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6/15 09:15:05
Name SEIJI
Subject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폐간된 SUB라는 잡지에서 음악에 관한 전문가 21명에게 설문을 통해 대중음악 100대 명반을 뽑은 적이 있었습니다. 다음은 그 리스트이며 어디까지나 1998년까지의 음반을
대상으로 했으므로 그 이후의 음반은 당연히 없습니다.

이 명단도 역시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자료로 이게 절대적이다라고 믿을 필요도 없고
또 왜 이음반이 여기 들어갔어 왜 이 음반이 여기에 빠졌어 라고 할 필요도 없을듯합니다.
다만 이 명단은 자신이 좀더 좋은 음반을 찾아들을 수 있는 정보원과 척도로 활용하는
게 더 좋을 듯 싶습니다. 아 이런 음반이 있었구나 한번 들어봐야겠네 정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할듯 싶군요.

출처는 http://jeis.com.ne.kr입니다.

------------------------------------------------------------------------------

이 글은 잡지 SUB(지금은 폐간되었죠)1998년 12월호에 실린 '한국 대중음악사 100대 명반'입니다. (맨 마지막의 숫자는 선정위원 21명 중 그 앨범을 선정한 사람의 수입니다.)

선정위원
고희정(서울스튜디오 마스터링 엔지니어), 곽택근(신나라레코드 영업부 대리), 김기정(펌프), 김민규(전<서브>기자), 김영대(나우누리 뮤즈), 김종휘(<펜진 공> 편집인, 인디 음반 제작실장), 류상기(다음기획 제작/기획부장), 한유선(자유기고가), 박민희(한겨레신문 문화부 기자), 박상완(기독교방송 PD), 박준흠(전<서브> 편집장), 신승렬(나우누리 뮤즈), 유현숙(논픽션 작가), 신현준(대중음악평론가), 이창기(나무를 사랑하는 사람들), 조경서(경기방송 PD), 조성희(<서브> 기자), 진용주(우리교육 기자), 조원희(카사브랑카, 슈거케인), 최순식(하나뮤직 기획/홍보실장), 황정(전<서브> 기자)

  1. 들국화 <1집> 1985/서라벌레코드 (21)
  2. 산울림 <1집> 1977/서라벌레코드 (16)
  3. 어떤날 <1960·1965> 1986/서울음반 (15)
  4. 델리 스파이스  1997/도레미레코드 (14)
  5. 시인과 촌장 <푸른 돛> 1986/서라벌레코드 (13)
  6. 어떤날 <2집> 1989/서울음반 (13)
  7. 유재하 <1집> 1987/서울음반 (13)
  8. 봄여름가을겨울 <1집> 1988/서라벌레코드 (13)
  9. 이상은 <공무도하가> 1995/폴리그램 (12)
10. 한대수 <멀고먼-길> 1974/신세계레코드 (12)

11. 작은거인 <2집> 1981/오아시스 (12)
12. 부활  1986/서울음반 (12)
13. 김민기 <1집> 1971 (11)
14. 김현식 <3집> 1986/서라벌레코드 (11)
15. 김광석 <다시부르기 2> 1995/킹레코드 (10)
16. 동물원 <1집> 1988/서울음반 (10)
17. 듀스  1995/월드뮤직 (10)
18. 서태지와 아이들 <4집> 1995/반도음반 (10)
19. 시인과 촌장 <숲> 1988/서라벌레코드 (10)
20. 산울림 <2집> 1978/서라벌레코드 (9)

21. H2O <오늘 나는> 1993/로얄레코드 (9)
22. VARIOUS ARTISTS <우리노래전시회 1집> 1985/서라벌레코드 (9)
23. 신촌블루스 <1집> 1988/지구레코드 (9)
24. 동물원 <2집> 1988/서울음반 (9)
25. 서태지와 아이들 <1집> 1992/반도음반 (9)
26. 서태지와 아이들 <3집> 1994/반도음반 (9)
27. 김현철 <1집> 1989/서라벌레코드 (9)
28. 강산에  1992/킹레코드 (9)
29. 윤도현 밴드 <2집> 1997/다음기획/서울음반 (9)
30. 노이즈가든  1996/베이 (9)

31. 언니네 이발관 <비둘기는 하늘의 쥐> 1997/석기시대/킹레코드 (9)
32. 강산에 <나는 사춘기> 1994/킹레코드 (8)
33. 한영애 <바라본다> 1988/서라벌레코드 (8)
34. 시나위  1987/오아시스레코드 (8)
35. 신중현과 엽전들 <1집> 1974/지구레코드 (8)
36. 조동진 <1집> 1979/대도레코드 (8)
37. 서태지와 아이들 <2집> 1993/반도음반 (8)
38. 노래를 찾는 사람들 <1집> 1984/서라벌레코드 (8)
39. VARIOUS ARTISTS <Our Nation 1> 1996/드럭 (8)
40. 이문세 <4집> 1987/서라벌레코드 (8)

41. 조용필 <1집> 1980/지구레코드 (8)
42. 낯선 사람들 <1집> 1993/하나뮤직/예원레코드 (8)
43. 따로 또 같이 <2집> 1984/대성음반 (8)
44. U & Me Blue  1996/송/LG미디어 (8)
45. U & Me Blue  1994/나이세스 (8)
46. 다섯 손가락 <1집> 1985/서울음반 (8)
47. 전인권·허성욱 <1979-1987 추억들국화 "머리에 꽃을"> 1987/서라벌레코드 (7)
48. 한영애 <불어오라 바람아> 1995/디지탈미디어 (7)
49. 장필순 <나의 외로움이 널 부를때> 1997/킹레코드 (7)
50. 사랑과 평화 <1집> 1978/서라벌레코드 (7)

51. 김광석 <다시부르기1> 1993/킹레코드 (7)
52. 산울림 <3집> 1978/서라벌레코드 (7)
53. 동서남북 <1집> 1980/서라벌레코드 (7)
54. 듀스  1993/지구레코드 (7)
55. 시나위 <1집> 1986/서라벌레코드 (7)
56. 안치환  1993/킹레코드 (7)
57. 삐삐 롱 스타킹 <원웨이 티켓> 1997/동아기획 (7)
58. 이정선 <30대> 1985/한국음반 (6)
59. 김광석 <4집> 1994/킹레코드 (6)
60. VARIOUS ARTISTS <A Tribute to 신중현> 1997/서울음반 (6)

61. 삐삐 밴드 <문화혁명> 1995/송/디지털미디어 (6)
62. 조동익 <동경> 1994/킹레코드 (6)
63. 봄여름가을겨울 <나의 아름다운 노래가 당신의 마음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면>
     1989/서라벌레코드 (6)
64. 마그마 <1집> 1981/힛트레코드 (6)
65. 김수철 <1집> 1983/신세계음향 (6)
66. 정태춘 <시인의 마을> 1978/서라벌레코드 (6)
67. 양희은 <1991> 1995/킹레코드 (6)
68. 달파란 <휘파람 별> 1988/펌프/도레미레코드 (6)
69. 패닉  1995/신촌뮤직/아세아레코드 (6)
70. 갱톨릭  1998/강아지문화예술 (6)

71. 카리스마 <1집> 1988/서라벌레코드 (5)
72. 한대수 <무한대> 1989/신세계음향 (5)
73. 안치환 <4집> 1995/킹레코드 (5)
74. 김현식 <5집> 1990/서라벌레코드 (5)
75. 11월 <1집> 1990/서울음반 (5)
76. 정태춘 <아!대한민국> 1993/삶의문화/한국음반 (5)
77. 전인권 <1집> 1988/서라벌레코드 (5)
78. 시나위 <4집> 1990/오아시스 (5)
79. 김광석 <2집> 1991/문화레코드 (5)
80. 어어부 프로젝트 밴드 <손익분기점> 1997/동아기획 (5)

81. 한상원  1997/디지탈미디어 (5)
82. 조동익  1998/하나뮤직/킹레코드 (5)
83. 신촌블루스 <2집> 1989/서라벌레코드 (5)
84. 어어부 프로젝트 밴드 <개, 럭키스타> 1998/펌프/디지탈미디어> (5)
85. 김수철 <황천길> 1989/서울음반 (5)
86. 허클베리 핀 <18일의 수요일> 1998/강아지문화예술 (5)
87. 이상은 <외롭고 웃긴 가게> 1997/킹레코드 (5)
88. 앤  1998/인디 (5)
89. 시나위 <5집> 1995/워너뮤직 (5)
90. H2O <2집> 1992/아세아레코드 (5)

91. 정태춘·박은옥 <92년 장마, 종로에서> 1993/삶의문화/한국음반 (4)
92. 양희은 <1집> 1971/킹레코드 (4)
93. 신중현과 뮤직파워 <1집> 1990/지구레코드 (4)
94. 노래를 찾는 사람들 <2집> 1989/서울음반 (4)
95. 정태춘·박은옥 <북한강에서> 1985/지구레코드 (4)
96. 김현식 <4집> 1988/서라벌레코드 (4)
97. 김현식 <2집> 1984/서라벌레코드 (4)
98. 신촌블루스 <3집> 1990/서라벌레코드 (4)
99. 윤도현 <1집> 1994/LG미디어 (4)
100. N.EX.T <2집> 1994/대영AV (4)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라키야
04/06/15 09:25
수정 아이콘
음음.. 다 꼽힐만한 음반인 듯.. 아.. 이상은님 음악은 너무 좋아요.
개인적으론 너무 많이 알려지지 않고 이렇게 계속 아는 사람들만 들었으면 하는 이기적인 욕심이 들 정도로..
서태지님의 음악이 널리널리 무한대로 퍼져 나가길 바라는 욕심과는 또다른 마음..
어떤 차이가 이런 두 가지 마음을 만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_^;;
04/06/15 09:25
수정 아이콘
이중.... 눈여겨 봐야 할 것은 이상은 씨입니다. 이상은씨... 정말 대단 하죠.

예전 1집.... 후에 2집 때부터 정말 대성 할 것이라 생각 했습니다. 인생이 멋진 가수시죠...

한 65~70%는 LP혹은 Tape으로 가지고 있던가, 아니면 가지고 있었던 것 같네요. 또한 몇몇은 CD로도 있는 것 같고... (전 CD를 좀 늦게 까지 안 들었죠...)
04/06/15 09:26
수정 아이콘
제가 LP로 가지고 있는 것 중에 명반이 꽤 있군요.
..-_-;
04/06/15 09:29
수정 아이콘
그런데... 뭔가 이상한 것은.... 며칠전 부터 '노이즈 가든' 이라는 구릅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는데...

제가 이 리스트에서 유일하게 모르는 엘범인데... 왜 모르고 있는지를 모르겠군요.
메니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이상 음악을 좋아한다고 생각 하는데.... 이 정도 리스트에 오를정도를 모른다니.... 정말 이상 하군요. 96년도에 제가 뭔가 일이 있었나......

혹시 기억 상실..... 흐흐흐...
나라키야
04/06/15 09:31
수정 아이콘
잠시 우주여행을 다녀오신 것은 아닌지요. lovehis님.. 우히히~
음악세계
04/06/15 09:36
수정 아이콘
서태지와 아이들 시절 1~4집 전부 있군요.. 역시 서태지..대단
04/06/15 09:42
수정 아이콘
노이즈가든.. 그냥 노이즈 아닌가요? 저도 노이즈 가든이라는것은 처음들어보는거 같아요.
나라키야
04/06/15 09:49
수정 아이콘
노이즈가든 (Noizegarden)
94년 톰보이 록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차지하며 나타난 밴드 노이즈가든은 1990년대 중 후반, 하드 록과 메탈에서 영향받은 음악을 하면서도 1980년 대 헤비 메탈 씬의 여러 모습과 대조적인 태도를 보여주는 밴드다. 그러한 태도는, 멤버 몇 명이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한 경력같은 부수적인 사실이나, 윤병주의 음악적 관심이 힙합, 테크노 등 폭넓은 영역에 걸쳐있다는 점에서도 드러나지만, 그들의 음악 자체에서도 뿜어져 나온다.
----------------------------------------------------------------
대중적으로 그다지 알려질만한 활동을 안 했을 수도 있지요. 저도 이름만 얼핏 들어봤나 싶은 정도입니다.
비호랑이
04/06/15 09:57
수정 아이콘
댄스그룹중엔 듀스가 제일 순위가 높군요. 제가 제일 좋아했던... ^^
리드비나
04/06/15 10:13
수정 아이콘
9위에 오른 이상은씨의 저 앨범 정말 명반이죠
'공무도하가' 우리나라 사람의 피엔 그 음율이 살아있을거란
생각에 만드셨단 그말과 함께 진짜 구구절절 죽이는 앨범이었슴다.
04/06/15 10:15
수정 아이콘
바.. 바이러스 아티스트 님들도 3개나 올라왔네요.. 제가 최고로 좋아하는 그룹인데~
건들면BT
04/06/15 10:32
수정 아이콘
갠적으로 산울림,한대수,시인과촌장,김민기,동물원,노찾사,정태춘(특히아!대한민국은 감동),양병집(리스트에 없군요),여행스케치..
저만의 주관적 명반을 머리속에서 끄집어내어 적고자하니 좀 딸리네요.
드론찌개
04/06/15 10:56
수정 아이콘
서브는 박준흠씨가 편집장을 맏고 나서 구려졌다고 원성이 자자했던.. 아무튼 당시로썬 획기적인 음악잡지였다고 생각합니다. 브릿팝과 국내 언더그라운드씬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죠. 매월 cd도 줬구요. 저 차트가 실린 과월호를 구입했었는데 쟁쟁한 앨범들을 제치고 델리스파이스가 4위한거 보고 경악했던 기억이 있네요.
노이즈가든은 한참 유행했던 그런지풍의 락밴드입니다. 테이프로 있는데 별로 다시 듣고 싶진 않군요.. 갱톨릭 1집두 지금의 힙합씬을 생각하면 정말 말도안되는 수준일듯.. 그래도 그땐 좋아라 들었죠. 그때 태동했던 언더그라운드 음악들... 지금 생각하면 구리고 수준도 떨어졌지만 국내 음악계에 다시는 그런 열정적인 로우 파이 무브먼트가 오기는 힘들겁니다.
04/06/15 11:01
수정 아이콘
아...듀스였군요 90년대에 늘어지게 들었던 또다른 테잎 ^^;
이제서야 생각났습니다.>.<
그리고...들국화 음악은 정말 좋더군요.뭐랄까...가수의 감정에 사람들을
끌어들인다고 할까요?(개인적으로 박정현의 노래에 그런 느낌을 느낍니다.^^;)
04/06/15 11:04
수정 아이콘
들국화 앨범이 처음에 있다는것에대해 당연하게 느낍니다.. 정말 최곱니다.. 제 생에 거의 최고의 앨범입니다.
감히 견주어 보자면..
영국에 비틀즈가 있다면.... 한국엔 들국화가 있다....!
전체화면을 보
04/06/15 11:24
수정 아이콘
<시인과 촌장>의 숲 앨범에 있는 <가시나무>.....들으면 종교적 전율이 느껴졌었는데....조모모 가수의 노래로 들으면 그 느낌이 안 나더라구요....
왓더헬
04/06/15 11:28
수정 아이콘
노이즈가든 저는 상당히 좋아했는데요...단순히 그런지라고 치부해버릴만한 밴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타리스트이자 밴드의 핵인 윤병주의 실력이 장난이 아니었죠...음악도 당시로서는 상당히 독특한 면이 있었구요. 여담이지만 사운드가든을 좋아해서 이름도 노이즈가든이라고 지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런지 보컬의 목소리는 꽤 비슷한 데가...^^;
슬픈비
04/06/15 11:34
수정 아이콘
크래쉬크래쉬..ㅠ_ㅠ 어딨습니까..ㅠ_ㅠ
calmlikeabomb
04/06/15 12:02
수정 아이콘
U & Me Blue에 대한 언급은 없네요.
흔히 시대를 앞서간(이라고 하니 먼 옛날 이야기 같지만...) 걸출한 '모던 락'(그렇다고 곱상한 여자 보컬을
전면에 내세운 가요 밴드는 아닙니다) 밴드(라고 하기엔... 2인조라...)라고 평가받는데요.
1집과 2집 모두 명반이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더구나 지금 들어봐도 전혀 낡았다고는 생각할 수 없는...
과장된 감정 연기 없이.. 절제... 절제... 절제... 그렇지만 전혀 '무미'하지 않은 그 '건조함'이란...
솔로 앨범을 낸 이승렬 님은 최근엔 케이블 채널에서 심심치 않게 뮤직비됴로 볼 수 있고,
방준석 님은 영화음악 쪽에서 계속 활동 하시는 것 같더군요.
아무튼 U & Me Blue의 1집('94), 2집('96) 모두 최근 재발매가 되었으니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세균맨*
04/06/15 12:38
수정 아이콘
신중현과 엽전들...;;
deathknt
04/06/15 12:48
수정 아이콘
노이즈 가든은..톰보이 락 페스티발 테이프때 알게 되어서 1집과 2집을 사서 들었는데..가장 기억나는 노래는 역시 [화해의 비]...에디트한 것 말고 원곡(8~9분)을 들을 수 있다면 들어보세요...
공공의마사지
04/06/15 12:49
수정 아이콘
이문세4집 ,, 듀스1집 ,패닉1집 , 서태지와아이들3집 ,,,,
제가 좋아하는 앨범들도 순위권에 있군요
이상은씨 노래도 참 좋죠 그래도 전 담다디 부를때 그녀가 제일 좋았습니다.
이규형감독이 담다디라는 영화도 만들었었죠 --
우...우....우우우우우..
잠자리 잠자리 --
달려라 울질럿
04/06/15 12:51
수정 아이콘
태지님은 4집까지 다 있군요... 역시 대단합니다^^
04/06/15 12:52
수정 아이콘
저도 노이즈가든 앨범을 가지고 있는데...흠.
들국화, 어떤날, 시인과 촌장의 광팬으로서 즐거운 리스트군요. 후훗.
제가 처음으로 산 LP가운데 하나가 어떤날, 시인과 촌장 1집이지요.
우리노래전시회 앨범도 굉장히 좋았는데, 정서영씨를 좋아했죠.
Morrissey** 방황
04/06/15 13:16
수정 아이콘
rainysun 앨범이 없는게 아쉬워요.~~
Grateful Days~
04/06/15 13:36
수정 아이콘
전 이상은씨의 "언젠가는"앨범이 없는게 아쉬움 ^^ 정말 좋아했는데.. 그리고.. 아쉬운 천재.. 김사랑..
04/06/15 15:30
수정 아이콘
해처리 오빠 음반도 하나정도 낄만한데 왜 없는겁니까... 으흑
갠적으로 신해철의 주옥같은(-_-) 음반들 중 솔로 음반 이었던 정글스토리OST앨범을 명반으로 꼽고 싶습니다.
곡 하나하나 보다 음반 전체 구성상의 완성도가 빼어난 음반입니다. 요즘 구하기 힘들다는 소문이...^^;
최임진
04/06/15 16:39
수정 아이콘
노이즈 가든 노래는 괜찮은데....보컬의 목소리가 락이랑은 안어울려요...--;;;
고수이고싶다
04/06/15 16:50
수정 아이콘
어.. 송골매 앨범이 없어요~~ 주옥같은 곡들을 마니 가진 그룹인데, 저의 주관적인 생각인가~ 없는게 좀 아쉽네요.. 한국락을 대중화시킨 대표적인 그룹이라고 생각하는데
1. 세상모르고 살았노라 2. 한줄기 빛 3. 탈춤 4. 처음본 순간 5. 외로운 술잔 6. 어쩌다 마주친 그대 7. 아가에게 8. 새가 되어 날으리 9. 세상만사 10. 하늘나라 우리님 11. 사랑하는 이여 내죽으면 12. 빗물 13. 문을 열어 14. 모여라 15. 모두가 사랑하리 ~ 꼭 들어보시기를 원츄합니다.
세진이-_-V
04/06/15 18:01
수정 아이콘
듀스가 가장 높다기 보다 서태지와아이들 4집과 같은순위군요
Taesazar
04/06/15 18:04
수정 아이콘
컥 드렁큰타이거가 없다니..;;
어버_재밥
04/06/15 18:09
수정 아이콘
김동률앨범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983 축구 연재글 - (2) 다시 한번 부활을 꿈꾼다. AS Roma [10] Leo Messi3430 06/03/25 3430 0
19739 [축구]내가 바라본 각 국대랭크 [46] 라이포겐3796 06/01/03 3796 0
19387 Fm 2006 좋아하시나요? [41] Leo Messi4505 05/12/21 4505 0
11771 [잡담] 사람 살아가는 이야기와 중독들 [7] 홀로그램3284 05/03/20 3284 0
10030 PASL스타리그 진행 후기 [16] 저그맨3457 05/01/01 3457 0
9977 PASL스타리그 본선진출자 [16] 저그맨3082 04/12/31 3082 0
9953 PASL스타리그 수요일조 본선진출자 [34] 저그맨4485 04/12/29 4485 0
7839 카사노바 & 로미오. [12] 비롱투유3343 04/09/25 3343 0
6757 재밌는 MBCgame14. [19] cli5403 04/08/07 5403 0
6076 [축구] 다음시즌 의 세리에A [12] 멘디에타2992 04/07/16 2992 0
5677 [기사] 오마이 뉴스에 실린 N.EX.T 기사에 대한 신해철의 기사 [14] 한빛짱3919 04/07/02 3919 0
5281 아주리 군단....그들을 믿는다.... [14] 김민규2923 04/06/17 2923 0
5223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32] SEIJI5648 04/06/15 5648 0
4970 그를 좋아할수 밖에 없는 이유... [4] steady_go!3191 04/06/04 319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