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8/05/13 12:10:54
Name Leeka
Subject [LOL] 국제대회 한국 vs 해외 히스토리 (수정됨)

12 롤드컵 - 11승 6패 - 64.7%
(아주부 프로스트 8승 4패 / 나진 소드 3승 2패)

13 롤드컵 - 18승 7패 - 72.0%
(SKT T1 12승 1패 / 나진 소드 2승 1패 / MVP 오존 4승 5패)

14 롤드컵 - 25승 9패 - 73.5%
(삼성 화이트 12승 2패 / 삼성 블루 - 8승 2패 / 나진 실드 - 5승 5패)

15 MSI - 10승 5패 - 66.7%
(SKT T1 - 10승 5패)

15 롤드컵 - 24승 3패 - 88.9%
(SKT T1 - 12승 0패 / 쿠 타이거즈 - 7승 2패 / KT - 5승 1패)

16 MSI - 12승 5패 - 70.5%
(SKT T1 - 12승 5패)

16 롤드컵 - 26승 6패 - 81.3%
(SKT T1 - 8승 2패 / 삼성 - 10승 1패 / ROX - 8승 3패)

17 MSI - 14승 3패 - 82.4%
(SKT T1 - 14승 3패)

17 롤드컵 - 24승 8패 - 75.0%
(삼성 - 7승 3패 / SKT T1 - 11승 5패 / 롱주 - 6승 0패)


12~17년도 누적 - 164승 52패 - 75.9%
(해외팀과 10번 만나면 7~8판 이기고 2~3판 정도 짐)



* 그룹스테이지 무패로 우승한 팀 - 14 롤드컵 삼화 (토탈 15승 2패 우승) / 15 롤드컵 SKT (토탈 15승 1패 우승)
- 그룹스테이지 무패의 경우엔, 결과적으로 진 경기는 없게 됨. 


* 해외팀에게 단 한번도 안지고 우승한 팀 : 15 롤드컵 SKT T1 (12승 0패)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5/13 12:15
수정 아이콘
역시 15 슼은 정신 나간팀..
해외팀이랑 LCK팀들은 보통 승률 7:3정도로 보면되겠네요. 이게 좁혀지는것같으면서도 계속 유지가 되는게 신기..
18/05/13 16:24
수정 아이콘
제가 작년인가 재작년부터 항상 갭 이즈 클로징 나오는게 의아하다고 느끼게 된게, 사실 체감에 비해서는 이 최상위 7 대 3 구도가 평균적으로 유지되었거든요. LCK가 발전하는 만큼 해외리그도 발전하면서 그 갭이 사실 계속 고정적인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실상 갭이 좁혀지거나 벌어지거나 이런게 아니라 어떤 특정 시점에 LCK가 확 튀어나가거나 해외리그가 확 좁혀오는(8 대 2가 되거나 6 대 4가 되거나) 타이밍이 잠시 있긴 하지만 시즌 3 이래로 꾸준히 7 대 3 정도는 유지가 되었다고 봐요. 실제로 국제대회 전적이나 경기양상을 봐도 그렇고... LCK와 해외팀의 가장 격차가 컸던게 14 시즌이라고 봅니다. 대략 14 윈터-14 스프링 정도의 시기? 이때는 해외 최상위팀이 한국 5위팀도 안되었을지도 모르죠. 실제로 당시 다운폼이던 14 SKK가 므시 포맷의 올스타전에서 전승우승을 해버렸으니.
놀라운 본능
18/05/13 12:28
수정 아이콘
킹존은 3승 1패니 이전팀들 만큼 잘하고 있는거네요
구구단
18/05/13 12:36
수정 아이콘
한국이 최강국으로 등극하기 전인 12롤드컵과
세계적으로 가장 평준화 됐던 시기인 15msi를 제외하면
아무리 못해도 7할은 넘기네요.
18/05/13 12:37
수정 아이콘
12 롤드컵과 15 MSI는 우승을 못했던, 한국이 최고가 아닌 대회였고
나머지는 우승을 한 대회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18/05/13 12:42
수정 아이콘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팀, 단 하나!
핫포비진
18/05/13 13:16
수정 아이콘
15슼 롤드컵땐 진짜
4강까지 2차한번 안깨지고
2차타워 깨졌다고 기사까지난걸 생각해보면 크크
18/05/13 16:37
수정 아이콘
8강까지였... 8강 오리진전 1세트에서 미드 억제기 타워까지 내줬죠 크크
핫포비진
18/05/13 16:42
수정 아이콘
4강이 오리진 아니였나요?
8강은 그 대만팀으로 기억하는데
18/05/13 16:43
수정 아이콘
아 4강이 오리진이었네요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크크크.. 그때 4강이 유럽 홈에서 한국 vs 유럽 매치라 핫했었는데 그걸 잊고 있었네요.
티모대위
18/05/15 16:05
수정 아이콘
그때 뱅 KDA가 71 이었나.... 엄청났죠..
18/05/13 13:33
수정 아이콘
15 롤드컵은 skt를 제외해도 80% 승률이었네요. 암사자 발언과 msi 결과로 인해 불안했던 시기에 특정팀 뿐만이 아니라 모든 한국팀이 외국팀들을 압도해버렸으니 당시에 왜 카타르시스를 느꼈는지 알 수 있네요.
다레니안
18/05/13 13:39
수정 아이콘
가장 빠르게 패버리던 14삼화
가장 압도적으로 패버리던 15SKT
크크
늘지금처럼
18/05/13 13:48
수정 아이콘
8강까지 2차타워에 데미지를 입지 않았었죠? 보면서 뭐이런 미친 팀이 다 있지 싶었습니다
마법사7년차
18/05/13 14:10
수정 아이콘
진짜 이슈였죠 그게.
그 롤드컵때 슼이 터졌던 타워 갯수 총합이 얼마였죠?
마법사7년차
18/05/13 14:03
수정 아이콘
팀단위로 보면 14올스타전도 있긴하죠.
슼팬 입장에서 14년 유일한 위안 ㅠㅠ
코우사카 호노카
18/05/13 14:06
수정 아이콘
그거 우승하고 힐링해서 떡상할줄 알았는데 나락으로 떨어져버린것임 흑흑 ㅠㅠ
18/05/13 14:05
수정 아이콘
15스크를 능가하는 팀이 나올까요?
지금 생각해보면 15스크는 만수르도 못 만들 조합인듯..
치토스
18/05/13 23:06
수정 아이콘
탑은 역대 최강 캐리형 탑솔러에 정글은 협곡 그자체
미드는 페이커 바텀은 라인전 부터 한타까지 무결점 이었던 봇듀오.. 다시는 나오기 힘들겠죠
불굴의토스
18/05/13 14:38
수정 아이콘
지역별 승률 계산해보면 북미는 밥이고 유럽이 그나마 표본도 많고 승률도 비교적 높더군요.
솔로13년차
18/05/13 14:59
수정 아이콘
이렇게 보면 '갭이즈클로징'은 진실이었네요.
다만 그 갭이 워낙 넓어서 좁혀도 좁혀도...
접니다
18/05/13 15:00
수정 아이콘
15슼은 인간계 팀이 아니었죠
신공표
18/05/13 15:11
수정 아이콘
재밌는 건, 15롤드컵 들어가기 전에 해외팀들이 맨날 하던 말이, 올해는 14삼화처럼 압도적인 팀이 없기 때문에 해볼만하다 였다는 거.
18/05/13 15:23
수정 아이콘
15 SKT는 의외로 스크림에선 좀 졌다고 하고..
(코칭스태프 인터뷰에서도 해외팀과 스크림에서 은근 져서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말도 했고..
하지만 본선 경기력 보면 스크림을 어떻게 했길래 진건지 싶긴 합니다만..)

14 삼화는 스크림에서 이미 해외팀을 전부 20분 컷을 밥먹듯이 하면서 도륙해버린 상태라서..
수많은 해외팀들이 이길거라는 말을 입도 뻥긋 못하게 해버린 상태였던게 큰 차이였던걸로..
18/05/13 16:25
수정 아이콘
15 롤드컵에서는 스크림에서 슼이 뭔가 잘 아귀가 안맞고 반대로 프나틱이 우승후보로 불릴 정도로 날아다녔다고... 반면 슼은 스크림에서 나오던 실수를 실전에서 잘 피드백해서 서머때 경기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던거 같습니다.
다레니안
18/05/13 16:10
수정 아이콘
15SKT는 MSI에서 일격을 날린 EDG나 서머시즌 뜬금 각성한 LGD, 폼이 미쳐날뛰는 루키의 IG 등 중국팀의 기세가 높았고 탈유럽급이라 평가받던 프나틱까지 있어서 한국팀이 압도적으로 우승할 수 없을거라는 예측이 많았죠. 크크 그러나 현실은 크흠...
반면 14삼화는 스크림에서부터 전부 개박살을 내버리고 심지어 상대가 스크림으로 1승 따내기 전까지 즐겜픽을 했음에도 다 박살냈다는 이야기까지 돌다보니 조별리그부터 전부 삼화우승을 점쳐놓은채로 경기를 보다보니 긴장감이 없었습니다.
함초롬
18/05/13 15:41
수정 아이콘
마린 : 성웅아 그거만 먹고 탑 와~ 키워만 주면 알아서 해줄게

벵기 : 캐리롤을 할 수는 있지만 지금 하는 방식이 승률이 가장 높아서 이렇게 한다

페이커 : 페이커
이지훈 : 황제

뱅 : 뱅 71
울프 : 라인전 한타 밸런스 완벽에 가까움
마법사7년차
18/05/13 15:59
수정 아이콘
이런 슼을 하반기에 유일하게 이긴 CJ는 대체(세트승 제외)
티모대위
18/05/15 16:11
수정 아이콘
당시 CJ는 진짜 대단했는데 ㅠㅠ 안정적인 강팀은 아니었지만, 누굴 상대로도 이길 수 있는 한타변수를 가진 팀이었죠.
CJ 및 SKT 선수들 인터뷰 보면, SKT vs CJ 준결승으로 두 팀의 운명이 갈린 느낌이었다고들 하니...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다레니안
18/05/13 16:12
수정 아이콘
이당시 마린은 라인관리 또한 환상적이어서 뱅기의 갱이 오면 무조건 죽을 수 밖에 없었죠.
갱콜 = 100% 확실한 갱각 이었습니다.
18/05/13 16:26
수정 아이콘
15 슼의 가장 큰 장점은 라이너인 탑, 미드, 원딜이 모두 라인관리의 화신이었죠. 마린, 페이커는 말할 것도 없고 뱅도 배준식류 라인관리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니... 이점이 좀 주목받았으면 좋겠더군요. 브릿지 역할을 하는 벵기-울프의 시너지도 완벽했고. 라인전도 강력했지만 운영에서 정말 새로운 틀을 보여줬던 팀.
18/05/13 16: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이 패권을 잡은 시즌 3부터 모든 롤드컵, MSI 대회들을 보면 해외팀 상대로 단 한번도 위기를 겪지 않은 팀은 15 롤드컵 SKT와 14 롤드컵 삼화가 유이하죠. SKT는 아예 뭐 패하질 않았고 경기양상도 가장 불리했던 게임이라고 해봐야 고작 4.5 대 5.5 정도...(4강 오리진전 1세트) 나머진 그냥 불도저처럼 밀어서 끝냈고 삼화도 조별리그 원사이드에 8강과 결승에서는 1세트씩 내주고 결승 4세트도 나름 빡빡하긴 했지만 다전제에서 딱히 접전양상이 많지도 않았던 3 대 1이면 위기도 아니죠. 그냥 실력차로 무난히 이긴거지.

저 두 경우 말고는 대부분 다 그룹스테이지부터 경기양상부터 전적까지 vs 해외팀의 경우만 봐도 위기가 좀 있었습니다. 그나마 저 다음으로 위기가 없었던게 13 SKK의 롤드컵과 17 SKT의 MSI 정도죠.
18/05/13 19:06
수정 아이콘
삼화는 솔직히 삼블이랑 할때랑 RNG랑 할때랑 딱봐도 마음가짐 차이가 티가 나던데 세트스코어 RNG가 더 먹었다고 RNG가 더 잘한거 아니냔 사람들 보면 신기함...
그리고 16skt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그냥 블랭크가 대체선수 이상 수준으로 해주면 이기고 잼구 나오면 지고 이런느낌이었습니다.
마법사7년차
18/05/13 21:35
수정 아이콘
혼자 4인분(?) 이상을 하는 잼구니므;;
18/05/13 20:31
수정 아이콘
상향평준화된다고는 하지만 한국이 해외팀보다 한 차원 더 높은 실력을 갖고 있네요
18/05/14 00:32
수정 아이콘
사실 킹존 패배에 좀 반응이 격한 것도 탈수기와 불도저의 전설을 이어나갈 슈퍼팀이란 인식이 많아서 그렇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683 [LOL] SKT vs 그리핀 1세트 리뷰 [16] 우르쿤11890 18/06/24 11890 35
63657 [LOL] 섬머스플릿 1주차 리뷰 및 2주차 프리뷰 [45] Ensis9233 18/06/18 9233 28
63632 [LOL] 섬머시즌 개막 기념 시즌 순위 예상들 적어보고 가시죠~! [60] Ensis9249 18/06/12 9249 0
63562 [LOL] 우지만 보는 조합 vs 우지만 보는 조합. 결승전 이야기 [34] Leeka9147 18/05/22 9147 1
63525 [LOL] 국제대회 한국 vs 해외 히스토리 [36] Leeka9251 18/05/13 9251 2
63459 [기타] [소녀전선] 4기 성우 정보 및 신규 스킨 정보(스압) [18] 라플비7360 18/04/25 7360 1
63408 [LOL] 역대 롤챔스 결승 결과 [2] 니시노 나나세6161 18/04/14 6161 1
63332 [LOL] 역대 최고의 LOL 챌린저스 코리아 팀 베스트 5 [28] VrynsProgidy10758 18/04/08 10758 8
63228 [LOL] 롤드컵 3회이상 진출한 한국선수들 [39] 니시노 나나세8164 18/03/23 8164 0
63079 [기타] 주사위의 잔영 프리미어 테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34] 길갈9069 18/02/27 9069 0
63043 [기타]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네타가득] 클리어 후기. [14] 호박나무10001 18/02/15 10001 4
63036 [기타] 조금 스포/젤다 야숨 사당 45개 + 신수 2개 클리어 후기 [15] hk11617435 18/02/14 7435 0
63000 [LOL] LCK에서 활동하는 현역선수들의 LCK커리어 [68] 니시노 나나세9329 18/02/07 9329 4
62534 [기타] [쯔꾸르] 이세계용사의 살인유희-15화 Soni4522 17/11/16 4522 1
62333 [기타] 제오닉스가 폐업신청을 했었네요 [32] 톰슨가젤연탄구이10413 17/10/29 10413 1
62239 [LOL] 롱주 vs 삼성 롤드컵 8강을 앞둔 잡설... [45] Leeka8800 17/10/19 8800 1
62227 [LOL] 2017 Worlds 그룹스테이지 조별 감상 및 8강 전망 [27] Vesta6438 17/10/16 6438 3
62168 [LOL]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1주차 팀별 리뷰 [46] Leeka9201 17/10/09 9201 9
62129 [LOL] TPC X 후추통신 2017 롤드컵 고찰 1부 [9] 후추통9231 17/10/02 9231 4
62050 [LOL] 롤드컵 Top20이 한번에 떴습니다 [54] 다크템플러8711 17/09/20 8711 0
62024 [LOL] 2017 월드 챔피언십 전체 팀 로스터 공개 + 역대 롤드컵 참가 횟수 순위 선수들 순위 [26] 반니스텔루이6740 17/09/15 6740 4
61605 [LOL] 한국팀이 참가 했지만 우승하지 못한 대회 HISTORY [40] 킹 르브론7731 17/07/12 7731 1
61280 [LOL] SKT T1 응원글 - 늑대와 함께 춤을 [79] Vesta11361 17/05/10 11361 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