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11/09 17:40:48
Name 마빠이
Subject [LOL] 프랜차이즈에 대해서 라이엇코리아의 짧은 코멘트가 나왔습니다.
스포츠서울
http://m.sportsseoul.com/news/read/846269

[이에 대해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측은 “국내에서도 프랜차이즈화를 상당히 검토해왔고 센트럴(미국 본사) 차원에서도 여러 고민을 하고 있다”며 “시작을 하려면 성공적으로 해야되기 때문에 검토하는데 면밀히 시간을 좀 더 필요하다. 우리의 의지도 의지지만 실제 대규모 투자자들이 들어와야하기 때문에 조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라고]


일단 본사나 라코나 롤챔스의 프랜차이즈화에 대해서 의지는 분명히 있는거 같습니다. 다만 아쉽다고 영세한 팀들까지 받아서 불안정하게 출발하느니 할려면 제대로 하기 위해서 최대한 대규모 투자자들을 모아야 하는데 그런 투자자들로 한국에서 10팀을 언제 채울수 있을지 좀 걱정이 들기는 합니다.

SKT는 커지는 E스포츠판을 읽고 해외자본과 합쳐서 독립법인까지 만들어 몸집을 엄청 키웠는데 단독으로 힘들다면 이렇게 지분을 나눠서 하는것도 좋아보이는데 마침 한국팀이 세계대회에서 연속으로 죽을쓰는 상황이...

개인적으로는 한국에서 게임의 인식이 15년전 스타1 E스포츠판에서 크게 나아지지 않았고 기업들도 굉장히 보수적인 상황이라(해외는 마스터카드에 루이뷔통까지 스폰을 하는 상황인데..) 마냥 대규모자본이 들어올거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중국에 이어서 베트남까지 롤이 국민게임이 되면서 한국 기업에도 상당히 매력적인 광고처란걸 라코가 제대로 영업하면 다 채우는 것이 마냥 힘든것만은 아니라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짧지만 라코의 저 코멘트를보면 프차에 의지가 보여서 당장은 아니지만 분명 할거 같기는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표저가
19/11/09 17:49
수정 아이콘
전 리그 자체에 고인물이 생기는게 싫은 점, 죽은 경기가 너무 많이 생기고 리그에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 때문에 일관적으로 강등제 없애는건 반대합니다.

그리고 한국이라는 지역이 세계적으로 죽을 쒔다고 할수도 없을뿐더러 만에 하나 그렇다 하더라도 그걸 프랜차이즈가 안되어서라고 하는건 논점을 비튼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실질적으로도 한국이라는 시장 안에서 프랜차이즈제가 안정적으로 돌아갈지도 의문이네요.
마빠이
19/11/09 18:08
수정 아이콘
약간 오해 하신게
프차가 안되서 한국의 성적이 안좋다가 아니라
유럽이나 중국의 성적이 좋아지면서 한국의
투자 메리트가 과거보다는 조금 떨어졌다는
얘기입니다.

그리고 전 승강전 없어도 잘나가는 프로스포츠들이
존재하기에 큰 필요성은 못느끼는 편입니다.
표저가
19/11/09 18:09
수정 아이콘
잘나간다 안나간다를 떠나서 시청자 입장에서 싫다는 말입니다. 잘나간다는 보장도 없고요.
마빠이
19/11/09 18:13
수정 아이콘
표저가님의 의견은 존중합니다.
저는 프로야구에 익숙한 사람이라 별 필요성이안느껴질뿐 각자의 입장이 있는거겠죠
보르지긴
19/11/09 17:51
수정 아이콘
중국이나 베트남 시장이 매력적이라면 LPL, VCS에 투자하면 되는걸 굳이 LCK에 투자할 이유가 있나요?
마빠이
19/11/09 18:04
수정 아이콘
해외기업이라면 그럴수 있는데 흐흐 한국 기업이면 한국을 기본으로 해외에도 인지도를 올릴수 있다는 걸 라이엇이 잘 영업 해야겠죠
타카이
19/11/09 20:34
수정 아이콘
그런 글로벌 기업 열 곳이 이스포츠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유도하기가 힘들다는 것이죠
마빠이
19/11/09 21:41
수정 아이콘
힘들다고 아무것도 안하는건 패배주의입니다.
저도 본문에 적었듯이 힘든일이라고 적었고 그래도
시도는 해봐야 하는게 발전의 길입니다.
아르타니스
19/11/09 23: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왜냐면 일본 j리그가 중계권료로 대박 낸 사례가 있거든요.
인터뷰 | ① DAZN 사장 "'2조 1천억' J리그 중계권, 산 게 아니라 투자"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580
인터뷰 | ② J리그 의장 "중계권료 2조 원, 25년 노력의 성과"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586
인터뷰 | ③ J리그 대행사가 밝힌 성공비결 "J리그가 야구보다 매력적이다"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592
인터뷰 | ④ 세레소 사장 “성적내면 돈을 벌 수 있는 리그가 됐다”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596
르포 | ⑤ J리그는 TV 아닌 인터넷 중계로 ‘새로운 시대’ 열었다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06
르포 | ⑥ 감바 사례에서 보는 경기장 신축과 활용의 아이디어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09
르포 | ⑦ 이니에스타 굿즈, 공장 풀가동해도 매주 '완판'
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20

j리그가 유럽권 리그도 아닌데 영국의 DAZN 넷플릭스같은 OTT 회사가 중계권료로 2조 1천억이나 산 이유가 있겠죠?
잘 키운 리그는 언제나 해외에서도 매력적인 상품입니다.

lck는 롤판 전체로 볼때 j리그처럼 충분히 타국 에서 2조1천억 규모는 아니더라도
목돈을 가지게 해 줄 토양이 있는 리그라는거죠.

그걸 자체를 시도를 안한 k리그는 결국 국제적으로 사양이 되었고 한국 보다 10년이 늦게 프로리그를 만든
일본의 J리그는 창립후 25년 대계획으로 차근차근 키워서 지금이 만들어진거고요.

이게 바로 미리부터 포기한 자와 할려고 시도한자와의 결정적 차이인겁니다.
보르지긴
19/11/10 12:46
수정 아이콘
이건 제 말대로 일본 OTT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해서 외부 자본이 일본에 직접 투자한 케이스네요.
ioi(아이오아이)
19/11/09 17:56
수정 아이콘
중국이나 베트남 시장이 매력적이라면 LPL, VCS에 투자하면 되는걸 굳이 LCK에 투자할 이유가 있나요?(2)
피카츄 배 만지기
19/11/09 17:58
수정 아이콘
흑흑흑 그럼 라이엇코리아가 직접 운영하겠다고 들어오지를 말지
괜히 설레였잖아 응애!!!!!!!
Reignwolf
19/11/09 17:59
수정 아이콘
수익구조는 어떻게 재편해줄지 궁금합니다. 중계권료라도 나눠주지 않는 이상 프렌차이즈화 할 수가 없다고 보는데
마빠이
19/11/09 18:14
수정 아이콘
북미나 유럽은 중계권료에 대한 지분을 가진다고 하더라구요
에바 그린
19/11/09 18:13
수정 아이콘
프랜차이즈 도입하면서 때깔도 lec나 lcs처럼 좋아지길 바래서 도입을 원하는건데...
차은우
19/11/09 18:16
수정 아이콘
전 다른건몰라도 연습생들 경기못뛰고 묶여있는게 너무 답답합니다
19/11/09 18:34
수정 아이콘
연습생들은 나이이슈도 있는경우가 많아서...
비역슨
19/11/09 18:38
수정 아이콘
프차를 아예 안하겠다는 것도 아니고, 결국 하긴 할건데 언제 할진 모르겠고 여건이 갖춰질때까지 기다리기만 한다는게 저는 많이 답답합니다.
지금 없는 투자자가 2, 3년 후에는 뭐 순풍순풍 생길 것도 아니고. 늦어질수록 원래 있었을법한 투자들이 다른 길로 빠질 수 있는것도 고려하면 뭐 신중한다고 상황이 바뀔게 있나 싶네요.

양대 LCS가 프차로 갈때도 각 팀들이 나서서 적극적으로 요구한게 컸고, 오히려 라이엇은 미적미적 거리던 순간도 많았는데
LCK도 그정도로 팀들이 들고 일어나는게 아니면 뭐 롤 이스포츠 문닫을때까지 프차 구경은 못할것 같네요.
스덕선생
19/11/09 19: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를 생각하는 분들도 많지만, 그것도 사실 기형적으로 돌아갔죠.
스파키즈나 히어로는 스폰서 이름값만 좋았지, 사실 투자 없이 엉망이였으니.

T1, KT, 한화생명, 젠지, 킹존, 아프리카는 프랜차이즈 해도 남아있을 것 같은데
샌드박스나 스틸에잇(그리핀), 담원은 좋은 선수들을 발굴해서 과감히 장기계약해 코어로 만들어놓은 케이스라
자금력 증명하라고 하면 솔직히 못할거라고 봅니다. 뭐 담원은 구단주가 기업은 훼이크고 부동산부자란 말도 있습니다만...
19/11/09 20:27
수정 아이콘
프차하면 LCK방송 퀴어빠, 빠따형 방송으로 못보니까 반대합니다.
야근싫어
19/11/09 21:53
수정 아이콘
아직도 멀었나.. 시간이 많이 걸릴것 같군요. ㅠㅠ
다시마두장
19/11/09 22:40
수정 아이콘
저도 LCK에서 프랜차이즈를 할만한 탄탄하 돈줄이 충분히 들어올 수 있을 것 같지가 않네요.
해외 자본을 기대하기에는 이미 LCK가 세계 최고 리그라는 프리미엄도 걷힌 지 오래라 투자 가치가 떨어지고요. (이미 상징성을 구축해놓은 T1은 제외)

다른 리그들은 북미, 중국, 유럽이라는 대륙을 무대로 장사를 하는데, 꼴랑 인구수 5천만짜리 반도에서 똑같은 레벨의 리그 시스템을 바라는 것 자체가 비현실적인 생각이 아닌가 하는 자조적인 생각도 듭니다. 선수들 경쟁력이야 차고 넘치지만, 그래서 억울하기도 하지만 현실이 이런 건 어쩔 수 없는거죠...
프차 하나만을 생각한다면 차라리 다른 아시아권 리그랑 통합해서 진행하는 게 더 실현가능성이 높을거란 생각까지 드네요.
헝그르르
19/11/10 09:14
수정 아이콘
한국이 독주하는것 보다 지역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게 글로벌 마켓으로 볼때 더 좋아 보이네요..
시청자 입장에서도 더 몰입되고 올해는 어떤지 외국과 비교하는 맛도 있구요..
한국독주는 스1에서 한계를 보여준거 같아요..
지금이 모든면에서 프렌차이즈에 유리할거로 생각합니다
다시마두장
19/11/10 19:05
수정 아이콘
'다양한 지역이 치열하게 경쟁해야 글로벌 마켓이 지속될 수 있다'같은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닙니다.
LCK가 독주를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아고요. 리그 프리미엄의 문제입니다.
LCK의 무대인 한국 시장이 규모가 작으니, 해외 투자자 입장에서는 한국 외 국제 시청자의 규모가 투자 가치를 결정합니다.
이를테면 동 시간대에 방영하는 LPL을 놔두고 LCK를 시청할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말인데, 그 이유가 되어줬던 게 'LCK가 세계 최고의 리그'라는 브랜드 가치 덕분이었다고 봅니다. 그 가치를 상실하는 순간 투자할 이유도 사라지는거고요.
그래서 LCK 팀들이 국제 무대 최상위권에서 놀 정도는 돼야 다른 리그들과 같은 출발선상에 설 수 있다고 봅니다. 국제전 상위 라운드에서 이름을 노출한다는 보너스의 가치는 둘째 치더라도요.

이게 다 결국은 내수시장이 작은데서 오는 한계라... 아예 야구처럼 롤 자체가 국민스포츠가 돼버린다면 또 모르겠네요.
GREYPLUTO
19/11/09 23:09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페이커 있을때 해야...
루데온배틀마스터
19/11/10 08:45
수정 아이콘
자본도 부족하고 거품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금 LCK 선수들의 몸값 경쟁은 분명 과열되어 있어요. 우리나라의 소비자를 포함한 시장 크기 생각해보면 프랜차이즈는 섣불리 시도했다가 더 큰 부작용들만 만들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159 [LOL] 라이엇코리아 판단이 논리적으로 이해안되는점 [39] 세기말종자10209 19/11/20 10209 170
67155 [LOL] 규정을 무시하고 보복성 징계를 한 라이엇코리아를 규탄하며.. [9] 아름다운돌7119 19/11/20 7119 28
67152 [LOL] 라이엇, C9에 17만 5천달러(한화 약 2억) 벌금 부과 [33] Leeka8475 19/11/20 8475 0
67143 [LOL] 라이엇에 LCK팀들 계약 자료가 갱신되었습니다. [14] Leeka13604 19/11/19 13604 1
67134 [LOL] [Dot Esports] 라이엇은 외국인 선수 영입 규정을 폐지해야 한다 [60] e평w1평qe10841 19/11/19 10841 3
67097 [LOL] 이적 시장 관련, 라이엇 규정 및 현황에 대해 짧게 알아보자 [4] Leeka6780 19/11/13 6780 1
67092 [LOL] [공식]라이엇이 더블 엘리미네이션의 가능성을 일축했네요. [164] 랜슬롯11157 19/11/13 11157 0
67042 [LOL] 국가대항전에대해 관심가지는 라이엇 [74] 스톤에이지12632 19/11/09 12632 0
67041 [LOL] 프랜차이즈에 대해서 라이엇코리아의 짧은 코멘트가 나왔습니다. [26] 마빠이9015 19/11/09 9015 0
67040 [LOL] G2 vs SKT. 4강전에서의 G2 운영 분석 (라이엇 공식) [27] Leeka12153 19/11/08 12153 1
67037 [LOL] 라이엇의 새로운 Q&A가 올라왔습니다. [24] 마빠이10897 19/11/08 10897 2
66937 [LOL] 라이엇이 시청시간대를 배려할 수 밖에 없는 이유 [19] Leeka10799 19/11/02 10799 5
66910 [LOL] 하태경이 라이엇코리아에 경고를 보냈습니다. [77] Leeka12168 19/10/30 12168 33
66908 [LOL] 하태경 의원이 라이엇 중간발표에 대해 반박했습니다. [91] fallsdown17019 19/10/29 17019 33
66906 [LOL] 카나비 사건 관련. 라이엇 게임즈 중간 발표가 공개되었습니다 [164] Leeka17524 19/10/29 17524 0
66853 [LOL] 라이엇 공식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명장면 TOP 5(더펜타) [6] Leeka9232 19/10/23 9232 1
66824 [LOL] 라이엇코리아 규정해석의 수상함과 불편함 [131] 월광의밤13548 19/10/21 13548 12
66823 [LOL] 라이엇코리아 "그리핀의 임대에는 규정 상 문제가 없다" [159] 興盡悲來15544 19/10/21 15544 4
66677 [LOL] 롤드컵 메타에 대해서 라이엇이 공식답변을 했습니다. [27] Leeka10165 19/10/04 10165 2
66668 [LOL] 라이엇 코리아는 대체 뭘 하려고 하는가 [112] 대관람차12929 19/10/01 12929 22
66621 [LOL] 왜 라이엇 코리아는 lck 퀄리티 개선의 의지가 없을까. [72] 월광의밤9084 19/09/24 9084 6
66617 [LOL] 라이엇 외국 LEC 해설진들의 조별리그 평가 [29] 삭제됨10703 19/09/24 10703 4
66588 [LOL] 롤드컵 버전 패치에 대한 라이엇의 단상 [196] Leeka13813 19/09/18 1381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