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9/04/14 13:20:27
Name 아놀드의아몬드
Subject [LOL] 2019 LCK Spring 결승전 1경기 분석 - 2 (수정됨)
지난번 1편 글 ( 링크: 1편 보기 )에 이어서 쓰는 글입니다

24. 19:14 세번째 화염용. 그리고 역사의 갈림길

초반엔 극도로 싸움을 회피하던 SKT가 20분이 되자 드디어 싸움을 제대로 해보려하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SKT가 먼저 용을 먹으려는 진형을 갖추자 아칼리가 텔로 합류하는 모습





25. 19:19 세번째 용 한타 -1



SKT가 먼저 용을 쳐서 상대를 끌어들이기 시작합니다. 진형은 SKT가 훨씬 좋습니다. 이 장면은 이전 상황들과는 완전히 바뀐 부분이 많기 때문에 체크해야 할 부분들이 좀 있는데







먼저 시야 상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그리핀의 핑와는 파란색 직선으로 표시했는데요, 보면 알겠지만 화면상에 보이는건 칼날부리 옆 평지에 한개 뿐이고
나머지는 미니맵상에 보이는 탑 작골부시, 미드라인 평지, 바텀 작골부시 이렇게 있습니다. 용과 전혀 관련없는 위치죠.

반면 SKT의 핑와는 지금 현재 화면 상에만 다섯개가 중요 부시들 + 용 둥지에 다 박혀있는데 (혹시 모르는 뒷텔을 대비해서 블루 옆부시까지 핑와가 박혀있는 꼼꼼함) 
 
지금 이것만 보면 어라? 그리핀이 원래 바텀 주도권을 갖고있던거 아니었나? SKT가 언제 이렇게 시야를 잘먹었지 하고 궁금해하실 겁니다.

사실 이 시야 작업의 시작은, 17분경에 SKT가 1차 타워를 내주던 장면부터 SKT가 준비하던 것이었습니다.

그 당시 그리핀은 바텀 1차를 밀고 정비를 위해 집을 가야했는데, 당시 상황을 다시 복기해보면


16:50 SKT의 바텀 1차 타워가 깨진 직후인데, 이때까지만해도 그리핀은 미드 아래 1자부시, 미드아래 섬부시에 제어와드를 통해서 바텀 주도권을 마킹한 상태였습니다. (미니맵 확인) 1차 타워를 깬 이후 그리핀은 탑미드 라인 정리와 집에가서 정비(판테온)를 하는 등 서로 흩어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16:58  그리핀이 흩어지는 타이밍을 가질수밖에 없던 때에 SKT가 그 틈을 파고들어서 재빠르게 눈엣가시같았던 제어와드를 지웁니다 (정글과 서폿이 동시에 지우는걸 보면 애초에 저 타이밍에 동시에 시야를 확보 하자는 팀 콜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그리핀이 1차를 깰 동안 SKT는 귀환 타이밍을 잡아 제어와드를 2개씩 꽉꽉 사들고 나왔습니다)




17:19 추가적인 마무리 작업을 통해서 용 주변 시야를 완전히 장악합니다. 

그리고 이 당시 본인들이 바텀 주도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할 뿐 시야 장악을 하는걸 잠시 느슨해 했던 그리핀은, 시야장악보다는 라인관리와 정글 캠프 정리등에 시간을 씁니다. 

이 시간대에, 2분 뒤에 나오는 용 싸움을 위해 시야장악을 목표로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던 SKT와 달리 
그리핀은 집 타이밍과 라인 정리 등 모든 면에서 SKT에 비해 타이밍 계산이 덜 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렇게 17분대의 시야장악의 차이가 결국 19분 세번째 용 한타에서 아래와 같은 차이를 만들어낸 겁니다.
현재 화면에서는 양쪽 시야를 다 볼수있기 때문에 팀간 시야 차이를 한눈에 보기 어렵지만, 
SKT의 제어와드가 있는 영역에 그리핀의 시야가 전혀 없다는걸 생각해보면 
그리핀 입장에서 먼저 용쪽 강으로 나가는게 꽤 두려웠을거라는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제가 빨간색 원으로 마킹한 아랫 섬부시 지역은, 
섬부시 위쪽 샛길에 대기하던 SKT의 이니셔가 저 지역으로 이니시를 걸어버릴 경우 그리핀 입장에선 매우 위험해지는 지형이고
그리핀은 다소 조심스럽게 전진할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26. 19:21 세번째 용 한타 -2
그런데 헤카림이 먼저 모습을 드러내면서 판테온이 헤카림을 마크하기 위해 샛길 위쪽으로 빠지고, 샛길 위험을 판테온이 마크해주니 그리핀은 과감하게 전진할 수 있었습니다.
소드는 이동기를 통해 용 둥지 안으로 먼저 진입합니다.







27. 19:23 세번째 용 한타 - 3
위쪽에선 판테온과 헤카림이 영혼의 맞다이를 하고있고
아래쪽에선 용을 먹기위해 서로 폭딜 간보기를 하는중입니다. 





28. 19:25 세번째 용 한타 -4
탈리야가 용 위쪽의 두명을 q로 밀어내는 동안
라이즈가 과감히 둥지 안으로 들어가 사일러스에게 딜을 넣으려 하고 
사일러스가 초시계로 어그로를 빼는데





29.  19:28 세번째 용 한타 -5
그 사이에 타잔이 폭딜을 넣어서 용을 먹습니다. 용을 먹은 이후 렉사이를 치기 시작합니다.(궁 킨상태)
한편 위쪽에서 반반 맞다이가 되나 싶었던 상황에서 헤카림이 궁점화까지 폭딜을 박아버리자 판테온은 죽기 직전의 빈사상태가 되버리고 초시계로 잠깐 시간을 벌고 있습니다.




30. 19:30 세번째 용 한타 -6
올라프가 폭딜을 넣자, 그리고 바로 위에서 탈리야의 딜 사정거리에 들어오자 
렉사이가 땅굴로 아예 둥지 밖으로 빠져나가버립니다.

이로인해 사실상 현재 구도로 보면, 
위쪽에서 비록 판테온이 헤카림에게 죽기 일보직전이긴 하지만,  헤카림도 궁과 모든 스킬을 다 쓴 상태라서 당장 아래 본대쪽에 딜을 넣기 어려운 상황이고

용 둥지 입구에는 탈리아와 아칼리가 브라움 이즈와 대치를 하느라 서로 진입을 못하는 상황이고 
렉사이는 순간적으로 용 둥지에서 빠져나온 상태라서 잠깐 진입을 못하는 상태이고

용 둥지 안에는 라이즈 혼자 사일러스와 아칼리를 상대로 1:2 싸움을 해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31. 19:32 세번째 용 한타 -7
그리핀 입장에선 다행스럽게도 리헨즈가 초시계가 끝나자마자 칼점멸을 써서 겨우 죽는건 모면했습니다.

용 둥지 안에서 라이즈에겐 지옥과도 같은 2:1 싸움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재 구도 하에서 라이즈는 2:1 딜을 맞고 죽어야 하는게 정상인데
죽기는 커녕 쉴드를 통해서 본인 체력은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딜은 계속 넣어버리는 말도 안되는 플레이를 해버립니다.






32. 19:35 세번째 용 한타 -8
라이즈가 생각보다 체력이 멀쩡하고 오히려 상대방 체력이 더 깎였다는걸 판단한 이즈리얼이 
과감하게 비전을써서 둥지로 들어와 라이즈에게 딜 지원을 넣습니다.
그리고 아칼리는 이제서야 겨우 진입을 해서 딜을 좀 넣기 시작합니다.






33. 19:37 세번째 용 한타 -9
아칼리의 순간 폭딜에 놀란 렉사이가 일단 초시계로 시간을 법니다.
그리고 동시에 용 둥지 안에서 그리핀의 사일러스가 전사합니다
올라프는 아군이 어그로를 끌어줄 수 없는 상황에서 목숨 연장 초시계를 쓰고 있습니다
원래 용 둥지 안이 이길줄로 알고 있던 탈리아가 이즈리얼의 진입 이후 뒤늦게 둥지 안에 진입해 보지만 딜을 넣어도 박히지 않습니다





34. 19:40 세번째 용 한타 -10
짧은 생명연장 초시계를 쓴 타잔은 바로 죽어버리고
늦게나마 딜 지원을 하려고 왔던 탈리야는 둥지 안이 지옥인걸 파악하고 플로 탈출합니다
둥지 우측에선 아칼리가 렉사이를 마무리 짓긴 하지만 이를 위해 궁을 다 써버렸고 장막도 써버려서 더이상 뭔가 해주긴 어렵습니다




35. 19:43 세번째 용 한타 -11
벽을 넘어간 탈리야를 브라움이 점멸로 넘어가서 궁으로 씨씨를 걸고 결국 탈리야도 죽습니다.
한타는 이렇게 끝이 납니다.








워낙 중요한 한타였기 때문에 초단위로 설명할 것들이 많아 화면 캡쳐를 많이 했습니다.

그리핀은 시야 주도권을 잃은 상태에서 용 싸움에 진입했지만, 다행스럽게도 시야로 인해서 손해본건 전투 상황 당시에는 없긴 했습니다.

이 한타에서 제일 중요했던 시간대는 19:30~19:34 이 4초라고 볼 수 있는데요
분명 라이즈가 2:1로 협공을 받을때만해도 위쪽 헤카림쪽을 빼곤 그리핀이 이기는 구도가 되었는데
라이즈가 죽기는 커녕 두명을 압도해버리면서 또 과감한 이즈리얼의 딜지원으로 인해서
가장 중요한 전장이었던 용 둥지안 전투의 승패가 갑자기 뒤바뀌어버리니 구도가 완전히 바뀐것이고 그리핀은 무너져 버린겁니다.

이 한타는 SKT가 이길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가장 위험했던, 그리고 가장 중요했던 용 둥지안 전투 2:1 상황에서 오히려 상대방을 압도한 라이즈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네, 페이커가 제일 잘했어요. 

그리고 이런 페이커의 라이즈와는 반대로 쵸비의 아칼리는 한타 내내 별 다른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게 사실입니다.
아칼리의 진입 시점과, 장막 쓰는 위치와, 딜링 타겟 등등
그리핀의 팀 전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칼리가 팀적으로 기여한게 거의 없다시피 하다보니 한타를 졌다는게 제 결론입니다. 




-----------------------------------------

이 한타는 이 게임의 승패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분기점이었습니다.

물론 이 한타 이후로도 굵직굵직한 사건들은 꽤 여러개 나오긴 합니다 
 탑에서 라인을 먹던 페이커가 벤시의 장막을 믿고 있었다가 올라프의 강타 + 판테온 W로 묶이면서 궁 캔슬되버리고 죽는 장면, 
SKT 바론 시야를 장악하고 잠깐 정비를 하던 찰나에, 
그리핀이 제어와드 + 바위게 시야 허점을 이용하여 과감하게 바론 트라이를 해서 먹는 장면, 
그리핀이 3번째, 4번째 용까지 챙기는 장면, 등등등

하지만 어찌됐건, 모두가 알다시피 그리핀은 초반에 강력함을 위주로 초반에 이득을 챙겨서 스노우볼을 굴려야 했던 반면
SKT는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유리해지는 조합이었습니다.

판테온을 게임 내에서 플레이 해본 분들이라면 아실겁니다. 이 챔피언을 고른 순간, 시간이 지날수록 "썪는다"는 느낌이 든다는걸.
초반에는 타워 데미지도 막고 확정 스턴에다가 qw평e  콤보 등 엄청난 딜을 내뿜던 애가
한타가 되면 탱킹도 안되고 지속딜도 안되고 의미없는 구경꾼 노릇을 하다가 겨우 각 한번 나오면 뒷궁각 한번 잡아서 이니시 연다음에 죽어버리는게 끝인 챔피언이 되버리죠. 후반가면 정말 그렇게 약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리핀 입장에서는 초반 다이브 시도가 계속해서 실패하고, 
운영으로 인한 이득도 준비한 것에 비해선 생각보다 크게 얻지 못한 상황에서
늦게나마 위 20분 한타를 반드시 승리하고 그걸 바탕으로 추가 이득을 계속 얻어서 늦게나마 성장을 벌려야 승산이 있었던 게임인데
이 한타에서 대패를 해버리니, 비록 이후에 이따금 득점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해도, 
이미 성장을 충분히 해버린 SKT챔피언들을 상대로 한타를 했을때 승산을 장담할 수 없었던겁니다.


그래서 결국 저 장면 이후에 이득본게 있었다고 해도, 잠깐의 이득일 뿐 충분한 성장 격차를 벌리진 못했기 때문에
35분 바론 한타에서 결국 대패하고 게임이 끝나게 되죠.
사실 한타에서도 아칼리가 뭔가 보여줄수 있는게 있었을거같은데,
장막을 본인 텔포 쓴 직후에 바로 그자리에 씀으로써 진입이 불가능해지면서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합니다.












----------------------------------------------------------------------------

게임이 끝나고 나서 분석글을 쓰는 지금, 그리핀은 과연 옳은 선택을 한 것인가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SKT와 정상적으로 게임 운영을 하고 한타를 해서 이길 확률은 기껏해야 50%, 아니 어쩌면 더 낮은 확률일수도 있는 상황에서 
엄청난 이득을 가져올 수 있는 극초반 다이브 전략 사용함과 동시에, 그리고 그 전략의 리스크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까지 있었고 (판테온 패시브)
그 전략이 통하지 않더라도 오브젝트 이득을 통해서 뭔가 운영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플랜B까지 준비해놓는다면
한타 페이즈를 가서 이기는 것보다 더 높은 확률로 게임을 이길수 있다 - 라고 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로 만약 skt가 20분 전까지 상황에서 단 한번의 실수라도 했었다면, 그리핀이 게임을 이겼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봅니다.

그러나 첫 웨이브 칸의 라인 푸시와 텔 지원, 클리드의 적절한 바텀 백업, 원래 그리핀이 먹어야 당연했던 용을 순간의 인원 공백 타이밍에 먹어버리는 판단, 칼같은 시야 장악, 그리고 이 모든 준비과정 끝에 드디어 처음으로 하게 된 첫 한타에서, 하이 리스크 하이리턴 플레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페이커의 라이즈까지

그리핀 입장에서 가장 중요했던 초반 타이밍에 SKT가 단 한번의 실수도 하지 않고 매번 미친듯이 적절한 대응을 한 것이 SKT가 이길 수 있었던 이유라고 봅니다.

그리핀에게 패전요인이 커서 졌다기보다, SKT가 그리핀이 준비한 전략의 모든 승리요인을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이겼다

라는게 이번 결승전 1경기의 제 결론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4/14 13:24
수정 아이콘
근데 말씀하신것처럼 정석적으로 해서 붙으면 질 것 같으니까, 상대가 미처 예상치 못한 전략을 펴서 상대가 그에 정답을 내지 못하면 내가 이기고 상대가 정답을 풀어내면 지는 것, 그리고 그 과정에서 나는 실수하지 않아야만 하는 것.

그걸 날카로운 빌드, 날빌이라고 하는거죠;
아놀드의아몬드
19/04/14 13:32
수정 아이콘
"정석적으로 해서 질것 같으니까" 라는 전제를 하지 않아도
한타 페이즈로 가면 정말 잘 쳐봐야 50:50 확률인데, 그리핀은 이거보다 조금더 승리 가능성이 높은 전략을 시도한거고
그 시도가 사람들이 욕하는것처럼 단순한 다이브 올인인 것만은 아니었다, 라는게 제 주장입니다.

아 그리고 날빌은 전 날로먹는 빌드라고 알고 있어서 안좋은 의미가 더 강한 것으로 알고 었는데, 날카로운 빌드라고 하면 느낌이 좀 다르긴 하네요
19/04/14 1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날빌은 원래 날카로운 빌드에서 온 말이에요.

저걸 날빌이라 하는 이유는, 극단적으로 자기들이 짜온 그대로 모든게 이뤄지면 반드시 이기지만, 그게 하나라도 틀어지면 절대 이길 수 없는 전략이기 때문인겁니다. 당연히 이기기 위해 다양한 세부 전략을 짜왔겠죠. 근데 그게 모두 정답이어야만 이길 수 있지, 플랜 비가 있는 전략은 아니었던거고, 그런걸 날빌이라고 하는거죠.

4드론 했는데 상대가 노배럭 더블이면 이기는거고 8배럭이면 저글링 도착하자 마자 지지 치고 나가는 그런 빌드요. 내가 4드론을 했는데 거기서 저글링이 어택땅을 할지 세 마리씩 나눠서 컨트롤 할지를 짜놨다고 해도 4드론은 날빌이죠;
19/04/14 13:39
수정 아이콘
날로먹는 걸 방송용으로 순화해서 날카로운이라고 말 바꾼걸로 알고 있습니다. 관광이랑 비슷한 케이스...
그냥 잘쳐봐야 50:50이라는 말 자체가 정석으로 가면 불리하단 얘기죠 뭐.

다이브 올인이란 얘기도 결국 다이브 구도에서 성공하거나 큰 이득 못보면 조합 특성 살려서 굴리기 힘들어진다는 점 생각하면 다이브 올인이라 해도 할말없지 않나 싶어요. 다이브 이전 그리고 이후에 얼마나 짜임새있게 게임플랜을 준비했든 어쨌든 다이브 성공했음 게임 잘풀렸을 가능성 훨씬 높고 다이브 막힌거땜에 게임이 다 꼬인거니까요.
19/04/14 13: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니에요. 날카로운 빌드가 시작입니다.

https://namu.wiki/w/날빌
비공개당당
19/04/14 13:45
수정 아이콘
날카로운 빌드가 원조 맞습니다

관광, 탑신봉자랑은 다른 케이스
19/04/14 13:52
수정 아이콘
오 제가 잘못 알고 있었네요. 날빌이 생각보다 최신용어(?)네요 2007년 이후에 나온 말이라니...
19/04/14 13:47
수정 아이콘
날카로운 빌드도 놀리는 말을 포장한거라 뭐.. 크게 의미 차이 없습니다.
19/04/14 1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날카로운 빌드가 놀리는 말을 포장한건 아닙니다. 쇼부를 치는 빌드를 잘 쓰는걸, 날카로운 빌드라고 포장해준거고, 그 말이 만들어진 후 그게 무슨 날카로운 빌드냐 그냥 쇼부지 라며 놀리게 된거죠.
19/04/14 14:02
수정 아이콘
도박 빌드를 날카로운 빌드로 말을 순화해 줬던 거였죠.
날카롭다고 하면 보통은 찬사의 대상이어야 하지만 시작부터 도박의 의미가 짙게 들어간채로 쓰였었습니다.
19/04/14 14:06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도박 빌드는 놀리는건 아니죠. 그냥 가치중립적인 말이죠. 근데 그걸 뭔가 멋져보이는 말로 포장을 했고, 그에 대한 반발(?)로 오히려 놀리는 의미로 바뀐거죠.

다시 말해 놀리는걸 멋진 말로 포장한게 아니고, 아무것도 아닌걸 멋진말로 포장했더니 역반응이 나온거죠.
19/04/14 14:35
수정 아이콘
날카로운 빌드와 날림 빌드의 시작점이 같은 거죠.
날카로운 빌드라는 게 원래 쓰던 단어가 아니라 방송에서 포장한 단어를 사람들이 의미를 부여해서 널리 쓰이게 된 거죠.
그나마 순수한 의미로 쓰인 건 방송 제작진이나 엄재경이 처음 썼던 순간 밖에 없었습니다.
19/04/14 15:51
수정 아이콘
날카로운 빌드는 msl에서 붙인거라 엄재경 해설과는 무관합니다
아놀드의아몬드
19/04/14 13:36
수정 아이콘
그리고 글에는 쓰진 않았지만, 서폿템을 두개 간 것이 후반에 압도적인 시야 장악을 할수있어서 나름대로 보험을 든 것이라고 볼수 있긴 한데, 문제는 판테온이란 챔프는 그런 보험을 씹어먹을정도로 후반에는 후졌다는걸 그리핀이 간과한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
도라지
19/04/14 22:30
수정 아이콘
간과하지는 않았을겁니다.
그러니 초반부터 바텀을 죽어라 후벼파려고 한거겠죠.
그게 실패해서 망했지만요.
Bemanner
19/04/14 13:50
수정 아이콘
탈빵에 아쉬운 얘기가 나오는게 물론 경기를 져서 그런게 제일 크겠지만 시즌 중에 루시안 갈리오로 다이브 치는 거나 중후반 한타 하는 거에 비해 초중후반 모두 봇듀오 숙련도가 낮아보여서 같습니다. 슼이 서로 도와주면서 잘 버텨내기도 했지만요.
19/04/14 13:56
수정 아이콘
말씀해주신 20분경 용한타시점에서도 이미 SKT는 한타를 충분히 이길수있다고 생각한걸로 보이네요. 글골은 좀 밀리지만 주력딜러들 템이 잘나와서 라이즈 슈퍼플레이 아니더라도 이미 이즈가 딜이 잘나오는상황이라.. 이미 유리해진 시점이 아닌가싶습니다.

바꿔말하면 초반에 유리하게 시작했음에도 20분경에 이미 유통기한이 끝난거나 다름없었다는거고, 3세트에서는 투정화까지 활용해서 더욱 완벽하게 파훼해버려서..

이건 올인전략이 맞다고 보입니다. 사실 1세트에도 용 운빨 받고도 스무스하게 진건데 3세트에 왜 다시꺼냈는지는.. 의견차이가 있을것같네요. 클템은 스크림격차가 아니라고 부정하던데..
습관처럼게임
19/04/14 14:04
수정 아이콘
애초에 탈빵 할거였으면 그냥 브라움 갈리오 탐켄치는 밴하고갔어야되는데 그건 또 밴카드3장을 바텀에 다 써버리는거라 훨씬 무리였고 탈리아가 단식이라서 바텀 타워 깨지는게 생각보다 느렸는데 조합상 그걸 굴려야한다는게 오버였습니다.
저는 걍 탈리아가 단식한게 패착같아요. 판테 템떠봤자 후반가는순간 사실상 의미없고 판테는 20분 넘어가는 그냥 스턴셔틀느낌이라 탈리아가 초반에 템빨리 뽑는게 나았을것같습니다.
사실상 그리핀은 조합을 스타로치면 저그로 레어운영 준비하는셈이라 답이없었던것같아요
19/04/14 14:08
수정 아이콘
챌스에서 비비큐도 단식을 했었나요?
습관처럼게임
19/04/14 14:16
수정 아이콘
네. 그쪽도 똑같이 단식하긴했습니다.
거믄별
19/04/14 14:15
수정 아이콘
그리핀의 노림수가 무엇인지 정확히 꿰뚫고 그 노림수에 당하지 않았던 SKT 의 대응이 이번 시리즈가 3 : 0 이라는 일방적인 결과로 이어졌다고 봅니다.

1세트는 정석적인 조합으로 이길 가능성이 낮아보이니 날빌을 꺼내들었는데 상대가 말려들지 않았죠.
2세트는 날빌을 버리고 그나마 정석적인 조합을 가지고 나왔는데 초반 사고가 있었다고해도 전체적으로 그냥 무너져버렸죠.
3세트는 다시 1세트에 써먹었던 날빌을 꺼냈는데 이미 1세트를 겪었던 SKT는 '바텀이 버티면 된다' 는 대응을 너무 잘알고 있어서 2정화라는 카드로 받아쳐버리죠. 그리핀의 바텀이 상대 바텀라인의 정화를 빼주지 못한게 결국 바텀 다이브가 나오지 않은 결과로 이어졌지만 SKT의 대응이 그냥 너무 완벽했습니다.

상대의 전략을 알아도 실제 인게임에서 실수등이 겹쳐서 대응을 완벽하게 못해서 당하는 경기를 여럿 볼 수 있는데 어제 결승전은 그리핀의 노림수를 완벽하게 대응한 SKT 의 승리였습니다. 롤챌코를 보고 저 전략에 대응하는 방법을 준비하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대응이 정말 완벽했어요.
아놀드의아몬드
19/04/14 14:17
수정 아이콘
네 구구절절 저랑 생각이 같으시네요
Nasty breaking B
19/04/14 14:37
수정 아이콘
실제로 경기 후 SKT 코치진 인터뷰 보면 비비큐가 블루사이드에서만 활용한 전략이란 걸 알고 있었고 이미 예상한 범주 안이었다고 하더라구요.
바다표범
19/04/14 14:19
수정 아이콘
어제 라이브 불판에서도 말했는데 이거 원조인 비비큐가 하는거보면 쉴새없이 난전 걸고 개싸움으로 몰고가서 이겼는데 3인 다이브에만 너무 집중한게 문져였고 정글 선택도 미스였다고 봅니다. 말리스처럼 카서스나 클레드 뽑았어야한다고 봅니다. 어차피 빵탈 봇라인 주도권 때문에 블루 카정 두 챔피언 어느걸 해도 갈 수 있었고 개싸움 걸기도 훨씬 편하고 다이브하기도 편했죠.

원조인 비비큐가 정글 캐리를 밀어주는 팀이고 타잔이 그걸 소화할 역량이 되는 선수라는걸 생각해보면 4드론 전략 배껴와서 자기들 나름대로 어레인지 했는데 올라프 뽑거나 너무 노골적으로 다이브에만 집중한 엘리스 한게 문제였다고 봅니다.
19/04/14 14:35
수정 아이콘
근데 챌코 결승 보면서 한 생각인데 확실히 챌코랑 lck랑 경기력 차이가 나서... 똑같이 했어도 슼이 못받아치고 구멍 뚫렸을진 잘 모르겠어요
바다표범
19/04/14 14:47
수정 아이콘
애초에 그리핀이 날빌로 임한거나 인게임 내 경기력 차이보면 제가 말한거처럼 해도 졌을 가능성이 당연히 더 높죠. 그래도 대전략 자체 핀트를 좀 수정했으면 승리확률이 더 올라갔을거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그리핀에 대해서 앰비션이 말한게 너무 딜밸런스 맞추려고 하고 초중후반 밸런스 다 보려고 하는 성향있다고 했는데 어제 4드론 전략 준비하면서도 그런 모습이 나온거라고 봅니다.
19/04/14 14: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리즈 내내 그리핀과 SK의 생각이 동일했죠. 스테디하게 후반 가면 SK가 이긴다.
모든 팀에겐 각자에게 최적화된 승리 플랜이 있고, 시그니쳐 픽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헌데 어제 결승전 그리핀에게 스프링 시즌 내내 보였던 그리핀의 모습이 안보였죠. 이유는 아주 다양할겁니다.
크게 보면 메타의 변화, 패치의 방향성이라든지 작게 보면 선수 개인의 폼 변화, 시그니쳐 픽의 너프 등을 들 수 있겠죠.
이 많은 이유들 속에서, 그리핀에게 아쉬운 점은 1경기 단식/다이브 조합에서 탈빵 + 올라프를 위시로 삼은 것 자체가 패착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핀은 분명 (아프리카 만큼은 아니더라도) 저런 조합을 곧잘 사용하곤 했습니다. 허나 그게 그리핀의 본 모습이냐? 전 아니라고 봐요.
앰비션이 늘 얘기하는 것처럼 그리핀은 라인전이 무난하며 후반에 활약할 수 있는 조합을 선호합니다. 딜 밸런스, 초중후반을 견지하는 조합... 등등
무난하게 후반을 가고, 정식 한타를 취하면 우리가 이긴다는 관념 자체가 픽밴에 실려 있어요.
헌데 어제의 그리핀은 픽밴에서부터 그 관념 자체를 포기한 상태로 경기에 임했습니다. 2주 동안 준비하며 자신의 무기를 바꾼거죠.
그러나 결과는...?

1경기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본문에도 나와있다시피 판테온은 성장세가 어떻든지 실시간으로 썩고 있는 챔프고, 하물며 킬을 내거나 오브젝트를 취하는 순간에도 썩는 챔프입니다.
그리핀 입장에선 무조건 타임 어택을 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요인이 되었고, 경기를 보는 누구나 이대로 후반 가면 SK가 이긴다는 생각을 했을겁니다.
헌데 유통기한인 챔프임에도 불구하고 판테온을 픽했다면 초중반의 강력함을 이용해 큰 이득을 봤어야 하죠. 다이브는 여기에 방점을 찍는 플레이고요.
하지만 (제 기억이 맞다면) 탈빵을 2/3픽에 동시에 뽑으면서 상대방이 밴픽 차원에서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해버렸고,
그 결과로 이즈 + 브라움이라는 생존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린 듀오를 상대해야했죠.
심지어 테디마타에게 어울리지 않는 옷도 아닙니다. 이 선수들이 아주 선호하는 챔프죠.
이즈가 아니라 다른 원딜이었다면, 브라움이 아니라 다른 서포터였다면 봇 라인전 양상은 상대적으로 극명하게 갈렸을겁니다.
슼은 정말 잘 판단한 게, 이전 글에도 말씀해주셨던 첫 다이브에서의 헤카림 텔 활용입니다.
SK는 애초에 바텀이 터지지만 않으면 텔포든 점멸이든 웬만한 스펠 손해는 무관하다고 생각했을겁니다.
텔포 없다고, 점멸 없다고 발생하는 손해? 그것 때문에 30분 35분 후반까지 못 가는 거 아니다.
이즈나 브라움이 죽고 탈빵의 성장 곡선이 급해지면 30분 35분 가기 힘들어진다. 이 판단을 팀 차원에서 아주 솔리드하게 한거죠.
과장해서 비슷한 상황이 반복됐다면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텔을 서너번 쯤은 더 사용했을거에요. 어쨌든 후반까지만 가면 되니까.
19/04/14 15:02
수정 아이콘
그리핀의 탈빵 타임어택과 SKT의 사일러스 오픈 전략이 묘하게 맞물린 느낌도 들더군요.
사일러스가 정말 좋은 픽은 맞는데 그리핀은 사일러스는 SKT가 밴할거라 생각하고
더 타임어택과 맞는 매운맛이 나는 픽을 준비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살짝 들던
Albert Camus
19/04/14 15:56
수정 아이콘
마법의 신발까지 팔아가며 저 한타를 위해 트포를 당겨구입한 상남자 테디...
여러모로 SKT는 저 한타에 매우 신경쓴게 확실한거 같습니다.
19/04/14 16: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래퍼드가 갠방에서 해설했었는데 19분 용한타때 skt가 이미 더 좋아보인다고 했었고 한타 이기자 이 게임은 이미 skt가 이겼다고 했죠.

본문 말씀대로 초반부터 이득을 굴리지 못한 시점에서 이미 미래는 사라졌다고 봐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20분 이후 나온 이득은 그냥 전부 소소한 이득이 될 수 밖에 없구요.

게임을 승리로 이끌 가장 중요한 오브젝트가 바론이고, 그 바론을 먹기위한 시야장악과 운영을 하는게 20분 이후의 게임인데 그 바론을 거의 공짜로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얻은게 미드 1차 단 하나였다는게 이미 이길 수단이 더이상 없다는걸 증명했다고 봅니다.
wersdfhr
19/04/14 16:36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저는 1세트 skt가 바론 먹을 때까지도 용빨이 너무 커서 그리핀이 유리하다고 봤는데

이번 결승으로 본인이 롤알못인거 한번더 확인했네요;;
라이츄백만볼트
19/04/14 23:05
수정 아이콘
전 유리하다고까진 안봤지만, 그 정도로 한타 개발릴 차이는 그 시점에선 아니었다 보긴 합니다. 그 핵심은 아칼리였죠.

근데 현실은 아칼리 뭐 하기도 전에 바이퍼가 죽고 시작하더라... 그러니까 아칼리는 구경만 하다가 지는 최악의 구도가 나왔네요.
19/04/14 16:55
수정 아이콘
사실 저는 정석적인 픽으로 50:50 을 생각했을거라는 부분부터가 이해가 안가네요. 2라운드 폼을 떠나서 도전자는 skt 였고, 날빌이 필요했다면 그건 도전자인 skt 의 입장에서 더 필요했을것 같거든요. 그리핀이 긴 준비기간을 너무 소극적으로 보내지 않았나 싶네요. 많은 사람들이 소드가 2라운드 내내 픽을 숨기고 이것저것 테스트해봤기에 그쪽에서 뭔가 나올거라는 예상을 했었던거 같은데 그리핀이 준비 기간동안 느낀 문제는 봇 듀오의 체급차이를 체감하게 된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리떼
19/04/14 19:41
수정 아이콘
선수 및 감독들 승패 전망 보면 대충 감이 오죠... 정석으로 가면 무조건 진다는 걸 본인들도 알았던 거 같아요.
19/04/14 19:22
수정 아이콘
결국 그리핀의 전략은 날빌이 맞지만 원인과 결과가 보기쉬운 좋은 분석글입니다.
19/04/14 19:49
수정 아이콘
[ skt가 20분 전까지 상황에서 단 한번의 실수라도 했었다면, 그리핀이 게임을 이겼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봅니다.]
실수는 나왔죠.
시작하자 마자 마타 끊기고, 탑에서는 솔킬 나고...

우리가 보는 것보다 훨씬 더 여유 있게 받아낼 전략이었다 봅니다.

글쓴분이 쓰신 것처럼 그리핀전략이 skt가 한 번이라도 삐끗하면 끝장 나는 거였으면 3경기 밴했겠죠.
likeamoon
19/04/15 00:3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이런 날빌이 승률이 높다고 보진 않습니다. 왜냐면 정석으로 갔을 때 자신 없으니 날빌을 선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근본적으로 경기력에 차이가 있음을 본인들이 인청하고 수그리고 들어갔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승률을 따진다구요? 날빌이 더 승률 높다고 생각해서 2번이나 했다는 것 자체가 경기력의 부진을 반증합니다. 변수 창출을 하기 위해 스스로 정석을 버렸고, 충분히 플레이를 살리지 못했을 뿐더러 허점까지 내주면서 결국 파훼되면서 찢겼습니다. 2세트부터 멘붕플레이 나오며 그대로 끝났습니다. 사실상 2세트 끝나고(날빌, 나름대로 정석 둘 다 완패) 3세트에서 비슷한 밴픽하는 순간 결승전 결과는 정해졌었다고 봅니다.
쭌쭌아빠
19/04/15 15:15
수정 아이콘
그리핀이 왜 이런 선택을 했을 지 솔직히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1라운드까지 갈 거 없이 2라운드 경기를 봐도 진검승부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거라고 봤거든요. 작년 서머 결승처럼 화끈한 싸움을 기대한 사람으로써 정말 아쉽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914 [기타] 젤다의 전설:야생의 숨결의 속편이 나옵니다 [29] Nightwish9284 19/06/12 9284 6
65902 [LOL] 1주차 LCK 칭찬 위주 짧은 후기 [35] Leeka7849 19/06/10 7849 0
65863 [LOL] 재미로 써보는 최고&최악 시나리오 [24] aDayInTheLife8873 19/06/03 8873 16
65857 [LOL] LCK 서머 로스터 확정에 따른 생각 그리고 예상 [64] 우르쿤13076 19/06/02 13076 4
65816 [LOL] LCK 서머를 앞두고 써보는 10개 팀의 행복회로 (1) [39] Bemanner8735 19/05/25 8735 3
65803 [LOL] 그리핀 선수들과의 레딧 AMA 번역 [20] 내일은해가뜬다11035 19/05/24 11035 3
65796 [LOL] 퍽즈의 4대리그 라인별 티어 [109] 다크템플러24704 19/05/23 24704 1
65631 [스위치] 다음 닌텐도 다이렉트는 6월 9일 [26] 스위치 메이커7275 19/05/10 7275 0
65624 [LOL] 기인선수의 레딧 AMA 정리 [37] 다크템플러15126 19/05/09 15126 2
65596 [스위치] 올해 최고의 기대작은? [49] 스위치 메이커8678 19/05/02 8678 0
65594 [LOL] LMS의 몰락. 마지막 기회가 달린 MSI [27] Leeka10227 19/05/02 10227 2
65533 [LOL] ESPN의 프레이 은퇴칼럼 - PraY's legacy in League of Legends nearly unmatched [43] 내일은해가뜬다22615 19/04/21 22615 67
65529 [LOL] 2019 LMS 스프링 우승팀: 플래쉬 울브즈 [11] 비역슨7330 19/04/21 7330 0
65526 [LOL] 어우슼이라는 말을 웃어넘길 유일할 팀 [26] 다크템플러11384 19/04/20 11384 1
65512 [LOL] RNG에 관련된 최근의 몇몇 이야기들 [78] 신불해22942 19/04/18 22942 96
65485 [LOL] LCK 스프링 시즌, 3라인의 팀별 DPM [39] Leeka8978 19/04/15 8978 0
65475 [LOL] SKT vs 그리핀 결승전 후기와 잡담 [33] Leeka12001 19/04/14 12001 9
65472 [LOL] 2019 LCK Spring 결승전 1경기 분석 - 2 [38] 아놀드의아몬드9921 19/04/14 9921 11
65470 [LOL] LCK커리어 정리 [15] 니시노 나나세9946 19/04/14 9946 3
65469 [LOL] 2019 LCK Spring 결승전 1경기 분석 -1 [26] 아놀드의아몬드10245 19/04/14 10245 17
65464 [LOL] 그리핀 VS SKT 결승전 후기 [223] TAEYEON17871 19/04/13 17871 5
65463 [LOL] 그리핀은 자신이 없었던것일까? [110] The Special One14035 19/04/13 14035 8
65449 [LOL] LCK 결승전 프리뷰 [50] Leeka9440 19/04/12 9440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