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10/18 12:55:44
Name 엘제나로
Subject [스타2] 프로리그의 끝을 보면서
우리나라 e스포츠의 시작을 알렸던 스타1로 시작해서 2까지 진행되면서 13년간이라도 지속됬던

프로리그가 드디어 끝이 나게 되네요.


사실 저는 스타1의 프로리그를 좋아하기도 했고 여러 드라마도 많고 재미도 있었고 스타2도 어느정도

재미와 응원팀을 정한 후 그팀의 승리를 바라는 마음으로 응원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항상 생각했습니다.

초창기에 기업들이 들어오기전 IS나 슈머 SG SM SOUL등 기업이 직접 운영하던 게임단은 사실

KTF 밖에 없었고 (삼성전자 칸도 사실 스폰서였고 운영주체는 따로 있었죠)

네이밍 스폰서 등으로 자생하던 시절 어려웠었기 떄문에

개인 스폰서-개인 매니저가 당연했던 시절 임요환이 개인 스폰을 거부하고 팀 스폰 아니 창단을 시도하고

그 후에 여러 팀들이 직접적으로 네이밍 스폰서->직접 인수 창단으로 변하고 프로리그가 생기고

팀 대결들이 많은 재미를 주긴 했지만 과연? 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13년이라는 오랜 기간동안 E스포츠 중에는 오래 유지된 편이긴 하지만 항상 기업의 문제나

악재등으로 프로 팀이 흔들리고 몇몇 자금이 큰 회사 팀이 유지되고 다른 팀들은 사라지기만 하던 리그...

팀은 프로리그를 중시했지만 결국 스타는 테니스 골프같은 기본적으로 팀 스포츠가 아니라 1:1 개인의 승부로

모든게 결정이 나던 게임이었기 떄문에 선수의 평가 커리어등은 프로리그 보다는 개인리그로 치중된 편이고

각 팀간의 비용차이나 팀에서도 결국 화려한 메인 선수들이 아니면 격차가 심하고

메인 선수도 팀의 자금에 따라서 너무나도 차이가 나는 그런 상황을 계속 봐왔습니다.




저는 물론 이런 프로리그가 e스포츠 그리고 스타의 인기에 큰 영향을 끼쳤고 아주 큰역할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기본적인 게임틀이 다 대 다 보다 1:1로 집중된 장르여서 팀 리그가 과연 이러한 1:1 경기에 최고의 포지션일까는 몇번씩 생각해 왔습니다.

물론 이런 팀을 통해서 흥행에 성공하고 게임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에서 e스포츠로의 도약을 위해서 개인이 아니라

프로팀을 통해서 프로의 대결로 끌어올릴 수 밖에는 없었지만요.




유명한 1인 스포츠들은 거의 모든게 전세계 동시 다발적 토너먼트리그를 열어서 동시에 포인트 차등 지급을 통해서 메이저 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을 결정하고 상금도 리그의 티어에 따라서 다른 그런 제도가 당연하고

유명한 팀 스포츠들은 리그제도를 도입해서 1년동안의 팀의 전체적인 능력을 보여주고 그 팀안에서의 호흡과

다인중에서 에이스급 선수들의 기량으로 다 대 다에서 빛나는 장면들이 나오는 그런 완전히 반대되는 상황이죠.

그곳에 토너먼트도 리그 중간에 열어서 긴 호흡의 리그 중에 1번의 승패로 진출과 탈락이 가려져서 반전이나 감동적

요소도 넣어서 흥행을 시도하고요.




지금 라이엇이 전 세계적으로 리그제는 없고 토너먼트제만 있던 전 세계의 롤판을 자신들이 주최하는

챔피언스리그적 존재인 롤 월챔에 참가하려면 무조건 리그제를 도입해라고 한 부분은 팀 게임의 수명을 늘리는

아주 좋은방법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지금 블리자드의 방향성을 보면 프로리그를 없앤뒤 wcs포인트를 쌓아서 블리즈컨으로 부르는 1인 스포츠를 도입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보는것 같은데 스타2가 새로운 선수 수급이나 인기가 있었다면 이런 방식이 또다른 미래의 한 방법으로 보고 싶지만

지금 자원 수급도 힘들고 인기도 떨어지니 스타2판의 멸망으로 가는게 아닌가 하시는 분들도 많고 저도 과연 가능할까? 싶습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카운터 스트라이크나 도타는 팀 경기지만 1인 스포츠의 대회 티어제를 적용해서

메이저 마이너등의 대회를 세계 동시다발적으로 열어서 그 포인트로 최상위 리그의 출전을 하는 제도를 사용하고

오버워치도 지금 APEX나 다른 경기를 봐도 결국 조별 예선->토너먼트로 진행되는 리그보다는 토너먼트형식을

생각하고 있는데 E스포츠라는게 사실 게임이 그래픽이 발전하고 방향도 달라지기 때문에 항상 변하는거지만

만약 오래 유지할 수 있다면 이런 방식보다 롤처럼 완전리그제->그 후에 상위권팀들은 조별예선->토너먼트로

이어지는 축구식 방법이 팀 스포츠에는 제일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2015년 매출을 보니까 도타나 카스도 엄청난 수익을 얻었지만 롤이 얻은 수익이 그들에 비해서 8배정도나

차이나는 수익을 얻은걸 보고 라이엇은 자신들의 방향을 확실히 잡고 나아가긴 한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물론 쓰레기같은 점도 너무많고 독재적인 부분도 있었지만 e스포츠가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미래를

한가지정도 제시한게 아닐까 싶네요..




스타2 프로리그가 사라지면서 스타2만 바라보고 왔던 한국선수들이 힘든 상황을 겪을건 당연하고 걱정은 됩니다.

그리고 선수들중에 자신의 욕심때문에 생태계를 망친 조작범들에게 대한 증오도 있고요.

그런데 결국 스타1에서 어쩔 수 없이 시도했던 방향성을 스타2에도 억지로 적용한 것 보다는 다른 미래를 지향

했더라면 어떘을까 하는 생각도 한번 해봅니다.




물론 스타2 초창기만 해도 지금처럼 전체적인 세계 e스포츠 파이가 크질 않았고 롤이 세계의 대결을 보여주면서

전 세게가 e스포츠 호황에 들어갔기 떄문에 스타2는 스타1보다 좋은 게임이 아닌점도 있긴 했지만

한국의 e스포츠 시작기와 황금기 그리고 세계의 e스포츠 황금기 사이의 끼인 존재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제 블리자드가 포인트 제도를 도입해서 여러 리그에 선수들이 참여가 가능하게 해주고 지금같은 개인리그도

롱 타임(3개월 동안) 진행되는 리그가 아닌 길어도 1~2주로 여러변 여는 테니스 골프식으로 진행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지금 일단 도타나 카스는 그런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고 오버워치도 우리나라 에이펙스 말고는 대체로 그런

방식으로 e스포츠 생태계를 늘려가고 있는데 저런 방식이 제일 잘어울리는건 1:1 스포츠라고 생각합니다.

여러 방향의 모색으로 당연히 e스포츠의 한계상 끝이 있지만 모든 게임들이 지금보다 긴수명을 가지게 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스타 프로리그는 내 인생의 한 부분을 차지한 하나의 즐거움이었습니다.

이제 역사속으로 사라지는걸 보니 추억,슬픔,감동과 같은 예전의 기억들과 결국 사라지는 안타까움등

여러가지 마음이 드네요.

프로리그가 없어지더라도 선수들이나 감독 코치진 그리고 관련된 분들이 너무 힘든 시기를 겪지 마시고

다시 일어나셨으면 합니다.

아디오스! 프로리그! 힘든 상황에서도 프로팀들을 운영해준 여러 팀들과 항상 최선을 다해준 프론트와 코치진

그리고 최선의 노력을 통해서 자신들의 기량을 뽐냈던 선수들에게 행운이 있기를!


SKT KT CJ 삼성등 항상 그 자리를 지켜주었던 팀들 웅진 STX 위메이드 화승 히어로 스파키즈 이스트로 공군에이스등 1에서의 프로들

받아주고 네이밍 스폰이라지만 결국 끝까지 유지해준 진에어 그리고 새로 참가했던 아프리카 게임단 형식으로 미래를 향하던 MVP

그리고 실패했지만 도전은 시도했던 협의회 팀들과 슬레이어스로 새로운 미래를 모색했던 임요환씨등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당신들이 있었기에 e스포츠가 이렇게 발전하고 이제 인정받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s 다른곳에 올린글에 조금 첨가해서 올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mothrace
16/10/18 13:01
수정 아이콘
저는 카스판에 문외한이지만 카스판이 이렇게 부활할 줄은 몰랐습니다.. 스2에도 기대를 걸어보려 합니다..
엘제나로
16/10/18 13:07
수정 아이콘
원래 카스판이야 FPS에서는 최고의 인기긴 했지만 1.6 이후 시도했던 소스가 멸망하고 1.6으로 유지되긴 했지만
그래도 전성기떄만 못했는데 라이엇이 전세계적 E스포츠의 잠재력을 보여주고 밸브도 그걸 통감하자
글옵과 도타2를 E스포츠화 하기위해서 상금같은걸 밀어주고 그 가능성을 증명해서 완전히 반등했죠.
밸브가 자신들의 게임을 E스포츠화 하기위해 했던 노력은 대단한것 같습니다.
16/10/18 13:42
수정 아이콘
카스는 잘 모르는데 도타2랑 롤이랑 비교하면 서로 비슷하게 시작하지 않았나요?
롤드컵과 디 인터내셔널 두개가 2011년에 시작했으니까요.
AOS 상위 두 게임의 세계대회 모두 2011년에 시작한 게 의미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카스도 롤드컵 같은 대회가 있을 텐데 이름이 뭔가요?
엘제나로
16/10/18 14:32
수정 아이콘
디 인터네셔널1~2의 시절의 도타2는 공식 서비스도 아니고 일단 베타 서비스였죠.
디인터네셔널 1~2시절의 도타2는 도타 올스타즈의 팬층이 그대로 옮겨온 상태로 진행된 대회입니다.
라이엇은 그때 게임을 처음 출시한 중소기업이 시즌1때 가능성을 시험한거고 디인터네셔널은 도타의 팬층을 그대로 가져온 대회입니다.
사실상 디인터네셔널은 도타2가 베타를 시작하니까 런칭기념으로 도타 올스타즈떄 유명인들 와서 한번해봐!에 가까웠습니다.
전 도타 올스타즈 선수들이 와서 도타2를 보여주는것에 가까웠고요.
그런데 그후에 롤이 시즌2때 압도적 인기를 끌고 AOS장르의 E스포츠 가능성을 한번에 폭발 시킨거죠.
원래 탄탄한 기반을 가지고 있던 도타의 정규 대회의 시작과 롤이 사실상 처음으로 세계대회를 시작한 2012년 당시에 두대회의 시청자가..
동시 시청자수가 롤이 2배정도 더 높았습니다.
그것도 온라인 집계만이죠. 당시 한국과 중국에서는 TV로 방영했는데 그 이상을 봤다고 합니다.
2013년 까지만 해도 도타 플레이어들이 롤이 무슨 트위치 1위도 도타고 롤이 무슨 세계 1위냐고 하던 사람들도 있었는데 결국 결과는뭐...
도타의 상금은 펀딩으로 압도적이지만 총 매출은 가면 갈수록 롤이 압살하고 있습니다.
밸브는 위기감을 느끼고 펀딩등을 통해서 상금으로 화제성을 끌어와서 바로 밑의 포지션을 잡고 있긴 하지만 사실상 압도적이죠.

그리고 밸브는 2013년 펀딩제도를 도입하면서 상금에서 압도하는 자세를 취하면서 E스포츠화를 시도해 성공했지만 결국 상황만 보면
대기업 VS 중소기업의 싸움에서 중소기업이 완승을 하게 된겁니다.
2012년까지 원래 도타의 상금은 15년까지의 롤드컵 상금하고 비슷한 정도를 줬지만 라이엇에게 밀리니 펀딩등을 통해서 상금의 극대화를
통한 화제성을 가져온거죠.

지금도 롤의 매출이나 도타의 매출 비교만 봐도 롤이 압도적인걸 생각하면 E스포츠의 포텐셜을 터트린 롤에 대한 경쟁으로 상금의 극대화를 시도한겁니다.

그리고 카스의 경우에도 밸브가 E스포츠화를 위해서 밀어주기 위해서 상금을 지원하지만 그런 롤드컵 같은 대회 시스템 보다는
테니스의 그랜드 슬램이나 마스터스같은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원래 FPS의 경우에는 군소대회들이 있고 ESL 드림핵 MLG등 예전부터 전통이 있던 종합 리그들이 있었기 때문에 직접 여는것 보다는
그 대회들에 밸브가 상금을 지원해서 밸브 인정 메이저 대회로 만들어서 초반엔 총상금 2만 5천달러를 16년부터 10만달러를 지원해서
2~3개월 마다 상위급 리그를 짧게(3일정도)여는 방식으로 전대회 상위권과 예선전을 통해서 뽑은 뒤 하는 방식으로 합니다.
1년에 아주 큰 대회를 여는게 아니라 적당히 큰 대회를 1년에 2~3번열고 짧기 떄문에 그보단 적더라도 적당한 상금이 있는 대회를 직접
찾아가는 방식이죠.

밸브가 직접 후원하는 리그 말고도 여러 대회가 있어서 선수들을 상금을 거기서 쌓고 명성을 쌓아서 그랜드슬램과 비슷한 대회들에서
명예와 상금을 얻는 그런 방식입니다.
엘제나로
16/10/18 14:54
수정 아이콘
롤의 서비스는 09년에 시작해서 일단 기반을 다진뒤 11년 중반에 한번 열고 대회의 가능성을 확인해 봅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각 지역의 쿼터를 배분해서 대륙간의 경쟁이라는 요소를 도입하면서 지역 대항 스포츠로 확대 시켰죠.
그전에도 이미 각 지역별로 대회를 통해서 지역 대표를 선발하는등 이미 e스포츠로써 서킷포인트등의 제공등 라이엇이 생각하던
e스포츠의 스포츠화를 12년 초부터 시도하고 있었습니다.
14년까지 밸브가 주도한 도타대회는 디인터네셔널 하나밖에 없었어요.

그전에도 뭐 각 지역에서 소규모로 열거나 종합 대회에 끼여서 대회가 있기는 했지만 그 후에 밸브가 자신들이 주도해서 상금을 늘려서
화제성을 끌어모으는 기록서 그리고 15년부터 라이엇처럼 자신들이 주도하는 메이저 대회를 열기 시작한거죠.
랜슬롯
16/10/18 13:38
수정 아이콘
저도 카스 문외한이긴 합니다만, 카스는 총게임이고 총게임은 굉장히 재미를 느끼기가 힘들거다 라고 생각하는데 (보는 입장에서) 규모를 보면 꼭 그런것도 아닌 것같습니다. 재미를 느낀다는게 사람마다 기준이 다 다른건지... 사실 AOS게임들 (도타2, 롤)인기가 많은건 충분히 이해를 하겠습니다만... 어찌됬건 저 또한 스타2가 단순히 그냥 한때 유명하고 가는 게임이 아니라 꾸준히 오랫동안 사람들이 즐기고 리그가 크게 크게가 아니더라도 조금씩 계속 열리는 그런 게임이 되길 바랍니다. 항상 스타2 다시 해볼까 라고 생각을 하면서도 도저히 손 움직임이 안따라가줘서 안하고 있었는데 조금씩 다시 해봐야겠네요..
엘제나로
16/10/18 14:09
수정 아이콘
예전에 AOS장르가 처음 나왔을떄는 E스포츠화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꽤 있었죠.
알아야 될게 많아 진입장벽이 너무 높고 RTS는 1:1로 옵저빙을 할떄 쉽게 갈 수 있지만 AOS는 여러곳에서 여러명이 동시 다발적으로
일이 일어나기 떄문에 처음하는 사람들이 적응하기 힘들다고 이야기 하면서요.
그래서 다중 옵저버같은 기술이나 정보 전달능력이 없으면 성공하기 힘들다고 말하는 분도 많았습니다.

그던데 롤의 경우에는 그런 진입 장벽을 완전 단순화 시키면서 여러면을 적용해서 이지 투 런 하드 투 마스터을 확실하게 적용시켜서
조금만 알아도 보면서 배우는게 가능하게 만든게 롤의 성공 요인이겠죠.
롤이 이렇게 성공한건 사실 선점효과도 있겠지만 저런 면에서 확실하게 보는 재미를 줄 수 있는 방법이니까요.

도타의 경우는 원래부터 MOBA장르의 왕이었는데 워크3의 유즈맵이라고 해도 인기가 많았고 하는건 재밌지만 보는건 힘든편이었고
그리고 도타2로 와서는 진입장벽 문제와 원래 강호들도 넘어가지 않기도 했고요.
도타2의 경우 라이엇처럼 처음부터 E스포츠를 염두로 두고 만든 작품이지만 도타의 기본 감성을 가져와서 매니악한 편이죠.
조금만 알아도 보면서 배울 수 있는 롤에 비해서 좀 즐겨야 이해가 가능한 게임이라 롤이랑 지금도 너무 큰차이가 나죠.
원래부터 탄탄한 팬층을 가지고 있던 도타가 2가 나온후에 롤에게 압도적으로 밀린건 그런 영향도 있을겁니다.

그리고 FPS도 카메라로 촬영해서 한눈에 전체가 보이고 자세히 보이는 스포츠와 다르게 3인칭에서는 뭔지 이해하기가 힘들고 1인칭은
다른 정보를 확인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걸 인식하고 각각 그부분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는 고민과 함게 진화해와서
E 스포츠의 또다른 개척자가 된거죠.

원래부터 개인 피지컬-에임에 제일 영향을 많이 받던 장르다 보니까 그부분을 극대화 시켜서 개인의 화려한 에임으로 생각 못할 플레이
그리고 금전 운용같은 전략적 요소도 넣으면서 추가해오고 한명의 영웅이 패배에서 팀을 승리로 이끄는 카타르시스등을 이용해서
E스포츠화에 성공했습니다. FPS는 처음부터 지금까지 잠시 침체한 적은 있어도 E스포츠 메인 밸류에서 한번도 빠진적 없고 서양사람들이
제일 좋아하는 게임 장르중 하나라서 알고 보는 경우 많기 때문에 그렇게 쌓아온 공든 탑이 GO으로 오면서 밸브의 푸쉬와 함께 쾅 터진거죠.
원래부터 멀티플레이가 주가 되는 장르기 때문에 멀티플레이에 대한 이해가 기본적으로 숙달된 프로 시청자들이 너무 많다는겁니다.
거기다 천재 선수 에임 특급 포레스트 같이 오랫동안 자리를 유지하는 레전드 선수등 스토리도 있으니까요.
그런데 사실 보기 어려워도 하이퍼 FPS(퀘이크,언리얼 토너먼트)같은것도 대회가 열리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것에 비해서
정통 FPS는 보기 훨씬 쉽거든요.
16/10/18 17:07
수정 아이콘
밸브사의 게임들을 볼땐 리그의 수명이 끝난건 리그제도의 문제라기보단 게임 자체의 문제가 더 큰거 같습니다.
WeakandPowerless
16/10/18 17:11
수정 아이콘
이성과 감성이 적절히 버무려진 좋은 글이네요.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BLUESKYth
16/10/20 20:22
수정 아이콘
99pko 부터 봤습니다.
이제 ... 이스포츠를 놔줘야 되겠네요...
잘가라 프로리그야.... T1 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0206 [스타2] GOOD BYE 프로리그 방송 및 참여 안내 공지 [7] SPOTV GAMES7387 16/10/28 7387 6
60200 [스타2] 블리자드 중계 정책이 참 유감이네요 [74] 웅진프리12099 16/10/26 12099 7
60190 [스타2] WP 랭킹을 마치며 [63] Davi4ever14098 16/10/23 14098 76
60171 [스타2] SKT T1 최연성 감독님에게 메시지를 모아 전달하려고 합니다. [15] 케이리9541 16/10/21 9541 3
60151 [스타2] 프로리그 종료와 골드버그의 컴백 [2] Love.of.Tears.12587 16/10/18 12587 12
60150 [스타2] 프로리그의 끝을 보면서 [10] 엘제나로10628 16/10/18 10628 5
60149 [스타2] 블리즈컨 직관 가는데 가장 슬픈 직관이 되겠네요.. [8] 보통블빠9661 16/10/18 9661 3
60148 [스타2] 프로리그를 추억하며.. [5] 고인규님사랑해요7475 16/10/18 7475 1
60147 [스타2]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운영 종료를 발표합니다. [110] 한국e스포츠협회15639 16/10/18 15639 21
60135 [스타2] 2016년 10월 셋째주 WP 랭킹 (16.10.16 기준) Davi4ever8720 16/10/17 8720 0
60105 [스타2] 최성훈 선수가 글로벌 파이널을 기권했습니다. [14] 보통블빠9544 16/10/13 9544 0
60078 [스타2] 2016년 10월 둘째주 WP 랭킹 (16.10.9 기준) - 외국 선수 최초의 Top10 진입! [4] Davi4ever6498 16/10/08 6498 0
60070 [스타2] 글로벌 파이널 플레이오프 사상 첫 코인토스 [10] 보통블빠6309 16/10/08 6309 0
60061 [스타2] 협동전 이것저것 잡담 [10] RookieKid7152 16/10/05 7152 1
60053 [스타2] 왕이 된 서자, DongRaeGu 박수호 [26] 아름답고큽니다12251 16/10/05 12251 25
60049 [스타2] 3.7패치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33] FloorJansen10629 16/10/04 10629 0
60043 [스타2] Neeb 선수 응원합니다. [30] 삼성전자홧팅8020 16/10/03 8020 3
60041 [스타2] 새로운 팀리그 개최 [11] 삭제됨16100 16/10/03 16100 1
60040 [스타2] 2016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16.10.2 기준) - 전태양, 테란 No.1 탈환! Davi4ever6355 16/10/03 6355 0
60020 [스타2] 끝날때까지 인성의 끝을 보여주는 너치오 [27] 보통블빠10296 16/09/30 10296 3
60017 [스타2] 몇가지 이야기들 [9] FloorJansen7687 16/09/30 7687 3
60015 [스타2] SKT, KT에서 스타2팀을 해체했다는 소문이 들리네요.. [102] 웅진프리18443 16/09/30 18443 2
59999 [스타2] 이제는 추억이 되버린 Jinro 조나단 월시 [13] 보통블빠7217 16/09/27 7217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