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4/27 15:58:31
Name RPG Launcher
Subject 5월 2일에 진행될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을 바라보며...
http://www.thisisgame.com/board/view.php?category=13438&id=1169416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24231&db=issue&cate=&page=1&field=&kwrd=

블리자드가 주최하여 블리자드 - 곰TV - 온게임넷 - 케스파가 한자리에 모인 E-Sports 비전 선포식이 5월 2일 날 진행된다는 기사가 어제 올라왔습니다. 일단 4개의 단체가 한자리에 모였다는 것만으로도 뜻깊고 의의가 있는 모임이라고 얘기하고 싶은데 과연 그동안 스2의 여러가지 문제에 대해서 논의된 사항의 결론이 도출되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기대가 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날 또 이상한게 튀어나오는 것은 아닐지 걱정이 되기도 합니다. (이게 다 누구 때문이다?)

아무래도 케스파가 스1을 가지고 각종 병크 및 막장 행태를 보였던 때와는 달리 스2에 있어서는 블리자드가 확실히 갑의 위치에 있고 우위에 서 있습니다. 스1 때와는 다르게 스2 때는 블리자드가 케스파에게 보다 확실하게 견제를 할 수 있고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점이 달라진 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블리자드가 이번 행사를 주최하는 것도 별로 이상할 정도는 아니죠.

부디 이번 모임이 스2계에 좀 더 발전적인 계기가 될 수 있는 모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팬과 유저들의 의견에 좀 더 귀기울일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되었으면 하구요. (블리자드는 정말 적어도 밸런스 문제에 있어서는 문제점을 몰라서 그러는 건지. 정말 일부러 그러는 건지 융통성이 없고 좀 답답한 구석이 있는게 사실입니다. 데이비드 킴만 그런 줄 알았는데 반반쓰 서명덕 선수가 전체 인구수를 250으로 늘려달라고 했더니 크리스 시거티가 그러면 경기 시간만 더 늘어나고 늘어진다고 시크하게 무시한 일화도 있을 정도이니까요.)

이것이 바로 그 예죠.

(반반쓰  (2012-04-26 15:23:55)  
작년 말에 팀 당 2명씩 게이머들을 초청해서 크리스 시거티씨와 면담을 가진적이 있었습니다
저도 참석해서 밸런스와 확장팩에 대한 얘기를 나눴었고 제가 인구수 제한을 늘리면 어떠냐고 질문했었는데
그렇게되면 지금의 중 소규모 교전 이후의 200까지 채우고 한방 위주의 전투가 인구가 더 늘어난 만큼의 시간이 지나고 일어나게 되어서 게임 시간만 더 늘어나기 때문에 늘리지 않겠다고 하더군요
그 당시엔 깊게 생각해보지 못해서 적절한 반박을 하지 못하고 그냥 저렇게 생각하는구나 정도로 받아들였는데
지금 다시 면담 할 기회가 온다면 인구수 제한을 늘리는 것에 대한 더 긍정적인 논리들을 말할 수 있을텐데 그런 기회가 안오네요 -_-;)

그러니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도 블리자드도 케스파도 유저들의 의견에 좀 더 귀기울여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는 않습니다. 케스파의 팬들 무시하는 막장 행태야 워낙 유명해서 입에 다 담기도 힘들 정도이니까요.

제가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에 기대하는 것도 과연 4개의 단체에서 스2에 관련된 여러가지 산적한 문제들에 대한 논의가 어떤식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는지. 대회를 어떤 식으로 이끌어갈 것인지 앞으로 팬들이 기대할 만한 어떤 깜짝 소식을 발표할 것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저는 일시적인 온게임넷에서 스타2리그를 1,2 시즌 폐쇄적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은 아니지만 그 이상 폐쇄적으로 운영하면 분명히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스1 선수들의 스2 실력을 정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시간인 1,2 시즌만 폐쇄적으로 운영하고 그 이후에는 완전히 개방을 했으면 합니다. 하지만 저는 처음부터 개방적으로 리그를 운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입니다.

그러니까 결론을 말하자면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이 5월 2일에 열리기 이전에

1. 온게임넷에서 진행하는 스타2리그에 GSL에 진출한 선수들이나 스2 게임단 선수들, 무소속 게이머가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가
2. 온게임넷에서 진행하는 스2 프로리그와 곰TV에서 진행하는 GSTL은 따로 운영될 것인가
3. 스2 게이머로 활동하고 있는 선수들을 프로게이머 자격증이 없더라도 프로게이머로 인정을 해줄 수 있는가
4. 만약 온게임넷과 케스파에서 스타2리그를 일시적으로 폐쇄적으로 운영한다면 언제부터 개방적으로 대회를 열 것인가

이런 굵직굵직한 현안 및 사안들이 4개의 단체간에 서로 합의와 결론이 도출이 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 이런 사안들이 합의와 결론을 맺지 못했다면 백날 이런거 해봤자 도루묵이고 소용없다고 생각하거든요. 부디 이런 문제들이 다 합의를 보고 결론을 맺은 상황에서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이 진행되는 것이기를 바랍니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선수협 구성을 상당히 안좋게 생각하는 케스파가 선수들끼리 모여서 서로간에 작당한다고 스1 프로게임단에 소속된 프로게이머들이 친선 축구 하는 것도 막았다고 하던데 이런 썩은 관행도 좀 뿌리뽑고 FA 제도도 좀 손보고 뭔가 조금이라도 변화될 수 있는 그런 E-Sports 비전 선포식이 되었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루엣게임
12/04/27 17:09
수정 아이콘
저는 저런 합의가 미리 이루어질 것 같지 않고, 기대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만약 그런게 먼저 나왔다면 선포식이 아니라 합의문 발표를 했겠죠. 저런 모임이 열린다는 건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는 상황에서" "서로 협력하고 있다는 어필을 하기 위해"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죠. 저 모임 이후 어느정도 성과가 날 가능성도 없진 않지만, 미리 합의가 난 것 같지는 않네요.
그건 그렇고 친선 축구를 막았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는데, 확실한건가요? 며칠 전에 몇몇 프로게임단끼리 친선 축구해서 누가 몇골 넣었니 하는 이야기가 트윗 상에서 막 돌고 그랬는데..
피로링
12/04/27 17:16
수정 아이콘
아 그나저나 mlg에 스1 선수들 참가할수도 있다는 얘기가 솔솔 들리더군요.
꼽사리
12/04/27 18:07
수정 아이콘
정말 쓸때없는 이야긴데 5/2일이 제 생일입니다.. 좋게 진행되면좋겠네요 꺼이꺼이
12/04/27 18:46
수정 아이콘
포모스 기사보니까 스타1, 스타2 선수들과 감독들이 모두 참여한다고 합니다. 스타1 선수와 스타2 선수가 만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인데 어떻게 될지도 궁금합니다.
작업의정석
12/04/27 21:29
수정 아이콘
스2 비전 선포식?? 뭐 아무튼 서로 잘됐으면 하고 생각해보면 중계권 사태부터 꼬였는데 길었던 여정이 마무리 되었으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329 [기타] 카트라이더 리그 결승전 이야기 [15] 신불해11779 19/03/28 11779 41
64770 [히어로즈] 진지한 고찰 [30] 인생은서른부터7265 18/12/18 7265 2
56128 [기타] K리그가 재미없는 이유와 이스포츠가 더욱 재밌어지는 방법 [18] Alan_Baxter8078 15/01/25 8078 3
53159 [기타] [스타1] 테테전 보기 좋은 날! [43] 한니발13980 14/01/05 13980 22
53092 [기타] [스타1] Pgr21BroodwarStarleague 4강 공지 [15] 유자7778 13/12/22 7778 2
53041 [기타] [스타1] BJ.Number배 PBS 8강 공지 [18] 옆집백수총각5711 13/12/15 5711 2
52604 [기타] [철권] 태그2 언리미티드 2013 대회 다녀왔습니다. [7] 모커리6299 13/10/27 6299 3
49205 블리자드 코리아, 2012 G-STAR 인비테이셔널 & 커뮤니티 파티 개최 [14] kimbilly7341 12/11/05 7341 0
49086 LOL Champions Winter 오프라인 예선, CJ Entus vs NaB #1 [176] 키토7044 12/10/25 7044 0
48258 [WOT] 현재 월드오브탱크 WCG 대표선발전 중입니다. [2] 김티모4375 12/08/18 4375 0
48182 롤러와(나이스게임TV LOL뒷담화) 제2화 #3 [73] 키토5107 12/08/11 5107 0
48180 롤러와(나이스게임TV LOL뒷담화) 제2화 #2 [449] 키토6169 12/08/10 6169 0
48178 롤러와(나이스게임TV LOL뒷담화) 제2화 [313] 키토6565 12/08/10 6565 2
47796 LOL Summer 리그 중간 집계 - 픽밴과 대세 챔피언 [34] The_Blues9324 12/07/14 9324 9
47330 [LOL] The 2nd NVIDIA Game Tournament 참가 접수 마감 임박 [4] Fix_me4537 12/06/04 4537 1
47020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2 - 미디어데이 (+ 사진) [149] kimbilly11101 12/05/10 11101 0
46928 [LOL] 누가 그들을 마이너라 하는가 (NLB 8강 Review A조) [17] 강동원9640 12/04/29 9640 4
46911 5월 2일에 진행될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을 바라보며... [7] RPG Launcher5764 12/04/27 5764 0
46667 반상위의 돌부처 - 2 - [14] fd테란7062 12/03/28 7062 22
46521 lol 경기양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 [98] 마빠이9126 12/03/08 9126 0
45426 25 게이트 & 7넥, 온게임넷 갭스의 버그 [17] ArcanumToss8417 11/08/27 8417 0
44562 결승에 앞서, 이번 시즌 필자가 생각한 테저전. [12] §최종병기§7266 11/06/05 7266 2
44280 MSL에 바라는 점 몇가지 [21] 빵pro점쟁이6860 11/04/18 68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