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4/08/06 22:00:21
Name Leeka
Subject [LOL] 삼성을 이길팀은 삼성밖에 없다. 3,4위전 후기
1. 스프링~섬머를 합쳐서 가장 압도적인 롤챔스 다전제 경기

스프링~섬머를 합쳐서, 롤챔스 다전제에서 3:0 경기는 딱 2번 나왔습니다.

한번은 스텔스 VS 블루

그리고 또 다른 한번이 오늘인데..

스텔스 VS 블루는 3:0이라는 스코어와는 별개로. 스텔스가 격렬하게 블루를 위협했다면

오늘 경기는 스프링~섬머를 합쳐서 가장 일방적인 다전제였다. 라고 표현할수 있을거 같네요.



2. 삼성을 이길팀은 삼성밖에 없다.

삼블에게 3:1로 무너진 화이트가.

반대쪽에서 KT A와 블라인드픽까지 가는 혈투를 버린 SKT S를

정말 어린애 손목을 비틀듯. 너무 원사이드하게
1~3경기 내내 불리했던 순간을 찾아보기가 힘들정도로...... 손쉽게 제압했습니다.




3. 계속해서 새로운 챔프를 선보이는 삼성

스텔스 상대로 나온 미드 아리
삼성 내전에서 정점을 찍은 제드.
그리고 오늘 나온 폰의 제이스..

그러면서도 야스오?, 직스. 이런거는 기본 소양으로 쓰고 있으면서도

정글은 최상의 렝가를 바탕으로 리신/카직스/엘리스/이블린등을 다 보여주고 있고..
탑은 토탈 패키지 수준으로 선도하고 있으며

원딜+서포터의 바텀 라인은 그냥 독보적인 수준인데..


상대적으로 도전자인 다른팀들보다도, 왕좌에 올라선 삼성이 계속 챔프를 먼저 선보인다는게 참 대단한것 같네요.


4. 삼성 화이트. 5시즌 연속 3위 이상. 대기록 달성

우승 - 3위 - 준우승 - 3위 - 3위.
삼성 화이트가 롤챔스 사상 최초로 5시즌 연속 3위 이상을 찍는. 대기록을 달성했습니다.

No.1의 자리는 13 스프링에서만 차지했지만. 정말 꾸준히 최고의 팀 자리를 유지하고 있네요.


5. 롤드컵 직행에 한발 더

남은 경우의 수

: SKT K NLB 우승시 -  삼성 화이트 VS SKT K 롤드컵 직행 결정전(이긴팀 직행, 진팀 선발전 결승 진출)
: 나진 소드 NLB 우승시 - 삼성 화이트 롤드컵 직행 / SKT K 롤드컵 선발전 결승 진출

* 모든 팀의 실력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삼성 화이트의 롤드컵 진출 확률은 87.5% 입니다.
(여기에 실력 가중치를 더하면?)


6. 삼성 화이트의 독보적인 운영

롤에서 중요 포인트는, 단순하게 3가지로 평가하면
- 라인전
- 한타
- 운영
인데....

역대 롤챔을 보면 삼성 화이트를 이긴 방법이
SKT K - 걍 라인전부터 터트린다. (13 섬머~13 윈터)
삼성 블루 - 말도 안되는 한타로 박살낸다.. (14 스프링~14 섬머)
또 다른 방법인 '삼화보다 운영을 더 잘해서 이긴다'.  로 상대해낸 팀이 5시즌 내내 없다는것도 재밌다면 재밌네요.

삼성 화이트의 운영은.. 정말 긴시간동안 독보적인 경지에 도달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스테트
14/08/06 22:05
수정 아이콘
경기는 화이트가 치뤘는데
이 화이트를 이긴 블루가 더 대단해보이는....
서지훈'카리스
14/08/06 22:11
수정 아이콘
화이트는 꽉 조여서 죽이는데,
블루는 좀 조여져도 뭔가 불가사의한 전투로 그 중심엔 다데가 있고요
마이스타일
14/08/06 22:11
수정 아이콘
뭐 호로 선수가 가장 타겟이 되어서 욕을 먹긴 하는데 이렇게 오랜만에 상위라운드에 진출한 만큼
본인은 오죽 노력했을까 하는 생각을 하니 많이 안타깝기는 하네요
타 선수들과 비교해서 노력해도 안되는 격차를 느꼈을 때가 가장 힘든 법인데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궁금합니다.

별개로 이렇게 폼이 떨어진 호로를 데리고 정글과 미드의 호흡이 가장 중요한 롤 게임에서
SKS를 4강까지 끌고와서 결승까지 끌고갈 뻔 했던 이지훈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마스터충달
14/08/06 22:14
수정 아이콘
화이트랑 s랑 상성이 안좋기도 한것 같아요.
말려죽이는 스타일이란건 그만큼 실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플레이 한다는 말도 되는데 s의 강자멸시 발동을 억제하기 제일 좋죠.
그리고 이번 3 4위전 보면 화이트가 유난히 더 사리는 모습이 보인것 같습니다 임프 빼고...
뭘해야지
14/08/06 22:14
수정 아이콘
8강 a,b조가 얼마나 꿀조였는지를 알게해준 경기..

하지만 결승에서 카카오가 뭔가 해냈으면 좋겠네요
강동원
14/08/06 22:19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도 나온 말이지만 화이트는 약자멸시의 극인 것 같습니다.
댄디+마타로 시작되는 시야 장악과 소수교전 끊어먹기로 차이를 좍좍 벌리니 상대가 1킬 따내기도 버거워요;;;
블루는 뭔가 스타일이 한타에서 1~2킬 내주면서 4~5킬 따내면서 차이를 내는 팀이라
그 한타를 조금만 더 잘하면 될 듯 말 듯한 느낌이 있는데 (물론 그렇게 된 적은 없다는게 함정;;)
화이트는 진짜 일말의 여지도 주지 않으니 정말 무섭습니다.
14/08/06 22:21
수정 아이콘
오늘 화이트는 그간 스크스 봇듀오에게 당한 게 있어서 그런지 미드를 풀고 원딜밴을 잔뜩 하더군요. 그 밴부터가 탈수기의 시작이었지 않나 싶습니다.
다다다닥
14/08/06 22:44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스크스 봇의 의외성만 차단하면 질래야 질수가 없다. 이런 마인드였던 것 같았고, 그대로 들어맞았죠.
14/08/06 22:28
수정 아이콘
화이트도 참... 살짝 KTB라인을 타는 게 아닌지... 몇 시즌 째 극강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한 끝 위인 팀이 하나씩 있네요
그래도 롤드컵에서 좋은 성적을 낸다면 억울하지는 않을 것 같은데...
14/08/06 22:35
수정 아이콘
KT B 라인이라기엔..
롤챔스 우승을 했고. 롤드컵에도 나갔고. 이번 롤드컵도 나갈 확률이 매우 높죠...
(덤으로 롤 마스터즈 우승도)

KT B는 셋다 못했으니..
비익조
14/08/06 22:32
수정 아이콘
S가 화이트 상대로 꽤 괜찮은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에 재밌는 경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현실은...
쎌라비
14/08/06 22:33
수정 아이콘
강자멸시대 약자멸시는 약자멸시의 승이 됐네요.
blissfulJD
14/08/06 22:36
수정 아이콘
화이트 선수들 지난 내전으로 인한 심리적 타격이 심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는데 잘 이겨내고 멋진 경기 보여줬네요.
화이트가 정말 무서운 강팀이긴 한데 어떨 때는 무리를 하다가 속수무책으로 무너지는 경우가 있어서 한편으로 걱정도 되긴 했는데 압도적으로 이기는 걸 보니 팬으로써 무지 기쁩니다.
모든 선수들이 다 잘해줬지만 특히 댄디의 렝가는 감동입니다~!
벨로티
14/08/06 22:45
수정 아이콘
그런 화이트를 운영으로 이길뻔 한 유일한 팀은 클템 시절의 CJ프로스트죠.
갱맘이 벽만 넘었더라면...흐흐 아쉽네요.

별개로 정말 삼성 화이트는 정말 대단한거 같아요. 어찌저리 오랜 기간 폼을 유지하는지 경이로운 수준입니다.
청보랏빛 영혼 s
14/08/06 22:54
수정 아이콘
T1 S팀 밀당밀당 하다 오늘은 안 당겨주네요
너무 기죽지말고 힘내고 롤챔스 4위도 좋을 성적이라고 위로해주고 싶네요
Legend0fProToss
14/08/06 23:18
수정 아이콘
화이트가 다른팀들이랑하는거 보면
세계최강 누가이겨 이런느낌인데
블루는 얼마나쎈건지...
14/08/06 23:45
수정 아이콘
마지막줄에 동감합니다
정말 예술의경지라고 표현할 방법밖에...
14/08/06 23:48
수정 아이콘
물론 s의 컨디션이 별로같아 보였지만

8강 a b조는 하늘이 내렸다고 생각하게 해준경기 였던것 같습니다
자제좀
14/08/06 23:55
수정 아이콘
꿀대진을 줘도 못먹는 팀이 많아서 크크
요새는 삼성 안만나는게 꿀대진이구요.
도로로
14/08/06 23:57
수정 아이콘
강자멸시고 뭐고 삼화와 그 밑의 팀간의 격차를 확인시켜준 경기였습니다. 블루는 도대체 어떤 팀인지 담주에 kt a가 확인시켜 주지 않을까 싶네요. 호로는 안타깝지만 그동안 기회도 많이 받았고...뭐 본인이 가장 힘들지 싶네요.
14/08/07 00:01
수정 아이콘
13윈터의 K라면 아마 운영 단계에서도 압살했을 것 같아요. 말씀하신대로 그 전에 게임이 터져나갔으니 못 보여줬을 뿐
새벽하늘
14/08/07 00:08
수정 아이콘
롤챔스를 우승하려면 삼성화이트를 넘는건 필수 코스가 된거 같아요. 실제로 삼성화이트를 이긴팀은 모두 우승했구요.
6duck6duck
14/08/07 10:35
수정 아이콘
.
새벽하늘
14/08/07 11:04
수정 아이콘
삼화가 우승을 안했으면 ktb징크스를 뛰어넘는 징크스가 될 수 있었죠. 크크
14/08/07 00:28
수정 아이콘
그리고 KT A가 귀신같이 우승을.....은 꿈일것인가?
접니다
14/08/07 12:37
수정 아이콘
제발 그랬으면....
저지방.우유
14/08/07 00:41
수정 아이콘
형제팀이 동반해서 잘했던 구단은 아주부-CJ 프로스트-블레이즈였는데
사실 이 때 블레이즈가 좀 단단한 느낌이었다면
프로스트는 어떤 팀이라도 이길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아스트랄한 팀이었죠

반면 삼성 두 팀은 진정 괴물입니다

미드 픽에 대해서 잠깐 얘기하자면 팀 실력차이가 드러난 구석이 아닌가 싶습니다
챔프폭이 한없이 넓어 보이던 폰도
삼성블루 앞에선 한 두개로 강제되는 느낌이 강했죠
역시 롤은 상대적인듯 싶습니다
스타트
14/08/07 05:10
수정 아이콘
오늘은 한차원 위에 있는 팀이다라는걸 보여줬네요. 그리고 호로는 이정도면 기회를 충분히 읻었다고 보고 새로운 정글을 찾아야겠네요.
HOOK간다
14/08/07 09:42
수정 아이콘
1경기에서 전 이지훈선수가 카사딘을 픽한 것부터가 에러였다고 봅니다.

카사딘은 리스크가 큽니다. 카사딘 트페같은 챔프들은 정글러가 받쳐줘야한다고 봐요. 정글러가 호로인게 에러였습니다.

그리고 탑 봇라인이 상대방과 비등해야 했고요. 근데 정글러가 터져버렸으니 카사딘을 픽했던게 악재로 다가온겁니다.

직스였다면 좀 더 버틸수는 있겠다 싶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318 [LOL] 한중의 본격적인 대결 시작!, OMG가 멤버를 교체하다 - 롤드컵 8강 4일차 프리뷰 [57] Leeka8430 14/10/06 8430 0
55262 [LOL] 역대 최고의 롤드컵 조별리그가 된 이유.. [17] Leeka7206 14/09/29 7206 2
55242 [LOL] 프로는 같은 패턴에 두번 당하지 않는다. - 롤드컵 7일차 후기 [51] Leeka7918 14/09/27 7918 2
55236 [LOL] 시즌4 롤드컵. 한국을 이겨라. [37] Leeka8347 14/09/27 8347 2
55171 [LOL] 3회 연속 롤드컵 진출한 와치와 나진 실드 이야기 [12] 화잇밀크러버10514 14/09/20 10514 11
55083 [LOL] 롤챔스 3위안에 들어본 적이 있는 10개팀 이야기. [10] Leeka5670 14/09/09 5670 2
55069 [LOL] 롤드컵에 참가하는 16팀이 모두 확정되었습니다. [32] Leeka6770 14/09/07 6770 0
55040 [LOL] 중국을 제외한. 모든 대륙의 롤드컵 참가팀 확정! [28] Leeka7238 14/09/02 7238 0
55027 [LOL] 롤드컵 13팀 진출 확정. 꿈을 이룬 로코&러보 [15] Leeka6999 14/08/31 6999 2
55025 [LOL] 조금은 이른, 롤드컵에 진출한 국대 팀들에 대한 기대 [72] Lunpis9328 14/08/31 9328 2
55017 [LOL] 나진 실드, 기적의 궤적 [23] emonade7883 14/08/31 7883 3
55012 [LOL] SKT K VS 나진 쉴드. 최후의 대결. [97] Leeka10375 14/08/30 10375 0
55009 [LOL] 나진실드, KTA, 몇가지 잡생각들 [13] emonade5514 14/08/30 5514 1
55004 [LOL] 나진과 KT. 마지막 한장을 놓고 펼치는 1차 혈투 [58] Leeka6776 14/08/29 6776 0
54959 [LOL] 롤챔스 관련된 잡다한 기록들 #2 [11] Leeka5680 14/08/21 5680 0
54952 [LOL] 마타, 페이커, 카카오. 누군가는 롤드컵에 갈 수 없다. [58] Leeka15409 14/08/19 15409 0
54939 [LOL] [충달평점결과] HOT6ix LOL Champions Summer 2014 총정리 [12] 마스터충달9907 14/08/18 9907 8
54936 [LOL] 시즌3 -> 시즌4 써킷포인트 변경. 그 나비효과는? [10] Leeka10689 14/08/18 10689 0
54865 [LOL] '13 SKK의 재림! ITENJOY NLB Summer 2014 Final 후기 [47] Forwardstars9339 14/08/09 9339 3
54855 [LOL] 롤챔스 개근상. 류와 마파를 추억하면서 [38] Leeka9785 14/08/08 9785 1
54845 [LOL] 현재 각 팀별 롤드컵 진출 확률과 경우의 수 [15] Leeka5554 14/08/06 5554 0
54844 [LOL] 삼성을 이길팀은 삼성밖에 없다. 3,4위전 후기 [29] Leeka7210 14/08/06 7210 0
54831 [LOL] 롤챔스에 남아있거나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기록들. [7] Leeka5861 14/08/05 586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