집계한 겁니다. '선수들' 표를 존중하면 페이커와 쵸비의 평균 등수 차이는 0.3위밖에 안납니다. 예를 들면 이번에 서밋 선수는 80점으로 올프로 서드지만 퍼스트 표는 6표이고 도란 선수는 67점으로 포쓰지만 퍼스트 표는 6표 받았는데 우리는 어느 쪽을 존중해야 할까요? 뭐 글 자체를 아예 안보고 있거나 이해 못하신 분이니까 이런 질문 이해하고 답변하려면 한 하루 걸릴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만...

처음부터 말했지만 페이커가 쵸비 쇼메보다 잘한다고 주장한적이 없습니다. '평균적으로나 고점으로나 올프로 든 선수들에 비해 못했다고 하면 할말 없지만' 이라고 했잖아요. 게임의 스타일을 얘기한 겁니다. 거기서 쵸비 쇼메가 언급된건 원댓글 내용이 '쵸비 쇼메는 라인전 압박을 잘하지만 페이커는 아니다'라는 내용이기 때문에 그 쵸비 쇼메로도 라인전 압박을 이긴적이 있다는 얘길 한거구요. 고리 얘길 하셨는데 그래서 고리 라인전 지표나 게임 양상이 어찌 되는지는 아시나요?

한마디로 원 댓글분은 없는 말 지어낸거 맞습니다. 선수들이 평가하면서 쵸비 쇼메는 라인전 압박 잘해서 높게 평가했다고 한 적은 없거든요. 물론 실제로 그랬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오피셜하게 나온 건 없고, 게임 스타일로 따지면 쵸비는 라인전 빡빡하게 하더라도 쇼메는 이번에 딱히 그렇지도 않았구요.
공항아저씨
21/08/17 19:41
수정 아이콘
고생하셨어요.
쿼터파운더치즈
21/08/17 20:03
수정 아이콘
잉...다른 대회라면 몰라도 이번 서머는 페이커가 쵸비다음으로 라인전 딜교 하드하게 하고 압박 심하게 했는데....
오히려 쇼메가 안티캐리처럼 최대한 안정적으로 가고 대신 다양한 챔프 소화하며 팀이 요청하는 모든 롤을 수행했죠
선수나 코치들이 기본 라인전에 대한 평가를 중요시하는건 맞는데 이번 미드라이너 평가 기준은 조금 달랐다고 봅니다 비디디도 제가 볼땐 최근 4시즌 중에선 라인전 제일 저조했어요
물론 고리처럼 누구한테나 다 지던 선수는 선수 코치 평가가 낮았지만 기본적으로 라인전은 평균이상 한다는 조건하에서 얼마나 다재다능한 롤을 수행했느냐가 평가의 중심이 된 거 같습니다 적어도 이번 미드라이너에 대한 선수 코치 평가는
애플리본
21/08/17 20:05
수정 아이콘
페이커 팬이지만 이번 서머 페이커는 퍼스트에서 표 받으면 안되죠. 1라는 팀 전체가 부진했고, 게임을 넘기는 실수도 있었죠.
스덕선생
21/08/17 20:06
수정 아이콘
저도 좀 의아하게 생각하는게, 양대인 체제가 시즌 절반은 넘겼거든요.
그런데 그 이후의 경기들만 보고 기복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괜찮았다는 이야기가 나오는겁니다.

양대인 체제에서 페이커의 '돌발행동' 이 얼마나 비판받았는지 생각해보면 말이죠.
애플리본
21/08/17 20:09
수정 아이콘
총점으로 나쁘진 않은데 1등은 절대 아님. 이정도로 봅니다.
21/08/17 20:17
수정 아이콘
2라운드만 생각하면 삐걱댔어도 올프로에 들수 있냐 - 가능은 하다?
하지만 저희가 모두 잊어버린 1라운드가...
저땐 저 같은 경우는 T1 경기 자체를 보기 싫어서 안 봤던 기억도 (...)
21/08/17 23:34
수정 아이콘
취지에 맞게 보면 고리. 페이트가 먼저 나오기도 해야하고요.
굳이 왜 페이커가 소환되나 싶은..하하
아보카도피자
21/08/18 00:26
수정 아이콘
불판에서 페이커 퍼스트 여론이 좀 보이긴 했죠. 진지한 이야기인지는 모르겠지만.....
예킨야
21/08/17 20:0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이 쪽은 늘 전문가들 픽이 더 맘에 들더라구요.
스크림에서는 다를수도 있다고는 하지만, 애초에 우리가 보는 대회 모습으로 뽑는건데 경기 다 챙겨보는 선수도 거의 없는걸로 알아요
티모대위
21/08/17 20:36
수정 아이콘
맞아요 타팀 경기 다 보는 선수는 아마 없을듯.
선수들은 연습하기 바빠서... 솔직히 선수평가는 라인전도르가 대부분이라고 봅니다.
유니언스
21/08/17 20:18
수정 아이콘
선수픽은 라인전 같은것에서 상대하기 어려웠던 선수
코치픽은 자기들이 보기에 여러가지 롤을 얼마나 다양하게 소화하는것으로 보이는가 이런것들에서 차이가 있던걸까요?
ge휘인
21/08/17 20:32
수정 아이콘
비디디는 왜이렇게 적고 룰러는 생각보다 많네요 근데 프린스1..?
티모대위
21/08/17 21:33
수정 아이콘
프린스가 퍼스트 표를 받았다면 젠지나 농심에서 나온 표일 가능성이 높네요.
비디디는 세컨드팀 득표를 엄청 많이한 것 같습니다.
종합점수가 쇼메 >> 비디디 >>> 쵸비 이순서에요
따라큐
21/08/17 20:39
수정 아이콘
어디까지나 뇌피셜인데 대충 뽑는 트롤픽이면 모를까 선수,코치라고 라인전,스크림이 클거 같진 않습니다. 그들도 올프로 취지 알텐대 스크림 포함해 찍을일도 없을거고 라인전 비중이 크면 칸,쇼메 퍼스트 표가 저정도로 많이 받는게 이상하구요. 그냥 종합해서 매긴거라고 봅니다.
퍼리새
21/08/17 20:43
수정 아이콘
빡세게 뽑으려고 해도 사람인 이상 스크림때의 기억이 완전히 지워지진 않을거라고 봅니다. 실제로 모든 대회를 보기도 힘들 테니...
너가최고야
21/08/17 20:47
수정 아이콘
실제로 선수들 경기 잘 안보죠
따라큐
21/08/17 20:50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경기에서 붙어보고 판단한 결과가 저거라 봅니다. 아무리 코치,선수라도 스크림을 엮어서 찍는다고 생각하진 않아요
Polkadot
21/08/17 20:51
수정 아이콘
라인전이 굉장히 강하다는 공통점을 지닌 선수들 위주네요.
퍼리새
21/08/17 21:37
수정 아이콘
음... 칸 쇼메가요?
가온차트
21/08/17 20:55
수정 아이콘
코치입장에서 포변까지 해주는게
얼마나 고마울지 생각해보면
캐니언과 쇼메가 몰아먹은건 이해가 가네요
그 와중에 고생한 칸도 같이 점수를 땄고요

개인적으론 포변 자체에 감점을 줘서
캐니언과 쇼메를 한등급씩 내렸었는데
이걸 가산요소라고 생각한다면
다들 받아야할 성적대로 받은 것 같습니다
라라 안티포바
21/08/17 23:24
수정 아이콘
포변해주고 원래포지션 돌아왔는데도 잘해주는게 정말 갑절로 고마울듯..
반니스텔루이
21/08/17 21:08
수정 아이콘
쵸비 막판에 많이 싸지만 않았어도 퍼스트 세컨 노려봤을만 했을지도 8등인데 써드 덜덜
당근케익
21/08/17 21:33
수정 아이콘
칸:코치 7이 제일 의외네요

나머지는 역시 라인전에서의 압박이 크게 작용한듯 싶어요
비디디가 지는 미드라이너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번시즌 라인전에서부터 압박감을 주는 스타일도 아니었어서 이해됩니다

케리아 그는 도대체...
Hudson.15
21/08/17 21:37
수정 아이콘
이건 그냥 다른 이야기인데 어떻게든 인원수를 확충해서 선수 + 코치표는 없애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 보고 있는데 선수들은 경기 잘 안 보죠. 이런 이야기가 나오고 저도 생각해보니 마침 경기 시간과 스크림이 겹치더라고요. 올프로인데 경기를 안 보고 뽑는 올프로가 있다? 굉장히 이상하게 느껴져서요
21/08/17 21:41
수정 아이콘
코치들은 경기 다 보지 않을까요? 전 이런 표 보면 항상 미디어가 튀는 느낌이던데...
Hudson.15
21/08/17 21:46
수정 아이콘
하지만 코치도 같이 뛰는 선수의 인상 평가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니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시몬스가 에인절스로 이적하고 나서 늘동에서는 뛸 때는 트라웃 경기를 접하지 못 하다보니 하퍼랑 트라웃이 비슷한 수준인 줄 알았다고 말했던 인터뷰도 떠오르고요
21/08/17 21:53
수정 아이콘
스크림 실력을 어떻게 판단해야하냐가 포인트겠죠. 야구는 상대팀이랑 연습경기할 일은 없으니..
21/08/17 21:44
수정 아이콘
사실 선수는 경기를 다 챙겨보는게 비정상이긴 하죠.... 그냥 본인이 붙어본 경험으로만 뽑을수밖에 없는..
용노사빨리책써라
21/08/17 21:51
수정 아이콘
저도 종목불문 선수감독 표는 개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인데, 느바처럼 기자단 투표하기엔 뎁스가 너무 얇습니다. 확충한다고 해서 그들의 롤 이해도를 보장할 수도 없구요.
Hudson.15
21/08/17 21:52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부분 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생각은 합니다. 이렇게 된 이상 해외 해설자들의 표도 받아보는게?
용노사빨리책써라
21/08/17 21:56
수정 아이콘
해외에서 LCK를 분석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선수감독 표를 팀당 하나로 줄이고 그들에게 맡길 수도 있겠죠
티모대위
21/08/17 21:51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기성스포츠에서 기자단위주로 MVP 등을 선정하는건 다 이유가 있죠.
전문성 논란이 그렇게 파다한데도.
물론 지금은 전문성 있는 기자단이 거의 없으니, 코치까지 제외하기는 좀 어려울 것 같긴하네요
KIMTAEYEON
21/08/17 22:44
수정 아이콘
지금 경기 mvp 투표하는 중계진 옵저버 기자단 + 팀별 1표or3표 해서 선정하면 괜찮을듯요
타르튀프
21/08/17 22:47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타팀 경기를 안보니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는 건 이해하지만, 선수들이 대회에서 직접 체감하는 경기력이 반영되므로 어느 정도 상쇄되지 않나 생각도 듭니다. 다만 선수들의 표가 너무 비중이 높으면 정확도는 떨어질테니 차차 보완해 가는 게 맞을 것 같아요.

근데 아직 기자단 투표하기에는 인원수도 적고 솔직히 롤 이해도도 선수들에 비해 너무 낮다고 생각해서 선수들 제외하고 기자들만 투표하는 건 별로인 것 같습니다. 아직은 불완전하지만 이대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21/08/17 23:22
수정 아이콘
전 이번엔 선수나 코치들이 꽤 진지하게 투표한것 같습니다.
표의 경향성도 꽤 뚜렷하죠.
라인전과 한타에서 강한 쪽이 선수들의 주류픽,
전략적인 면에서는 코치픽.
저번에 욕먹고 꽤나 진지모드로 투표한 느낌입니다.
아이폰텐
21/08/18 08:36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정도면 선수 코치표를 뺄 이유는 없다고 봐요
도토리키재기
21/08/17 23:48
수정 아이콘
쇼메이커는 그냥 다른 라인 선수들이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선수입니다. 진짜 알게모르게 팀원들을 너무 많이 도와주죠. 대표적으로 쇼메이커가 10분 지표가 생각만큼 안좋은 이유가 전령 치는 단계에서 쇼메이커는 일찌감치 정글과 합류하거나 상대를 견제하는 과정에서 그렇게 밀려오는 미드 라인을 거진 올라온 고스트에게 양보를 많이 해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담원에게 좋은 구도가 만들어지죠. 이 사실을 알고 LCK 경기들 보는 동안 비슷하게 희생하는 선수가 있나 봤는데 거의 없어요. 대다수의 미드들은 대부분 자기가 라인을 먹습니다. 그러다가 합류가 늦어서 전령싸움 구도가 안좋아지기도 하구요.

그리고 대다수의 미드들이 라인을 밀고 남는 턴을 다른 라인에 쓰는 경우는 꽤 많지만, 진정한 의미로 자신의 턴을 버려서까지 합류하거나 텔을 타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 쇼메이커는 라인손해를 감수합니다. 이러면 같은 팀원 입장에선 너무 고맙죠.

라인전 강력하던 시절의 쇼메이커보다 임팩트는 없을지 몰라도 아마 팀을 이기게 하는데는 최적의 선수일겁니다.
21/08/18 00:21
수정 아이콘
리그 중계하는 전 프로 or 감코 스트리머들이 참여하면 좋을것 같네요. 그들이 보는 경기 수나 보는 눈이나 다른 누구 못지 않을 텐데요.
서지훈'카리스
21/08/18 01:23
수정 아이콘
대부분 잘 투표했다는게 이번에는 주류의견 같은데요
선수 코치도 생방은 안봐도 대부분은 챙겨보지 않을까 싶은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250 [LOL] LoL e스포츠 매니저가 출시하면 어떤 시즌 페이커가 가장 강할까요? [58] 황제의마린14504 21/09/02 14504 1
72204 [LOL] 결국 티원은 구마유시 ? or 테디 ? [174] TranceDJ20055 21/08/30 20055 0
72199 [LOL] 백투백 우승, 유럽의 새 왕조를 연 매드 라이언즈 [32] 비역슨13122 21/08/30 13122 4
72181 [LOL] 21 T1은 어디까지 와 있는가? [40] Hestia15733 21/08/29 15733 22
72165 [LOL] 두개의 태양, 테디&구마유시 vs 단 하나의 어둠, 고스트 [34] 아우어케이팝_Chris16401 21/08/27 16401 7
72150 [LOL][LPL] EDG VS LNG 프리뷰 [47] 김연아12570 21/08/26 12570 2
72140 [LOL] 롤 상향평준화가 된 거 맞는 거죠? [56] 트와이스정연20776 21/08/24 20776 1
72113 [LOL] 3억의 차이 < 포지션의 차이 [19] 공항아저씨17743 21/08/23 17743 5
72110 [LOL] 담원기아팬으로서 티원이 너무 무섭네요. [132] TranceDJ24752 21/08/22 24752 4
72091 [LOL] 테디와 구마유시에 대한 T1의 생각을 추측해보면..... [69] 예니치카16817 21/08/20 16817 13
72064 [LOL] 선수와 코치가 뽑은 퍼스트 표만 정리한 버전 [58] Leeka19582 21/08/17 19582 2
72063 [LOL] 서머 올프로 포지션별 점수 및 순위 (1~5위 기준) [8] Leeka15044 21/08/17 15044 5
72055 [LOL] LCK 섬머 베스트 코치상은? + 각종 기타부문 선정 [37] Ensis9805 21/08/17 9805 2
72042 [LOL] ???: 쵸비, 보고 있나? 나 아직 안죽었어. [40] 술라 펠릭스17918 21/08/16 17918 15
72017 [LOL] 고리가 서머시즌 Player of the Spilt 을 확정지었습니다 [53] Leeka11755 21/08/13 11755 0
71989 [LOL] LPL 플옵권 팀 포지션 별 데이터 지표 [18] FOLDE10409 21/08/10 10409 3
71985 [LOL] 이번시즌 프레딧브리온을 응원하며 쓰는 프레딧에 대한 이야기 [23] 원장15575 21/08/09 15575 9
71964 [LOL] 게임은 선수들이 하지만 선수 선발은 감독이 하죠. [54] 바인랜드15648 21/08/07 15648 6
71850 [LOL] T1, 이대로만 갑시다. 이대로만 [135] Hestia24700 21/07/18 24700 48
71823 [LOL] 지는 팀의 팀콜영상..이것은 귀하군요 [39] Lord Be Goja17489 21/07/14 17489 6
71804 [LOL] 5주차가 끝나면서 쓰는 LCK팀 주관적인 평가 [23] 원장16863 21/07/11 16863 5
71775 [오버워치] [OWL] 서머 쇼다운 예선 2주차 리뷰 [13] Riina9507 21/07/06 9507 2
71766 [LOL] 표식은 다시 롤드컵에 나갈 수 있을까. [14] Lewis12912 21/07/05 12912 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