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9/07 20:51:48
Name 빵pro점쟁이
Subject [스타1] 임요환 선수의 박서TV 8월 22일 (게스트-도진광)

[8. 22 full ver.]



임요환 선수 카카오TV 방송 시작한 건 알고 있었는데
3화에서 도진광 선수를 섭외해 왔었네요;;;

두분 다 외모가 덜덜 합니다

도진광 선수는 선수시절 좀 살벌한 분위기였는데
엄청 귀여워지고 젊어졌습니다?
말투도 재밌고 대인배 풍모도 갖추고
여러모로 엄청 호감 가네요


도진광 선수와 예전 이야기 나누며 썰 풀고

패러독스 방송 경기 같이 관람

패러독스에서 임vs도 리매치

리매치 리플레이 리뷰

배넷 시청자와 2:3 팀플

팀플 리플 리뷰 순으로 진행됩니다



도진광 선수는 2:41:50초까지 같이 방송 진행하고 퇴장합니다





아래 영상들은 방송분량에서
필요없거나 시간 잡아먹는 부분 잘라내고
포인트만 살려서 자막 입혀 올려주신 영상들입니다

불편하시겠지만 풀영상 보다는 아래 영상들을 차례대로 보시는 게 더 좋을 것 같네요



[8.22] 게스트 도진광 선수와의 토크!!




[8.22] 도진광의 눈물 비하인드 ( 토크 PART 2)





[8.22] 임요환 VS 도진광. 여러분이 모두 기억하시는 그 게임을 리뷰하다!!





[8.22] 레전드 중의 레전드 게임 리뷰 파트2!




[8. 22 방송분] 14년만의 리매치!! 임요환 vs 도진광!!




[8. 22 방송분] 임요환 vs 도진광 플레이 리뷰!!




[8. 22 방송분] 시청자와의 2:3 대결!! 우리가 설마 지겠어?




[8. 22 방송분] 2:3 게임 리뷰~~ 결과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lacksmith01
17/09/07 21:12
수정 아이콘
요새는 트위치가 대세인데 카카오TV로 간게 좀 아쉽네요.
임요환선수면 국내는 당연하고 해외팬들도 많아서 꽤 이슈가 됬을텐데 쩝.
HealingRain
17/09/07 22:45
수정 아이콘
카카오에서 계약해서 모셔온 케이스 입니다. 카카오TV의 애청자로서 왜 안트위치요? 는 몹시 거시기 하네요. 쳇~
17/09/07 21:37
수정 아이콘
박서도 과거 도진광 경기때 외모랑 비교해보면..
확실히 세월이 많이 흘렀네요....
진짜 지금 저때 모습으로 롤이나..하여튼 대세 이스포츠 게임에 (물론 실력 최강자로..)등장했으면 지금 더 난리났을거 같긴 한데..
콜라박지호
17/09/07 21:48
수정 아이콘
도진광 선수에게서 비와이가 보이네요
라이디스
17/09/07 21:50
수정 아이콘
저 패러독스 경기는 진짜 크크
제가 본방보고 뒤늦게 동생이 재방보는데 제가 본의아니게 임요환이 이긴다고 스포를 해서 짜증내면서 저 경기 재방을 봤죠.
도진광선수가 이겼다고 판단했다던 리콜타이밍에 동생이 저에게 이걸 임요환이 이긴다고? 하며 의심가득한 목소리로 되물었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17/09/07 21:59
수정 아이콘
아. 트위치에서 방송하지 박서...
ComeAgain
17/09/07 22:30
수정 아이콘
도진광 선수 마리텔의 도우FD 닮았네요?
17/09/07 22:35
수정 아이콘
도진-도우-도연?
닭장군
17/09/07 22:37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박서

박서(朴犀)
생몰년도 미상

고려의 장수.

본관이 죽주(죽산, 현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이자, 죽주 사람으로 1231년(고종 19년)에 서북면병마사가 되어 살리타이가 철주를 함락하고 귀주를 공격하자 김중온, 김경손, 정주, 삭주, 위주의 수령들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귀주에 집결한 후에 몽골군과 싸웠으며, 몽골군이 박문창을 사로잡은 뒤에 그를 보내 투항을 권유하자 박서는 박문창을 처형했다.
17/09/07 22:38
수정 아이콘
방송하고계셨군요... 왜 카카오 TV인지 ㅠ
HealingRain
17/09/07 22:46
수정 아이콘
카카오 TV가 왜여! 뭐 어때서요! ㅜㅜ 트위치보다는 크~~린 방송을 지향하는 카카오TV가 임선수에게 더 어울리죠!
마법사5년차
17/09/07 22:59
수정 아이콘
어차피 [그분]이 보시는 이상 트위치에서도 클린했을겁니다 크크
HealingRain
17/09/07 23:00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겠네요 크크크크~~~~ 사실 카카오에도 롤베라는 악질 시청자군이 있는데 그들도 꼼작못하고 있죠.
17/09/07 23:02
수정 아이콘
진지 빨자면 트위치에서 계약제의를 안했던가, 임요환씨 입장에서 별로 내키지 않는 조건을 걸었겠죠. 이 부분이 맘에 안드는 분들은 트위치를 욕하면 됩니다. 저는 트위치랑 카카오 다 보고 있어서 어디서든 방송 해주는게 고맙네요. 임요환씨의 팬이 있고, 플랫폼의 팬도 있는거겠죠.
Essential Blue
17/09/08 00:21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워3 계열 구독 및 계약 싹 정리해본걸 보면 예전 게임들에 특별히 일을 만들고 싶은 생각은 없는것 같더군요.
그리고 명백히 아직 스1은 아프리카가 핵심이라...아프리카 가기 싫으면 카카오 말고 선택지가 없죠 뭐.
그리고 오늘자로 박정석 선수도 카카오 동시송출을 시작했습니다. 첫판부터 과감히 콩까기로 시작...크크
빵pro점쟁이
17/09/08 01:57
수정 아이콘
저도 임팬으로서 어느 쪽으로든 스1 방송해주는 거 좋다고 생각합니다
유튜브 아프리카 트위치 카카오 어디든 가능한 요즘 시대에 카카오 독점이란 건 그에 맞는 대우를 해주겠다는 얘기가 있었겠죠

스1은 확실히 아프리카판이라고 하지만 이제 와서 임선수가 끼어들긴 모양이 좀 애매해서 임선수도 이쪽을 택했겠죠
후배들이 군대 다녀와서 또는 스2 잠시 하다가 은퇴하고 판 일궈놨는데 택뱅리쌍급 이상의 레전드가 뜨면.. 메이져는 몰라도 마이너한 방장들은 숟가락 많이 뺏긴다고 봐야해서..
들어오기 미안한 상황

그리고 스1은 물론 팀 창단 공군 스2 갬블 영화에 예능방송까지 임요환 선수는 항상 개척자 선구자 이미지도 있어와서 카카오의 지금 상황에 걸맞기도 한 것 같네요
불대가리
17/09/08 03:58
수정 아이콘
오호 방송시작하셨군요
1일 후원수입이 어느정도 인가요?
장재호 선수는 중국가서 처음 방송킨날 몇천에 가까운 돈을 땡겼다고 하던데
Mightymouse
17/09/08 14:46
수정 아이콘
장재호 첫방 때 PGR에 올라왔던 글에서 8천이라는 숫자를 본 기억은 있습니다.
Love.of.Tears.
17/09/09 19:22
수정 아이콘
요형~!!^^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656 [스타1] 스타판을 돌아보면 생각나는 선수들의 계보 [23] meson12749 23/07/31 12749 13
76555 [스타1] 이제동이 SKT T1을 가지 않았던 이유.jpg [55] insane17845 23/01/11 17845 10
74435 [스타1] 승부조작이 일어난 지 벌써 12년이 지금. 스타판은 정말로 승부조작때문에 무너졌을까요? [59] 산딸기먹자11284 22/05/29 11284 2
72505 [스타1] 송병구 선수의 마지막 ASL 도전 [47] 빵pro점쟁이19371 21/10/04 19371 2
72241 [스타1] 스타1 테란 순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35] 껌정20291 21/09/02 20291 2
70403 [스타1] 스타크래프트를 좋아했던 제 이야기 [15] 파핀폐인12513 20/12/12 12513 0
70083 [스타1] 2011년 이후 정말 전략은 꾸준히 발전해왔을까? [195] 갓럭시20542 20/11/14 20542 1
68693 [스타1] [펌] 스타1 5년간 블리자드 라이센스 획득대회 성적 [11] 아오루12559 20/06/16 12559 2
66943 [스타1] KSL 셋팅 문제 관련 송병구 선수 의견 [16] 빵pro점쟁이13114 19/11/03 13114 0
64787 [스타1] 차기 MPL에서는 여캠 선수들을 안봤으면 좋겠네요 [161] 지성파크20527 18/12/20 20527 9
64768 [스타1] MPL 시즌2 진짜 너무 재밌지 않습니까 ? [81] 황제의마린12803 18/12/18 12803 16
63737 [스타1] 오해는 제대로 풀고 가야하지 않나 싶어요 [124] 갓럭시19730 18/07/06 19730 19
63729 [스타1] 스타1의 아마추어 육성에 대해 생각해봤습니다. [325] aRashi20649 18/07/05 20649 5
63715 [스타1] 스타1 공식부활이 긍정적으로 보이기 시작합니다. [223] 삭제됨23809 18/07/02 23809 5
62880 [스타1] 스타 종족별 양대리그 전성기와 침체기.. [17] 삭제됨13604 18/01/14 13604 4
62027 [스타1] 종족 최강전 김윤중 잘하네요 [21] 김연우9865 17/09/15 9865 2
61973 [스타1] 임요환 선수의 박서TV 8월 22일 (게스트-도진광) [19] 빵pro점쟁이10470 17/09/07 10470 4
61800 [스타1] 리마스터 진짜 까야할건 따로 있죠 [31] 영원이란13636 17/08/15 13636 6
61725 [스타1] 리마스터가 나오니까 MBC게임이 그리워집니다... [69] 오래된미래15260 17/08/03 15260 11
61380 [스타1] 스타1 리마스터에서 개선되어야 할 인터페이스 [207] 여신구하라18124 17/05/31 18124 4
61327 [스타1] ASL 8강 취권vs택견//안진마vs안진마 유튜브 영상 [16] 빵pro점쟁이10672 17/05/21 10672 0
61311 [스타1] 스타1 직관의 유료화, 좌석 예약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4] aRashi11999 17/05/17 11999 7
61283 [스타1] SSL 클래식은 왜 실패하고 있을까 [26] 케이틀린14342 17/05/11 14342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