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11/02 01:21:27
Name Leeka
Subject [LOL] 삼성 화이트의 시대가 끝났습니다.
- 한국 롤판 사상 최초 5시즌 연속 3위 이상 달성.

- 단 2팀밖에 없는, 롤드컵 2시즌 연속 진출. (나진 소드, 삼성 화이트)

- 롤드컵 역대 최고 승률 우승

- 롤드컵 유일 2회 펜타킬, 롤드컵 최초 퍼펙트 게임 승리.

- 롤드컵 최다 연승 기록 타이.

- 전 선수 동 포지션 KDA 1위 달성.

- 롤드컵 17경기 평균 경기시간 28분 달성.



그리고 삼성 화이트를 1년 반동안 유일하게 막아낸 단 2팀.

13 섬머, 13~14 윈터에서 막아낸 SKT K
14 스프링, 14 섬머에서 막아낸 삼성 블루.


그 두팀에게 마지막 롤드컵 시즌.
롤드컵 선발전. VS SKT K -  페이커 4연 솔킬로 대표되는 압도적인 3:0 승리.
롤드컵 4강.  VS 삼성 블루 - 전세계가 벙찌게 만든.. 압도적인 3:0 퍼포먼스.


한국 롤판 1년 반동안. 전 시즌 3위 이내를 달성한 삼성 화이트를 막아낸 두 팀을 상대로 압도적인 퍼포먼스로 격파하면서
더이상 우리의 적은 없다.. 를 선언한 삼성 화이트의 시대가 끝났습니다.



루퍼 - 닉네임 변경
댄디 - 탈퇴 (타 팀 이적 예정)
폰 - 탈퇴 (중국 이적 예정)
임프 - 탈퇴 (일단 휴식, 향후 거처 미정)
마타 - 탈퇴 (일단 스트리밍, 향후 거처 미정)


10/19일,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올라선 그 팀이.  11/1일. 2주를 못채우고 끝났네요.


마지막은 삼성 화이트의 최전성기. 온게임넷의 삼성 화이트 공식 하이라이트로 마무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1/02 01:29
수정 아이콘
lol 역사에 끝판왕으로 남을꺼 같습니다.. 마지막을 저렇게 불태우고 최정상에 우뚝 솟은채로 이렇게 허무하게 사라졌으니...
마스터충달
14/11/02 01:32
수정 아이콘
이 선수들이 뿔뿔히 흩어져서 롤드컵에서 다시 만나도 재밌을 것 같아요.
마치 『쿠로코의 농구』에서 처럼... 그럼 쿠로코는... 다데?
돈보스꼬
14/11/02 15:30
수정 아이콘
마타가 아카시 세이주로인가요
하얀마녀
14/11/02 01:32
수정 아이콘
아래놓고 다음시즌에 삼성마크 달고 나오는 팀이 귀신같이 로열로더가 되면...
사티레브
14/11/02 01:33
수정 아이콘
전무후무한 최종보스로 훼손당할 여지도 없이 전설로 남았네요
헤나투
14/11/02 01:37
수정 아이콘
끝판왕 삼화라는 팀이 사라진건 아쉽지만 이적후의 모습도 기대가 되긴하네요. 이적후의 활약에 따라 삼화에서의 분량(?)도 가늠이 될거 같습니다.
DDong이다
14/11/02 02:01
수정 아이콘
서로간의 시너지가 엄청났었던 팀이었습니다. 다 흩어져서 이런 케미가 나올지는 의문이지만 그래도 평타이상은 쳐줄거라고 생각되네요. 화이팅입니다.
쇼쿠라
14/11/02 02:05
수정 아이콘
마타 루퍼 잡는 팀이 승리자가 아닐까 싶네요
물론 다른 팀원들도 다 대단하지만
이 둘의 삼화가 지금 압도적인 힘을 발휘하는데
가장 큰역활을 하는거 같아 보입니다
겜알못
14/11/02 02:14
수정 아이콘
참 이건 자체너프도 아니고... 최정상에 올랐다가 한순간에 사라진 전설 속의 팀으로 남겠네요. 이런 팀이 또 나올 수가 있을지 궁금하긴 합니다.
에바 그린
14/11/02 02:30
수정 아이콘
팀의 캐리를 담당하던 더블캐리, 다데와 데프트가 나간게 확실한 블루도 사실상 해체라고 생각되어서....이번 시즌의 세체원과 세체미라고 불린 두 선수가 나간이상 다른 선수들이 남는다 해도 기존 팀과의 엄청난 색깔 차이가 보일게 확실한 상황이라..

그 전에도 재밌게 보고 있었지만, 작년 마타+다데가 들어온 오존때부터 응원팀이 생기고 더 재밌게 즐겼는데... 뿅 사라지니 참 묘하네요. 롯데는 아무리 싫어도 남아있으니 그래도 혹시 하는 마음이라도 드는데..
콩쥐팥쥐
14/11/02 02:47
수정 아이콘
결국 저 멤버로 롤챔스 우승은 못 해봤네요. 롤드컵 2시즌 연속진출 이야기는 한국 한정이겠죠? 북미와 유럽에도 2팀씩 있었으니
마이스타일
14/11/02 03:27
수정 아이콘
진짜 이 멤버로 롤챔스 우승을 한 번도 못해봤다는게 신기할 정도네요

13~14 윈터시즌의 SKK 는 애초에 논외였으니 그렇다 치고
14시즌의 스프링과 섬머때 만큼은 정말 이번이야말로 우승할 것 같다 라는 느낌을 갖게 해줬는데 말이죠
14/11/02 07:21
수정 아이콘
이제 이후 어떠한 강팀이 다시 나오게 되면 vs 삼성화이트 놀이가 나오지 않을 수 없겠네요. 화이트의 완벽한 플래이와 그것을 파해하는 또 다른 플래이(메타)를 보고 싶었는데 좀아쉽네요.
낭만토스
14/11/02 08:44
수정 아이콘
11-12의 CJF CJB
13의 SKK
14의 SSW
는 전설로 남겠죠
15는 어찌될지 흥미진진합니다
초보저그
14/11/02 09:49
수정 아이콘
어떤 의미에서는 롤판의 전설로 남게 되겠군요. 앞으로 어떤 강팀이 나와도 2014년 삼성 화이트와 붙었으면 어땠을까 떡밥이 나오겠네요.
연의하늘
14/11/02 09:56
수정 아이콘
스프링 섬머 8강에서도 skk상대로 3:1로 승리

삼화의 전설은 이제 시간의 흐름이 지켜주겠네요
forangel
14/11/02 09:58
수정 아이콘
롤에 대해 아는것도 없고 해본적도 없고 해볼 생각도 없는데..
심심해서 본 삼성 팀의 게임이 너무 재미있어서 꼭 찾아보고 생중계 봐왔는데
참 아쉽네요.
아무것도 모르지만 상대를 숨도 못쉬게끔, 혹은 뭔가 요상하게 이기는 양팀의
게임이 웬만한 영화보다 재미있었는데 말이죠.
14/11/02 11:26
수정 아이콘
정말 이 팀의 가장큰 오점은 롤챔스 우승전적이 없다는거 크크크
참 신기하면서도 오묘하네요
피들스틱
14/11/02 12:27
수정 아이콘
전신인 오존이 우승했죠
원딜절대자
14/11/02 17:31
수정 아이콘
이 영상 BGM 제목 좀 알 수 있을까요?
Monstercat
14/11/02 21:20
수정 아이콘
마데온(Madeon)의 Imperium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751 [LOL] 가장 아쉬웠던, 비운의 팀은 어디일까요 [101] 다크템플러8963 15/04/28 8963 3
56747 [기타] 트리오브세이비어 2차CBT 후기 [10] 태랑ap6171 15/04/27 6171 1
56693 [LOL] 2012년 윈터, 만약 4강 대진이 달랐더라면? [45] 니나노나7682 15/04/17 7682 0
56273 [LOL] SKT vs GE 프리뷰 - SKT의 밴픽 중심으로 [97] becker11917 15/02/13 11917 16
56259 [기타] 한국어 TRPG 발매와 TRPG 게임들 [29] 카롱카롱13078 15/02/10 13078 3
56248 [LOL] [핵스압] 로코도코 이야기 2편 [45] Lustboy36626 15/02/09 36626 48
56082 [LOL] 롤드컵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 선발전에 관해 [21] 메리프5964 15/01/19 5964 2
56006 [기타] [WOW] 스토리의 아쉬움 :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42] 헥스밤9560 15/01/09 9560 3
56000 [기타] 2014년, 일본에서 소니 진영의 기종 별 판매 차트가 공개되었습니다. [20] Leeka9084 15/01/08 9084 0
55879 [LOL] 롤챔스, 롤드컵에서의 우승/준우승팀 자료들. [1] Leeka5086 14/12/18 5086 0
55663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블리자드의 준비물 배제 [143] SwordMan.KT_T13222 14/11/15 13222 1
55624 [기타] [WOW]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지금 복귀하세요. 복귀자를 위한 안내서. [38] 정용현9724 14/11/10 9724 2
55552 [LOL] 삼성 화이트의 시대가 끝났습니다. [21] Leeka10673 14/11/02 10673 0
55501 [LOL] 개편안을 보고 짜보는 각 팀 Roster 예상 [44] 최종병기캐리어8675 14/10/28 8675 0
55454 [LOL] 나진 e-mFire 팬사인회 + 팬미팅 후기 (사진) [11] Jude8582 14/10/20 8582 3
55423 [기타] [WOW] 경제가 망한 게임의 문제란... [231] 세이젤15934 14/10/18 15934 3
55413 [기타] [WOW] PGR21 여러분을 길드로 모셔보고자 합니다. [87] Secundo6823 14/10/17 6823 0
55411 [기타] [WOW] 소드군 기념 다시 들어보는 워크래프트 시리즈 OST [18] Hellscream13810 14/10/16 13810 1
55382 [LOL] 롤드컵 2회 결승의 대기록. 우지가 처음으로 세우다 - 4강 2일차 후기 [25] Leeka8521 14/10/12 8521 4
55381 [LOL] 1팀 체제에 찬성하는 이유. [239] 미하라14485 14/10/12 14485 15
55360 [LOL] 생각해본 풀리그 방식 [56] 파란무테7429 14/10/09 7429 3
55346 [LOL] 나진 실드와 OMG의 밴/픽으로 보는 이야기 [104] Leeka9685 14/10/07 9685 7
55325 [LOL]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시간 - 나진 코치진 [227] MoveCrowd12630 14/10/06 1263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