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7/10 23:19:51
Name Becker
Subject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
분명히 그랬다. 허영무의 다크템플러 견제를 전에도 확실히 본적이 있었다. 근데 그것은 김택용이 마재윤을 리버스 템플에서 찢어버리던 모습은 아니였다. 오영종이 알포인트에서 홍진호를 썰고 다닐때도, 그리고 수 많았던 프로리그의 경기에서 수많은 프로게이머들이 수많은 다크템플러로 전세를 역전하는 경기를 지켜봤지만서도(심지어 허영무 본인이 그런 적이 있었을지라도), 내가 본 허영무의 다크 견제는 그들의 느낌과는 약간은 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그런 허영무의 다크에 익숙함을 느낀, 그 묘한 느낌의 근원을 찾는데는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았다. 내가 허영무의 견제를 어떤 확실한 데자뷰라고 느끼는것은, 12년전 기욤패트리가 최초의 온게임넷 왕중왕전에서 국기봉의 드론을 썰때의 느낌이 너무나도 선명하게 들었기 때문이다. 2000년, 세기의 첫장에서 국기봉의 드론을 모두 전멸시키던 기욤의 다크템플러는 12년 뒤 허영무의 다크템플러가 되어 또 다시 믿기 힘든 승리를 안겨준 느낌이였다. 비단 그 다크뿐만이 아니였다. 4차전의 한방은 박정석의 머큐리혈투를, 이 5전제는 2002 SKY배의 4강을.... 단 하루의 다섯경기가 지난 12년간 가지고 있던 수많았던 기억을 휘젓고 다녔다.






김태형은 울었다. 글의 제목 그대로 이 형은 오락을 보다가 뭐가 그렇게 서러웠는지 엉엉 울었다. 그리고 그걸 보면서 옛날을 추억하면서 우는 사람들도 분명 있었을것이다. 오락을 보면서, 세상에 스타크래프트를 보면서 사람들이 운다. 사실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임요환도 울었고, 홍진호도 울었고, 이윤열도, 서지훈도, 김정민도, 송병구, 신대근, 김윤중, 그리고... 생각해보니 참 많이도 울었다. 아니 그깟 오락질이 뭐라고 우리는 그렇게 감정이 이입됐을까. 아버지한테 이런 얘기를 한다면, 아버지는 공감할수 있을까? 여자친구는 같이 울어줄까?






오랫동안 해온 생각이 있었다. 이 게임은 선수가 있고, 리그가 있고, 해설자와 자본이 있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세계를 사랑하는 팬들이 있었다. 그래서 나는 스타2가 출시되도, 스타3가, 4가, 아니 더 나아가 어떠한 완벽한 게임을 나오더라도 스타크래프트:브루드 워를 기반으로 한 E-Sports는 무너지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다. 스타리그는 꽤나 훌륭했고, 그 뿌리는 튼튼해보였고, 나와 많은 우리는 그것을 취미, 때로는 그 이상으로 받아들였다. 우리는 이 건장한 세계가 앞으로 계속해서 써갈 이야기와 사연들을 기쁘게 받아드릴 준비가 언제든 되어 있었다. 비록 지금은 현실에 수긍하여 떠나 보내주려하지만서도.







낭만.

오랜 세월의 스타리그를 이 단어보다 더 명확하고 선명하게 정의할수 있는 단어가 있을까? 스타리그는 그 긴 세월동안 극적이였고, 각본이 없는 드라마였고, 스포츠였고, 경연장이였고, 놀이터였으며, 우리를 웃기고 때로는 울리고... 어쩌면 그러한 스타리그의 말도 안되는 사연들 때문에 나는 그렇게 이 바닥이 영원할것이라고 믿었는지 모르겠다. 글쎄, 내 생각은 틀렸고, 스타리그는 이번 대회가 마지막이다. 더 이상 예전만큼의 애정은 없고, 그래서 스타리그를 바라보는 기분은 마치 헤어진 여자친구를 보는 마냥 예전같지 않았다. 김명운과 허영무의 저그 대 프로토스전은 브루드워 최후의 저플전이였고, 스타리그는 끝난다. 그런 덤덤함 속에서도 허영무는 다크를 썰며 과거를 회상시키고, 경기는 멋졌고, 김태형은 울고, 그 덤덤함은 마지막엔 어느새 감동이 되어, 감성에 젖은채 그 스타리그의 끝자락을 지켜보며...






허영무가, 김명운이, 엄전김이, 온게임넷이, 팬들이, 그리고 스타리그가...

또 다시 한 번, 낭만을 증명했다.










2012년 7월 10일

tving 스타리그 4강 A조

허영무 승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2/07/10 23:21
수정 아이콘
베커님에게 글쓰게 만든 경기
고마울뿐
이것봐라
12/07/10 23:22
수정 아이콘
'낭만을 증명했다...'


여운이 오래남을 것 같은 한마디네요.
피피타
12/07/10 23:23
수정 아이콘
정말 스타리그에는 낭만이 있어요..흑흑
권유리
12/07/10 23:24
수정 아이콘
좋은글입니다 .
오늘 경기도 최고였구요..
예전에 많은 경기들이 생각나는 경기였습니다.

다만 마xx는 지워주시거나 xx처리해주셨으면 ..
글의 퀄리티를 떨어뜨린다고 생각합니다.
국산꿀
12/07/10 23:26
수정 아이콘
진짜 낭만이네요..
스팀팩 맞은 시
12/07/10 23:28
수정 아이콘
저도 다섯 게임 보면서 십년 넘는 시간들이 생각이 나네요
airnoids
12/07/10 23:29
수정 아이콘
13년 동안 우리가 즐겁게 들었던 낭만의 노래였네요.
폴라리스 랩소디에서 휘리가 하던 말이 갑자기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아무리 긴 노래라도 시작과 끝은 짧고, 시작과 끝이야말로 놀라운 기적. 중간이라는 건 시시할 뿐이다.'
하지만 지금 돌아보면 시시했던 때는 별로 생각나질 않네요.
눈물도 나지만, 그래도 웃으며 즐겨야죠.
흑백수
12/07/10 23:30
수정 아이콘
낭만의 시대는 끝났다고 한 적이 있었는 데, 스타리그의 마지막에 다시 낭만이 흐르네요.
12/07/10 23:34
수정 아이콘
김캐리 울떄는 정말... 하아..
은하관제
12/07/10 23:35
수정 아이콘
정말... 낭만이란 말이 가슴에 확 와닿네요.
DarkSide
12/07/10 23:48
수정 아이콘
낭만을 증명한 스타리그와 허영무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표합니다.

고마워 허영무. 다시금 그 감동과 낭만을 느끼게 해줘서 ...
지나가다...
12/07/10 23:55
수정 아이콘
이제 곧 모든 전투가 끝나고 중간계의 마지막 배가 떠나는 날이 오겠지요.

물론 이것이 끝이 아니라 새 시대의 시작임은 알지만, 그래도 옛 시대의 낭만을 잊지는 못할 겁니다.
바다밑
12/07/10 23:55
수정 아이콘
글좋네요 잘읽었습니다
Abrasax_ :D
12/07/11 00:03
수정 아이콘
슬프네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모두가 끝이니 마지막이니 말하면 화 내고 그랬는데.
정말로 끝이니까요... 참, 뭐라고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너무 많은 시간을 스타와 함께 보내와서요.

허나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는 법이겠지요.
과도기에 있는 스타 2로의 전환이 잘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12/07/11 00:16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는 낭만이라는 말, 정말 공감이 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영웅과몽상가
12/07/11 02:03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의 낭만이 여기서 끝이라니 너무 아쉽습니다.
몽키.D.루피
12/07/11 06:11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는 이스포츠의 클래식이라고 자부합니다.
lupin188
12/07/11 12:11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의 낭만이 끝나듯이 저의 청춘도 지나가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6373 [LOL] 프나틱 후니선수를 응원합니다. [21] Becker8963 15/02/27 8963 6
56297 [LOL] GE vs SKT 리뷰 - 내가 게임을 보는 이유 [22] Becker8201 15/02/15 8201 16
56273 [LOL] SKT vs GE 프리뷰 - SKT의 밴픽 중심으로 [97] Becker11826 15/02/13 11826 16
56204 [LOL] GE 타이거즈의 활약이 반가운 이유 [24] Becker6435 15/02/04 6435 12
56188 [LOL] 북미소식 - 칼리스타 탑티어 등극, 임팩트-피글렛 데뷔전 패배 + 피글렛 소식추가 [44] Becker12719 15/02/01 12719 2
56092 [LOL] CJ vs 나진 3경기 리뷰 [22] Becker7759 15/01/21 7759 5
56048 [LOL] 분당 골드 획득량으로 평가해본 2014시즌 [17] Becker8760 15/01/16 8760 25
55906 [기타] [스타1] 당신은 이윤열을 아는가? [48] Becker8275 14/12/22 8275 22
55231 [LOL] 삼성 블루 vs LMQ - 데프트는 얼마나 하드캐리를 했나 [19] Becker9522 14/09/27 9522 3
55229 [LOL] 삼성 블루 vs 프나틱 박스 스코어 & 각종 기록 [14] Becker6082 14/09/27 6082 0
55217 [LOL] 싱가포르 예선, 1일차 박스 스코어 및 주요기록 [7] Becker6053 14/09/26 6053 4
55204 [LOL] 롤을 바라보는 새로운 지표 - 공격지수를 소개합니다. [40] Becker7801 14/09/24 7801 28
55190 [LOL] 대만 예선, 기록으로 보는 10가지 분석들 [53] Becker11044 14/09/22 11044 56
55180 [LOL] 롤드컵 기록차트를 공유합니다. [13] Becker5177 14/09/21 5177 5
55079 [LOL] 롤드컵의 조추첨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29] Becker7160 14/09/09 7160 1
55020 [LOL] TSM, C9이 롤드컵에 진출했습니다. [45] Becker8371 14/08/31 8371 0
54727 [LOL] 키플레이어들로 보는 삼성 화이트 vs SKT T1 예상 [25] Becker8803 14/07/22 8803 3
54713 [LOL] 몇가지 스탯으로 알아보는 썸머 롤챔스 16강 [22] Becker7436 14/07/21 7436 25
54696 [LOL] 라이너의 공격 활약도 수치화하기 [내용추가] [30] Becker7481 14/07/19 7481 27
54676 [LOL] 원딜러의 실력 수치화하기 [69] Becker16650 14/07/17 16650 85
53149 [LOL] 매라와 엠비션, 사활을 걸다 [35] Becker12699 14/01/04 12699 39
47820 이영호 vs 정명훈, 최후의 테란 [64] Becker9990 12/07/17 9990 61
47741 스타리그, 낭만을 증명하다. [25] Becker7820 12/07/10 7820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