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9/29 16:18:43
Name Leeka
File #1 asd.jpg (37.3 KB), Download : 19
Subject LOL 월드 챔피언쉽 시즌 2 해외 팀 별 배당률


국내와 다르게.. 해외에선 축구부터 시작해서..  배팅을 공개적으로 하는 만큼..
현재 비율이 올라왔길래 가져와 봅니다.
(문제시 자삭하겠습니다..)

외국에서 보는 팀 별 기대값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면 되겠네요.



해외 사이트 기준 우승시 현재 배당률입니다. (낮은 순으로 정렬시)

Moscow Five - 3.00
Team SoloMid - 3.00
CLG.EU - 6.00
Azubu Frost - 7.00
CLG.NA - 8.00
Najin Sword - 23.0
Invictus Gaming - 23.0
Team Dignitas - 29.0
World Elite - 34.0
Taipei Assassin - 34.0
SK Gaming - 51.0
Saigon Jokers - 51.0

* TPA가 SK 보다 배당률이 낮은 이유는..  SK는 플레이오프, TPA는 8강부터 시작한다는 점이 반영되었다고 하네요..
* 얼주부가 낮은 이유도..  위와 같은 이유입니다... (M5와 TSM은 8강부터..  얼주부는 플레이오프부터.. 하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노을아래서
12/09/29 16:20
수정 아이콘
TSM이 1위라는 것이 조금 의아스럽고, 불주부가 올라왔다면 TSM자리에 불주부가 있었겠죠..?
(물론 TSM의 저력+대회성적은 인정하지만... M5와 동률은 아니라고 봅니다... 흐흐)
사티레브
12/09/29 16:22
수정 아이콘
프라임보다 프로스트가 낮다니

이건다 온게임넷 때문이다
는 농담
12/09/29 16:22
수정 아이콘
Tsm?소드한테그냥 털릴거같은데...
박초롱
12/09/29 16:22
수정 아이콘
TSM과 CLG.NA가 너무 높고 나진 소드랑 IG가 좀 많이 낮은 것 같네요.
아시아계 팀들의 전력은 많이 못 보았을테니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하지만요.
12/09/29 16:35
수정 아이콘
위에서 부터 시작함에도 배당은 높은 we와 tpa는 어쩔...
12/09/29 16:46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하는 대회라 북미팀이 약간 이득을 보긴 합니다. 올해 북미 대회는 북미팀이, 유럽대회는 유럽팀이 우승하는 경향이 있어서(참가 비율 자체의 유리함도 있었지만) sk는 롤드컵 예선 앞뒤로 성적이 들쑥날쑥이라 평가하기 애매...합니다
12/09/29 17:07
수정 아이콘
tsm이라니... 얼마전에 불주부에서 신나게 털리던거 생각하면 절대 저런 평가가 나올리가 없는데.
12/09/29 17:27
수정 아이콘
SK.........TPA...
가시덤블골짜기
12/09/29 17:52
수정 아이콘
자국에서 개최하는거라 그런지 tsm, clg prime 배당이 좀 높네요. sk는 나름 clg.eu를 꺽고 2위로 올라왔는데 사이공조커랑 동급이라니..
잭스 온 더 비치
12/09/29 17:58
수정 아이콘
전 M5 1위만 보입니다. 나믿M믿
자제좀
12/09/29 18:00
수정 아이콘
올림픽때 돈많은 영국도박사들이 생각나네요
12/09/29 18:09
수정 아이콘
저라면 m5만원걸고 소드랑 스크에 만원씩 걸겠네요 m5는 보험
12/09/29 18:11
수정 아이콘
M5 3.0
CLG.EU 6.0
FORST 7.0
IG 7.0
SWORD 7.0
SIGON 99.0
12/09/29 18:28
수정 아이콘
중국팀이 너무 저평가받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긴토키
12/09/29 18:38
수정 아이콘
미국애들 TSM 빠는거 볼만하네요 굳이한국팀아니더라도 M5한테 탈곡기마냥 탈탈 털릴텐데
12/09/29 18:41
수정 아이콘
we가 요새 멤버교체하더니 ig도 탈탈 털던데 너무 저평가가 아닌가 싶네요 8강 시드기도 한데..
루시드폴
12/09/29 18:50
수정 아이콘
나진소드 WE IG 가 저평가

TSM CLG.NA DIGNITAS Saigon jokers 는 고평가 받은거 같아요.
다반사
12/09/29 18:55
수정 아이콘
진짜 저도 m5 밖에 안보이네요 [m]
12/09/29 19:02
수정 아이콘
M5가 무난히 결승까진 갈 것 같네요.
나머지 한 쪽에 프로스트나 소드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m]
래몽래인
12/09/29 19:05
수정 아이콘
음 다들 TSM에 너무 평가가 박하네요.
불주부에게 탈탈 털릴 때에도 한타 능력이 아주 비정상적으로 좋아서
그렇게 무너져 내림에도
오히려 이 팀의 실력을 알 수 있더군요.
정말 선수들의 기본기 자체는 엄청나게 강력한 팀이구나 라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물론 레지날드는 ???

저 3.0 은 조금 과평가 되었다고 해도 충분히 그 정도 평가까지는 받을만 하다고 봅니다.
레지날드를 완전 찍어누를 만한 미드가 없는 팀들은 정말 TSM을 이기기 힘들다고 봅니다.
Legend0fProToss
12/09/29 19:18
수정 아이콘
전 반대로 레지날드 데리고는 절대 우승 못할거같은데요...
한국사람이라 그런지 몰라도 m5 프로스트 나진 셋중에 하나 우승할거같은데
진짜 저기다 돈걸라고하면 m5 프로스트 나진 이렇게 걸거같아요
그러면 m5우승하면 본전 프로스트가 우승하면 거의 두배 나진이 우승하면 대박! 인데... 어떻게 걸죠??
12/09/29 19:32
수정 아이콘
한팀에만 걸 수 있다 : m5
두팀에 걸 수 있다 : m5 + clg.eu
세팀까지 걸 수 있다 : m5 + clg.eu + 한국 1팀

이렇게 가겠습니다. 한국팀이 실력 자체는 clg에 비해 안딸린다고 보지만 조편성이 함정
12/09/29 19:58
수정 아이콘
크... 개인적으로는 m5>eu>나진>블레이즈>>>>tsm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솔직히 tsm 배당이 저렇게 낮은거는 tsm의 북미 프리미엄이라고 밖엔 생각이 안들어요.
12/09/29 20:23
수정 아이콘
TSM이 올해 북미에서 열린 대회에서는 불주부 한테 털린 것 말고는 CLG EU도 잡았었고 전부 우승이라서;; 그러려니 하지만 온라인m5 조차도 못터는데 같은 등급을 준건 약간 의문이네요 -_-;;
12/09/29 23:49
수정 아이콘
TSM 토너먼트 강자죠...M5 역시 오프라인대회에서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고 CLG NA도 요즘 좀 올라왔죠. 프로스트가 시드만 받았어도 NA보다는 높다고 보는데 조 자체도 쉽게 올라갈만한 조도 아니니...배당 자체는 이해가 되네요. 만약에 제 돈을 걸라면 나진 소드에게 걸겠습니다 크크
12/09/30 00:44
수정 아이콘
모든건 붙어봐야 아는 것 같아요. 뭐 이게 팬투표도 아니고 돈걸고 베팅하는건데 아무 근거없이 팬심으로 찍지는 않았을거고,
나름 경기분석 및 최근 자료에 근거한 각 사람들의 선택의 총합이니까요.
예상외로 프로스트나 나진소드가 광탈(;;) 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주부 프로스트의 우승을 예상합니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응원이라고 해야겠네요.
체념토스
12/09/30 01:41
수정 아이콘
전 한국씬에서 고생했고 털렸던 불쌍한 CLG.NA가 좀 좋은 성적과 이변의 대상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우승은 한국티밍..
이헌민
12/09/30 03:35
수정 아이콘
M5 vs 한국팀 결승전 봤으면 정말 소원이 없겠네요...누가우승하던
불굴의토스
12/09/30 17:04
수정 아이콘
배당은 참고로만 보시고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국제대회가 많았던 것도 아니고 윌리엄힐이나 비윈처럼 권위있는 사이트도 아닌 것 같은데..

그리고 IG같은 경우는 중국 2위와 배틀로얄,CLG NA 격파 등을 제외하면 딱히 두각을 드러낸 대회가 없기에 어쩔 수 없고요

WE가 정글,서폿 멤버교체 이후 상당히 상승세죠...IG에게 2-0 3-0 압도적 승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25763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90733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61852 13
81686 [LOL] 어둠을 뚫고 내가 돌아왔다! LCK 플레이오프 T1 vs DK 후기 [20] 하이퍼나이프5530 25/09/18 5530 1
81685 [LOL] LCK 롤드컵 시드 관련 [22] 영혼4993 25/09/18 4993 1
81684 [LOL] 김대호 코치 “이기는 게 더 상상돼서 아쉬웠다” [106] 반니스텔루이8299 25/09/18 8299 0
81683 [LOL] 어쨌든 진출 [55] roqur6522 25/09/18 6522 3
81682 [LOL] 월즈에 진출한 20명의 월즈 연속 진출 기록 정리 [9] Leeka3740 25/09/18 3740 0
81681 [LOL] 각 팀별 월즈 우승시 행복 시나리오 [22] 잘생김용현3483 25/09/18 3483 2
81680 [LOL] 티원과 딮기가 롤로파 1시드 결정전을 펼칩니다. [87] Leeka6721 25/09/18 6721 1
81679 [LOL] 노란 폭풍을 잠재우고 북벌을 향해 - LCK 플레이오프 DKvsBFX 후기 [47] 하이퍼나이프7755 25/09/17 7755 8
81677 [LOL]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아시아 인비테이셔널(ASI) 확정! [75] 본좌8119 25/09/17 8119 2
81676 [LOL] 현재 LPL 상황 [30] 포스트시즌11712 25/09/16 11712 2
81675 [오버워치] OWCS 2025 스테이지 3 3주차 리뷰 [2] Riina5086 25/09/16 5086 0
81674 [LOL] KT vs HLE 승자조 경기 결과는 어떻게 될 것인가. [99] 자유형다람쥐16537 25/09/15 16537 10
81673 [LOL] 이 와중에 LPL 상황 [22] 포스트시즌18026 25/09/14 18026 1
81672 [발로란트] T1 이겨줘.. [7] 김삼관9614 25/09/14 9614 0
81671 [LOL] [LCP] 2025 월즈에 올 베트남 팀이 결정되었습니다. [3] BitSae7242 25/09/14 7242 0
81670 [LOL] 아무것도 예상하지 마라, LCK 플레이오프 HLE vs T1 후기 [30] 하이퍼나이프11327 25/09/14 11327 4
81669 [LOL] T1 VS 한화생명 짧은 후기 (T1 부분만 김) [53] 별나그네9155 25/09/14 9155 4
81668 [뉴스] 한화 최인규 감독 "일주일 전부터 T1전 밴픽 준비했다" [18] EnergyFlow6108 25/09/14 6108 4
81667 [LOL] 2026 아시안게임 국가대표 선발로 가는 관문 : 케스파컵 커밍순 [20] 아롱이다롱이4757 25/09/14 4757 0
81666 [발로란트] VCT 챔피언스 DRX. 유럽 1시드를 2대0으로 승리 [3] 말레우스1386 25/09/14 138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