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2/03/08 14:58:32
Name 에어로
Subject LoL의 장르명은 과연 무엇인가? dota-like? AOS?
게임뉴스 게시판에 lol류 게임의 장르명에 대한 기사가 올라온 것을 보고 생각나서 써봅니다.

lol열풍은 동류게임들을 당당히 독립된 게임장르로 격상시켜 주었습니다.. 그저 워크래프트3의 유즈맵세팅 게임에 불과했던 것이 독립게임이 되었고 이어 독립장르로까지 발전하게 된 것이지요. 허나 아직도 완전한 합의를 이끌어 낸 공식적인 장르명이 없어 AOS, 도타류, lol류 등 여러가지로 불리며 논쟁의 대상이 되곤 합니다. 이 글에서는 어떤 장르명이 옳다! 라는 주장이나 어떤 장르명을 씁시다! 같은 독려의 목적까지는 아니고, 내 생각엔 상황이 이래이래하고 앞으로 저래저래 될 듯 시포요 정도의 이야기이니 부담없이 보십시다.


AOS(Aeon of Strife):
그 옛날 스타1 유즈맵 게임 중 Aeon of Strife라고 있었습니다. 굳이 해석하자면 ‘영원한 전쟁’, ‘투쟁의 역사’ 쯤 되는 것 같은데 사실 해본 사람도 거의 없는 비주류 유즈맵이었죠. Dota의 개발자가 Aeon of Strife라는 스타 유즈맵에서 영감을 얻었다라는 언급 때문에 AOS가 장르명 중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죠.

네오플이라는 국내 개발사에서 출시한 fps게임 중 ‘사이퍼즈’라고 있습니다. AOS에서 공성전 요소를 차용한 액션성 강한 fps게임인데요, 개발사가 보도자료와 카피로 AOS라는 장르명을 밀면서 국내미디어에서 자주 통용되는 장르명이 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유저들 사이에서는 장르명으로는 AOS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사실 사이퍼즈를 AOS로 분류하기엔 거리가 좀 있습니다).
그런데, AOS라는 장르명에 대해서 ‘해외에선 아무도 안쓰는 말 한국에서만 쓴다. 무식하고 쪽팔린다’ 라는 말들 자주 보입니다. 심지어 게임웹진에서도 그것이 사실인양 언급해 버려서 이를 철석같이 믿고 + 얄팍한 북미부심에 AOS라는 말만 보이면 그거 틀렸다고 계몽하려 드는 사람들이 꽤 있는데, 사실 해외에서도 써요. 해외보단 국내에서 더 많이 불리는 건 사실이지만 해외에서도 분명 AOS라는 장르명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구글english에서 "aos genre"로 검색하면 17000건 검색됩니다.

여하튼 dota탄생에 모티브를 제공했을 뿐 일개 비주류 유즈맵이 장르를 대표할 수는 없다는 반발은 꽤 있습니다. 스트리트 파이터가 고전 아케이드 게임 가라데의 영향을 받았으니 대전격투는 GRD로 불러야 하냐? 라는 저항감이겠죠. 국내 한정으로는 앞으로 AOS가 장르명으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으나 세계적으로는 그다지 높지 않다고 보이네요.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lol의 개발사인 RiotGames에서 밀고있는 장르명... 임에 비해서는 호응이 없는 편입니다. '다중접속 투기장' 정도로 해석되는데, 장르의 특성을 한정하기엔 너무 광의의 표현이기에 장르명으로서 적합치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팀플레이
* 공성전의 형태
* npc와 협력하여 PC 1개체를 제어
* PC의 성장은 영속성을 지니지 않음(판마다 리셋)
* 일부 계정의 성장을 인정하기도(lol의 룬 시스템 등)

뭐 굳이 이 장르의 고유성을 정의하자면 이 정도가 될텐데, 사실 ‘생산과 보급의 개념이 삭제되고 영웅 유닛 1기만 컨트롤하여 성장시키는 RTS’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고 잘 와닿지 않나 싶습니다. 태생 자체가 독자적이지 않고 RTS에서 분화되어 나온 케이스이기 때문에, 이 장르의 고유성보다는 RTS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는 쪽이 더 명쾌한 정의가 되지 않을까 해요.


ARTS(Action RealTime Strategy):
dota2 출시예정인 밸브사에서 밀고있는 장르명입니다. 이니셜이 제법 모양새가 좋다는 장점이 있네요. 하지만 생산과 보급의 개념이 제거되고 PC 1기의 성장과 국지전투에 집중하고 있다는 장르의 특성이 Strategy(전략)이 아닌 Tactic(전술)에 훨씬 가깝기에 반감을 살만한 요소가 있습니다. 현재 장르의 패권을 틀어쥔 Riot에서 밀고 있는 MOBA조차도 유저들에겐 시큰둥한 걸 감안하면 밸브의 dota2가 lol의 왕좌를 빼앗는다고 해도 ARTS가 장르명으로 굳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봅니다.


Dota-like(Defence of the Ancients-like):
도타류. 세계적으로는 가장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고 밸브에서 dota2, 블리자드에서 '블리자드dota'라는 타이틀을 사용할 정도로 무게감있는 장르명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장기적으로 볼 때 장르명으로 고착화될 가능성은 높지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dota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장르대표성이 높았던 스트리트파이터2의 경우를 보면, 초기에는 동장르 게임들을 '스파2 같은 게임 = 스파2류' 라고 부르다가 결국 대전격투라는 확고한 장르명이 탄생하게 되었죠. FPS 역시 장르명이 보편화되기 전엔 'doom류 게임'이라고 불렸던 과거가 있습니다. 결국 dota-like라는 장르명은 결국 '스파2류, doom류'가 '대전격투, FPS'가 되었던 것처럼 특정 타이틀에 기댄 것이 아닌 좀 더 대표성 강한 개념어를 원하는 대중의 요구에 의해 소멸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지요.

인류 최초의 과일을 사과라고 가정하면, 아마 '과일'보다 '사과'라는 어휘가 먼저 만들어졌겠죠? 그후 인류는 여러 과일들을 접하게 되면서 그것을 '꼭 사과같이 나무에서 열리면서 달고 쥬시한 거. 근데 당근 시금치하고는 좀 다른 거'라는 표현에 불편함을 느끼고 그것들을 범주화하여 총칭할만한 표현의 필요성을 느꼈을 겁니다. 그 과정을 거쳐 결국 '과일'이라는 간단명료한 어휘로 대체됐겠지요? '도타 같은 거' 라는 의미의 장르명 dota-like도 같은 수순을 밟게 되리라 개인적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액션, 스릴러, 멜로, 코미디' 같은 영화장르명이나 '액션, RPG, RTS, FPS, 시뮬레이션, 퍼즐' 등 대표적인 게임장르명 중 특정 인기 타이틀에 의존하는 장르명이 역사적으로 없었다는 선례도 제가 dota-like 장르명의 소멸을 생각하게 된 근거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물론 '성룡영화 / roguelike장르' 같은 케이스도 있지만 이미 합의된 범주 안에서 디테일한 구분일 뿐이므로 반례가 되기는 힘들다고 보구요. 또 하나, 개발사에서 MOBA, ARTS 등 다소 무리수를 두어 가면서도 dota라는 타이틀을 쓸지언정 장르명으로는 dota를 쓰고 싶지 않아하는 성향도 dota-like가 공식 장르명이 되는데 걸림돌이 될 거라 보구요.

참고로 밸브에서 dota를 상표권 등록한 후 블리자드에서는 맹비난과 함께 미 특허청에 이의 취소신청을 내놓은 상태입니다. dota라는 타이틀 자체가 자사 게임 워3의 유즈맵이고, 약관 상 모든 유즈맵의 저작권이 자사에 속해있다는 주장인데... 명분 자체는 블리자드 쪽이 훨씬 강해보이는데 판결이 어떻게 날지 꽤 궁금하네요.


그래서 결론이 뭐냐. 뭐 이거저거 다 안될 거 같다는데 그럼 뭐가 장르명이 된다는 소리냐? 글쎄요... 국내에서 만큼은 타당성은 차치하고 일단 AOS가 될 거라 예상합니다만 세계적으로는 뭐가 될지 그걸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현재는 dota-like(도타류)가 세계적으로는 가장 보편적인 장르명이지만 아페로도 께속 그러리라고 보지는 않습니다. 무책임한 결론이지만 그래서 무엇이 장르명이 될지는 아직 짐작이 어렵네요.
굳이 꼽아야 한다면 aos나 dota처럼 특정 타이틀에 의존하는 것도 아닌, moba나 arts처럼 개발사의 의도에 의해 인위적으로 미는 것도 아닌, 그저 장르 자체의 특성을 가장 덤덤하게 표현하는 무난한 제3의 용어가 최종적으로는 살아남게 되지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요. doom 등장 이후 FPS라는 장르명이 공식화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생각하면 장르명의 고착화는 꽤 시간이 걸릴지도 모르겠네요.

뭐가 됐든 지금의 FPS와 TPS의 관계처럼, 같은 원류에서 분화된 장르라는 동등한 무게로서 RTS와 이 장르명이 위치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덧. 본문 안읽고 제목만 보고 '외국에선 AOS라는 말 아무도 안써요' 라는 한줄짜리 리플 다는 분이 계실까봐 말미에 다시 언급합니다요. 대세까지는 아니어도 해외에서도 AOS라는 장르명 분명히 쓰고 있습니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원추리
12/03/08 15:11
수정 아이콘
깨알같은 아페로도 께속
12/03/08 15:11
수정 아이콘
MOBA란 명칭은 우선 표현 자체가 그리 좋지 않은 듯 싶더군요. DotA2의 ARTS도 나름대로 괜찮은 표현이라고 봅니다. AOS의 경우에는 대중적인 인지도는 생겼는데, 명칭 자체가 게임의 특성을 설명해줄 수 있는게 아니라서 부적절한 명칭이라고 보고 있습니다.(그렇다고 Dota처럼 대중적인 게임도 아니었고요.) 아무래도 모든 개발사가 하나의 명칭으로 통일해서 주구장창 이야기하지 않는 이상, 장르명은 DotA like로 계속 표현되리라 봅니다.

다만 변수는 DotA 장르의 게임이 계속해서 개발될지는 좀 의문이더군요. 이제 곧 나올 게임들 선에서 더는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DotA like란 명칭으로 굳혀지지도 않을까 싶습니다. 대신 약간의 틀만 빌린 채로 기존 게임들과 많이 다른 양상의 게임들이 나올 경우에는 이를 포괄하기 위해서 나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면 사이퍼즈 같은 게임이 계속해서 만들어진다면 말이죠.
12/03/08 15:38
수정 아이콘
같은 게임을 부르는 용어만 바꿔 사용하는 기분이죠.

그냥 지금처럼 해외는 dota-like 우리는 AOS라고 부르면 되지 않을까요??
화잇밀크러버
12/03/08 15:40
수정 아이콘
장르야 이름 붙이기 나름으로 넘어간지가 꽤 된 것 같네요.
요새 게임들 보면 장르 이름이 게임명보다 더 거창하더라구요. 하하.
어차피 다 말은 통하니까 자기 부르기 편한대로 부르면 될 것 같은데 꼭 자기가 쓰는 단어를 쓰라고 트집잡는 분들이 있어서 문제죠.
얘들 말하는거 들어보면 롤은 카오스같은 겁니다. 흐흐.
에어로
12/03/08 15:57
수정 아이콘
최근 게임 중에는 킹덤언더파이어2가 되게 거창하죠.
그들이 표방하는 장르명이 MMOARTS입니다. '다중접속 온라인 액션 실시간 전략게임' 인 것이지요.
헌데 아무도 그런 말 안씁니다. 그거? 마영전 같이 morpg같은 건데 스타처럼 부대지정도 좀 됨. 이러고 말겠죠 흐흐
moba나 arts처럼 자기들이 그렇게 불러달라고 해도 공감을 못얻으면 말짱 황인듯 하네요.

이 정도 대세게임인 lol조차 어떤 '공식적인' 장르명을 획득하지 못하는 걸 보면 새 장르명의 정착에는 생각보다 꽤 긴 시간이 필요한듯 합니다.
doom 등장 이후 FPS라는 장르명이 합의를 이루어 공식화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생각하면~
12/03/08 15:4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몰랐는데 ARTS 라는 표현이 참 와닿네요. ('아츠' 라고 읽을수도 있는데 그것보다 '에이알티에스' 라고 읽는게 느낌이 더 좋군요)
Dota2 의 성공여부과는 별개로 장르 이름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롤만 할꺼라능)
김연아이유리
12/03/08 15:55
수정 아이콘
Tactical Realtime Team Battle

이 글 읽어내려가면서 순간적으로 만들어낸 따끈따끈한 작명입니다. TRTB.

LOL,도타, 카오스 이런 게임들의 가장 핵심적 3대요소가 전술,리얼타임,팀전 이라고생각해서 그냥 이어붙였습니다.

사실 충분히 환경이 무르익으면 자연스럽게 쟝르명이 결정될것이라 생각되서 별로 고민되진 않습니다.

다만 LOL이 파죽지세이긴 하지만, 카오스에 옛 정이 많아서 카오스온라인이 성공했으면 하는 바램은 있네요.
12/03/08 16:07
수정 아이콘
저는 카오스에서 핵심이 < (조합/오더등에 의한) 팀플 | (필드에서 벌어지는) 한타(교전) | 테러> 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인지 Tactical Team Battle이란 표현이 참 괜찮은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Ream time보다는 Siege를 써서 TSTB를.)
김연아이유리
12/03/08 16:37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요즘은 Realtime 게임인게 거의 당연해서 쟝르명에 Realtime 수식어가 빠져도 될듯해요. 그냥 TTB로..
RTS,FPS,RPG 다 자음만 세글자인데, 이것도 자음만 세글자.
포프의대모험
12/03/08 16:04
수정 아이콘
도타가 워크유즈맵에서 파생되었기때문에 rts라는 말도 나오는거같은데 도타를 등장시키게 한 '성장하고 아이템을 가진 영웅'이라는 개념이 rts에 rpg를 접목시키기 위해 태어났다는걸 생각하면 strategy 보단 Role에 중점을 둬야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호랑이기운
12/03/08 16:15
수정 아이콘
ARTS를 아츠나 에이알티에스가 아니라 액션 RTS로 받아들이면 되지 않을까요?
ARPG가 액션 RPG인것 처럼요.
머라이어캐리건
12/03/08 16:49
수정 아이콘
뜬금없지만 사이퍼즈는 시점면에서 본다면 FPS가 아니라 TPS 입니다 흐흐
12/03/08 17:43
수정 아이콘
솔직히 aos라는 명칭은 좀 억지 같은 면이 있긴합니다. 너무 뜬금없지요.
버틸수가없다
12/03/08 18:05
수정 아이콘
MCG: Mental Collapse Game
12/03/08 19:02
수정 아이콘
그런데 롤 같은 게임에서 (막상 이럴때 장르 호칭이 아쉽군요 크크) Strategy 개념이 사라졌나요?
픽밴 등에서 전략개념이 묻어있는 것 같은데...
RTS 에서 전략은 투햇, 전술은 뮤짤이라고 볼 수 있다면
ARTS 에서는 픽밴은 전략, 한타는 전술. 이렇게 볼 수 있지 않을지.
(ARTS 이거 머릿속에 남네요. 딴거보다 RTS 에서 파생되어 나와서 기억이 잘된다는게 좋군요. 실제로 RTS 에서 나오기도 했고.)
미카에르
12/03/08 20:05
수정 아이콘
롤은 그냥 롤일 뿐이죠 룬시스템과 특성스킬에서부터 일단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에어로
12/03/08 20:09
수정 아이콘
사과와 포도도 엄청난 차이가 나지만 그것들을 범주화할 '과일'이라는 어휘가 결국 생겨났죠.
게임 영화 음악을 막론하고 기존 장르 어느장르에도 끼워넣기 힘든 독특한 그 무엇도 결국엔 범주화하는 어휘가 등장하기 마련이었고
게다가 lol의 룬과 스킬시스템 정도는 '탈장르 수준의 엄청난 차이'라고 부르기엔 한없이 미미한 존재죠.
Smirnoff
12/03/08 23:51
수정 아이콘
전 그냥 DOTA류 라고 부릅니다. AOS라고 다른 사람이 얘기하면 알아듣긴 하는데 누군가가 '왜 AOS인가?' 라고 물어보면 설명할 자신이 전혀 없네요. 스1의 원작 맵을 들어본 적도 LOL을 알기 전까지는 단 한번도 없었고.....
허저비
12/03/09 17:59
수정 아이콘
게임뉴스 게시판 보니까 행안부가 정해줬네요
LOL은 MMORPG였습니다. 논란에 종지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518 [LOL] 오늘 패치 내역 [38] kapH8472 12/09/05 8472 0
48002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1.5.0 패치 전 꼭 확인해 보세요! [1] kimbilly6159 12/07/28 6159 0
47948 추억 [25] 공룡7686 12/07/24 7686 18
47711 세계격투게임 대회 EVO 종료! (한국 3개 종목 우승) [30] 내겐오로지원5889 12/07/09 5889 0
47581 게임인생 30년 동안 가장 재미있었던 게임... [147] 그리메12615 12/06/26 12615 0
47334 스타크래프트2: 자유의 날개 - 패치 1.5.0 아케이드 베타 시작 [14] kimbilly6576 12/06/04 6576 0
47077 프로리그 병행에 맞추어 스2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한...스2 기초글 (10, 완결) [21] 캐리어가모함한다9420 12/05/16 9420 5
46781 대전격투게임의 스타일리스트들 [10] Man6135 12/04/09 6135 1
46561 게임 속의 한국인 캐릭터들 [37] 눈시BBver.211946 12/03/17 11946 3
46519 LoL의 장르명은 과연 무엇인가? dota-like? AOS? [28] 에어로6483 12/03/08 6483 1
46100 EVO 2K12 일정과 종목이 확정되었습니다. [19] 5151 12/01/05 5151 0
45812 G-STAR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Chris Sigaty 인터뷰 [5] kimbilly4897 11/11/12 4897 0
45778 콜 오브 듀티 - 모던 워페어 3 발매 전 몇가지 정보 [20] kapH6479 11/11/01 6479 0
45734 블리자드 도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9] polt7996 11/10/23 7996 0
45721 BlizzCon 2011 현장 취재 - 스타크래프트2 : 군단의 심장, 소개문 + FAQ [3] kimbilly5475 11/10/22 5475 0
45718 생각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가고 있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2와 아케이드 시장 [21] 히소카9225 11/10/22 9225 0
45437 GSL. Game of the week. 0822~0828 [9] Lainworks6112 11/08/28 6112 1
43917 2011년2월13일1시 테켄크래쉬결승생방. [32] Ringring6206 11/02/09 6206 2
43185 10년만에 스타를 꺼내다 [7] 질롯의힘6316 10/10/09 6316 2
43050 2010 투극 철권 부문 시작합니다 [87] 6285 10/09/18 6285 0
43028 본격 스타2와 프로게이머 ↑→↓ [12] 하심군7256 10/09/17 7256 0
42907 소박한 나의 스타 입문기 [5] 쎌라비5133 10/09/11 5133 0
42204 철권 크래쉬 본격적인 도전장 날리나요? 날리나요? 날리면.. [20] 빵pro점쟁이5138 10/07/13 513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