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9/18 23:17:21
Name 그시기
Subject [LOL] 북미 게임계에 입지전적인 인물 Reginald

1흑지.png
이름 : 앤디 딘(92년생)
국적 : 미국
lol id : reginald
소속 : TSM


초창기 베타시절 lol의 Messiahwin이라는 irc채널 스트리밍팀 멤버.


이 클랜(?)은 현재 솔로미드넷 웹사이트의 매니저인 Messiah가 주도해서 만들어졌고 hotshotgg, Feedfest, Messiah(TSM 현 매니저), TakashiiX, 레지날드, 댄딘 (레지날드의 형), 트리에스키모 등등 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떄 hotshotgg가 레지날드와의 싸움으로 Messiahwin을 나오며 clg를 만들고

레지날드도 Messiahwin 을 나와 AoN (All of Nothing) 을 만들게 되 나중에 tsm까지 만들게 됩니다.


태생부터 드라마틱하게 싸울 수 뿐이 없던 clg와 tsm 입니다 -_-;;


clg와 앙숙 관계를 이루면서 모든 북미대회에서 입상하고 세게대회에서도 여러차례 입상


개인 스트리밍으로 돈을 벌어 뉴욕주에 게이밍 하우스를 만들고 북미에서 손가락안에 드는 solomid.net 커뮤니티 사이트 운영중


CLG의 챠우스터가 AMA에서 말한 것중 하나는 2012년경에 solomid.net및 TSM팀에 대한 권리를 200만불에 사겠다는 제안을 받았지만 거절했다고 합니다.


현재도 이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도 북미씬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으며 롤드컵 진출할 실력이 잇고, solomid.net은 여전히 잘나가는 커뮤니티 입니다.


무일푼으로 시작해서 개인스트리밍으로 돈을 벌어 여러 대회에서 입상하며 성공하고

tsm팀과 solomid.net의 오너이며 게이머로서도 현재 북미에서 롤드컵에 진출할 수 있는 팀을 만들고 팀의 미드로 활약중.


여러분은 무일푼으로 시작해서 레지날드 처럼 할 수 있을까요??


레지날드는 아마 자신이 이룩한것에 대해 프라이드가 대단할 겁니다. 저런 발언도 아마 거기서 비롯된 것일 겁니다.


게이머 역사상 저렇게 성공한 인물은 레지날드 혼자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임요환도 스2에서 하려던게 레지날드처럼 하는거였죠. 하지만 실패했습니다.


한국에서 개그코드로만 사용되는걸 보면서 되게 묘하더군요.

저한테 누가 레지날드에 대해 물어본다면 전 '부럽다.' 이말이 가장 먼저 나올거 같습니다.


레지날드는 게이머로서 할 수 있는 모든걸 이룩했으니깐요.

* kimbilly님에 의해서 유머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3-09-19 08:33)
* 관리사유 : 게임 게시판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동 조치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09/18 23:26
수정 아이콘
요런논리면 누구도 못까겟네용
레지날드의 이력에대해서는잘봣습니다

그리고 레지날드가 게이머로서 게임을활용해 성공을 거둔건알겟는데
게이머로써 모든걸이룩햇다할만큼은아닌거같네요
그시기
13/09/18 23:29
수정 아이콘
사티레브 // 레지날드에 대해서 너무 개그코드로만 이용되는게 아쉬어서 글을 적었습니다.
게임 게시판에 쓸려다가 왠지 유머게시판이 쓰는게 더 역설적이게 될거 같아 여기 유머 게시판을 이용했구요.
레지날드의 입상내역을 자세히 적지 않았지만 아직까지는 레지날드를빼고 북미 lol을 말할 수가 없을 정도 입니다.
네오크로우
13/09/18 23:30
수정 아이콘
게이머로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룩했다한들 남 비하하는 언사 쉽게, 자주 하면 역시 자기한테 돌아오게 되는 거죠.
입터는 만큼 현재로는 어마어마한 팀에 어마어마한 플레이어도 아니고요.
개그코드로 쓰일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뭐 이후 경기에 우리나라 선수들을 압도한다면 또 달라지기는 하겠죠.
13/09/18 23:31
수정 아이콘
92년생이었다니.. 나보다 동생이었어 이눔 ㅠㅠ
마음만은풀업
13/09/18 23:31
수정 아이콘
저도 92년생이라는거에 충격을;;
하쿠나마타타
13/09/19 05:41
수정 아이콘
저도요... 군대가있는 제동생과 동갑이라니... 멍하네요.
마음만은풀업
13/09/18 23:32
수정 아이콘
겜게가 더 어울려보이는 고퀄의 글이네요~
다레니안
13/09/18 23:34
수정 아이콘
프로를 평가하는 제 1지표가 돈(수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면에서 레지날드는 성공한 게이머죠. 앞으로도 탄탄대로구요.
잭스 온 더 비치
13/09/18 23:35
수정 아이콘
92년생이라느이이이이
있어요399원
13/09/18 23:35
수정 아이콘
트래쉬토크를 할 권리가 있다면 그에 걸맞지 않는 결과에 의해 따르는 조롱도 감수할 필요가 있겠죠.
그의 능력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입니다.
커피소년
13/09/18 23:35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 뭔가 드립을 예상했는데...
아쉽군요
13/09/19 00:20
수정 아이콘
저도 뭔가 드립이 나올줄... 그냥 뻘글이었네요
다반사
13/09/18 23:36
수정 아이콘
웃지말라고 유머게시판에 글 올리시다니
13/09/18 23:36
수정 아이콘
임요환이 스2에서 하려던게 저런거였는진 잘 모르겠네요
그시기
13/09/18 23:40
수정 아이콘
해명// 임요환이 스2에서 게이머로서 플레이도 하고 자기의 게임단을 운영하고 싶었다면 현재 레지날드가 하고 있는겁니다.
13/09/18 23:41
수정 아이콘
게임 게시판이 어울릴 듯합니다.
13/09/18 23:43
수정 아이콘
유게에 올라온 걸 보고 '뭐지? 비꼬는 조롱글인가?' 했네요.
내용 좀 더 보충한 후 겜게에 올리시는 게 어떨까요.
TheWeaVer
13/09/18 23:46
수정 아이콘
음... 게이머로서 까이는거지 ceo로서 까이는건 아니니까요. 저도 레지날드까기에 동참한 적은 없지만, 그렇게 잘한다고 생각이 한 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어린나이에 저런 능력을 가지고 운영해왔다는건 대단해 보이더라구요. 음.... 와이고수.. 같은 사이트의 최종형태?? 같은 느낌이에요. 레지날드가 대단하다고 생각되기도 하고, 저런 시장을 갖고 있는 북미가 부럽기도 하고..... 댓글 참 중구난방하게 썼네요 크크크크크크
我無嶋
13/09/19 00:02
수정 아이콘
CEO로써는 대단하죠. 아무도 못한걸 하고있으니까.
덕분에 선수들이 게임 안에서도 살신성인해서 사장님 지키고 말이죠.
13/09/19 00:05
수정 아이콘
유머게시판이라 뭔가 뒤에 반전이 있거나 내가 모르는 유머포인트가 있나 했네요 -_-;
겜게가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13/09/19 00:19
수정 아이콘
일단 유머도 아니고, 논리도 맞지 않네요. 상업적으로 성공한 사람은 안까여야 한다는 논리라면

일국의 대통령, 정치인들, 성공한 기업가들 역시 까일이유가 없겠죠.

이런 글은 자유게시판이나 본인의 페이스북에 올리세요.
데미캣
13/09/19 00:32
수정 아이콘
한국 게임계에서 입지전적인 임요환도 그분이니, [임]이니, 임대갈이니, 대가르시아니, 그분의 물량이니, 감동의 골마니, 하며 가벼이 조롱당하고 있죠.
실제로 국내 이스포츠에 가장 기여한 바가 큰 분이니 레지날드와 비교해도 훨씬 업적이 크다 해도 과언이 아닌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업적의 대소에 따라 한 개인을 성역으로 만들어야 하는가도 조금 이해가 안 가는 부분입니다만, 글쓴이분의 논리라면 임요환은 아예 예수님의 존재가 되야 합니다 -_-;

레지날드가 뛰어난 사업가인것과, 트래쉬토크와 어설픈 실력 탓에 조롱 당하는건 별개로 봐야 하는 일입니다. 이런식으로 굳이 레지날드를 띄우셔봐야, '그래서 뭐?'라는 생각 외에는 드는게 없네요.
13/09/19 00:35
수정 아이콘
대단하긴 하네요...
하지만 이 글은 유머게시판에 있습니다(?) 여러분 여긴 유게에요!
데미캣
13/09/19 00:38
수정 아이콘
그러고 보니.. 크크 옛날 스갤식 논리라면 이 글은 '저도의 레지까'성 글이긴 하군요.
13/09/19 00:42
수정 아이콘
위에서 많이 이야기 하셨지만 업적이 많다고 까면 안된다는 논리는 말이 안되죠.
그리고 처음부터 개그소재로만 쓰였던 선수도 아닌 것이 시즌2 중반까지만 해도 레지날드는 북미를 대표하는 세계 최정상급 미드라이너였고
한국에서도 그렇게 받아들이면서 꺾어야 할 강팀으로 TSM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블레이즈에게 mlg에서 완패하고 인정하지 않는 듯한 발언들+한국팀에 대한 도발을 넘어선 조롱 등으로
한국에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되었고 최근들어 개그소재로 쓰일 뿐이죠.
이전 대통령들도 공중파에서 개그 소재로 쓰이는데 고작 레지날드가 개그 소재로 쓰인다고
이렇게 각잡고 유게에다가 글써야되는지는 의문이네요.
와우로 치면 레지날드보다 더한 업적을 남긴 쿤겐도 과한 자아도취에 빠져있을 때 극딜당했는데 레지날드는 오죽할까요.
골든리트리버
13/09/19 00:51
수정 아이콘
뭐 글쓴이 분도 '성공한사람이니 절대 까지말자!'란 논리는 아니시겠죠. 대충, 사실은 생각보다 대단한 사람이다! 정도를 소개해주고 싶으셨던것 같은데, 논지를 더욱 명확히해서 게임게시판에 올리셨으면 더 좋은 호응이 있었을텐데 아쉽네요.
Liberalist
13/09/19 01:04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겜게에 가야할 글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 정도네요.

CEO로서의 레지날드는 확실히 대단하네요. 물론 트래쉬토크를 한 댓가로서 받는 조롱과는 별개로 봐야 하는 부분이지만요.
이퀄라이져
13/09/19 01:36
수정 아이콘
오랫만에 TakashiiX 이즈리얼 보고 싶다.
나나세 미유키
13/09/19 08:02
수정 아이콘
레지날드가 왜 까이는지 잘 모르시는거 같군요.
ThisisZero
13/09/19 08:44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엔하위키 레지날드 항목을 보면 한국, 정확히는 온게임넷을 상당히 부러워한다는 눈치더군요.
게임하는걸 TV로 본다고!? 라는 느낌..
자기 사랑 둘
13/09/19 08:45
수정 아이콘
레인맨을 방출하는과정, 그리고 카옥스가 방출되고, 최근 다이러스와의 다툼 여러등등을 보면 레지날드가 왜 까이는지 아실겁니다.
쓰레쉬 토크 이전에 레지날드는 인성부터 글러먹은 사람입니다.
저는 레인맨을 방출하는 과정을 own3d.tv시절부터 쭉 봤기때문에 지금 오히려 우주최강제드플레이로 이미지세탁을 정말 잘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글이 올라오니 흠...좀 무섭네요. 이래서 이미지 세탁이 참 중요하구나 싶기도 하구요.
13/09/19 08:52
수정 아이콘
미국 내에서도 레지날드의 평판은 좋지않죠.
개인적인 생각으론 외모 후광 효과도 좀 있는 것 같아요.
일련의 사건들과 언행이 악마같은 외모를 등에 업고 끝판왕이 된 느낌.
Vlog보시면 알겟지만 말할때는 더 밉상입니다.

그리고 tsm을 20억에 팔지 않은건 실수라고 생각되요.
최근 probuilds.net 이나 여러가지 경쟁사가 생기는데 tsm의 가치가 여기서 올라가진 않을 것 같거든요.
JISOOBOY
13/09/19 08:56
수정 아이콘
1. 대회에서의 많은 수상.
2. solomid.net과 TSM 보유.
3. 스트리밍을 통한 많은 수입.

정리해보자면 이정도가 되겠네요.
확실히 `북미 게임계`에서 입지전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을법 하네요.
13/09/19 09:06
수정 아이콘
"태생부터 드라마틱하게 싸울 수 뿐이 없던 clg와 tsm 입니다"
흡사 나루토의 우치하와 센쥬일족의 관계같네요.

그나저나 TSM사장님이라고 해서 부모잘만한 철없는어린애인줄 알았더니 자수성가형이였네요.
그점만으로도 충분히 많은 게이머들입장에선 부러울거 같아요.
북미롤에서 TSM 커뮤니티가 차지하는 위치는 정말 크다고 하던데...
리플 반응을 보니 인성에도 문제가 많아서 도리도리 하시는분들이 많은거 같은데
역시 롤은 재평가와 이미지세탁의 장인가보네요. 북미현지나 한국롤에서의 이미지는 괜찮아 보입니다.
불굴의토스
13/09/19 09:16
수정 아이콘
92?????????
13/09/19 09:46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엄청난 성적을 거둔 임과 콩조차 개그코드로 쓰이는데.
레지날드라고 안쓰일 이유가 없죠.
13/09/19 10:01
수정 아이콘
그냥 뛰어난 사업가일 뿐이죠.
13/09/19 10:26
수정 아이콘
저는 오히려 미국이니까 가능하다고 봐요

만약 임요한이 미국에서 태어났으면

외모나 실력이나 인성도 뛰어난데 더 크게 잘 될 수 있었을듯
소문의벽
13/09/19 21:09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임요한....
13/09/20 03:35
수정 아이콘
쿼티아이폰모바일이라....

아악!!
Practice
13/09/19 11:06
수정 아이콘
이 글에서 정말로 충격을 받은 부분은 레지의 나이네요. 92년생이 그런 사업 수완을? 리얼리? 후덜덜
레몬맥콜
13/09/19 11:51
수정 아이콘
북미 투탑인 CLG TSM 두 CEO 다 대단한 사람들이죠. 둘 다 무일푼으로 시작해서 북미에 엄청난 게이밍 하우스 건설에 개인 커리어도 엄청나고요. 물론 현제 위상은 농담거리가 되었지만...
루크레티아
13/09/19 15:43
수정 아이콘
대단한 사람인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까서는 안 될 사람도 아니죠.
그나저나 시장 차이가 정말 엄청나긴 하네요. 임요환 선수가 미국 사람이었다면 우리는 갑부 게이머의 현신을 목도 했을지도 모릅니다.
영원한초보
13/09/19 17:42
수정 아이콘
하지만 CEO는 경영만...
13/09/19 19:03
수정 아이콘
한번씩 하는 생각이 미국에서 스타붐이 우리나라처럼 터졌고
대표적으로 임과 홍이 미국에서 태어 났다면 명성,위상 이나 영향력 뭐 이런거 떠나서 순수 수익만 얼마를 벌었을까....
레지날드의 커리어 대단하죠
근데 저 커리어처럼 지금 농담감이 되는 모든것들,
말씀하신 강한 프라이드 그리고 그에대한 사람들의 반감,경기플레이나 코멘트,그리고 sns등등
다 본인이 한 일들이죠
개인적으로는 레지의 커리어를 폄하하는 글은 본적이 없는거 같어요
기본적으로 튀물이다,다됐다 뭐 이정도에 기반하는 농담 따먹기들이죠
PDD시리즈랑 비슷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임은 실패하고 레지는 성공했다 이부분도 환경의 차이 라고 생각합니다
레지는 미국이라 성공했고 임은 대한민국이라 실패했고....
Smirnoff
13/09/19 22:12
수정 아이콘
뛰어난 사업가는 까면 안된다는 논리가 정말 옳다면 우린 이건희를 신으로 모셔야....

CEO로 대단한 거는 CEO로 대단한 거고 다른 부분에서 안좋은 면이 있을 수 있는 거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18 [기타] 날이 가면 갈수록 커져가는 게임규제 [51] 미카즈키요조라7677 13/10/08 7677 0
52417 [LOL] 흑형 루시안 간단한 공략 (팁과 뻘소리 위주) [21] 코왕9071 13/10/08 9071 0
52415 [LOL] 해외팬들의 롤드컵 MVP 선정.. [77] Leeka11853 13/10/08 11853 0
52414 [LOL] 롤드컵이 남긴 여러 기록들 총 정리. [3] Leeka7711 13/10/08 7711 0
52413 [LOL] 신지드 e평에 대해서 짤막한 팁 [12] Arusa9887 13/10/07 9887 0
52412 [LOL] 미드 잔나를 소개합니다. [11] 미됸9274 13/10/07 9274 0
52411 [기타] 게임이 4대악에 포함되었습니다. [206] 항해자10936 13/10/07 10936 3
52410 [LOL] 3.13 패치에서 변경 예정인 챔프 리스트가 공개되었습니다. [49] Leeka9505 13/10/07 9505 0
52409 [기타] [WoW] 와우에 대해서. [127] 세이젤10578 13/10/07 10578 0
52408 [LOL] 롤드컵 해외 분석 결과와 실제 순위는 어떻게 나왔을까? [23] Leeka8485 13/10/07 8485 2
52407 [스타2] 2013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2013.10.6 기준) - MMA의 급상승! [2] Davi4ever6708 13/10/07 6708 0
52406 [LOL] 신지드에 대한 짤막한 팁입니다. [23] 삭제됨7492 13/10/07 7492 1
52405 [LOL] 샤이와 플레임, 누가 뛰어나냐에 대한 진지한 고찰. [96] 하얀호랑이10608 13/10/07 10608 0
52404 [LOL] 피지알 아마추어 리그 시즌3이 막을 내렸습니다. [29] anytimeTG5718 13/10/07 5718 2
52402 [기타] 콜 오브 듀티 : 고스트 프리뷰 [13] 저퀴6769 13/10/07 6769 0
52400 [LOL] 롤을 하면서 느낀 하나의 깨달음 [42] 하양유저매냐9292 13/10/07 9292 0
52399 [기타] 연봉 2억 번다는 개인방송 BJ '대도서관'을 보고 느낀 점들 [95] hanam115202 13/10/07 15202 0
52398 [LOL] 라인별 최강자는 누구인가? [167] 사유라10267 13/10/07 10267 0
52397 [LOL] 5 티모 vs 5 티모? [30] 트릴비8293 13/10/07 8293 0
52396 [기타] [스타1] 박성균 선수 해명글 올라왔네요. [21] jinsw042411234 13/10/07 11234 2
52395 [기타] MMORPG 최종컨텐츠 PvP에 대해 [49] 태랑ap7805 13/10/07 7805 0
52394 [LOL] 골드 달았습니다! [15] 이직신6220 13/10/06 6220 1
52392 [LOL] 파란만장 롤 생활의 종지부를 찍다. [28] 다리기10320 13/10/06 1032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