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5/01/15 11:21:10
Name 첸 스톰스타우트
Subject [기타] [스타1] 브루드워 양대리그 중간 감상(?)
- 스베누 리그

확실히 16강 들어서부터는 경기력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콩두리그의 꿀잼 해설에 빠져서 스베누 32강은 예선전의 개념이었다는것을 잠시 잊어버렸던 것 같네요. 그래도 해설 면에서는 콩두리그에 비해 확실히 듣는맛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이것은 개인 호불호의 문제인듯.


- 윤용태

과거 윤용태는 전투의 화신이라고 불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극초반 드라군만으로 테란을 끝장내는 마이크로 컨트롤, 중반 전투에서 적재적소에 떨어지는 사이오닉 스톰, 질럿-드라군-하이템플러 등 게이트웨이 유닛을 가지고 하는 전투에서 드라군 하이템플러의 화력과 질럿의 탱킹력을 적절히 활용한 진형잡기로 불리해 보이는 전황을 전투 자체로 뒤집어내는 인상적인 장면들을 많이 보여주었었죠. 하지만 특유의 새가슴 모드덕분에 개인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는데, 요즈음 양대리그에서 보여주는 활약을 보면 김택용을 제외하면 프로토스 플레이어 중 발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통 테란이 타이밍 진출을 포기하고 투아모리를 돌리면서 트리플 커맨드센터를 가져가면 프로토스의 선택은 두가지입니다. 무한 확장이후 아비터와 다수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자원전모드로 돌입하거나 혹은 확장이나 테크트리 둘중 하나를 포기하고 공격을 감행하여 트리플커맨드센터를 저지하거나. 첫번째 선택지를 통한 운영에 능했던 프로토스는 김택용, 도재욱 등이 있으며 두번째 선택지를 자주 선택하는 프로토스는 송병구, 허영무 등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스타리그에서 윤용태의 테란전을 보면 저 두가지의 선택지가 아닌, 세번째 선택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그것은 바로 '테란이 준비되기 직전 소모전 유도' 입니다.

제2 멀티기지를 성공적으로 가져간 테란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기 전까지 자리잡고 웅크린채 벌쳐견제나 소수 드랍쉽 견제만을 하게 됩니다. 프로토스 역시 도망자 프로토스를 시전할 수 있을만큼의 자원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슈팅스톰과 스테이시스 필드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웅크린채 자리잡고 있는 테란에게 들이받는 것은 쉬운 선택이 아니니, 결국 전황이 이렇게 흘러가면 테란과 프로토스 둘 다 서로 잽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수준의 정찰 겸 견제만을 하면서 덩치를 불리는데 집중하게 되죠. 하지만 윤용태는 이렇게 상호간 서로 암묵적으로 힘을 키우기로 약속되어있는 타이밍에 과감한 공격을 시도하여 탱크숫자를 줄이고 테란의 확장기지에서 소모전을 유도하며 결국 승리를 거두는 패턴을 자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단순히 그 장면만을 놓고 보자면, 드라군이 모두 소모되면 테란의 한번 진출에 게이트웨이라던가 자원력 등의 보험도 없이 그대로 밀려버리게 되는, 굉장히 위험천만해 보이는 판단입니다만 테란입장에서는 한번도 공격당해본 적이 없는 엇박자타이밍이기에 마인매설이나 업그레이드 등 제대로 준비가 안된 어떻게보면 매우 취약한 타이밍이죠. 업그레이드 등 준비가 완벽히 된 테란vs자원력과 게이트웨이 아비터 등이 제대로 갖춰진 프로토스의 구도로 흘러가는것보다 더욱 확실한 승리를 기대할수 있는 판단인 것입니다. 거기에 윤용태의 중대규모 전투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합쳐져서, 테란 입장에서는 제대로 된 진출 한번 못해보고 게임내내 수비만 하다가 게임이 끝나버리게 되는것이죠. 정리하면, 현재 윤용태는 중요한 판단을 내려야 할 순간에 머리가 굳는 용새모드를 지워내고 자신의 강점인 전투를 부각시킨 멋들어진 승리를 해내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는 공식리그로서 자리잡을지 어떨지 모르는 판떼기지만.


물론 일회성 추억팔이라도 이렇게 방송해주는 것만으로 감사하다고 생각하고는 있습니다만 앞으로도 계속 리그가 열리고 경기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욕심이 드는건 어쩔 수 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1/15 11:47
수정 아이콘
스베누쪽에서는 윤용태선수가 우승가능성이 있는게 저그가 2명밖에 안남았다는거죠!!
물론.. 아직 1승일 뿐이지만요
도뿔이
15/01/15 13:02
수정 아이콘
경기는 못봤지만 제 기억속의 윤용태 선수는
아미지와는 다르게 생산력이 정말 뛰어난
선수였습니다 정확히는 교전중 생산과 합류가
최고였던 선수였죠 다른 프로토스들이 교전중
컨에 집중하고 생산병력은 웨이 포인트에 쌓여있는
경우가 많은데(대표적으로 도재욱...) 윤용태는
생산병력이 바로 전장에 합류하는데 집중하는듯
하더군요 그래서 뇌룡이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컨트롤은 뭔가 느슨한데 물량으로 이겨버리는걸
만히 보여줬었던 기억이 납니다
첸 스톰스타우트
15/01/15 13:04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기본기 하나는 탄탄한 선수였죠. 다만 전황을 가르는 중요한 상황에서 안좋은 판단력을 보여준다던가 집중력을 잃는다던가 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서..
무더니
15/01/15 14:19
수정 아이콘
한빛선수들은 대체로 기본기하나는 확실했던거 같네요.
PoeticWolf
15/01/15 15:42
수정 아이콘
윤용태... 강민 선수 은퇴 이후 제일 좋아하던 선수입니다.
중소규모 전투의 유닛 움직임은 정말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볼 수 있어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어요 ㅜㅜ
우승갑시다 윤용태 선수!
개념은?
15/01/15 16:01
수정 아이콘
확실한건 아니긴한대, 사실 윤용태선수 그렇게 기대하던 실력은 아니었던걸로 알거든요? 그런데 확실히 오프라인과 온라인은 다른가 봅니다.
경기력이 너무 좋아서 깜짝 놀랐어요
저 신경쓰여요
15/01/15 16:15
수정 아이콘
글이 재밌어서 뭔가 더 이어질 줄 알고 스크롤을 내렸는데 갑자기 끝나서 조금 당황했습니다 크크
노랑오리부채
15/01/15 18:11
수정 아이콘
저도요 크크 뭔가 중간저장글 같아 보이네요
첸 스톰스타우트
15/01/15 18:51
수정 아이콘
정말 오랜만에 쓰는 브루드워 리그 감상평이라 길게 쓰고 싶었는데 현재까지는 딱히 쓸 내용이 없네요 ㅠㅠ

다음에는 좀 길게 쓰도록 하겠습니다.
저 신경쓰여요
15/01/15 20:04
수정 아이콘
아 아뇨 흐흐 단순히 무조건 길다고만 좋은 것도 아니니 마음 가는 대로 부탁드립니다 흐흐
Tyler Durden
15/01/15 16:41
수정 아이콘
윤용태 선수하면 정명훈 선수와 경기에서 벌쳐2기에 프로브 다 털리고, 드랍쉽 벌쳐에 또 털린 그경기가 너무 뇌리에 박혀있긴한데
요번에 우승한번하면서 새로운 전성기가 왔음 좋겠네요
인물도 나름 괜찮게 생기셨으니 크크
첸 스톰스타우트
15/01/15 18:54
수정 아이콘
전성기가 와도..다음리그가 과연 열릴까요 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155 [기타] [스타1] 現存 각 종족별 탑 플레이어 순위 및 우승자 예측 [9] 호가든9589 15/01/28 9589 2
56154 [기타] [스타1] 스타크래프트 개발에 얽힌 비화 [22] 랜덤여신22220 15/01/28 22220 11
56150 [기타] [스타1] 추억의 명경기 리뷰 - Daum 스타리그 2007 결승전, 김준영 vs 변형태, 제 5경기 @ Python [17] 이치죠 호타루13571 15/01/28 13571 11
56139 [기타] [스타1] 온게임넷의 저력과 스베누의 배려(+해설진 이야기) [29] 호가든10693 15/01/26 10693 11
56138 [기타] [스타1] 스베누 + 헝그리앱 리그 합계 Ranking(1/26 현재) [12] 은별17883 15/01/26 17883 12
56134 [기타] [스타1] 뇌제 돌아오다. [32] 영웅과몽상가8062 15/01/25 8062 7
56125 [기타]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16강 6회차 Preview [7] JaeS5724 15/01/24 5724 4
56119 [스타1] 노처녀 둘이서 스타한 이야기. [16] 저글링앞다리8076 15/01/24 8076 23
56112 [기타] [스타1] 임홍규 선수에 대하여. [39] 내장미남10456 15/01/22 10456 5
56099 [기타]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16강 5일차 Preview [3] JaeS6629 15/01/21 6629 1
56097 [기타] [스타1] 스타리그 소재의 만화 컨텐츠는 성공불가능한가? [75] 스타리그로열로더9268 15/01/21 9268 2
56076 [기타] [스타1] 기동전과 각 종족의 특성 [29] 이치죠 호타루11341 15/01/18 11341 18
56072 [기타]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16강 4일차 Preview [6] JaeS5963 15/01/18 5963 1
56068 [기타] [스타1] 고의적 패배 [62] 영웅과몽상가9783 15/01/17 9783 1
56065 [기타] [스타1] 기억에 남는 자작맵들 [5] 케이틀린13246 15/01/17 13246 0
56063 [기타] [스타1] 콩두리그 16강 마지막 매치 간략 포인트 [6] 빵pro점쟁이5749 15/01/17 5749 0
56052 [기타] [스타1] 스타리그 리뷰(+ 문득 윤용태 VS 허영무 VS 김택용) [4] 호가든5645 15/01/16 5645 0
56051 [기타] [스타1] 본격_사무실서_일안하고_찍은_맵.jpg [13] Naked Star7704 15/01/16 7704 1
56045 [기타] [스타1] 브루드워 양대리그 중간 감상(?) [12] 첸 스톰스타우트7611 15/01/15 7611 2
56039 [기타] [스타1] 김구현선수 비슷한 사람을 봤네요 [12] 후라이드슈타인10920 15/01/14 10920 1
56027 [기타] [스타1] 스베누 스타리그 16강 3일차 Preview [5] JaeS6036 15/01/13 6036 4
56024 [기타] [스타1] 격동의 2007 시즌 : 드래프트 세대 라이즈 [54] 구밀복검17043 15/01/12 17043 19
56021 [기타] [스타1] 정말 오래간만의 브루드워 경기 감상+@ [28] 첸 스톰스타우트8016 15/01/12 801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