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20/08/31 10:32:03
Name RapidSilver
Subject [LOL] 신챔프 사미라의 데빌메이크라이 오마주 트리비아 (수정됨)
사미라에 대한 정보가 하나씩 공개될때마다 챔프 게임플레이 디자인부터 대사, 트레일러속 요소까지
찾으면 찾을수록, 디자이너 Squad5가 최근에 정말 데메크를 재밌게 했었구나.. 싶은 생각이 들정도로 깨알같은 요소가 한두가지가 아니라서 나름의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스타일랭크 시스템 자체

'스타일'이란 단어는 2001년작인 데메크1부터 시리즈 전체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였습니다.
데메크에서의 스타일랭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공격에 성공하거나, 도발 저스트회피 저스트가드 패리 등의 하이리스크 플레이를 할때 빠르게 상승하고 아무 행동도 하지않으면 천천히 하락하며 피격당하거나 피격경직이 일어나면 큰 폭으로 떨어집니다. 스타일랭크에 따라 스테이지 클리어 후 점수가 산정되고 보상이 달라지며, 무엇보다도 스타일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실시간으로 정량화해서 화면에 표시해준다는 획기적인 개념이었기에 데메크하면 빼놓을수 없는 시스템이라고 할수있겠습니다.

사미라도 '이전과 다른 종류의 공격으로 적을 적중시킬때마다' 스타일랭크가 올라가는데 데메크의 그것과 굉장히 유사하죠. Q평W평E평이 들어가면 이론적으론 S랭크에 진입할수 있다고 하는데 롤 특성상 피격당한다고 스타일랭크가 떨어지면 S랭크는 평생 볼일이 없을것같으니 이부분은 밸런스 측면에서 조절한것처럼 보이네요.

사미라의 스타일랭크는 E D C B A S 까지 존재하지만
데메크 시리즈에서는 D C B A S SS SSS 로 되어있습니다.

사미라 인터페이스의 스타일랭크 폰트가 굉장히 데메크 5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는것도 재밌네요.


style-rank
[데메크5의 스타일 랭크 표시]

[사미라의 스타일 랭크 표시]


2. 궁극기 'Inferno trigger'

번역명으로는 잘 티가 안나는데, 궁극기의 원문명부터 데메크 시리즈의 오마주를 냄새를 강하게 풍기며 작동방식 자체도 데메크 시리즈의 게임플레이 디자인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우선 궁극기의 이름은 데메크 시리즈의 '데빌 트리거 devil trigger'라는 특수한 변신 시스템을 연상케 합니다. 액션게임에서 흔히 볼수있는 변신 파워업 시스템인데 데빌트리거 시스템은 캐릭터가 갑자기 엄청나게 강해진다던가 하는 다른 액션게임의 변신과 거리가 좀 있습니다. 변신모션을 굳이 볼수도 있지만 콤보 중에 사용하면 바로 변신폼으로 콤보가 이어지며, 공격력과 속도는 강해지지만 기본적인 콤보는 거의 변하지 않고 특정 콤보에 일정부분 변형이 가해지는 식입니다. 따라서 이 변신이 액션의 템포를 끊지 않는다는게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악마의 형상으로 변하는 데빌트리거]

회전하며 주변에 권총을 난사하는 궁극기의 모션디자인은 영화 이퀼리브리엄의 건카타 액션을 연상케 합니다. 데메크 2, 3의 쌍권총 액션이 일정부분 건카타를 연상시키나, z축을 이용한 권총액션이 많다는데서 이퀼리브리엄과의 결정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단테의 이런 쌍권총 액션은 굉장히 여러 게임에서 오마주 및 재창조 된 바 있는데, 던전앤파이터의 거너계열 캐릭터들의 초기 전투디자인이 단테에서 굉장히 많은 모티브를 따왔다는건 이미 유명한 사실입니다.

[권총을 두 방향으로 연사하는 투썸타임. 권총의 발사방향을 플레이어가 조종할 수 있습니다]


[공중에서 곡예를 돌며 아래의 적에게 권총을 난사하는 레인스톰]

단테의 쌍권총 기술 중 가장 대표적인것이 이 레인스톰이라는 기술인데, 공중에서 회전하면서 아래의 적에게 빠르게 총알을 퍼붓는 기술입니다. 이퀼리브리엄의 건카타와 데메크의 쌍권총 액션이 가장 구분되는점이 바로 이런 z축 기술들의 존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사미라의 궁극기 시전모션을 잘 보시면 카타리나와는 다르게 굳이 점프를 하면서 레인스톰과 비슷한 모션을 취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궁극기시 사용하는 대사는 그야말로 오마주 덩어리인데
  "Jackpot!"
  "Showtime!"
  "My kind of rain!"
  "No better time to die!"

궁극기 라인 넷중 셋이 오마주대사입니다.
"Jackpot!"은 데메크1부터 주인공 단테가 한 시리즈도 빠지지 않고 뱉었던 캐치프레이즈이며
"Showtime!"이란 단어도 데메크1부터 5까지 절대 빠지지 않고 게임에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My kind of rain"이란 표현또한 데메크3에서 단테의 대사중 하나이고요.

아래 영상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궁극기 대사는 아니지만, 사미라의 도발 대사중 "You're deadweight"라는 대사가 등장하는데
데메크5의 스토리라인에서 저 짐짝 Deadweight이란 단어가 자존심 강한 열혈주인공 네로의 심기를 건드리는 매우 중요한 단어고, 게임의 시작부터 끝까지 몇번은 등장하는 단어기 때문에 굳이 저 단어를 사용했다는것 자체가 오마주성이 굉장히 강하다고 볼 수 있을것같습니다. 데메크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이미 밈으로 널리 사용중인 단어기 때문에 오마주가 아닐 가능성이 더 낮다고 생각됩니다.


3. 캐릭터성과 그외

Dante-Devil-May-Cryallapp

대검+쌍권총의 조합은 데메크 시리즈의 주인공 단테가 1편부터 5편, 그리고 리부트인 DmC:Devil May Cry까지 한번도 빠진적이 없이 등장했습니다. 시리즈가 바뀌면서 새로 얻는 무기들이 바뀔지언정, 대검 리벨리온 (rebellion)과 백색과 흑색의 쌍권총 에보니&아이보리 (Ebony&Ivory)는 항상 들고나왔죠.

사미라의 영문 원문대사중에
"People always ask about my weapons. Right hand, blaze. Left hand, thorn. Vanquish on the back, eh! Simple as that."
라는 라인이 있는데
권총에 Blaze&Thorn, 검엔 vanquish라는 이름을 붙이고 다니는것도 흥미롭습니다. 무기에 이름을 붙이고 다니는 경우야 흔하긴 하지만요.

사미라의 대사를 훑어보면 굉장히 자신감 넘치고 자기 멋에 취해 전투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단테의 캐릭터성과 굉장히 유사합니다. 아무래도 자기 스타일에 취해 전투하는 캐릭터라면 이렇게 여유와 자신감이 넘치는 모습이 어떻게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또 사미라 챔피언 트레일러에서 데메크 팬이라면 놓칠 수 없는 부분이 하나 있는데
nero-samira
사미라가 트레일러에서 갑자기 뜬금없이 저렇게 검으로 보드를 타는듯한 동작을 취하는데....
데메크 5의 주인공 네로가 공중에서 도발을 수행하면 나오는 자세와 굉장히 흡사합니다.
이또한 깨알같은 오마주 아닌가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8/31 10:34
수정 아이콘
추천~
고스트
20/08/31 10:34
수정 아이콘
참 옛날부터 좋은 컨십 있으면 모조리 베껴가네요
Darkmental
20/08/31 10:35
수정 아이콘
데메크1 다시해보고있는데... 이건 리메이크 안해주나 싶네요..
20/08/31 10:46
수정 아이콘
데메크5 버질 dlc는 언제...
기사조련가
20/08/31 10:51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오마주라고 하기엔 표절 아닌가요?? 크크
제가 관심있는 웹소설 계에서도 파쿠리가 난무하지만 이정도면 표절이라고 욕먹고 글내려야 하는 수준인데....
허락은 맞았는지 모르겠네
RapidSilver
20/08/31 1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전 게임에서 표절이란 단어를 쓰는걸 진즉에 포기했습니다... 크크크크...
적어도 원전에 대해 명확한 표기는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영어권 커뮤니티에서는 벌써 단테랑 많이 엮으면서 놀리더라구요
모쿠카카
20/08/31 11:36
수정 아이콘
사미라로 욕먹고 내려야 했으면 붕괴 3는 이미 2년전 서비스 종료했어야 했죠 크크크

데빌 메이 크라이 신작 나올때마다 신캐 낸다고 하는 곳인데
다시마두장
20/08/31 12:23
수정 아이콘
근본이 대놓고 하는 패러디로 점철된 게임이라 이제 와서 뭐라기에도 애매하긴 하죠.
몬테같은 경우는 아예 롤 IP를 다른 게임들(레어론 등)로 확장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얘기하기도 하더군요.
동인 짜집기 설정을 가지고 뭘 확장을 하고 앉았냐, 새로 제대로 된 IP를 개발하든가 해야지- 라는 투로요 크크.
보물지도
20/08/31 10:59
수정 아이콘
베꼈다고 해야할지 존경의 오마주인지... 애매하네요 크크
RapidSilver
20/08/31 11:07
수정 아이콘
사실 장르가 달라서... 표절이라 하기도 그렇고 뭐 애매하네요 크크
첫걸음
20/08/31 11:08
수정 아이콘
흠 그냥 콜라보 하는게 나을 것 같은데 굳이 저렇게하고 오마쥬다 라고 하는게 나을지 모르겠네요
20/08/31 11:15
수정 아이콘
로열티 안 내도 되는 급만 베끼고 오마주라고 하죠.
마블, 디씨 급 캐릭터는 스킨으로라도 오마주 안 합니다.
원작 회사에서 이의제기 하는게 아니면 팬 입장에서야 그냥 즐길거리 하나 늘어났으니 좋습니다.
RapidSilver
20/08/31 11:21
수정 아이콘
캡콤이 이정도로 뭐라할것같진 않네요 크크 도의적으로 욕은 좀 들어먹겠지만요
20/08/31 11:17
수정 아이콘
원작사한테 양해정돈 구하지 않았을까요?
캐릭터 자체는 독특하고 멋져보이네요
잠이온다
20/08/31 11:19
수정 아이콘
궁극기는 S랭크 제한 조건을 보니까 데빌 메이 크라이 5편에서 단테의 진 마인화 생각이 자꾸 나더군요.

진 마인화는 마인화보다 상위 변신이고 특수 스킬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마음대로 변신을 끌 수 없고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면서 경직을 받는데 이걸 스타일리쉬 랭크가 높으면 변신을 마음대로 풀면서 계속 써댈 수 있는데 그쪽에서 컨셉을 따온 느낌.
RapidSilver
20/08/31 11:20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하게 생각했습니다.

사실 사미라 전투디자인을 뜯어보면 정말로 데메크의 전투디자인 의도와 너무 흡사한점이 많아서 쓰려면 엄청 길게 쓸수도 있을것같은데 글이 너무 길어질것같아 자른것도 있습니다 크크..
20/08/31 13:33
수정 아이콘
저 데메크 좋아하는게 올려주시면 감사...
20/08/31 11:21
수정 아이콘
왜 총난사가 히오스의 발라 난사궁같을까?

시공조아
slo starer
20/08/31 11:24
수정 아이콘
데메크 대사 일부러 넣은거 보면 오마주라고 보는게 맞는듯
20/08/31 11:51
수정 아이콘
3편부터 입문해서 잘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데메크는 20년 정도 되어가는 시리즈죠? "스타일리쉬 액션 게임"이라는 장르를 정립한 작품이고, 20년 째 시리즈를 이어오고 있고, 아는 사람은 보자마자 아 이거! 하니까 당연히 오마주 아닐까요? 대사나 포즈 따라하는 건 존경?존중의 표현인 것 같고... 시리즈 팬 입장에서도(어제도 단테로 블러디 팰리스 40층 찍음!) 기분 안 나쁘고 오히려 반갑네요. 동준형 퀴형 데멬언급 기대해봅니다 크크
RapidSilver
20/08/31 11:55
수정 아이콘
전 디자이너가 직접 원전에 대한 언급을 좀 해줬으면 합니다. 패치노트로든 집중조명 영상으로든요.
20/08/31 12:13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다시 생각해보니 시리즈 팬 입장을 제가 혼자 대변 할 수는 없으니 섣부른 생각이었던 것 같아요. 공식으로 힘드면 디자이너가 트위터에서라도 한마디라도 해주는게 확실하겠네요.
플리트비체
20/08/31 11:58
수정 아이콘
신챔 정말 많이 나오네요.. 리그만 보고 가끔 칼바람만 하는 입장에서는 따라가기가 힘들군요
추적왕스토킹
20/08/31 12:00
수정 아이콘
[던]
인스네어리버
20/08/31 12:06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롤이야 말로 진정한 히오스가 아닐까요
다시마두장
20/08/31 12:24
수정 아이콘
크크 출연작이 자사 게임에 국한되지 않으니 진정한 파오캐라 볼 수도 있겠습니다.
20/08/31 12:20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캡콤이 승질내도 인정인데...
아따따뚜르겐
20/08/31 12:55
수정 아이콘
게임계가 이리저리 꼬여있어서 내용 꺼내기가 쉽지 않을거에요. 역풍 맞을 빌미를 제공하는지라 그러다보니 일방적 콜라보가 가능한거죠.
20/08/31 14:03
수정 아이콘
아케이드계에서 캡콤이 찌질한 대인배인건 정설이라서
절대 성질낼 업체가 아니죠. 돌려까기는 하겠지만 크크크
부질없는닉네임
20/08/31 12:34
수정 아이콘
사일러스가 사미라궁 뺏어도 랭크 쌓아야되겠죠?
20/08/31 13:03
수정 아이콘
그냥 한번 써지겠죠. 나르궁 뺏어서 분노없이 쓰는거처럼
WHIPLASH
20/08/31 12:34
수정 아이콘
시.공.조.아.
청순래퍼혜니
20/08/31 13:15
수정 아이콘
롤 챔프 컨셉의 유래나 원본만 다 모아서 정리해도 서브 컬쳐 위키 하나 만들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분명 어디서 원본이 유래되었는 지도 알고 클리셰인 것도 아는데 참 하고 싶게 잘 만들어요 진짜... 롤에서 데메크를 하게 될 줄이야.
모쿠카카
20/08/31 13:18
수정 아이콘
'리글의 랜턴' '요유무의 유령검'
그럴거면서폿왜함
20/08/31 13:17
수정 아이콘
첫번째짤 빨리감기겠죠? 되게 정신없네요
20/08/31 13:30
수정 아이콘
이제보니 무기가 건블레이드인가...?
아르비테즈
20/08/31 13:36
수정 아이콘
얘가 새로나온 노래 부르는 그 애인가요?
모쿠카카
20/08/31 14:00
수정 아이콘
세라핀은 이 챔프 다음에 나올 애이고 미드 AP 메이지랍니다... 대천사의 포옹 영문명이 Seraph's Embrace 인데 이거 원주인이라고도 하죠
20/08/31 14:11
수정 아이콘
오마쥬든 패러디든 좋으니 밸런스나 좀 맞춰라...
승률대폭상승!
20/08/31 14:51
수정 아이콘
쉔은 모탈컴뱃 그대로 복붙한 수준이죠
근본이 원래 그런 롤이라...
다시마두장
20/08/31 15:40
수정 아이콘
쉔 받고 아칼리도요! 크크
자몽맛쌈무
20/08/31 17:33
수정 아이콘
[데스페라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282 [기타] 이 게임이 너무 좋습니다. 그래서 더 화납니다. 드래곤즈 도그마 2 [39] RapidSilver6513 24/03/25 6513 5
79222 [기타] 빈딕투스 - 디파잉 페이트 테스트버전 후기 [37] RapidSilver5451 24/03/14 5451 2
78719 [기타] VR초보가 퀘스트3로 본 VR게이밍 (feat. 바하4VR, 어크VR) [9] RapidSilver6730 23/11/24 6730 3
78290 [콘솔] 후기) 이 게임은 *정말로* 스파이더맨이 된 기분을.... [42] RapidSilver8967 23/10/23 8967 4
77370 [콘솔] 젤다 왕눈 / 스파6 짧은 감상 및 분석 [32] RapidSilver9990 23/06/14 9990 7
76958 [콘솔] [바이오하자드4 리메이크 평론] 균형의 예술 [57] RapidSilver11982 23/04/03 11982 16
76460 [모바일] [마블스냅] 파워코스믹 시즌, 2주간 대혼돈의 메타 리포트 [26] RapidSilver12011 22/12/22 12011 5
75395 [기타] '게임을 안해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106] RapidSilver19630 22/09/17 19630 31
73796 [콘솔] 엘든링 중간 감상 [83] RapidSilver12642 22/02/28 12642 10
73112 [기타] Stop nerfing fighting game - 롤격 개발노트 감상 [99] RapidSilver14520 21/11/24 14520 10
72850 [콘솔] '논스톱 클라이맥스 액션'이 뭔데 이 오타쿠야 [8] RapidSilver10236 21/11/07 10236 4
72297 [콘솔] 리뷰)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가 위대한 게임인 이유 [28] RapidSilver14936 21/09/08 14936 22
71824 [기타] 성룡과 빗뎀업부터 단테까지, 내 취향의 뿌리를 찾아서 [9] RapidSilver14829 21/07/14 14829 9
71009 [기타] 게임법 전부개정안 관련 주요쟁점과 핫이슈 [8] RapidSilver12212 21/03/09 12212 21
70880 [콘솔] 마계촌을 통해 엿보는, 캡콤이 매니아들을 열광시키는 방법 [55] RapidSilver15604 21/02/24 15604 35
70553 [기타] Getting Over It - 괴짜들을 위한 러브레터 [18] RapidSilver13369 21/01/03 13369 27
70543 [기타] 2020년 게이밍 돌아보기 - (2) 오픈 월드 [10] RapidSilver13246 21/01/01 13246 7
70510 [기타] 2020년 게이밍 돌아보기 - (1) 게임 비평 2020 [35] RapidSilver13676 20/12/27 13676 9
70186 [콘솔] 양립의 미학 - <천수의 사쿠나 히메> 평론 및 감상 [35] RapidSilver13296 20/11/20 13296 48
69934 [콘솔] 젤다무쌍 : 대재앙의 시대 데모 후기 (+ 전투 매드 영상) [21] RapidSilver10193 20/11/06 10193 2
69240 [LOL] 신챔프 사미라의 데빌메이크라이 오마주 트리비아 [42] RapidSilver15872 20/08/31 15872 10
68938 [콘솔] 고스트 오브 쓰시마 영상후기 (전투중심) [10] RapidSilver11323 20/07/19 11323 10
68725 [콘솔] (스포일러)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2 종합 비평 [72] RapidSilver16360 20/06/21 16360 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