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3/09/18 16:16:36
Name Leeka
File #1 0918.jpg (171.4 KB), Download : 21
Subject [LOL] TSM! TSM! - 월드챔피언쉽 A조 2일차 후기


1. 1회차가 끝난 A~B조 순위

A조
1위 - OMG : 4승 0패
2위 - SKT T1 : 3승 1패
3위 - TSM : 2승 2패
4위 - 레몬독스 : 1승 3패
5위 - 게이밍기어 : 0승 4패

B조
공동 1위 - 겜빗/프나틱 : 3승 1패
공동 3위 - 오존/벌컨 : 2승 2패
5위 - 미네스키 : 0승 4패

2. 방심은 금물! 유럽/북미/중국/한국의 격전!

레몬독스와 OMG의 결전.

레몬독스에게 베스트 오브 베스트 픽인 피즈를 풀어줬다가 혼날뻔한 OMG
자신감있게 짜르러 들어갔다가 게임을 던진 누크덕의 피즈..

TSM을 얕보고 제드와 바이를 모두 풀어줬다가.. 멀리 간 레몬독스
코르키+소나의 엄청난 파괴력으로 스크의 바텀을 흔들고 총딜 1위를 차지한 TSM의 코르키까지.

확실히 '다른팀과 격차가 심한 게이밍기어/미네스키'를 제외한 팀과의 격전에서는. 정말 진지하게 임해야 된다는걸 보여준게 아닌가 싶네요


3. 월드 챔피언쉽. 클럽 대항전이지만 국가 대항전!

중국국기를 달고 출전하는 중국팀.
TSM이 이기자마자 TSM! TSM! 소리와 함께 성조기를 흔드는 북미 팬들까지.

경기 끝나고 나서 레딧 반응들도 그렇고.
확실히 'LCS를 중심으로 한 대륙별 리그가 완전히 자리잡으면서'
올스타전 / 월드챔피언쉽이 모두 '사실상의 국가 대항전' 으로 모두 받아들이고 있고

그게 지금 흥행에 큰 장점이 되고 있지 않나 싶네요.

거기에다 대륙별 균형까지 크게 벌어지지 않고 각축전을 펼치는 재미까지!


4. 오드원은 확실히 TSM의 희망입니다.

퍼블, 쌍버프를 헌납한 정글러가 게임 내에서 이정도 존재감으로
저렇게 레지날드에게 다 먹여줄수가 있다니..

정말 북미 정상급 정글러는 확실한거 같네요.
SKT와 할땐 줄타기 실수가 두번이나 나오긴 했지만.. 뭐 덕분에 바텀이 두번이나 겨우 살았으니 그걸로 만족을..

그나 저러나 TSM은 정말 외치기 편한 팀명인거 같습니다.  역시 발음이 편한게 최고?


5. 드디어 1회차가 끝났습니다.

내일 하루 쉬고. 월~수에 붙었던 팀들과 진형을 바꿔서 금~일에 2회차로 다시 붙습니다.

오존을 이겼던 프나틱/겜빗
SKT를 이겼던 OMG에게. 휴식 기간에 준비 잘해서 리벤지 확실하게 해주는 모습 기대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루크레티아
13/09/18 16:19
수정 아이콘
사원들의 충성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갓지날드가 체고십니다.
13/09/18 16:20
수정 아이콘
확실히 대륙간 실력 차이가 거의 없어진 느낌입니다.

모든 게임이 예측이 안됩니다.
골든리트리버
13/09/18 16:21
수정 아이콘
이벤트 현재 8경기중 8경기 맞췄네요! 근데 아직도 경쟁자가 남아있는게 함정..
모리아스
13/09/18 16:21
수정 아이콘
tsm이 블루여서 제드 선픽을 할 수 있었다면(그동안 계속 레지 제드는 풀어주었으니),

경기가 어떻게 되었을지,,,
13/09/18 16:21
수정 아이콘
OMG와는 2차전에서는 코르키 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코르키 중반 폭딜이 진짜 괴랄하네요. 케이틀린이 라인전에서 우세하단 평가가 많았지만, 그나마도 딜교 까딱 잘만하면 골로 가는 그림이 자주 나오니...
13/09/18 16:21
수정 아이콘
TSM선전 제외하곤 대충 예상대로 맞아 떨어지네요. 레몬독스가 TSM은 이길줄알았는데 레몬독스가 못한것도있지만 그경기는 TSM의 오드원이 너무 잘풀었구요.
크레시안
13/09/18 16:22
수정 아이콘
가... 갓지날드... 역시 갓지날드가 체고시다
트릴비
13/09/18 16:22
수정 아이콘
어느 대륙이 압도적으로 이기고 이런게 아니라 치고받고, 밀리는 팀에서 전략도 준비해오고 하니까 게임 재미있네요.
모든 대륙의 탑 팀이 모이는 대회가 이것 뿐이라는것에 대한 희소가치도 크구요.
13/09/18 16:22
수정 아이콘
실력도 실력인데.. 정말 코르키 딜은 놀랍네요... 가져오던가 벤을 하던가 제드와 더불어 같이 필벤해야 될 것 같아요..
13/09/18 16:23
수정 아이콘
TSM이 이정도면 C9이 굉장히 기대가 되네요. 라인전,운영,밴픽 전부 북미에서 압도적이였는데. 한국팀들의 경기력보면 절대 못이기겠네요.
구구구구구
13/09/18 16:23
수정 아이콘
라인전이 압도적인건 아니었죠.

c9의 약점이 약한 라인전인데요....
트윈스
13/09/18 16:25
수정 아이콘
c9은 라인전이 엄청난 약점이에요.
긴토키
13/09/18 16:31
수정 아이콘
그러다 이기면 우짜실라고........
13/09/18 16:37
수정 아이콘
C9의 가장큰 약점은 약한 라인전입니다.
단빵~♡
13/09/18 16:40
수정 아이콘
오늘 skt가 tsm 완전 압도적으로 이겼는데요-_-;; 타워 딱 하나 깨졌고 30분대에 만이천 골드차이 내면서 끝났습니다.
13/09/18 16:40
수정 아이콘
C9의 라인전은 북미에서도 특출나다는 평은 못 듣는 수준입니다.

캐리형 정글러를 기반으로 잘 짜여진 운영에 능한 팀이라는 평이 다수죠.
탱구와댄스
13/09/18 16:47
수정 아이콘
참고로 벌컨과 c9의 전적이 2:2이입니다. 벌컨이 이긴 판 두판이 처음부터 c9이 라인전에서 박살 나면서 운영 가기전에 패배한 게임입니다.
데미캣
13/09/18 17:07
수정 아이콘
그러다 한국팀이 이기면 우짜실라고..(2)
바케모노가타리
13/09/19 04:40
수정 아이콘
같은 게임을 본 건지 의심스러운 댓글이네요
13/09/18 16:2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오늘까지 경기를 보면 코르키는 OP입니다.

브루저가 붙으면 그냥 폭딜로 삭제시키는게 가능한 무시무시한 딜러에요. 게다가 다른 원딜들과 다르게 물/마뎀 복합이라 탱커가 방템들기 정말 힘듭니다.
13/09/18 16:25
수정 아이콘
코르키가 브루저를 중반에 녹이는건

딜 비중이 물뎀/마뎀/트루뎀이 완벽하게 섞여있어서
물방/마방/체력을 고루 맞춰야 버틸수 있다는게 정말 크죠..

평타+트포 물뎀
모든 스킬이 마뎀
평타의 10%가 트루뎀. 이니..
블라디미르
13/09/18 16:23
수정 아이콘
코르키가 이렇게 세면 셀수록 kt가 아깝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네요

코르키 하면 스코어 인데
뭘해야지
13/09/18 16:24
수정 아이콘
오늘 tsm 보고 그동안 국뽕에 너무 취했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c9 정말 기대됩니다..
JISOOBOY
13/09/18 16:25
수정 아이콘
코르키 밴하고 실력 대 실력으로 붙으면 재미있을거 같고...
미드는 아리 오리아나 그라가스 피즈빼고 좀 신선한 픽 좀 봤으면 좋겠어요.
13/09/18 17:26
수정 아이콘
카사딘 리산드라 카서스 정도는 나올 가능성 있어보이네요.
수퍼펄팩이
13/09/18 16:25
수정 아이콘
이번 한국팀 원딜들은 코르키를 다 잘 못 다루나요??
프레이도 잘 못다루나요??
구구구구구
13/09/18 16:26
수정 아이콘
프레이는 예전부터 코르키를 프로 경기에서 잘 사용했죠.

아마 한국팀들 원딜 중에서는 프레이가 코르키를 제일 잘쓸겁니다.

다만 프레이, 스코어 말고는 다 코르키를 다루지 못하는 모양이네요.
13/09/18 16:27
수정 아이콘
도도갓은 이즈/코르키 2탑이던 시절부터 국내 원탑을 차지한 선수죠...
단빵~♡
13/09/18 16:38
수정 아이콘
이즈 코르키 트포 원딜이 절정일때 한국최고의 원딜 자리를 잭선장에게서 뺏어온게 프레이죠
13/09/18 16:40
수정 아이콘
이번 소드가 뜨금성적을 낼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드는게 엑페/프레이 둘다 트포다루는 캐릭이 예전에 주캐릭이었고 메타가 변화하면서 봉인했었는데 월챔앞두고 뜬금상향을 받았죠. 엑페 잭스/프레이 이즈, 코르키 너무 기대됩니다
모데카이저
13/09/18 16:26
수정 아이콘
Tsm생각보다 많이 괜찮네요

라인전 한타 모두 블레이즈랑 할때부터 크게 차이나지않은거같은데 오늘도 역시 라인전 한타는 모두 무난하구요

다만 생각없는 운영은.... 이건 뭐 고칠수가없는듯....
대청마루
13/09/18 16:28
수정 아이콘
미드의 강력함과 봇라인의 우위로 쉽게 이길거다 라는 평이 많았는데 정작 TSM 전은 그동안 우리나라 팀이 이겼던 방식대로 이긴셈이네요.
봇이고 미드고 그냥 탑똥 만들어서 퍼트리는게 최고다... 샤이, 막눈이 있던 CJ 프로스트와 소드의 승리공식이었죠.
arnakala
13/09/18 16:30
수정 아이콘
음.. TSM은 확실히 그런거 같아요.. 경기를 보면 탑을 망하게 하면 경기를 이기는거 같음..

은근히 다이러스가 TSM에서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죠..
긴토키
13/09/18 16:30
수정 아이콘
TSM 오늘 레목독스 이기는거 멋졌습니다 괜히 관록의 팀이아니네요
曺操 孟德
13/09/18 16:32
수정 아이콘
코르키는 확실히 쓸 거 아니면 밴해야 할 듯 하네요..
다리기
13/09/18 16:32
수정 아이콘
TSM이 생각보다 전체적으로 잘하네요. 레지는 기대만큼 못하지는 않고? 크크크 정글원딜이 꽤나 출중한 느낌..

그리고 뱅기선수 별로 안좋아했는데 오늘 인터뷰 굉장히 호감이에요. 이런 자세로 쭉 올라가길 바랍니다~~
karlee88
13/09/18 16:33
수정 아이콘
근데 코르키가 그렇게 어렵나요? 그냥 하면 안되나? 외국팀 원딜들은 그냥 코르키를 막 꺼내는데 우리나라 팀들은 못하니까 픽밴에서도 손해를 보는 것 같고..트포상향으로 코르키가 뜬지 얼마 안 됐으니까 외국팀들도 딱히 코르키 숙련도가 높아서 쓰는 건 아닐 것 같은데, 혹시 외국대회에서는 트포상향 전에도 코르키가 자주 쓰였나요?
13/09/18 16:37
수정 아이콘
코르키가 쉬워보이는데 은근히 어렵습니다. 평타 스킬 배분을 아주 잘해야 하고 평타모션에 궁극쓰면 평타는 안나가고 궁극만 나가는등 그리고 궁극의 히트 판정은 LOL내에서 진짜 최악으로 좁습니다. 손에 익어있지않으면 결코 쉬운챔프가 아니에요.
karlee88
13/09/18 16:49
수정 아이콘
허..확실히 그렇다면 당장 꺼내기엔 무리가 있겠네요. 골치 아파지는데요. 그러고보면 우리나라 원딜 중에선 미드에 페이커선수처럼 거의 모든 캐릭 다 잘 하는 선수는 없는 것 같기도 하네요.
13/09/18 16:52
수정 아이콘
프레이가 그나마 베인에 약점이 있는것 제외하곤 이즈 콜키 케이틀린 트위치 바루스 등 거의 모든 원딜케릭을 잘하죠.
베인도 프레이 자신이 못한다기보다는 소드 팀컬러랑 안맞다는 느낌이 아주 크구요. 이 팀은 원딜 보호 그딴거 없이 알아서 살고 알아서 딜해라 사이즈라...
karlee88
13/09/18 17:0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소드라.. 소드 미드는 역시 쏭선수가 나오겠죠? 지난번 nlb결승 끝나고 나그네 선수가 정글로 돌아가야겠다고 한걸 봐서는 나그네 선수가 미드로 나올 것 같지가 않아서..
13/09/18 17:05
수정 아이콘
누가 나올지는 사실 모르겠습니다. 컨디션 좋은 선수가 나오겠죠..
13/09/18 16:38
수정 아이콘
지금 한국팀들 중에 시즌2에 두각을 보였던 팀이 소드밖에 없죠.
오존, skt는 이미 트포가 너프먹고 코르키가 고인이 된 시점에서 치고올라온 팀들이라 프로씬에서 코르키를 플레이한 경험이 없습니다.
13/09/18 16:41
수정 아이콘
해본바로는 어설프게 콜키 꺼내면 케잉한테 찢기더라구요.. 흑흑
모데카이저
13/09/18 16:34
수정 아이콘
곰곰히 생각해보면 럼블이 저처럼 완전히 안망했으면 tsm진짜할만했겠네요
13/09/18 16:40
수정 아이콘
그런 가정이 의미가 없는게
오드원이 봇을 후벼파면서 코르키를 키울 때, 벵기가 탑을 후벼파서 럼블을 말려놓은 것이거든요.
모데카이저
13/09/18 16:41
수정 아이콘
그렇게탑만 후벼팔수있던것도 갱킹에약한 럼블이라는 점도 있지않을까싶은데....
다리기
13/09/18 16:53
수정 아이콘
그럼 럼블보다 갱에 덜 취약한 챔프를 했어야 럼블이 안망했을거라는 결론이...?
NothingNess
13/09/18 16:35
수정 아이콘
강민 해설 진짜 크크크크크
뜨와에므와
13/09/18 16:38
수정 아이콘
오늘 경기 SKT 선수들 힘 내줬네요.

다시한번 느끼는 거지만

이 대회는 '100만불'이 걸려있는 대회입니다.
13/09/18 16:40
수정 아이콘
TSM의 봇-정글은 한국 최상급 선수들과 비교해도 꿀릴것 없죠.

특히 코르키가 핫한 지금 시점에선 한국 봇 라이너중 프레이 정도 빼면 딱히 와일드터틀보다 낫다고 할만한 선수도 없고요.
단빵~♡
13/09/18 16:41
수정 아이콘
봇라인은 정말정말 세더군요 봇라인에서 그정도 해준거 아니었으면 지금 롤 커뮤니티가 국뽕에 거나하게 취해있었을겁니다;
심동천
13/09/18 16:44
수정 아이콘
와일드터틀이 되게 잘하긴 했는데.. 원래 다른 AD챔프들도 그만큼 쓰는 선수였나요? 제 기억으로는 굉장히 특색도 없고 던지기도 잘 던지는

선수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아 물론 코르키는 검증되었지만요.
13/09/18 16:48
수정 아이콘
최근 챔프 너프, 상대팀의 분석 등이 겹쳐서 좀 별로라는 소리가 나오긴 했지만 케잉을 비롯해서 이것저것 꽤 잘 다루는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13/09/18 16:57
수정 아이콘
코르키 벤하면 되죠. 오늘 경기에서 봇라인이 크게 밀린것도 아닌고... 상대는 봇을 팠고 t1은 탑을 파서 결과적으로는 t1이
훨씬더 나은 경기력이나왔는데 정글러가 지원해준 봇 파괴를 못했다고 한국원딜이 하향 평가되네요... 그리고 스코어도 코르키 정말 잘합니다.
13/09/18 17:03
수정 아이콘
와일드 터틀이랑 비교한게 하향평가가 되나요.

스왑 끝나고 2:2 붙었을 때 크게 밀리진 않았지만 딜교에서 전반적으로 열세였고(이건 코르키가 OP챔이라 그런 것이 크지만), 바텀 엘리스 갱 가기도 전에 2:2딜교에서 지고 빠지고 있었습니다. 뭐 타워가 있었던 정상적인 맞라인 2:2라면 상황이 좀 달라지긴 했겠습니다만 무턱대고 무시할만큼 만만한 선수는 아니라는겁니다.

그런 면에서 오늘의 SKT는 상대를 경시하지 않고 깔끔하게 운영 잘 했죠.
13/09/18 17:12
수정 아이콘
피글렛이 크게 밀리지 않았던 경기에서 프레이 빼면 와일드터틀 보다 나은 선수가 없다라는 말이 그런식으로 이해가 되네요.
13/09/18 17:17
수정 아이콘
와일드 터틀이면 북미에서도 원탑을 다투는 선수인데 얼마나 북미를 무시하시면 그렇게 읽히시는건지...

그리고 피글렛은 현재까지 가장 핫한 코르키를 쓰는 모습을 못 보여줬고요. 꿀챔 찾아서 꿀 빠는것도 lol프로게이머의 능력입니다.
13/09/18 18:50
수정 아이콘
괜히 북미잼이란 말이 나왔나요.. 북미 실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보았던건 거의 공통된 평가인는데..
적어도 작년 챔스 섬머 이후로 북미가 잘한다는 평가는 한번도 못 봇건같네요. 경기를 제대로 보지 않아서
c9이 얼마나 대단할지는 잘 모르겠으나 솔직히 나머지 북미팀들 경기력이 nlb 상위팀 경기력보다 났다고 생각되지 않네요.
그리고 피글렛이 코르키 쓰고 안 쓰고 문제가 아니라 이 번 경기만 가지고
케이틀린이 마치 코르키에 발린듯한 말이라 그렇게 말한겁니다. 케이틀린도 충분히 제 역할 했어요.
이번 대회 오피 평가 받는 챔프 상대로 상대 정글러 지원에도 거의 대등하게 라인전 했고 딜도 충분히 잘 넣었습니다.
13/09/18 19:03
수정 아이콘
북미 탑급 원딜이랑 비교한게 저평가 씩이나 운운할정도면 한국롤 수준이 엄청 높아야 할텐데 말입니다.

누가 피글렛보고 발렸다고 했습니까? 딱히 낫다고 할만한 선수가 없다=엇비슷한 실력이니 방심하면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저게 어딜봐서 와일드터틀이 피글렛보다 확연히 낫다는 의미가 되는건지...

그리고 지난 올스타전만 해도 북미 경기 수준이 희화화되는 것에 비해 꽤 강하다는 이야기는 나왔었을 겁니다.
13/09/18 21:49
수정 아이콘
적어도 한국롤 수준이 압도적으로 이긴 경기에서 북미팀 원딜 한명의 선전으로
프레이 보다 못한 한국팀 원딜이란 소리들을 정도는 아니란거죠. 프레이 혼자 한국 원딜 탑도 아니고...
스코어, 임프, 피글렛이 프레이보다 실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올스타전 이 전에도 북미 롤 수준에 대해 평가는 좋지 못했고 지금 대회까지도 거의 대다수 평가에서
북미 롤 수준에 대한 평가가 높지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보여준 실력도 생각보다 괜찮다는 수준이지
그렇게 뛰어나다고 생각되지도 않네요. 북미팀 올스타전에서 한국팀에 처참하게 발렸던 기억이 더 생생하군요
13/09/18 22:17
수정 아이콘
그렇게 해외대회 별거 아니라고 신문물전파 소리 하다가 매번 큰코 다치고 있죠.

북미 탑급원딜 실력이 한국 탑급 원딜보다 절대 아래가 아니라고 한마디 했다가 이렇게 길게 이야기 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13/09/18 17:08
수정 아이콘
요즘 와일드터틀은 그 덮립이랑 비교해도 크게 뒤쳐지지 않습니다.
심동천
13/09/18 16:43
수정 아이콘
그럼 이제 오존은 무난하게 탈락하고 SKT는 OMG를 만나서 다시 이기든 말든 무난하게 조2위는 할 것 같고..

한국팀이 선전할지 똥망할지는 결국 소드의 칼자루에 달려있는 셈이네요. 차라리 그냥 SKT가 올라가서 소드랑 붙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4강에

한국팀이 최소 1팀 안착인데.. 만약에 서로 다른 상대로 갈라지게 되면 제 생각엔 100% 4강에 한국팀 없을 겁니다..
13/09/18 16:51
수정 아이콘
전 소드가 유럽팀 만나면 이겨줄꺼라 믿습니다 에스케이도 그렇구요 해외팀이 아무리잘해도 국내팀들끼리 붙는게 더 어려울꺼에요 실력이밀릴지라도
13/09/18 17:23
수정 아이콘
아마 이 의견에 동의하는 분을 찾기 힘들지 않을까요?
GreatEntrepreneur
13/09/18 17:30
수정 아이콘
100%라는 단어를 쉽게 사용하시는군요.
바케모노가타리
13/09/19 04:42
수정 아이콘
갈라져도 4강에 있거나, 혹은 안갈라졌는데 결승에 있는 경우엔 생각이 없는 것이 되겠네요. 100%니까
13롯데우승
13/09/18 16:4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오늘 SKT VS TSM에서 30분에 만이천 골드 차이로 이겼으면 압살 아닌가요?
이따금 무슨 글골 차이 엎치락 뒤치락 하는 치열한 경기 끝에 간신히 이긴 것 처럼 평하는 리플이 보이네요..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데..
단빵~♡
13/09/18 16:45
수정 아이콘
압살 맞죠;; 타워도 바텀 타워 하나 깨졌구요 아마 탑타워는 거의 기스도 못냈을겁니다;;
13/09/18 16:46
수정 아이콘
찍소리도 못하게 그냥 빈사상태로 만들었으면 하는 경기력차이를 만들기를 바랬지만 뭐.. 현재 패치의 적응력 차이라던가 TSM의 선전이 그걸 막은 느낌은 있습니다. 이로써 TSM대 한국팀들 전적은 아마 12:0 인가로...
겜알못
13/09/18 16:47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이게 SKT대 한국팀 예를들어 프로스트얐으면 지금쯤 프로스트는 완전 발렸다고 욕먹고 있었을텐데... 외국팀이라서 그런가요;;
13/09/18 16:51
수정 아이콘
SKT가 방심 안하고 안정적으로 운영을 잘 했죠.

TSM이 글골 2천정도 벌어진 시점에서 교전으로 이득 봐가면서 잘 따라가긴 했지만 럼블이 너무 크게 망하다 보니...

그만큼 한국 lol판의 북미 무시가 극에 달했었다고 보시면 될겁니다.
아리아리해
13/09/18 16:45
수정 아이콘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스크가 코르키를 꺼낼 시점은 아마 8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5판 3선승이 아닌 3판 2선승이라 코르키로 한 경기 잡으면 상대편은 엄청 꼬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한국솔랭에서 피글렛이 코르키 하는 거 몇번 봤는데 상당히 잘했습니다. 미국에서도 삼위일체 챔프 맹연승 중이라고 하고요.
구구구구구
13/09/18 16:47
수정 아이콘
솔랭에서 잘한다는건 딱히 의미가 없죠.

'프로' 단계에서 쓸 수 있느냐가 중요합니다.
아리아리해
13/09/18 16:48
수정 아이콘
솔랭에서조차 못했다면 이런 얘기 꺼내지도 않았겠죠. 근데 쓰긴 쓸 것 같다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심동천
13/09/18 16:48
수정 아이콘
솔랭에선 프로들 어떤 챔프를 꺼내든 거진 다 잘합니다. 알렉스이치는 자기 레이팅에서도 딩거로 캐리를 하는데요. 대회에 꺼내올 수 있는 수준이랑 그냥 잘하는거랑은 매우 다릅니다.
13/09/18 16:50
수정 아이콘
솔랭이랑은 비교는 무의미 합니다. 계속 나오는 이야기지만 다데가 랭크에서 그라가스를 한판만 해보든 페이커가 2판만 했든 어쩃든 간에 프로경기 사이에 사용했던적이 있느냐 없느냐는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프로선수들이 항상 이야기 하는거지만 솔랭이랑 프로경기는 완전히 다른게임이라고 이야기를 하죠.
아리아리해
13/09/18 16:52
수정 아이콘
네 뭐 저도 솔랭과 실제 대회는 다르다는데 굉장히 동의를 하는 편입니다만 맹연습 중이라는 얘기를 들으니 들고 나오긴 들고 나올 것 같아서 하는 말이었습니다.헐헐
뜨와에므와
13/09/18 16:53
수정 아이콘
스크의 코르키 풀어주기 자체가 전략이 될수 있겠죠.

코르키에게 고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상위 라운드에서 코르키를 밴할경우

상대방의 대응은 더 골치아파질 수 있습니다.

코르키가 아닌 다른 원딜과 대결하는 모습을 감추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니까요...
XellOsisM
13/09/18 16:56
수정 아이콘
와일드터틀이 뜬금없이 던지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잘합니다.
챌린저 10위에 자기 아이디만 3개 있고, 1위 오랫동안 유지 하고 있죠.
모데카이저
13/09/18 17:02
수정 아이콘
뜬금없지만 레클레스였나 이번에 나이제한때문에 못나온 유럽의 원딜러는 어떤가요?

굉장히잘한다고 들었는데
13/09/18 17:06
수정 아이콘
프나틱에서 현재 뛰고있는 원딜러 선수도 워낚 잘하고있어서... 레클레스도 분명 좋은 선수임에는 틀림 없습니다만..
NLostPsiki
13/09/18 17:09
수정 아이콘
이번대회까지는 푸슈가 하기로 했고 시즌4에 합류한다고 들었습니다.
여전히 잘한대요 흐흐
13/09/18 17:28
수정 아이콘
IPL5의 혜성이었죠. 그 당시 TPA의 베베, WE의 웨이샤오 같은 아시아 정점급 원딜러들과 비교해도 전혀 모자람이 없었어요.
Mephisto
13/09/18 17:11
수정 아이콘
국내식 원딜러 스타일에 가장 가까운 선수입니다.
메카닉이 뛰어나고 컨트롤 중심의 경기 운영을 보여주죠.
포지셔닝은 그렇게 뛰어나보이지는 않은데 좀 컨트롤 자체가 국내 탑클라스 선수에게 뒤지지 않을 정도라 슈퍼플래이가 자주나옵니다.
13/09/18 17:18
수정 아이콘
역시 월드 챔피언쉽까지 나온 팀이라면 절대 쉽게 생각해선 안되죠.
모든 대륙의 팀들이 대부분 선전중인만큼.(리그규모나 전력이 떨어질수밖에 없는 동남아대표나 와일드카드팀 제외..)
최선을 다해서 연구하고 노력해서
롤드컵 끝까지 달려나가길 바랍니다..
한국대표 3개팀 뿐 아니라 14개팀 모두 재밌는경기 보여주길!!

- 솔직히 말하면 나진소드, SKT, Cloud9, Royal, Fnatic 화이팅!! 흐흐
불굴의토스
13/09/18 17:28
수정 아이콘
오늘 TSM 경기는 롤판에 포장이 얼마나 중요한것인가 보여준 경기라고 생각합니다.

8강진출이 힘든 외국팀들간의 별 의미없는 경기에서 사장-비서 포장을 통해 가장 재미있는 게임으로 변신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17 [LOL] 흑형 루시안 간단한 공략 (팁과 뻘소리 위주) [21] 코왕9070 13/10/08 9070 0
52415 [LOL] 해외팬들의 롤드컵 MVP 선정.. [77] Leeka11851 13/10/08 11851 0
52414 [LOL] 롤드컵이 남긴 여러 기록들 총 정리. [3] Leeka7710 13/10/08 7710 0
52413 [LOL] 신지드 e평에 대해서 짤막한 팁 [12] Arusa9885 13/10/07 9885 0
52412 [LOL] 미드 잔나를 소개합니다. [11] 미됸9271 13/10/07 9271 0
52411 [기타] 게임이 4대악에 포함되었습니다. [206] 항해자10934 13/10/07 10934 3
52410 [LOL] 3.13 패치에서 변경 예정인 챔프 리스트가 공개되었습니다. [49] Leeka9503 13/10/07 9503 0
52409 [기타] [WoW] 와우에 대해서. [127] 세이젤10576 13/10/07 10576 0
52408 [LOL] 롤드컵 해외 분석 결과와 실제 순위는 어떻게 나왔을까? [23] Leeka8483 13/10/07 8483 2
52407 [스타2] 2013년 10월 첫째주 WP 랭킹 (2013.10.6 기준) - MMA의 급상승! [2] Davi4ever6703 13/10/07 6703 0
52406 [LOL] 신지드에 대한 짤막한 팁입니다. [23] 삭제됨7491 13/10/07 7491 1
52405 [LOL] 샤이와 플레임, 누가 뛰어나냐에 대한 진지한 고찰. [96] 하얀호랑이10607 13/10/07 10607 0
52404 [LOL] 피지알 아마추어 리그 시즌3이 막을 내렸습니다. [29] anytimeTG5716 13/10/07 5716 2
52402 [기타] 콜 오브 듀티 : 고스트 프리뷰 [13] 저퀴6767 13/10/07 6767 0
52400 [LOL] 롤을 하면서 느낀 하나의 깨달음 [42] 하양유저매냐9291 13/10/07 9291 0
52399 [기타] 연봉 2억 번다는 개인방송 BJ '대도서관'을 보고 느낀 점들 [95] hanam115199 13/10/07 15199 0
52398 [LOL] 라인별 최강자는 누구인가? [167] 사유라10266 13/10/07 10266 0
52397 [LOL] 5 티모 vs 5 티모? [30] 트릴비8291 13/10/07 8291 0
52396 [기타] [스타1] 박성균 선수 해명글 올라왔네요. [21] jinsw042411233 13/10/07 11233 2
52395 [기타] MMORPG 최종컨텐츠 PvP에 대해 [49] 태랑ap7804 13/10/07 7804 0
52394 [LOL] 골드 달았습니다! [15] 이직신6219 13/10/06 6219 1
52392 [LOL] 파란만장 롤 생활의 종지부를 찍다. [28] 다리기10318 13/10/06 10318 1
52391 [LOL] 진짜로 이번 롤드컵에서 생각해 봐야 할 것들.. [73] 아이군12740 13/10/06 1274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