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4/28 19:56:36
Name 다크템플러
Subject [LOL] 가장 아쉬웠던, 비운의 팀은 어디일까요
롤챔스 텀이 워낙 길다보니 옛 롤챔스를 돌려보고있습니다. 시대를 풍미했던 여러 선수들을 보니 감회가 새롭더라구요. 특히 중국을 비롯해 해외로 진출한 선수들을 보니 찡하기도 하구요.

여타 스포츠가 다 그렇겠지만, 롤도 결국 남는건 커리어인것 같아요. 실력적으로 매우 좋은팀이라도 뚜렷한 커리어가 없다는 건 진짜 아쉽더라구요.

이런 아쉬운 팀들.. 꼽아보면 어떤 팀이 최고일까요?

지금 당장 생각나는건
첫째는 역시나 무관의제왕, SKK왕조의 대항마였던 KTB. CJ왕조를 무너뜨린, 롤의 새로운 시대를 알렸던 팀이 아닐까합니다. 인섹-카카오-류-스코어-마파.. 롤챔스엔 스코어 선수만이, 그것도 정글로 남아있네요. 정말 SKK만, 아니 페이커만 없었더라도.... 13섬머 롤챔스 결승 2세트까지만해도 세체팀 등극분위기었으나 제드가 풀리고 자이라가 픽이 되는데..
결국 SKK왕조 붕괴는 카카오 변경 후 KTA에 의해, 삼성왕조에 이뤄졌고 리빌딩 이후 KTB는 ㅠㅠ
몬테가 평하길, KTB는 각 라이너들의 기량만으로는 최고의 선수가 아닐지라도, 그들을 모아두면 정말 똑똑한 플레이를 펼친다고 했죠.


그다음으로는 CJB. 무엇보다 롤드컵을 한번도 밟지못한팀원들이 많았죠. 내내 CJ내전을 겪었고 13스프링때 헬리오스-캡틴잭이 있던, 국대미드와 기장님시절 오존에게 발목잡힌 것이 결정적이었고.. 하지만 개인적으로 아쉬웠던 조합은 리빌딩 후의 플레임-데이드림-엠비션-엠퍼러-러보 조합은 진짜 완벽했다고 생각하는데 최고의 천적 KTB에 의해서 번번히 무릎을 꿇고, 텔메타가 오면서 탑캐리력이 조금 약화되기도 하고.. 14스프링 3.4위전 화이트를 블라인드까지 몰아붙이지만 ㅠㅠ 마지막불꽃이었죠 리빌딩 후 기준, 여기 역시 엠비션 선수만이 정글로 남아있네요.

또 나진 소드도 생각나네요.
소드는.. 쏭, 막눈 선수가 있었을때도 아쉬웠지만, 특히나 엑스페션 선수로 교체된후 정말 안정적이 된줄 알았죠. 롤드컵에서 첫 데뷔한 나그네도 충격이었고, 최강의 길을 가던 SKK를 5세트까지 몰아붙였죠. 개인적으로 제일 아쉬운 시절 멤버는 엑스페션-와치-나그네-프레이-카인.. 엑페선수의 휴식과 프레이 선수의 슬럼프가 오면서 천천히 몰락 ㅠㅠ 대대적인 리빙딩을 겪지만 대박친건 꾸준히 멤버 유지+와치가 이동한 쉴드였네요. 사견으론 엑페 선수가 참 아쉽..

그리고 '안타까웠던' 팀을 꼽으라면 단연 IM#2
특히 애플-레인오버-쿠로-파라곤-라샤 던가요..
쿠로 선수 보면서 그냥 눈물이 ㅠ.ㅠ 신드라 노데스 + 파라곤 노데스 패배가 너무나 생생합니다.
개인적으론 GE가 MSI 올라갔으면 하는게, 쿠로vs레인오버를 보고싶음....-_-;;

여러분들은 어떤팀이 생각나시나요. 같이 추억을 팔아봐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kt_이지훈
15/04/28 20:00
수정 아이콘
비추천 기능 없나요?
소주한잔 하러 갑니다............
즐겁게삽시다
15/04/28 20:05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크 첫플부터 보스가 등장한 느낌이네요.
15/04/28 20:14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
15/04/28 20:20
수정 아이콘
ㅠㅠㅠ
i제주감귤i
15/04/28 20:23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겜알못
15/04/28 20:28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
VinnyDaddy
15/04/28 20:33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민족의아리아
15/04/28 20:41
수정 아이콘
ㅜㅜㅜㅜㅜㅜㅜㅜ
맘대로살리
15/04/28 20:50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
리비레스
15/04/28 20:52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뭔가 팬으로서 죄책감마저 드는.....
15/04/28 21:11
수정 아이콘
최종보스니뮤ㅠㅠ
Frezzato
15/04/28 22:18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
15/04/28 23:36
수정 아이콘
엌...
곧내려갈게요
15/04/28 23:46
수정 아이콘
아........
사과씨
15/04/29 00:35
수정 아이콘
소주 한잔 사드리고 싶네요 ㅠㅠ 아
zelgadiss
15/04/29 00:38
수정 아이콘
ㅠㅠ 같이 한잔...
민최강
15/04/29 00:54
수정 아이콘
ㅜㅜㅜㅜ 전스타도 강민따라 KT팬이고 롤도 저의 유일한 팀은 KT B입니다. ㅜㅜ 진짜 재미있었고 아쉬웠습니다. ㅜㅜ
트리스탄
15/04/29 13:57
수정 아이콘
첫 댓글부터 너무 강력해서 할말을 잃었습니다.
Grateful Days~
15/04/29 18:10
수정 아이콘
ㅠㅠ 선플의 중요성이..
무지방.우유
15/04/29 22:09
수정 아이콘
서....서머 화이팅입니다ㅠ
月燈庵
15/04/28 20:02
수정 아이콘
크트비요 라고 쓰려고 했더니 위에 1등으로 쓰신 분이… ㅠㅠ
옆집돌고래
15/04/28 20:03
수정 아이콘
KTB가 가장 먼저 떠오르고 초창기 제닉스스톰도 떠오르네요
양들의꿈
15/04/28 20:03
수정 아이콘
(구) cj 엔투스 요.

아주부 프로스트를 상대로 블라인드 픽까지 갔지만 패배...

그리고 엔엘비 결승에서 5미드 전략에 패배...

롱판다,인섹,다데,스페이스,낀시 지금봐도 준수한 전력이긴 한데 해체되지 않고

한시즌 더 해봤으면 어땠을까...

슈퍼억제기 한분이 있어서 안될까요? 크크
작은 아무무
15/04/28 20:25
수정 아이콘
롱판다....!
15/04/28 20:40
수정 아이콘
인섹과 다데가 친햇더라면.. 하는 조합이죠

작년 롤드컵때 롱판다랑 낀쉬가 구CJ이야기 하는데 서로 정말 잘하는데 둘 사이가 영..

챔프픽부터 꼬엿던게 인섹이 제드좋다고 제드 정글 가져가고 다데가 리신미드..
양들의꿈
15/04/28 20:43
수정 아이콘
그런적도 있었나요? 크크크크크크

근데 인섹 정글제드는 정말 일품이었죠.

장건웅 선수의 애쉬 궁을 제드 궁으로 피하는건 정말 명장면!
새벽하늘
15/04/28 20:51
수정 아이콘
미드리신 게임은 인섹이 아무무였을거에요. 롱판다가 짜오로 인생경기 펼치면서 그걸 바탕으로 무난히 cj가 이겼었죠. 다데도 리신으로 엄청 잘했구요.
방민아
15/04/28 23:33
수정 아이콘
맛스코우 빠이브!! 개인적으론 롱판다 때문에 힘들지 않았을까 싶어요...
제리드
15/04/28 20:04
수정 아이콘
비오는날 Kt와 Skt의 결승전...왜 제드를 열어서...
The Last of Us
15/04/28 20:05
수정 아이콘
나진이요!
15/04/28 20:06
수정 아이콘
전 ktb가 진짜...
롤드컵 진출전 5경기에서 류가 초반 정글싸움에서 얻은 골드로 영약 하나 더 들고 제드vs제드하러갈때 ktb가 진출할것을 조금도 의심 안하고 있었지만 영약을 먹지도 않은채로 자연스럽게 딜교를 지기 시작하더니 결과적으로 팀이 져버렸을 때 참 어이가 없었네요
100% 확실한 기억은 아니지만 얼핏 생각나는게 밧라인이 손해보고 시작해서 미드에서 격차를 벌려줬어야 되는데 영약을 아예 먹지도 않고 딜교를 밀린게 이해가 정말 안가더라고요. 그때 skk나 ktb나 둘중에 롤드컵 가는 팀이 우승할것 같았는데 결국 skk는왕조를 세웠고 ktb는 선수들이 하나 둘 떠나는 결과가 나왔었죠. 만약 5경기의 승자가 바뀌었다면 두 팀의 미래도 바뀌지 않았을까 싶습니다만 현실에 if는 없는거죠
wing tree
15/04/28 20:07
수정 아이콘
SK 없었으면 KTB가 롤드컵 먹었을거라 봅니다
리비레스
15/04/28 20:54
수정 아이콘
+1111111
15/04/28 20:11
수정 아이콘
떠오르는 건 나진과 KTB인데 나진은 비운이라는 느낌이라기 보다 '잘하다 왜 저럴까..' 라는 느낌을 받았고 KTB가 너무 아쉬웠네요.
응원하는 팀 없이 즐겁게 보는 편인데 KTB는 운영에 있어서 재기가 있었고 번뜩였기에 롤챔스 보는 동안에 가장 즐겁게 해준 팀이네요.
매드라이프의 블리츠를 보는 재미보다 인섹의 리신 보는 재미가 더 좋았는데..
Liverpool
15/04/28 20:11
수정 아이콘
저는 블레이즈요.
와이어트
15/04/28 20:12
수정 아이콘
쿠로 벳쿄 시절 IM2팀이 아쉽더군요
15/04/28 20:12
수정 아이콘
정말 아쉬운 팀은 KTB구요
사심넣어서 한팀 추가하면 구 CJ(롱판다, 인섹 시절)요.
12롤드컵 탈락의 블레이즈도 후보에 넣을수 있긴 한데, KTB랑 비교했을때 경쟁자의 위상(SKT와 나진소드)이 차이나서 제외했습니다.
그 외의 팀들은 그냥 그정도가 한계였다고 봅니다.
15/04/28 20:14
수정 아이콘
소드는 우승에 롤드컵도 나가봤고 블레이즈도 롤드컵만 빼면 각종 국제대회와 국내대회에서 정상에 오른 팀이고...

역시 KT B가 아닐까 싶네요 흐흐. IM은 그 블레이즈한테 8강 역스윕 당할때의 멤버...
아이언
15/04/28 20:15
수정 아이콘
kt B의 지다가도 오묘한 운영의 바론과 인섹하고 카카오 마파가 너무 기발한 플레이를 잘했죠. 백도어라든가 트위치에 쉔궁이라던지
탑리신도 그랬고 절묘한 이니시 정말 멋진팀이였는데...........
nELLmOtSiwA
15/04/28 20:15
수정 아이콘
작년 롤드컵에서 나진 실드요. 선발전에서 한껏 기대하게 해놓고 정작 롤드컵에서 통수 맞은 거를 생각하면 혈압이...
깜짝파티피들스틱
15/04/28 20:16
수정 아이콘
12스프링 4강 제닉스 스톰이 생각나네요. 운명의 5세트. 경기는 제닉스 스톰이 유리한 상황, 황신의 시간이 끝나고 탑라인 억제기 포탑 앞 한타가 벌어지는데...
그대의품에Dive
15/04/28 20:17
수정 아이콘
IM이요.
서킷 포인트 점수 때문에 콘샐러드 영입해서 라일락 서포터 전향했던거 생각하면...그때 식스맨 제도가 있었다면 콘샐러드 그냥 식스맨 했을텐데 말이죠.
바로 다음시즌에 나진이 비닐캣을 로스터에 올려놓는 식으로 서킷 포인트 유지했던거 생각하면 참 아쉽죠.
그때 미드킹 미드+라일락 탑+링트럴 정글이었으면 무시무시한 전력이었는데..
Frezzato
15/04/28 22:26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15/04/28 20:19
수정 아이콘
맛밤 엔투스랑 제닉스 스톰이 생각나네요. 개인적 팬심담아 파라곤 미포가 타워 부수려다 무무궁 맞고 진 8강? 경기가 생각납니다.
술마시면동네개
15/04/28 20:21
수정 아이콘
5경기 류가 배부른 류였다면....
15/04/28 20:23
수정 아이콘
가장 첫시즌 제닉스스톰이 생각나네요
영관장식띠......후....
진짜 그때 5경기 탑 인히빗타워 대치전만 제대로했어도 지금의 롤판이 달라졌을텐데 말이죠
arq.Gstar
15/04/28 20:25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KTB ...

별개로 롤챔스에서 나그네선수가 페이커선수 상대로 보여줬던 경기력은 어우.....
겜알못
15/04/28 20:30
수정 아이콘
KTB....블레이즈도 참 안타깝긴 했지만 그래도 우승은 했었으니까요... 진짜 크트브는 그 전력으로 롤챔스 우승 한 번 못해봤다는게...ㅠㅠ
너에게로떠나는여행
15/04/28 20:31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가 제일 먼저 생각나네요.
결승으로 가는 한 문턱(또는 결승)에서 각성한 형제팀 프로스트때문에 좌절된게 기억에 깊게 납니다. 플레임/엠비션 두 op를 데리고도 정점을 밟지 못했던게 당시 프로스트 팬인 저에게는 다행이다 싶었지만 지나고보니 참 한이 되었겠다..싶은 생각이 납니다.
MoveCrowd
15/04/28 20:33
수정 아이콘
팀 이니셜에 B가 들어가면 좀 2인자가 되는 것 같습니다.
KT 'B' - SKT T1 K의 최대 희생양
CJ 'B' - 분명 포스는 강한데 이상하게 롤드컵과는 인연이 없는..
SS 'B' - 한 번의 우승과 한 번의 준우승을 기록했지만 결국 롤드컵에서는 형제팀 SSW에게 졌고 최강자 이미지도 SS W의 것..
랜드로드
15/04/28 20:38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아까 KT B vs SKK 3경기 재방송이 나오던데 ㅠㅠ
15/04/28 20:47
수정 아이콘
저도 딱 KTB CJB 나진소드 IM 이렇게 생각이 나네요.

IM은 정말 나름 꾸준히 열심히 하는데 참... 한번 뭐가 안터지네요...
15/04/28 20:50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와 스텔스..
스텔스는 딱 한 시즌만 더 기존 체제로 대회가 열렸다면 결승까지 갔을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플라이 -잭패 라인이 결코 딜을 못 넣지 않았고 한타도 상당히 준수했는데..
앙제뉴
15/04/28 20:50
수정 아이콘
선수로는 카카오 선수요.
성격도 좋고 개인기량도 최고인 선수인데..
롤드컵 무대 한번 밟아 보지 못했단게 참 안타깝네요.
중국 가서 잘했으면 좋겠지만
올시즌 롤드컵 티켓 경쟁은 국내보다 중국이 더 치열해진 상황이라
Euphoria
15/04/28 20:51
수정 아이콘
im 보단 team op가 -_-... 그멤버로 왜 우승을 못하는지 전형적인 솔랭러들의 모임이였던지.. 제일 기대했었는데 지금생각해보면 팀연습을 거의 안한거라고 밖에 생각이 안드네요..
술마시면동네개
15/04/28 20:55
수정 아이콘
캬.... team op 추억의 팀이네요 라일락 콘셀 파라곤 놀자....
모모리
15/04/28 22:02
수정 아이콘
팀오피는 프로 지향팀이 아니었으니까요,
최종병기캐리어
15/04/29 08:58
수정 아이콘
콘셀의 마인드가 자체억제기...
새벽하늘
15/04/28 20:52
수정 아이콘
ktb,cjb 둘다 안타깝죠. 그 좋은 전력으로 롤드컵을 한번 못가보고 팀이 분해됬어요. 둘중에 한팀을 뽑으면 국제대회를 좀 더 잘했던 ktb가 아쉽네요.
리비레스
15/04/28 20:53
수정 아이콘
단연코 KT Rolster Bullets 팀이죠...ㅠㅠㅠㅠㅠ

SKT T1도 물론 좋아하고 팬이지만 운영적인 면에서 가장 좋아했던 건 KTB 였는데 해체되서 너무 아쉽습니다....
리비레스
15/04/28 20:55
수정 아이콘
제가 롤챔스에 흥미를 잃어버린 것도 재미있는 운영이 안나와서가 큰데....예전 KTB, 삼성 화이트, SKT T1같은 걸출한 팀들이 자웅을 겨루는 시대가 한번만이라도 더 나왔으면 좋겠습니다...ㅠㅠ
月燈庵
15/04/28 21:05
수정 아이콘
백퍼 공감이요! ㅠㅠ
15/04/28 21:03
수정 아이콘
전 팀은 KTB 라고 보고 선수는 아마 선수의지있는 콘샐러드가 제일 보고 싶었네요
트윈스
15/04/28 21:15
수정 아이콘
소드는 롤드컵도 가봤고 우승도 했고 블레이즈도 우승경력있고.. KTB가 제일 아쉽네요.
개인적으로 선수는 라샤가 제일 아쉽습니다. 보면서 정말 안타깝기도 했고..
달콤새콤
15/04/28 21:28
수정 아이콘
KTB 경기가..뭔가 재미있더라구요
헤나투
15/04/28 21:34
수정 아이콘
KTB팬이기에 당연히 먼저 떠오르네요.
사실 결승은 스크크가 너무 강했기에 이해는 됩니다.

갠적으로 갱맘이 벽을 넘지 못한게 더아쉽게 느껴지네요. 갱맘이 벽만 넘었다면 KTB가 오존팀 꺽고 롤드컵은 갔을거라 생각해요.
15/04/28 21:35
수정 아이콘
KTB 와 블레이즈...

롤드컵에 나갔어야 ㅠ
강동원
15/04/28 21:55
수정 아이콘
거품게임단요.
미마가스와 페코틀린 아직도 기억나네요
그리고 입석을 타지 못한 한 남자가...
술마시면동네개
15/04/28 22:16
수정 아이콘
근데 현실적으로 미마가스는 진짜 그라가스만이고 페코는 프로신에서는 별볼일없다가 정석아니었나요 음...
강동원
15/04/28 22:17
수정 아이콘
물론 맞는 말씀입니다.
그래도 비운의 팀이라면 입석을 타지 못한 한 남자 때문에 승강전조차 하지 못한 거품게임단이 ㅠㅠ
Tristana
15/04/28 22:53
수정 아이콘
첫플... ㅠ
어제의눈물
15/04/28 23:03
수정 아이콘
KTB의 재기발랄한 운영을 이어받은,
롤챔스 썸머를 우승하고도 롤드컵 진출전에서 탈락하여 꿈의 무대에 나가지 못한 채
코리아 엑소더스 바람에 날아간 KT Arrows팀이 생각나네요.

완벽한 운영 그 위의 창조성,천재성과 야생적 전투능력을 동시에 지녔던
SKK 팬이었던 저를 사로잡은 매력적이면서 이상적인 팀이었는데...
한걸음
15/04/28 23:10
수정 아이콘
팀은 여럿있지만, 선수로는 앰비션인 것 같아요. 이 선수 꼭 롤드컵가는 거 보고 싶네요.
Betelgeuse
15/04/28 23:16
수정 아이콘
제닉스 스톰...
수은장식띠 하나가 모든걸 바꾼 그날...
8월의고양이
15/04/28 23:26
수정 아이콘
나진 실드... 강팀인듯 강팀아닌 강팀같은 나진이들아ㅠㅠ
Nasty breaking B
15/04/29 00:02
수정 아이콘
Team OP의 적자, 콘샐라일락파라곤 시절 IM
플레임 기장 시절 13연승 CJB
LG twins
15/04/29 00:14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요즘 막눈이나 엑페는 어디서 뭐하나요. 그냥 즐겜유저인가요? 혹시 개인방송도 하고 있는지요?
예전에 막눈이 도란검하나 들고 니달리로 30분동안 집에안가고 게임하던 시절에 롤 시작한지라 궁금하기도 하고 아쉽기도하고 그러네요.
Nasty breaking B
15/04/29 01:40
수정 아이콘
엑페는 연초에 갠방하다가 갑자기 접고 그냥 솔랭만, 막눈은 방송 간간이 하는데 롤 말고 던파방송 할 때도 많더군요.
사과씨
15/04/29 00:32
수정 아이콘
아 차라리 현재 진행형이기라도하면 희망이라도 가질텐데 앞으로 영원히 KTB 라는 이름으로 SKK 의 벽을 넘어볼 수 없다는 사실이 생각할 수록 서글프네요... 류 마파 스코어 인섹 카카오 이 멤버로 한번이라도 우승해봤음 이렇게 한이 되진 않을텐데....ㅠㅠ
포프의대모험
15/04/29 00:38
수정 아이콘
다데의 삼블
삼블의 다데
어설픈 팀통합으로 공중분해된 삼성이 너무 아쉽네요. 장군님 코트입고 축지법 쓰시는거 한국에서 좀 봐야하는데
치토스
15/04/29 01:08
수정 아이콘
KTB요. 롤드컵 우승후 윈터 8강에서 SKK 만나서 3:0으로 졌지만 세판다 아쉽게 졌죠.. 특히 첫판에서 게임 시작하고 첫 용싸움까지의 긴장감은 아직도 기억나네요.
15/04/29 01:15
수정 아이콘
블레이즈는 연승 하는중에도 싸우면서 팀웍이 한번 무너지는둥 여러가지 풍파에 맞써싸우면서도 13연승했다는게 skk전의 전설과도 같았지만 skk는 정말 말도 안되는 레알이었죠.. kt b가 그벽을 잠시나마 넘어볼뻔 했다는것에 대해 찬사를 보내고 싶습니다. 솔직히 그때당시 페이커는 신예였고 한시즌이 지나자 정말 말도 안되는 캐리력을 보여줬죠.. 류가 그정도 한것도 다행이라도 생각이드는데.. 그이후 점점 힘들어지더니 5경기만 가면 류가 정말 힘들어했죠.. 그때당시 해설이 말하길 류가 같은챔프로 싸우는것에 약하다는것에 대해서 말했는데 귀신같이 꿍이 르블랑을 꺼내들고 그렇게 미드 미러전의 시작.. 개인적으로 im은 실력이 안되서 못간면과 팀운이 부족했지만 kt b는 모든걸 지니고도 무언가 딱 한뼘이 부족해서 최고 스마트한 강팀이 되지 못했다는게 아이러니하네요. 최강의 미드라고 불릴수도 있었지만 페이커를 만나자 5경기 제드 미러전에서 지고나서 정말 인생무상의 표정을 짓는걸 보고 더이상 kt b가 절대적인 실력의 한끝을 못 넘는 팀이란걸 알게되었죠..류 선수는 개인적으로 운이 안따르지 않았나 싶습니다.. 가히 그때당시 폼이 절정이었는대 말이죠.. 삼성화이트는 강력하게 skk와 ktb처럼 미친듯이 싸울줄 알았지만.. 결승전이 실망스러웠습니다. 제일 skk가 강했을당시 그나마 비벼본팀이 ktb란걸 보면 가히 kt b 에겐 천운이 따르지 않았다고밖엔 설명이 안되네요..
뒷짐진강아지
15/04/29 01:17
수정 아이콘
아 엑페찡... ㅠ.ㅠ
15/04/29 01:17
수정 아이콘
윈터시즌 cj엔투스와 Im이 2;3 명승부를 만들어내면서, 동시에 깰수 없는 벽을 체감하던게 너무 아쉽네요

씨제이는 롱판다의 짜오와 다데의 미드리신이 2:3 명승부의 화룡점정이었구요

링트럴과 파라곤의 분전도 기억에 남네요

요즘 롤챔스는 위 두 맛을 느낄수가 없는게 좀 아쉽...

요즘 롬챔스 팀들은 인간본좌의 느낌이 안나서...
BravelyDefault
15/04/29 01:25
수정 아이콘
KTB는 말할 것도 없고.
팬심 담아서 13 롤드컵 쏘드는 한참 내리막 + NLB 서킷포인트로 진출했다며 갖은 소리를 들어서 거의 포기하고 있었는데, 기대이상으로 SKK전을 잘해서 아쉽긴 했습니다.
FReeNskY
15/04/29 02:06
수정 아이콘
앞서 언급된 다른팀들은 비교적 강팀으로 추억이 되지만 제닉스스톰은 그 때 이후로 강팀반열에 못 오르지 않았나요?? 그런의미에서 영관장식띠.......
낭만토스
15/04/29 02:18
수정 아이콘
제드 vs제드
bisushield
15/04/29 02:28
수정 아이콘
삼성화이트
좋은 의미로 메타빨 받은 블루만 아니였음 롤챔2번 먹었을거 같아서
15/04/29 03:08
수정 아이콘
제목 보자마자 KTB 생각났습니다ㅠㅠ KTB팬으로 시작해서 지금도 kt팬인데... 13섬머결승과 14스프링8강은 가끔씩 떠오릅니다. 진 세경기 중 한경기만 잡았으면 어땠을까ㅠㅠ 13섬머는 뭐 롤드컵이 걸려있으니 말할 것도 없었고....
사실 14스프링이 개인적으로 매우 아쉬운 게, 마스터즈에서 굉장히 부진하고 iem 초청 받아서 전승우승하고 자신감 찾고 와서 시작한 시즌이었기 때문에 다시 재기를 노려볼 수 있었어요. 4강 대진도 CJB or KTA라서 8강만 넘으면 결승도 노려볼 수 있겠다 싶었고, 마침 상대도 전시즌 3,4위전에서 이겼던 나진실드였는데... 상당히 기세가 올랐던 나진실드 상대로 굉장히 잘했지만, 그 마지막 문턱 하나를 못 넘는게... 그냥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ㅠㅠ 그 경기로 인섹 선수 떠났고, 류 선수도 자신감 많이 잃었었죠ㅜㅜ

무엇보다 스코어 선수는 카오스 때도 우승이랑은 인연이 멀었던 선수여서... 롤챔우승컵 드는거 보는게 팬으로서 소원입니다. 류, 스코어, 마파 선수가 같이 이뤘으면 했지만 ㅠㅠ
새벽에 감성 찡해지네요.
15/04/29 08:47
수정 아이콘
Cj 블레이즈. KT A 그리고 kT B가 기억이 납니다. 인섹 카카오라는 희대의 선수들이 같은 팀에서 합을 맞췄으나 sKT를 넘지 못한 정말 비운의 팀이죠... 저는 예전부터 스크팬이였습니다만 케이티 b는 계속 응원했었습니다.

Kt A 는 루키. 카카오 그리고 썸데이와 세계에서 단 세명만 잘한다는 드레이븐을 다룬 에로우까지. 정말 소년만화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했건만 나진에게 밀려 롤드컵에 못갈줄이야.. 지더라도 에스케이에게 질거라고 생각했는데
나가사끼 짬뽕
15/04/29 10:24
수정 아이콘
KTB!!ㅠㅠ

그래도 그 멤버로 하지 못했던 우승을 삼블을 꺾고 하는걸 보니 정말 기뻤는데, 이후에 귀신같이 팀 주력이 유출되고 암흑의 시대가.......
15/04/29 11:24
수정 아이콘
크트비요.......
더딘 하루
15/04/29 11:44
수정 아이콘
인섹이 국대 리신으로 활약하는 걸로 롤에 입문했고, 인섹이 탑 자크를 할때 kt의 팬이 되었죠.. 후 국제대회 나가기만하면 날라다녔는데 국내 타이틀이 없다는게 두고두고 아쉽네요 ㅠㅠ
15/04/29 11:44
수정 아이콘
티원이요 롤드컵 스킨 혼자 거지같음 ㅠㅠ
다리기
15/04/29 11:45
수정 아이콘
이건 압도적으로 KTB죠. 제목만 봐도 3경기에 제드벤 안한 KTB라는 답이 뻔하게 나옵니다. ㅠㅠ
The Seeker
15/04/29 11:54
수정 아이콘
첫 댓글에 보스가 나와서 할 말이 없습니다
15/04/29 12:20
수정 아이콘
1 KTB
2 앰비션
3 CJB
15/04/29 17:09
수정 아이콘
옛 블빠로서 블레이즈요.. 첫번째 무적포스때 형제팀한테 꺾이고.. 선발전에서 소드한테 당하고 두번째 무적포스때 3연제드에 당하고..
VinnyDaddy
15/04/29 21:51
수정 아이콘
기생류 하생페...
무지방.우유
15/04/29 22:12
수정 아이콘
KTB 얘기는 워낙 많으니
저는 초창기 제닉스 스톰을 꼽겠습니다!!

수은장식띠여....
태양의맛
15/05/01 15:53
수정 아이콘
리빌딩 된 후 소드도 아쉬워요. 듀크 리 쿠로 오뀨 카인 이 라인도 꽤 괜찮아보였거든요. 근데 한시즌만에 1팀으로 바뀌면서 팀이 폭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751 [LOL] 가장 아쉬웠던, 비운의 팀은 어디일까요 [101] 다크템플러8964 15/04/28 8964 3
56747 [기타] 트리오브세이비어 2차CBT 후기 [10] 태랑ap6171 15/04/27 6171 1
56693 [LOL] 2012년 윈터, 만약 4강 대진이 달랐더라면? [45] 니나노나7682 15/04/17 7682 0
56273 [LOL] SKT vs GE 프리뷰 - SKT의 밴픽 중심으로 [97] becker11917 15/02/13 11917 16
56259 [기타] 한국어 TRPG 발매와 TRPG 게임들 [29] 카롱카롱13078 15/02/10 13078 3
56248 [LOL] [핵스압] 로코도코 이야기 2편 [45] Lustboy36626 15/02/09 36626 48
56082 [LOL] 롤드컵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 선발전에 관해 [21] 메리프5964 15/01/19 5964 2
56006 [기타] [WOW] 스토리의 아쉬움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42] 헥스밤9560 15/01/09 9560 3
56000 [기타] 2014년, 일본에서 소니 진영의 기종 별 판매 차트가 공개되었습니다. [20] Leeka9084 15/01/08 9084 0
55879 [LOL] 롤챔스, 롤드컵에서의 우승/준우승팀 자료들. [1] Leeka5086 14/12/18 5086 0
55663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블리자드의 준비물 배제 [143] SwordMan.KT_T13222 14/11/15 13222 1
55624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지금 복귀하세요. 복귀자를 위한 안내서. [38] 정용현9724 14/11/10 9724 2
55552 [LOL] 삼성 화이트의 시대가 끝났습니다. [21] Leeka10673 14/11/02 10673 0
55501 [LOL] 개편안을 보고 짜보는 각 팀 Roster 예상 [44] 최종병기캐리어8676 14/10/28 8676 0
55454 [LOL] 나진 e-mFire 팬사인회 + 팬미팅 후기 (사진) [11] Jude8582 14/10/20 8582 3
55423 [기타] [WOW] 경제가 망한 게임의 문제란... [231] 세이젤15934 14/10/18 15934 3
55413 [기타] [WOW] PGR21 여러분을 길드로 모셔보고자 합니다. [87] Secundo6823 14/10/17 6823 0
55411 [기타] [WOW] 소드군 기념 다시 들어보는 워크래프트 시리즈 OST [18] Hellscream13810 14/10/16 13810 1
55382 [LOL] 롤드컵 2회 결승의 대기록. 우지가 처음으로 세우다 - 4강 2일차 후기 [25] Leeka8521 14/10/12 8521 4
55381 [LOL] 1팀 체제에 찬성하는 이유. [239] 미하라14485 14/10/12 14485 15
55360 [LOL] 생각해본 풀리그 방식 [56] 파란무테7429 14/10/09 7429 3
55346 [LOL] 나진 실드와 OMG의 밴/픽으로 보는 이야기 [104] Leeka9685 14/10/07 9685 7
55325 [LOL]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시간 - 나진 코치진 [227] MoveCrowd12630 14/10/06 1263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