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2/30 13:27:12
Name Leeka
Subject [LOL] 13년 이후 국제대회 우승한 원딜들 커리어

- 11~12 월즈 우승자들은 너무 초창기라 기록 찾기 애매해서 빼고 적음.

- 우승기록만 (특별한 수상이 있다면 포함)

- 순서는 국제대회 먼저 우승한 순서


피글렛 - Worlds 1회 / LCK 2회
임프 - Worlds 1회 / LCK 1회 / LPL 1회
데프트 - MSI 1회 / LCK 2회 / LPL 2회 / 2016 LPL 올해의 선수
뱅 - Worlds 2회 / MSI 2회 / LCK 4회
룰러 - Worlds 1회 / 2017 Worlds MVP
우지 - MSI 1회 / LPL 2회 / 2014 LPL 올해의 선수
재키러브 - Worlds 1회 / LPL 1회
퍽즈 - MSI 1회 / LEC 6회
LWX - Worlds 1회 / LPL 1회




뱅 제외하고 국제대회는 다들 1번 이상 먹은적은 없음.

데프트, 퍽즈가 리그 먹은 횟수 자체는 4회, 6회로 많은데 월즈가 아닌 므시 우승이라 급이 내려감.

룰러는 자국리그를 안먹고 국제대회를 먹은 유일한 원딜 & 원딜로 유일하게 국제대회 MVP를 탄 선수. 2개 기록을 다 보유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興盡悲來
19/12/30 13:36
수정 아이콘
룰러는 올해가 역체원으로 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겠네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9/12/30 13:37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올해 롤드컵 우승해도 뱅보단 아래죠. 리그 우승이 전무해서..
興盡悲來
19/12/30 13:38
수정 아이콘
올해라고 쓰니까 헷갈리는데 여튼 2020에 스프링 섬머까지 우승한다고 하면 가능하지 않나요?
블리츠크랭크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올해 그랜드슬램하면 임팩트 면에서는 가능해도 누적은 부족하긴하죠.
興盡悲來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음 올해 그랜드슬램하고 내년까지 좀 더 해먹어야겠군요
다리기
19/12/30 18:59
수정 아이콘
뱅과 SKT 위엄..
허세왕최예나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스프링, MSI, 서머, 롤드컵 먹고 롤드컵 MVP급 활약하면 역체원 후보에 오를 수 있죠. 그 이후에 커리어 쌓는거에 따라서 더 올라갈 수도 있구요. 현재는 뱅이 롤드컵 2회로 가장 앞선 건 사실이고.
興盡悲來
19/12/30 13:4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젠지 선수들 장기계약 했으니까 기록 깨지는거 한 번 보고싶네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9/12/30 1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뱅은 롤드컵/MSI/리그 우승이 2/2/4 인데 룰러가 다음시즌 모조리 다 우승한다해도 2/1/2 입니다. 물론 하드캐리하면서 그랜드슬램 달성한다면야 상징성 때문에 더 높게 치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사실 그럴가능성도 낮고 그렇다 해도 객관적인 수치상으론 아래죠.
興盡悲來
19/12/30 13:43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룰러 더 분발해라!!
클로로 루실후르
19/12/30 13:40
수정 아이콘
올해 리그2회 우승, MSI우승, 월즈우승 다해도 커리어가 안되네요 뱅의 위엄 덜덜
19/12/30 13:58
수정 아이콘
올해 역캐리만 안하는 선에서 리그1 월챔1 먹으면 역체원 봅니다. 17월챔이 1옵션 에이스 우승이고 지금 젠지가 슈퍼팀이라지만 15~17SKT보다 팀 맴버가 좋다고 하긴 어렵거든요.
근데 월챔 먹는게 그렇게 쉽지는 않을겁니다.
제이홉
19/12/30 16:11
수정 아이콘
올해 리그2개 msi 롤드컵 다 먹어도 뱅보다 커리어가 부족한데 리그1 롤드컵 하나로는 역체원이라 하기는 힘들죠. 올해 그랜드슬램을 해야 커리어는 뱅에 조금 밀리지만 롤드컵 mvp+최초 그랜드슬램 버프는 받아야 역체 가능합니다.
19/12/30 13:52
수정 아이콘
뱅이 확실히 솔리드하긴했습니다. 라인전 지는, 이기는 픽 모두다 수행 가능하고 하드캐리도 되는..지금도 진정한..승리자
페로몬아돌
19/12/30 13:58
수정 아이콘
검은수염은 일단 빼고 시작하죠 쒸익쒸익... 다 거부한다. 룰러 데프트가 짱임.
19/12/30 14:11
수정 아이콘
뱅 위엄이네요. 국제대회만 4번을..
아웅이
19/12/30 14:12
수정 아이콘
재키럽, LWX > 우지라니 덜덜
19/12/30 14:20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없는게 너무 아쉬운
이불베개
19/12/30 14:22
수정 아이콘
저 중dpm/팀내 딜비중/최소데스/15분 골드/15분 경험치/ 15분 cs 모두 1등인 미친 경우는 16서머lck 뱅과 18msi 우지밖에 없죠. 팀의 승리 기댓값 측면에서 저 둘의 전성기 때가 완벽하다고 봅니다.
19/12/30 14:44
수정 아이콘
그 16서머를 막은 [].... 후새드
치토스
19/12/30 14:33
수정 아이콘
1번 이상이 아니라 1번 초과 혹은 2번 이상이라고 해야 맞죠.
카르타고
19/12/30 15:54
수정 아이콘
11년은 몰라도 12년도 비비는 넣어도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대만리그라 평가하기 조금 어렵긴 하겠지만 저기에 들어가도 손색없는 선수라고 생각해서
19/12/30 16:20
수정 아이콘
저 역시 동의합니다. 8강 4강 결승에서 비비는 와 뭐 저런 미친X이 다 있지 하는 감탄이 나왔어요
19/12/30 17:16
수정 아이콘
12년도 롤드컵은 아직도 ipl5 말나오는 대회다보니... 확실히 시즌3부터 롤이란 게임과 리그의 큰틀이 다 잡히지 않았나 싶네요
19/12/30 20:12
수정 아이콘
룰러는 결승전 파엠아닌가요?
16년과 다르게 17은 월드 전체 MVP를 뽑지 않은걸로 압니다.
킹이바
19/12/31 09:34
수정 아이콘
룰러 커리어에 매번 롤드컵 mvp로 따라다니는 건 조금..
일반적인 글이면 모르겠는데 비교글에선 정확히 구분해주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문도석사
19/12/31 13:13
수정 아이콘
뱅의 커리어에 대해 좀 더 수식하자면,

뱅은 '월즈 & MSI를 모두 우승'한 유일한 원딜입니다.
그것도 [각각 2회]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의 보유자이지요.
(울프도 월즈 & MSI 를 각각 2회씩 우승한 유일한 서폿이구요)

룰러,재키러브,Lwx가 월즈 1회, MSI 2회 우승
데프트,우지,퍽즈가 월즈 2회, MSI 1회 우승을 더하면, 준우승 제외하고 기록이 비슷해지긴 합니다.
20/01/01 09:05
수정 아이콘
요즘 상향 평준화 된거 보면, 현재 어떤 선수도 누적 커리어로는 SKT 4인방 넘기 힘듭니다.
근데 또 모르죠. 택뱅리쌍 시절에 이영호가 다 해먹을 거라고는 누구도 몰랐으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86 [LOL] 4대미드 시대의 끝. 2대미드 강점기 또는 쵸비 시대의 서막 [118] seraphe9701 24/06/07 9701 4
79395 [LOL] 5연속 티젠, 5연속 제오페구케 vs 쵸비. [188] Leeka14703 24/04/13 14703 8
79036 [LOL] 제대로 위기론이 불어오는 LPL [52] Leeka14436 24/01/24 14436 0
79021 [LOL] 리그오브레전드 로스터 [84] 닉바꾸기힘들다13165 24/01/20 13165 1
77638 [LOL] 2023 LCK Summer 주차별 시청자수 [79] 구성주의13632 23/07/29 13632 5
77619 [LOL] 젠지 CEO 아놀드 허가 팟캐스트에서 밝힌 샐러리캡 제도 뒷 배경 [346] Avicii24047 23/07/25 24047 7
75717 [LOL] 내년 롤 리그 대격변 관련 다양한 이야기들 [22] Leeka13629 22/10/22 13629 0
74138 [LOL] 페이커의 습관 - 상대를 숨 막히게 하는 방법(by P.S.) [115] roqur14975 22/04/11 14975 0
73987 [LOL] 4대미드가 모두 LCK 데뷔한 후 얼마나 해먹었나? [80] Leeka13833 22/03/27 13833 4
73951 [LOL] [e스포츠 연구] e스포츠 팬 여러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22] 레이저백7782 22/03/21 7782 0
72583 [LOL] 월즈 그룹 스테이지 2일차 감상문 [58] 달렉13877 21/10/13 13877 11
71889 [LOL] 응원팀의 경기를 매일 보고 싶습니다. [92] 지니쏠16564 21/07/24 16564 3
71605 [LOL] 전상욱 + 클템 합방 롤vs스타 토론 방송 [105] 어바웃타임18368 21/06/14 18368 6
71344 [LOL] 시청자 수 감소, 스타 선수 부재... LCK는 '위기상황'인가? [82] 하얀마녀19723 21/04/27 19723 1
70969 [LOL] 두 명감독의 '명장병'? [458] 바인랜드28291 21/03/05 28291 55
70253 [LOL] 더블리프트 은퇴 선언 [37] 대관람차15358 20/11/26 15358 0
69771 [LOL] 통계는 과학이 아니라 미신이다.(feat 게이머의 나이) [45] 아우어케이팝_Chris19600 20/10/26 19600 19
68835 [LOL] MSC에 다녀온 네 명 미드라이너의 상대적인 지표를 알아보자. [82] 삭제됨14027 20/07/06 14027 2
68394 [LOL] 아프리카 프릭스의 연습량에 관해 DFM에서 활동하고 있는 양광우 선수의 인터뷰 [94] 타바스코16707 20/04/29 16707 5
68340 [LOL] 테그가 롤이긴 하지만 모든 이스포츠 종목으로 봐도 될것같은 이야기 입니다. [23] realcircle11732 20/04/24 11732 1
67639 [LOL] 13년 이후 국제대회 우승한 원딜들 커리어 [28] Leeka9765 19/12/30 9765 0
66965 [LOL] 페이커 이젠 쓰러져도 괜찮아 [50] 아웃프런트10636 19/11/04 10636 10
66957 [LOL] LCK는 정말 3부리그가 되었음을 인정해야 하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319] cogbe14683 19/11/04 14683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