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7/03/27 14:52:11
Name 삭제됨
Subject [스타1] 스타 리마스터 이후 스타리그 예상해봤습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꽃보다할배
17/03/27 15:03
수정 아이콘
저도 이방식으로 신규 프로게이머 유입해서 현 4대 천왕을 자연스럽게 대체할것으로 보입니다
돈이 따르면 프로게이머는 자연스레 생기거든요
Tyler Durden
17/03/27 15:31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열혈팬들이 후원하는 돈으로만 해도 대회 열순 있죠 크크
3-4위 밑으로도 상금이 존재하는게 좀 현실성 없긴하네요. 좋은 방식이긴 한데 크
안토니오 산체스
17/03/27 15:41
수정 아이콘
천하제일스타대회로군요
아마존장인
17/03/27 16:08
수정 아이콘
티어 생기면 재밌을것같긴해요

브실골 토스 특징.txt
아기맹수
17/03/27 16:55
수정 아이콘
브실골 토스 특징 빵터지네요. 크크크크크
아사이베리
17/03/27 16:23
수정 아이콘
재미있을거 같아요 크크크크
17/03/27 16:24
수정 아이콘
유입이 있어야 리그도 생기죠...

솔직히 택뱅리쌍 군대 가면 힘들 거 같은데
17/03/27 16:37
수정 아이콘
스2도 유입이 없지만 개인리그는 잘 열리고 있지 않나요? 게다가 유입 가능성은 과거 스1 팬들의 귀환 덕분에 낮지 않다고 봅니다
Samothrace
17/03/27 17:35
수정 아이콘
그건 종목사인 블쟈의 지원이 워낙 빵빵한 관계로.. 솔직히 지금 아프리카판이랑 다를 거 없죠. 유저들의 후원이든(별풍) 블쟈의 후원이든 발전 가능성은 크게 안 보이고 그냥 현상 유지 수준이죠. 유입은 없고 물은 고여가고..
메데이아
17/03/27 18:2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스2도 사실상 시한부 상태죠. 블자 지원으로 리그는 계속 개최되고 있지만 유입은 전무하니.
유유히
17/03/27 16:36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 스타를 단 한번도 '요즘 게임' 식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었군요. 티어, 시즌 포트레이트, 배치고사, 시즌 특전 로즈골드 컬러.. 도입하려면 도입할 것들이 엄청나게 많네요. 크크.
17/03/27 16:48
수정 아이콘
계급제로 출전하면 대박아겠네요

맵핵만 확실히 방지된다면 오프라인 예선효과도 클테구요
스덕선생
17/03/27 18:28
수정 아이콘
플레티넘 5정도로 아에 문턱을 확 낮춘다면 어뷰징 사건이야 안 벌어지겠지만 대회 자체가 관심에서 멀어질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천하제일스타대회도 너무 긴 일정과 낮은 수준 탓에 관심이 끊어졌고 허영무 준우승, 이제동 우승이라는 기록만 회자될 뿐이죠.

GSL처럼 코드 B, A, S 등의 시스템을 도입하면 어떨까 합니다. 코드 B는 일반 고수들도 참여 가능하게 만들면
새로운 유저들의 유입에도 분명히 도움이 될 겁니다.
위원장
17/03/27 18:37
수정 아이콘
어린 신규유저들이 생겨야죠. 근데 안 생길거 같아서...
저항공성기
17/03/27 18:46
수정 아이콘
...... 당황스럽네요.
러브투스카이~
17/03/27 19:13
수정 아이콘
역시나 가장 중요한건 어린 신규유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게 스타1이 다시 길게 가기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고요
이번 MMR시스템 도입으로 그 문제가 어느정도는 해결됐으면 좋겠네요
말코비치
17/03/27 21:22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현행 ASL도 예선 출전자격은 따로 없습니다. 사실 전프로도 현시점에선 '잘하는 아마추어'니까요. 다만 전프로가 아닌 아마추어들이 예선을 뚫지 못했을 뿐이죠. 다만 새로운 선수가 성장할만한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선수가 인기를 얻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무명의 젊은 신예 선수가 택뱅리쌍을 다 잡고 우승한다던지 이정도 각이 아니라면 어렵죠.
꺄르르뭥미
17/03/28 05:11
수정 아이콘
예전 전태규님 방송에서 공감했던 이야기가 있었는데... 아마츄어가 엄청난 실력으로 ASL 우승한다고 스타가 될까? 전태규님은 아니라고 예상하더군요. 예전의 스타들은 실력뿐만이 아니라 방송국/팀의 푸쉬 + 해설진의 스토리가 부여되서 스타가 될 수 있었던 것이지 절대 실력만으로는 지금 그런 스타가 나올 수 없다고 이야기하더라구요. 저도 엄청 공감했습니다. 그런 면에서 리마스터는 신규 선수풀이 유입되는 것보다 팬층의 확장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선수층 확대는 획기적인 부활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어렵고 고정적인 팬층이 확대되야 기존 선수층이라도 유지되겠죠...
완성형폭풍저그가되자
17/03/28 10:14
수정 아이콘
아마추어중에 실력이 없어서 그렇지, 모르는 애가 갑자기 나와서 모르는 운영법으로 택리쌍 싹 잡아먹으며 우승을 하면 이슈가 안될 수 없을텐데요.
리마스터링이야 자기들 먹고 살기위해 기대하는 것이고, 자기들보다 뛰어난 아마추어가 나오면 자기들이 먹고살기 힘들어지니 부정적으로 말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656 [스타1] 스타판을 돌아보면 생각나는 선수들의 계보 [23] meson12753 23/07/31 12753 13
62699 [스타1] 홍구, 모든 Zotac 주최경기 출전금지 및 류오시안의 분노 [149] 빛날배 20967 17/12/05 20967 4
61363 [스타1] 김택용의 저그전 문제가 저런거죠. [313] 카카롯뜨23510 17/05/27 23510 11
61283 [스타1] SSL 클래식은 왜 실패하고 있을까 [26] 케이틀린14344 17/05/11 14344 1
61121 [스타1] 지긋지긋한 테사기(?) 논쟁. 이게 다 이영호 때문이다. [45] 메시16417 17/04/12 16417 10
61084 [스타1] SKT-KT, 프로게임단 내 '스타1' 팀 재창단 놓고 '눈치' [108] 홍승식21877 17/04/06 21877 5
61073 [스타1] 이대로 가면 아프리카 스타리그도 정식리그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봅니다. [219] ZeroOne17889 17/04/04 17889 3
61063 [스타1] 최상위권에서 토스가 안좋은게 맞습니다.txt [162] 라티13724 17/04/03 13724 0
61020 [스타1] 테사기 이야기 좀 그만 듣고 싶습니다. [111] 성동구13880 17/03/29 13880 5
61001 [스타1] ASL 통계로 본 테사기 논란 [151] 말코비치15307 17/03/27 15307 4
60996 [스타1] 스타 리마스터 이후 스타리그 예상해봤습니다. [19] 삭제됨19525 17/03/27 19525 3
60778 [스타1] 스타1리그 종료후 가장 재조명이 필요한 종족 프로토스 (수정) [259] 갓럭시17873 17/02/14 17873 1
60774 [스타1] 좋은기록은 재조명 받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가져와봤습니다 [86] 갓럭시14557 17/02/13 14557 2
60772 [스타1] 염보성을 프로리그에서 잘했다고 테란A급 이상의 선수로 놓기 힘든이유 [311] Histo27418 17/02/13 27418 6
60591 [스타1] [퍼옴] 마지막 최강자 김택용 송병구 이영호 이제동 허영무 정명훈의 전적들 [137] 삭제됨26463 17/01/11 26463 1
60323 [스타1] [퍼옴] 역대 스타리그 & MSL 5전제 [22] 삭제됨15557 16/11/12 15557 4
59603 [스타1] 이제동 스타1 복귀?? [28] 걔삽질11660 16/07/18 11660 0
57832 [스타1] 스타1의 서열 매기기 논쟁그리고 교훈 [50] kien10414 15/10/01 10414 0
57536 [스타1] 스타2를 보시면서 아직도 부르드워 시절이 그리우신분 계십니까? [145] 삭제됨14811 15/08/28 14811 8
57518 [스타1] 커리어 최강자는 누구일까요?? [199] 전설의황제17824 15/08/26 17824 0
57380 [스타1] 송병구에게 가장 아쉬웠던 순간. [191] 영웅과몽상가13741 15/08/06 13741 0
57365 [스타1] 연도별 승률 70% 이상을 기록한 선수들.TXT [851] 전설의황제24632 15/08/04 24632 1
57342 [스타1] 임이최X 택뱅리쌍 콩의 데뷔후 전적 [57] 전설의황제11629 15/07/29 11629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