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8/16 17:17:23
Name Becker
Subject [LOL] EDG 롤드컵 1번시드 탈락, LPL 롤드컵 경우의 수
안녕하세요

지금 보신분도 계시겠지만 LPL 준결승에서 LGD가 EDG를 3:0으로 꺾었습니다.

물론 지난 결승에서도 팽팽하게 맞섰던 두팀이라 LGD가 이길수도 있을꺼라는 생각은 했지만

EDG가 3:0으로... 처참하게 참패했습니다.

시리즈를 한줄로 요약하면 딱 이겁니다.

"임프 초슈퍼캐리"

포지셔닝과 딜에서 말도안되는 수준의 능력을 보여주면서 데프트에게 세체원 타이틀을 빼았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완승하며 팀을 결승에 가져왔습니다.

EDG는 이번 경기로 창단후 도전한 4연속 우승에 실패하였고,

무엇보다도, 롤드컵 직행티켓과 1번시드를 놓쳤습니다.


[LPL, 상위팀간의 써킷포인트] (굵은 글씨는 직행 가능성이 남은 팀)
(최소-최대)
LGD : 500-650
EDG : 400-450
IG :  200 - 550
QG : 130 - 480
Snake : 140

중국의 경우, 썸머시즌 우승 직행 특혜없이 포인트가 가장 높은 팀이 1번시드로 직행하고,

그 직행팀을 제외한 상위 4팀이 마지막 2장을 놓고 더블 엘리미네이션을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lol.esportspedia.com/wiki/2015_Season/Championship_Points/China)

마타와 댄디의 VG, 인섹과 제로의 (그리고 나메이의) King, 다데와 루퍼의 M3, 스피릿의 WE와 Uzi, Cool이 속한 OMG가 모두 탈락이 확정된 상태이고,

선발전의 다섯자리에 들어가게 되는 팀은 모두 확정된 상태입니다. (LGD, IG, EDG, QG, Snake)


[선발전 다섯팀에 소속된 한국인들]
LGD : imp, Flame, Acorn
IG : Kakao, Rookie
EDG : Pawn, Deft, BaeMe
QG : Doinb, Swift, Borisal
Snake : Beast, Ella


따라서 남은 LPL의 직행 경우의 수는 매우 간단합니다.

1. IG가 우승한다 -> IG가 1번시드로 직행합니다.
2. 그외의 모든 경우의 수 -> LGD가 1번시드로 직행합니다.

결국 IG와 LGD만이 롤드컵 직행을 노릴수 있는가운데,
LGD는 QG가 다음 경기서 이기기만을 기도할것 같네요.



EU와 NA의 롤드컵 경우의 수는 오늘 준결승 두번째 경기가 끝나고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수정:

다시 확인해봤는데 직행 실패가 1번시드 탈락은 아니네요. 선발전 우승팀 vs 썸머 우승팀이 다시 붙어서 승자가 1번시드가 됩니다. 이 부분 수정했습니다. 혼란을 일으켜 죄송합니다. ㅠㅠ

수정 2: 어떤곳은 또 직행 -> 1번시드라고 적혀있네요. 확인중에 있습니다.

수정3: 포인트 1위 -> 직행이자 1번시드가 맞는것 같습니다. 출처는 아래에 있습니다. 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갔다해서 죄송합니다.

http://lol.esportspedia.com/wiki/2015_Season/Championship_Points/China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작은 아무무
15/08/16 17:19
수정 아이콘
어느 팀이 올라가든간에...한국인 4자리 확정인가요 덜덜
도깽이
15/08/16 17:20
수정 아이콘
이디지 부진이 폰이 빠져서 그런건가요?
그러지말자
15/08/16 17:21
수정 아이콘
세 경기 다 폰이 나왔습니다. 1경기에선 잘큰 야스오로 막판 던지긴 했지만 다른경기는 무난 쏘쏘..
데프트가 좀 많이 말아먹었...
Magicien
15/08/16 17:22
수정 아이콘
폰은 조금 던지기도 했지만 준수하게 했구요
데프트가 임프에 비해 활약이 없었습니다
헤나투
15/08/16 17:23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전까지만해도 폰의 복귀로 기세가 엄청 좋았습니다
오늘 패배 같은 경우 전체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데프트 같은 경우 팀이 좋을때도 꾸준히 지적받아왔고 오늘 경기에서는 임프와 비교되면서 정점을 찍은 느낌입니다.
15/08/16 17:23
수정 아이콘
오늘 세게임 전부 폰이 다나왔습니다...
딱히 폰이 잘했다고 한경기는 1경기 정도 빼곤(던진게 패배의 영향이 크긴했음)
그냥 무난했다정도의 느낌입니다.
헤나투
15/08/16 17:21
수정 아이콘
매우 간단하게 됐군요.
진출전은 어떤식으로 진행되나요?
15/08/16 17:21
수정 아이콘
설마 EDG 롤드컵 못 가는 건 아니겠죠?
어제까지만 해도 결승은 SKT 대 EDG일거라 예상했는데 롤판 몰라요.
15/08/16 17:22
수정 아이콘
QG가 이번시즌 정말 어메이징 하죠.... 도인비가 이렇게 될줄이야...
실력이 있다고는 생각했지만.. 이렇게 까지 될줄은 생각을 못했..
Rorschach
15/08/16 17:28
수정 아이콘
QG가 이기면 확정이군요 크크
다음 경기 재밌겠네요.
신예terran
15/08/16 17:32
수정 아이콘
데프트가 너무너무 못해요. 나머지 라이너가 지난 스프링과 비슷하다 치면 데프트는 더 못하고 임프는 훨씬 더 잘하고...
Beenzino
15/08/16 17:36
수정 아이콘
3:0 일방적인 스코어네요. edg 롤드컵 왔으면 좋겠는디...
새벽하늘
15/08/16 17:38
수정 아이콘
처참하게 발리더군요. lgd가 잘한건지 edg가 못한건지는 내일 3,4위전까지 봐야 알 수 있겠네요.
15/08/16 17:38
수정 아이콘
글이 몇번씩 바뀌었었는데, LPL 포인트 1위가 1번시드냐 아닌가에 명확한 정보를 찾지 못해서 그러하였습니다. 직행티켓 -> 1번시드가 맞으며, 이 부분에 있어서 재차 수정이 있었습니다.
15/08/16 17:39
수정 아이콘
1번시드 직행아닌가요 그렇게 알고있었는디.. 그 1번시드가 LPL챔피언쉽포인트 1등에게 주는걸로 알고있었고...
15/08/16 17:41
수정 아이콘
네 작년의 경우에는 끝에 EDG vs 로얄클럽이 마지막에 시드결정전을 한것 때문에 잠시 헷갈렸었는데, 올해는 포인트제로 바뀌면서 그렇게 된것 같습니다.
아슈레이
15/08/16 17:39
수정 아이콘
모두가 정글만큼은 EDG가 앞선다는 예상했는데 반대가...
오늘은 클리어러브가 존재감이 거의 없었고 데프트의 쓰로잉이..
새벽하늘
15/08/16 17:40
수정 아이콘
정말 의외더라구요. 클럽은 말할필요없이 중체정이고 상대편 tbq는 중국정글러중에서 가장 못한다는 애였는데..
15/08/16 17:41
수정 아이콘
LGD의 구멍은 거의 tbq확정이었죠...
15/08/16 17:41
수정 아이콘
LGD가 레드 블루 레드 진영 순으로 이겼죠

압살이라고 봅니다

임프가 슈퍼하드캐리했지만 한 포지션에서만 이긴게 아니에요
15/08/16 17:58
수정 아이콘
조금 아쉽네요.
LGD가 롤드컵에 진출해서 드디어 블레이즈 출신중에서 롤드컵 출전자가 생기는건가

블레이즈 선수들이 롤드컵에서 서로 최대한 모였으면 합니다. 실력이라면 한번은 갔었어야하는 무대인데
플레임 선수 롤드컵 갑시다.
크로스게이트
15/08/16 18:56
수정 아이콘
근데 오늘 하는거보면 플레임은 출전 못할듯..
에이콘이 너무잘해요.
믜븨늬믜
15/08/17 07:46
수정 아이콘
러보선수가 이미 블레이즈 출신으로 롤드컵 진출 했었는데요.
리비레스
15/08/16 17:58
수정 아이콘
임프야 14 롤드컵 떄는 두말의 여지가 없는 세체원이었으니...흐흐 클라스 어디 안가죠.
데프트는 요번 롤드컵 떄 각성하지 않으면 세체원 타이틀을 가장 짧게 보유한 선수로 남을 것 같은 느낌이...MSI 끝난 지 3개월 밖에 안됐는데 ㅠ
15/08/16 17:59
수정 아이콘
임프가 빈틈없이 잘하기도 했고 세경기 다 하이퍼캐리를 했지만, EDG의 모든 포지션이 폼이 떨어진 영향이 커보였습니다. 탑, 미드도 주도권을 쥐지 못했고 가장 큰 격차가 있다고 평가받던 정글조차도 오히려 클리어러브가 밀렸죠. EDG 특유의 빠른 다이브를 통한 봇 키우기와 그것을 만회하려는 상대팀의 갱킹을 역갱으로 맞받아치는 패턴이 거의 먹히질 않더군요. LGD의 준비성도 돋보였고, EDG의 경기력 하락도 크게 다가왔습니다. 특히, 1, 2, 3세트 모두 폰과 데프트가 결정적인 패인을 제공했다는 점도 크구요. 폰은 2세트의 어이없는 르블랑 픽을 포함해 마치 스프링 때 무리하던 페이커를 보는 느낌이었고, 데프트는 그야말로 임프에게 클라스차이가 느껴질 정도로 압살당했습니다. 주포들의 부진이 이어지고 초반 전략의 패턴까지 읽히니 클리어러브는 할 수 있는게 아예 없는것처럼 보였구요.
만트리안
15/08/16 18:02
수정 아이콘
사실 LPL 꾸준히 보신분들이면 임프가 중체원 된지 한참이라는건 다 아실거 같아요. 임프가 커대도 자주하고 짤리기도 자주 해서 안정감이 없는 선수인건 맞는데 (지난 LPL 플옵때도 잘하다가 던지고 잘하다가 던지고 가관이었죠) 근데 문제는 안정감이고 자시고 평균 기량 자체가 근처에라도 오는 선수가 없어요. 솔직히 말해서 데프트는 비교 대상이 아니게 된지 오래됐구요. 다른 잘하는 중국 원딜들이 60~70정도 한다면 임프는 60~100은 하는 느낌입니다. 그냥 그래서 기복이 심해보이는거지 커서 던지나 개압살당하나 사실 못한건 마찬가지죠.
비빔밥
15/08/16 18:08
수정 아이콘
LPL에 대해서 거의 본적도 없고 선수도 거의 모르지만 오늘 첨으로 경기를 다 봤습니다.

오늘 경기로만 보자면 LGD가 EDG보다 확실히 잘하더군요. 중국선수중에 클리어 러브 선수정도만 아는 정도였는데

탑과 서폿 선수는 주목해서 안봐서 잘은 모르겠지만 무난했던거 같고 데프트가 확실히 못합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시에스가 항상 부족하고 한타때 먼저 죽고 어이없이 짤리고

그리고 폰 선수는 그냥 평범한 미드 수준이었구요. 그나마 클리어러브가 여기저기 풀어주려고 고군분투하는게 보이는데

EDG의 딜러라인 집중력이 현저히 떨어져 보여서 한타때마다 거의 압살당하더군요.

딴걸 떠나서 데프트 선수는 이번에 진짜 심하게 멘붕왔을 것 같던데.. 임프 선수와 넘사벽 차이가 보이더군요.

1,2 경기 임프 코그모한테 EDG가 탈탈 털리고 데프트가 3경기 선픽으로 코그모를 가져왔지만

임프 칼리스타한테 그냥 암것도 못하고 털렸습니다.

결론은 임프가 이번경기 만큼은 세체원 포스였네요.
15/08/16 18:12
수정 아이콘
다데는 어떻게된거죠?
중국넘어갈때만해도 최고대어소리듣던 선순데 영 부진한가봐요
화끈한 플레이가 진짜 멋있었는데
야스오가 쓸만한데 다데가 롤드컵을 못나오다니!
15/08/16 18:19
수정 아이콘
다데는 무고한적이 많았...
신예terran
15/08/16 18:23
수정 아이콘
다데는 원래 개인기량보다 팀적인 오더로서 명성이 높았죠. 처음부터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총사령관
15/08/16 18:14
수정 아이콘
이 경기 지난 영상은 언제부터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원딜절대자
15/08/16 18:15
수정 아이콘
임프는 항상 세체원급 기량이었죠. 롤드컵 우승했을 때도 마타 빨이라느니 뭐니 폄하당해서 좀 아쉬웠는데 이번에 경기력 역시 엄청나네요.
생겼어요
15/08/16 18:17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원딜이 슈퍼캐리하는 경기를 봤네요.

가끔 이해하기 힘든 쓰로잉, 마타 댄디를 비롯한 훌륭한 팀메이트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했을 뿐 14롤드컵 이후로 임프는 꾸준히 세체원의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반면 데프트는 상대적으로 라인전에서 꾸준히 문제가 제기되어 왔구요.

폰과 데프트가 건재한 EDG는 결국 롤드컵에는 합류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MSI 우승팀 EDG 뿐 아니라 LGD까지 롤드컵에서 볼 확률이 높아지면서 이번 롤드컵은 그 어느해보다 치열하겠네요. 하루 빨리 섬머가 끝나고 롤드컵 시작했으면 좋겠습니다.
15/08/16 18:22
수정 아이콘
딴건 모르겠고 임프는 레알이더군요.
15/08/16 18:31
수정 아이콘
IG는 너무 심각하게 2맨 팀이라 지금 경기력 물 오른 LGD 상대로 합이 맞을지; 둘 다 맞상대해본 VG전을 생각해보면 LGD가 압도할 것 같습니다.(물론 LGD vs VG전은 사실 승패가 큰 의미가 없어서 애매할 수 있지만)루키 카카오가 정말 사고치지 않는 이상... LGD 직행을 예상해봅니다.
15/08/16 18:33
수정 아이콘
이러다가 EDG가 설마?
15/08/16 18:38
수정 아이콘
혹시 이거 다시보기는 어디서 하는 지 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갑자기 보고싶네요.
15/08/16 18:46
수정 아이콘
영어 해설 괜찮으시다면

http://www.twitch.tv/riotgames2/profile/past_broadcasts

https://www.youtube.com/watch?v=XVHXtg6Ej2I&list=PLPZ7h6L6LC7XpbFyr44VOlUCYgr0u94VL

여기에서 보시면 되는데 아마 오늘 경기 다 끝나고 업로드 될 거에요.
15/08/16 18:47
수정 아이콘
아주부임돠
물키벨
15/08/16 18:48
수정 아이콘
폰 오늘 중요할때마다 잘리고 오브젝트 다 내주는걸 엄청 많이해서.. 데프트는 그냥 못했구요.
15/08/16 19:04
수정 아이콘
오늘 LPL포인트 1등이 결정날 분위기네요... QG가 2경기 까지 너무너무 잘해주고있습뉘다
15/08/16 20:56
수정 아이콘
는 귀신같이 또 IG가 3,4경기를...
15/08/16 21:42
수정 아이콘
결국은 QG가 잡는 그림인듯...
Nasty breaking B
15/08/16 19:17
수정 아이콘
폰은 야스오 했던 1경기 때만 괜찮았고 2,3경기에선 패배의 주역중 한명이었죠. 너무 자주 짤렸어요.
클리어러브랑 메이코는 그냥 대강 평타는 쳤던 거 같고 코로는 상당히 별로였습니다(에이콘이 훨씬 잘함). 근데 제일 두드러졌던 건 역시 이구동성으로 지적된 원딜차죠. 임프랑 데프트 차이가 너무너무 컸어요.

그리고 LGD에 대해선 임프 에이콘 + 정글이 구멍이고 서폿이 잘한다 정도밖에 몰랐는데 미드가 생각보다 굉장히 잘해서 놀랐습니다.
만트리안
15/08/16 19:21
수정 아이콘
갓브이 엄청 잘해요. 개인적으로 세계에서 제일 재기발랄한 미드라는 느낌?
15/08/16 20:21
수정 아이콘
특히 다이애나를 잡으면 정말 잘하더군요. 라인전도 안밀리는데 초반 소규모 전투때보면 던지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공격적으로 플레이하는데 진짜 딜을 엄청잘 뽑아내서 질꺼 같아보이는 싸움도 이길때는 정말 신기할정도입니다.
15/08/16 22:36
수정 아이콘
갓브이가 요즘 다이애나 정말 잘하는데..이 선수 성명절기는 오리아나죠. 아무도 오리아나 안쓸대도 밴당할 정도로 예술인 선수예요.
만트리안
15/08/17 07:53
수정 아이콘
템도 진짜 지 맘대로 가죠 오리아나 할때 보면 크크
15/08/16 19:33
수정 아이콘
근데 저는 오늘 시험도 봤겠다 플옵 보고 12시에 프나틱 vs 유니콘에 4시에 TSM vs 리퀴드까지 해서 아마 밤을 샐듯;
Sydney_Coleman
15/08/16 20:17
수정 아이콘
컨디션 조절이나 동기부여 측면에 문제가 있는 건가 싶을 정도로 전라인이 다 밀렸죠.; 아무쪼록 빠르게 원래의 훌륭했던 폼을 회복하길 바랍니다.
다크템플러
15/08/16 21:47
수정 아이콘
QG의 승리와함께 LGD 롤드컵 확정이네요!
3번째인가요? SKT AHQ LGD
모두가 EDG를 예상했을텐데 흐흐
다크템플러
15/08/16 21:49
수정 아이콘
아 3번째는 아니네요. FW가 오늘 확정
청순가련유순연약
15/08/16 21:47
수정 아이콘
QG가 이겼네요. 결국.
새벽하늘
15/08/16 21:53
수정 아이콘
임프도 3연 롤드컵 진출이네요. 임프만큼 꾸준한 선수도 드문거 같아요. 13년도 스프링부터 탑클래스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요.
다크템플러
15/08/16 22:00
수정 아이콘
참고로 이번에 LGD가 우승하면 임프는
S3 LCK 우승
S4 롤드컵 우승
S5 LPL 우승
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됩니다.
레딧에선 그랜드슬램이라 하더군요 크크
MoveCrowd
15/08/17 00:48
수정 아이콘
이제 LCS 진출해야..
반니스텔루이
15/08/16 22:24
수정 아이콘
ig가 4강에서 qq한테 패하면서 ldg가 롤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네요. 기대됩니다. 임프~~~
15/08/16 22:33
수정 아이콘
경기를 제대로 못보고 중간중간 스코어정도만 확인했는데 첨엔 그래도 EDG지..라는 심정으로 봤는데 결국 LGD가 이기네요 3:0으로 이기다니 놀랍습니다. QG가 이겼으니 롤드컵 확정인데 참.. 플레임 인생이 이렇네요.
기장으로 하드캐리 하던 시절엔 롤드컵 근처도 못가봤는데 폼 떨어지고 서브되서 롤드컵에 진출하다니.. 버스 타고 롤드컵 갔지만 폼좀 되찾아서 롤드컵에선 활약좀 해줘요.

섬머에 2부리그에서 올라온 QG가 결국 결승진출했군요.. 참 놀랍습니다.. 워낙 들쑥 날쑥한 경기력에 다전제에서 잘할까 걱정이 많았는데 그래도 잘해줬네요. 결승에서 이기고 기세를 이어 선발전 잘했으면 좋겠어요. 근데 TcT TnT.. 임프를 억제할수 있을까요...
아저게안죽네
15/08/17 11:05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데프트와 메이코가 듀오 돌리면서 싸운 게 영향을 준 걸까요.
15/08/17 13:24
수정 아이콘
도인비 보리살이 롤드컵까지..? 더샤이는 뭐하나요
15/08/17 19:49
수정 아이콘
더 샤이는 아직 어려서 대회 못나와요 ^^;; 다음 시즌엔 나올 수 있을꺼 같습니다. WE로 갔는데 한국에서 솔랭 하면서 지내는거 같더라구요. 여전히 리븐/야스오/니달리는 정말 잘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508 [LOL] 시즌 6 변경점으로 전망해보는 프로 팀간의 경기 흐름 [21] Becker9505 16/01/06 9505 11
58435 [LOL] IEM 우승! ESC 에버에 대한 단상 [53] Becker15277 15/12/21 15277 11
58265 [스타1] [우왕] 객관적으로 보는 스타1 프로게이머 순위 [73] Becker28070 15/11/28 28070 7
57922 [LOL] 북미의 몰락 어떻게 봐야할까? [74] Becker12076 15/10/12 12076 0
57857 [LOL] 롤드컵 1,2일차 간단 점검 및 차후 예상 [22] Becker7416 15/10/03 7416 4
57839 [LOL] 롤드컵의 숨겨진 기대주들 - "Sleepers" 알아보기 [20] Becker7267 15/10/01 7267 1
57823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Cloud 9 [14] Becker4652 15/09/30 4652 11
57821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Team SoloMid [31] Becker7609 15/09/29 7609 9
57817 [LOL] 북미팀 간단 분석 Q&A - Counter Logic Gaming [21] Becker6791 15/09/29 6791 15
57498 [LOL] NA LCS 결승 직관 후기 & 리뷰 [36] Becker7164 15/08/24 7164 4
57461 [LOL] 통계로 알아보는 4대 리그 간단분석 [48] Becker9432 15/08/19 9432 123
57442 [LOL] LGD, 프나틱, TSM이 롤드컵에 진출했습니다. + 각 대륙별 직행 경우의 수 [44] Becker7403 15/08/17 7403 4
57435 [LOL] EDG 롤드컵 1번시드 탈락, LPL 롤드컵 경우의 수 [61] Becker8816 15/08/16 8816 0
57415 [LOL] LCK 롤드컵 직행 경우의 수 [52] Becker8488 15/08/13 8488 18
57225 [LOL] 롤챔스 - 룬글이즈의 등장, 그리고 마오카이 [24] Becker11896 15/07/08 11896 3
57132 [스타1] '몽상가' 강민의 조각들 [31] Becker10822 15/06/24 10822 67
57071 [LOL] [번역] ESPN 페이커 기사를 적은 기자의 AMA [13] Becker9184 15/06/18 9184 13
57032 [LOL] ESPN에 대서특필된 페이커 [36] Becker22839 15/06/11 22839 12
56569 [LOL] 롤챔스 2라운드 4주 2일차 경기 감상평 [13] Becker6963 15/03/28 6963 2
56503 [LOL] 2라운드 롤챔스 팀들 전망 - 파트 2 [31] Becker7561 15/03/20 7561 9
56483 [LOL] TSM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16] Becker8440 15/03/17 8440 8
56452 [LOL] (재미로 보는) 롤 게이머와 스타 게이머의 비교 [23] Becker12438 15/03/12 12438 0
56433 [LOL] 삼성 화이트, 블루, KT A, 그리고 GE 타이거즈에 대한 단상 [42] Becker11268 15/03/08 11268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