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1/05/31 21:09:00
Name carpedieem
File #1 5fdf8db1cb1349544de384b4a5f38250d3094aa2.jpeg (18.4 KB), Download : 62
File #2 15245.png (1.56 MB), Download : 63
Link #1 https://www.fmkorea.com/3636663177
Subject [LOL] Mlxg가 꼽은 역대 최강의 한국인 정글러들 (수정됨)




펨코 펌




RNG 레전드인 mlxg가 개인방송에서 관련발언을 했나보네요.



시즌4가 전체적으로 lck 정글 역사상 최강의 시대였다고 평가하네요. 무려 신과 같았다고.....

댄디 카카오 뿐만 아니라 스피릿 와치 등의 활약도 대단했고 14년엔 포지션을 불문하고 대단한 선수들이 엄청 쏟아져나왔죠 ^^


19년은 skt의 클리드도 역대급이었는데 타잔이 먼저 언급되는 걸 보면 정규리그에서의 활약이 전세계적으로 워낙 강렬했나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태엽감는새
21/05/31 21:23
수정 아이콘
댄디 진짜 그냥 롤을 가지고 노는 수준이었죠.. 생각하는 대로 다 되는 수준
21/05/31 21:26
수정 아이콘
너도 장난아니였어
아마도악마가
21/05/31 21:33
수정 아이콘
RNG 웨이가 댄디의 수제자인걸 생각하면 묘하네요
성큼걸이
21/05/31 21:34
수정 아이콘
19타잔은 결국 중요한 순간에 클리드를 넘지 못해서... 그런 클리드조차도 세계무대에서는 얀코스, 티안 밑이었고요
댄디는 뭐 말이 필요없는 가장 압도적인 정글러였고, 카카오는 갱킹형 정글러로서 그보다 더 막강한 임팩트를 본 적이 없네요. 롤드컵 못간게 신기했을 따름
Naked Star
21/05/31 21:35
수정 아이콘
그어간 시절 LCK는 그냥 개잘하던 시절이야..
21/05/31 21:47
수정 아이콘
벵기가 없는건 의외네요. 중국전엔 큰인상을 못줬나여
오늘하루맑음
21/05/31 23:27
수정 아이콘
뱅기는 단독 캐리 역할 보다는 보좌 역할이 더 많았으니까요

외국인 입장에선 16 롤드컵 니달리 정도가 기억 날 거 같고
21/05/31 21:48
수정 아이콘
예전 경기 가끔 찾아보면서 느끼는거지만 오존-삼화가 가장 빛날 때는 댄디가 활약할 때더군요. 지금도 슼팬들 사이에서는 칸 이전에 가장 위협적이었던 선수로 댄디를 꼽을 정도로 존재감이 강렬했었죠. 그런점에서 작년-올해의 담원은 팀컬러는 다르지만 삼화스럽다는 느낌이 들곤 합니다. 정글-서포터가 팀 운영의 중추라는 점 때문인지...
파핀폐인
21/05/31 21:48
수정 아이콘
전 아직도 단기 임팩트는 댄디가 최강이라고 봅니다. 댄디의 장막 속에서 뛰어다니던 렝가는 진짜 막을수가 없었죠
21/05/31 2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그 캐니언급 정글캐리 임팩트의 시초격(?)인 선수죠. 그 시절은 어떤 면에서 성장형 정글러라는 개념이 정착되기 전이잖아요. 초식이든 육식이든 16년 이후처럼 라이너가 정글 보모라는 이야기가 나올만큼 철저하게 최적화된 캠핑동선-본인의 라이너급 성장을 통한 캐리 이런 개념이 아니라 어쨌든 라인개입+캠핑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서만 폭발적인 단기 성장이 가능하고, 초식으로 불리던 정글러타입도 결국 라인 지원이 꼭 거쳐가야 되는 단계였죠. 때문에 렝가든 카직스든 '갱킹 성공'이라는 불확실한 자원이 필요했는데, 저 시절 댄디와 카카오는 거의 매경기 그걸 성공했어요. 비안전자산을 가지고 늘 투자에 성공한다는 느낌을 준거죠.

그런 차원에서 정글러가 라이너처럼 캐리를 하는 느낌을 주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정글의 역할을 라이너급으로 확장시킨 선수들이 댄디와 카카오였다고 생각합니다. 14년 한정으로는 스피릿도 비슷했구요. 니달리로 대표되는 mlxg의 게임 스타일을 고려하면 확실히 동기부여가 많이 됐겠죠. 타잔도 굳이 따지면 그런 부류에 가깝구요. 정작 타잔은 벵기가 롤모델이라고 해서 좀 의아하긴 하지만 크크크

반대로 라인 개입쪽에 더 무게가 실리는 카사는 벵기를 대단히 리스펙트했었다는 점에서, 선수마다 롤을 보는 가치관의 차이가 이런데서도 나오는구나 싶습니다.
코우사카 호노카
21/05/31 21:49
수정 아이콘
댄디 렝가는 상대하는 팀에 있어서 악몽이었죠
21/05/31 21:58
수정 아이콘
저는 역대 최고의 한국 정글러로 스코어를 꼽지만, 단일시즌이라면 14댄디를 꼽겠습니다
파핀폐인
21/05/31 23:30
수정 아이콘
비슷하시군요
용노사빨리책써라
21/05/31 22:08
수정 아이콘
주요 커리어봐도 롤드컵1회 리그1회 땡에 최상위에서 장기간 군림하지도 않은 선수가 역체정 논란을 막강한 기세로 일으키는건 이유가 있죠
21/05/31 22:18
수정 아이콘
댄디 마타가 손잡고 협곡을 누비니 노답
21/05/31 22:24
수정 아이콘
피넛이 없다니 응슷는슷
다레니안
21/05/31 22:38
수정 아이콘
14카카오의 서머시즌은 정말 레전드였죠.
앞으로 페이커의 SKT와 3~4년은 맞붙을 KT의 프렌차이즈가 되리라 믿었는데......
StayAway
21/05/31 22:38
수정 아이콘
역대 다전제에서 가장 인상적인 정글러를 꼽자면
16 롤드컵 4강의 뱅기
그리고 14 서머 결승의 카카오
뿌지직
21/05/31 22:44
수정 아이콘
이제 타잔은 거품이라고 봅니다.. 쵸비 벗어나고 잘한적이 없는데.. 그리핀때조차 오브젝트 안챙기기로 유명했고 자기 성장만 중시했는데, 그게 다 쵸비의 강한 라인전 덕분이었죠.. 19롤드컵때도 소드가 독박써서 그렇지 타잔도 심각하게 못했죠.. 유리한게임에 오브젝트를 안챙겨요..
GaonNuri
21/05/31 22:58
수정 아이콘
어차피 19년 결과를 아는 지금이야 그렇게 느낄수가 있는데 19시즌 그리핀 에이스가 누구였냐 하면 타잔이었고 그리핀 자체에선 이견없는 에이스는 맞았어요 스프링에서조차 클리드한테 3:0으로 지고난 다음인데도 써머 결승직전까지도 한체정을 타잔으로 보는 사람 많았습니다 역사야 항상 재평가 되는게 맞긴하죠 하지만 19시즌 전체 중요한 결승무대자체만보면 그리핀에서 타잔>소드>쵸비 였다고 봅니다
21/06/01 06:55
수정 아이콘
시즌 내내 쵸비가 제일 잘했던거 같은데 결승무대만 놓고 타잔>소드>쵸비라 하면 좀 억울하죠... 타잔이 제일 각광받았던건 18서머랑 19스프링초기 같고(이블린 골라서 다죽이고 구원올라프 가던 시절) 그 이후로는 팀내에서는 쵸비에 밀리고 리그 내에서는 클리드에 밀리는 느낌이었는데...
GaonNuri
21/06/01 12:20
수정 아이콘
의자씬으로 시끌했던게 쵸비였나요? 제기억엔 타잔이었던거 같은데
21/06/01 12:27
수정 아이콘
시끌했던 게 와 역시 타잔이다 타잔 정도면 의자씬 받을만하지 그런식으로 시끌했었나요? 거의 정반대 이슈였던거 같은데...
GaonNuri
21/06/01 12:38
수정 아이콘
정확하게는 그리핀에서 누가 앉아서가 논란이 아니라 업적도 없이 앉아서였죠 그리핀이라는 팀에서 타잔이 앉아서 논란이 있었나요?
21/06/01 12: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니까 의자씬으로 시끌 그런 얘길 하는것 자체가 이상하죠 딱히 그때 그리핀에서 의자 앉을 사람은 타잔이지만 그리핀이 팀적으로 업적이 없어서 안된다는 식으로 얘기가 된 것도 아닌데요. 생각 좀 더 해보니 결승에서 유일하게 잘했단 소리까지 들은 소드는 그렇다쳐도 1천딜도 못넣은 세트까지 나온 타잔이 왜 결승 때 그리핀에서 제일 잘한 선수가 되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딱 서머 앨리스 한 세트 그 세트만 좀 잘했던 것 같은데.
오늘하루맑음
21/05/31 23:26
수정 아이콘
결과론적으론 강한 미드가 없으면 아무것도 못 하는 그런 정글러가 되었죠...
버거킹맘터
21/06/01 10:23
수정 아이콘
지금처럼 결과를 다보나면 거품 같지만 슼팬인 제 입장에서 19그리핀에서 제일 무서운건 타잔이였습니다.
21/06/01 14:49
수정 아이콘
롤드컵때 타잔 잘했는데요? 19얀코스 도륙낸게 타잔인데.. 8강 ig전도 닝 상대로 안밀렸죠.
폰독수리
21/05/31 22:58
수정 아이콘
lck와 lck를 제외한 나머지 세계의 게임운영능력 격차가 제일 심했던 해가 14년도라고 생각합니다. 당시의 lck 정글위상도 거기서 떨어져나온 편린이라 생각해요.
파핀폐인
21/05/31 23:34
수정 아이콘
실제로 해외에서 한국이 넘사벽이라고 본격적으로 느끼기 시작한 것이14년도입니다. nlb 피방리그로 떨어진 skt가 올스타전 (MSI 전신) 전승우승, KTB의 iem 카토비체 월챔 전승우승을 통해 도대체 그럼 삼성 왕조는 얼마나 쎈거냐 하고 롤드컵 열어봤더니 덜덜..
일이사사이
21/06/01 01:30
수정 아이콘
14년도 댄디 카카오는 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고,
제가 본 가장 인상적인 정글러는

16롤드컵 벵기, 17MSI 피넛. 19클리드, 19티안
미카엘
21/06/01 02:03
수정 아이콘
14 댄디는 롤신이었죠
쿼터파운더치즈
21/06/01 02:22
수정 아이콘
14 댄디 카카오 진짜 잘했죠
근데 스피릿도 잘했고
LacusClyne
21/06/01 03:07
수정 아이콘
저도 댄디카카오 투탑으로 꼽습니다.
대관람차
21/06/01 03:08
수정 아이콘
타잔이 한끗이 아쉬운 퍼포먼스와는 별개로 솔랭 등을 종합적으로 봤을때 그해 정글들에게 끼친 영향력만큼은 정말 막대했죠.
21/06/01 06:59
수정 아이콘
댄디가 정글의 정석을 만들고 그걸 극한으로 수행했다면 카카오는 사람 캐릭터고 인게임 플레이고 약간 정신나간듯한 게 매력 있었는데... 카카오의 앨리스가 대놓고 공템 올리면서 다죽이던 게 기억나네요. 선발전 의문의 경기력인 나진실드한테 막혀 롤드컵은 못 가긴 했지만 루키-카카오가 페이커-뱅기보다 더 위대한 미드정글 듀오가 될 수 있느냐 하고 kt팬들이 기대에 차 있던 차에 갑자기...
대패삼겹두루치기
21/06/01 08: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고수 엄청 좋아하는데 국제대회에서 보여준 게 적다보니 해외에서 높은 평가는 못 받네요 ㅜㅜ
Bronx Bombers
21/06/01 11:25
수정 아이콘
18 롤드컵이 너무 아쉽죠. 그 때는 모든 팀들이 다 두려워했던 정글러였는데
21/06/01 10:09
수정 아이콘
전 스코어..
다레니안
21/06/01 11:12
수정 아이콘
19년 타잔 클리드 커즈
전세계 모든 정글러들이 타클커 3대장 솔랭 영상 보면서 동선 따라했었죠. 크크크
댄디팬
21/06/01 11:27
수정 아이콘
댄디! 댄디마타 조합은 정말 대단했죠. 그리고 제가 생각하는 댄디의 또다른 강점은 스킬을 아주 침착하게 쓰고 어그로 핑퐁을 잘한다는 거였습니다. 귀신같은 배달보다 cc를 최대한 넣고 탱하다가 빠져나오는..
아웅이
21/06/01 11:37
수정 아이콘
보는 눈이 다르겠죠. 범인의 눈이랑 같을까요.
일반인 입장에선 쩌는 플레이라고 생각해도 mlxg입장에선 '나도 저 상황이면 저 정돈 했겠다' 라고 했을수도 있을것 같네요.
21/06/01 11:52
수정 아이콘
댄디는 이런 데 꼭 끼네요.
21/06/01 12:03
수정 아이콘
인성때문에 좋게 기억하는 선수는 아니지만 실력은 출중했죠. 댄디
어바웃타임
21/06/01 16:10
수정 아이콘
댄등감
장고끝에악수
21/06/01 17:37
수정 아이콘
댄디 스코어 카카오 한국 최고의 정글러들
네~ 다음
21/06/01 18:56
수정 아이콘
19 클리드도 진짜 돋보였는데 말이죠.

다 망했는데 지 혼자 꾸역꾸역 크고 갱으로 풀고 한타 캐리까지 보여주던게 한두번이 아니라서...
GiveLove
21/06/02 11:09
수정 아이콘
저는 몬테 전해설의 의견처럼 13-17 한국 롤 전성기 중에서도 14가 가장 압도적인 시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상위권 팀들 기준 역대최강의 미드정글 풀이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751 [LOL] 서머시즌을 휩쓸고 있는 '그것' [11] 비오는풍경15965 21/07/04 15965 0
71742 [기타] 로스트아크 9직업 주관적인 후기 (영업글) [56] BlueTypoon31321 21/07/02 31321 4
71724 [LOL] LPL 글로벌 중계진이 선정한 LPL Top 15 플레이어 [8] Ensis11489 21/07/01 11489 1
71717 [오버워치] [OWL] 서머 쇼다운 예선 1주차 리뷰 [11] Riina9967 21/06/30 9967 0
71686 [LOL] 시간 지나고 다시 본 KDA - MORE과 세라핀에 대한 감상평: 과연 그렇게 욕먹을만했는가 [57] 랜슬롯20636 21/06/26 20636 3
71645 [LOL] LCK, LPL, LEC 3대 지역 개막 1~2주차 종료 & 순위 & 감상 [51] Ensis12819 21/06/21 12819 5
71637 [LOL] 데뷔한지 2경기만에 휴가가려는 건방진 원딜과, 10연패 DRX [88] Leeka17233 21/06/19 17233 0
71627 [LOL] 포변 도전의 상대가 된 아프리카 [58] Leeka16496 21/06/18 16496 0
71625 [LOL] ??? : 쇼메이커 대신 내가 미드 뛰어도 이기는, 괴물 미드 신인 탄생 [102] Leeka23447 21/06/17 23447 0
71623 [LOL] 오늘의 담원 로스터 [78] roqur18222 21/06/17 18222 0
71608 [LOL] 11.13 패치안이 공개되었습니다. - 세부내역 추가 [52] MiracleKid16447 21/06/15 16447 0
71605 [LOL] 전상욱 + 클템 합방 롤vs스타 토론 방송 [105] 어바웃타임18272 21/06/14 18272 6
71589 [LOL] 한화에게 미래는 있는가 [121] 아이폰텐18590 21/06/12 18590 9
71586 [LOL] LPL 서머시즌 라인별 인기투표 근황 [19] Leeka14724 21/06/11 14724 0
71550 [LOL] 바텀이 제일 못한다 [281] 두둥등장24092 21/06/04 24092 6
71523 [LOL] Mlxg가 꼽은 역대 최강의 한국인 정글러들 [48] carpedieem15984 21/05/31 15984 0
71506 [LOL] 브위포 정글로 포지션 변경 [35] 허저비13699 21/05/27 13699 0
71502 [오버워치] [OWL] 6월 토너먼트 1주차 리뷰 [14] Riina11241 21/05/25 11241 1
71495 [모바일] 제2의 나라 페스티벌에서 공개된 정보(레이드, 길드pvp & pve) [20] 라쇼14722 21/05/25 14722 0
71492 [LOL] 원딜의 역할에 대한 LCK와 LPL의 인식차이 [214] Pokemon26479 21/05/24 26479 0
71488 [LOL] 국제대회 2회 이상 우승한 선수들 [21] Leeka21656 21/05/24 21656 0
71480 [LOL] 담원기아. 고생 많았습니다 - 결승후기 [349] Leeka17841 21/05/24 17841 12
71470 [LOL] Doggo가 던진게 아니라 RNG란 팀이 무서운겁니다. [110] 빛돌v20588 21/05/22 20588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