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9/05 11:14:37
Name 로베르트
Subject 드림팀떡밥
1.언제부터 이 이야기가 나온건가?


포모스기사 2011년8월29일



시티신문기사 2011년9월1일


화승오즈 해체직후 이러한 드림팀떡밥은 나왔지만 실질적으로 드림팀에 대한 준비는 적어도 2달전부터 이루어졌을거라고 보여집니다.
(위메이드 올해초 게임단 운영 포기확정 화승 엠겜은 6월부터 루머가 돌기 시작했으니 5월즈음엔 케스파에게 통보했다고 봐야겠죠.)
현재 상황에선 기업에게 인수제안을 하였지만 거절당했고 케스파에서 위탁운영하는 방안도 힘들다는 기사가 나온걸보면 드림팀준비도 상당한 난관에 봉착해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2.왜 난관에 봉착했는가?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기사에도 나와있듯이 게임방송사인 MBC GAME이 내년이후로 채널전환가능성이 높은 만큼 게임단운영의 주요목적인 홍보라는 측면에서 팀감소+방송국1개증발로 인해 경기수의 대폭감소로 종전보다 절반 가량 낮아진 홍보기회와 예전만 못한 스타판 인기를 생각해보자면 기업들에겐 매력적이지 못한 시장인것은 사실이죠.
더군다나 현재 온게임넷에게 종전과 같은 주5일제를 요구할수 있냐고 한다면.....그 부분에 대해서도 확신할순 없습니다.이전같은 개인리그 보이콧카드는 더 이상 온게임넷에게 이전 중계권사태때와 같은 위기감을 일으키지 못하죠.


3.해결방안은?

인수기업을 찾기위한 가장 빠른 해결책은 MBC GAME을 잡는것이고 만약 사라지진다고 한다면 현실적으로 MBC계열내 채널은 사실상 불가능하겠죠.그렇다면 다른 채널을 통해서 프로리그를 할수 있는 채널을 찾아야 합니다.이 동네가 오로지 기업홍보만을 위해서 자금이 들어오는곳이니 말이죠.
그리고 온게임넷이 프로리그가 워낙 똥망한 시청률에 실망감을 느끼고 프라임타임대에 스타1이 아닌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모색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견제가 필요합니다.물론 게임업계나 이스포츠전체를 생각한다면 다각화는 필연적이면서 긍정적인 흐름이겠지만......현재 드림팀제안을 성사시킬려면 저러한 움직임 하나하나가 스타1 게임단유지에 치명적인 문제이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9/05 11:26
수정 아이콘
3개 구단 에이스들만 보면 매력적일텐데...
그나마도 안 된다면 정말 갑갑해지겠네요...
11/09/05 11:46
수정 아이콘
기업 입장에서야 푼돈이지만 어쨋거나 타팀과 비교해볼때 드림팀 연봉 부담이 장난 아닐텐데요
이제동 2 억 염보성 1 억 정도는 줘야할테고
이제동이든 염보성이든 저거보다 낮춰서 받느니 스2 전향하던가 하는게 나을거같구요 [m]
11/09/05 12:32
수정 아이콘
스타2이윤열이나 최성훈처럼 대학다니고 부업으로 스타2하는 선수들 위주로 하는게 나을것 같아요. 박세리선수 처럼 해외 다니면서 국위션양 같은거 하면 스폰 따라 붙고 그러지 않을까요. 이호준 선수도 nasl에 우승해서 eg팀에서 스카웃하고 주로 해외대회 많이 다니던데요.
11/09/05 12:40
수정 아이콘
2개구단이면 몰라도 3개구단의 합병은 쉽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연봉 뿐만 아니라 주전급 선수를 제외하면 거의 은퇴라고 봐야 할것 같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제일 최선의 방법은 두 개구단이 합병해서 게임단을 창단하고, 한 게임단은 기존에 있는 게임단 중에서 관심이 있는 한 팀이 흡수하는 방식으로 가는것이 제일 괜찮다고 생각됩니다.
해골병사
11/09/05 12:48
수정 아이콘
반은 나머지 구단에 부담하고 반값으로 창설을 할 수 있다는 식으로 다시 찔러보았으면 좋겠네요.
그건 그렇고 아무 대답이 없다는건 다소 기분이 상하는데요, 무시하는것도 아니고 말이죠.
공안9과
11/09/05 12:51
수정 아이콘
일부은행이라는게 그 동안 프로리그 스폰서였던 신한은행, 한 때 팬택 팀 인수경쟁에 참여했던 하나은행인 것 같네요.
그 들조차 쌩깔 정도면 말 다했죠.
Han승연
11/09/05 12:56
수정 아이콘
만약 3개팀을 합병한다면 은퇴하는 게이머들이 엄청 많아지겠네요..
prettygreen
11/09/05 13:18
수정 아이콘
프로팀들이었는데 스폰 없다고 합쳐서 팀을 만든다니;;; 발상 자체가 너무 아마추어스럽네요. 다른 스포츠도 원래 그런가요?
파일롯토
11/09/05 14:07
수정 아이콘
헐 드림팀조차 관심이없다니... 아예가능성이없다는거군요
하드코어
11/09/05 14:17
수정 아이콘
그냥 보이는걸론 기업들도 3개팀을 합병하여서 드림팀을 만들어도 큰 메리트가 없다고 판단하네 보네요.
참 안타깝습니다.
11/09/05 14:18
수정 아이콘
게임 보는 팬한테나 드림팀이지 기업입장에선 그나마 이제동뿐이죠;;;
파르티아
11/09/05 14:49
수정 아이콘
이것이 기업팀 게임단의 단점이죠..

팀이 우선이여야하고 기업은 그냥 후원만 해야됩니다.. 현재 스2처럼요.

기업의 후원이끝나면 다음 스폰서를 찾으면되구요.

이제동 염보성선수는 스2로 넘어왔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현명한 선택이구요.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스2는 확팩도 2개나남아서 희망적이거든요. 해외버프도있고..
어떤날
11/09/05 16:22
수정 아이콘
이제동 정도면 이영호 선수와 함께 해외축구의 호날두-메시 정도로 비교되는 그야말로 탑인데도 불구하고 이 정도밖에 안 되는구나 싶어서 새삼스레 씁쓸합니다. 왠지 모르게 보이고 싶지 않았던 치부를 들켜버린 듯한 느낌이랄까요.

아직도 스타보냐는 말이 나와도 계속 봐왔고 나이가 들면서 다 챙겨보진 못해도 애정은 가지고 계속 결과확인이나마 하고 그랬는데... 너무 갑작스레 이렇게 되어버리니 참 갑갑하네요. 선수들이나 관계자 분들이야 더 그렇겠지만.

해결책이 과연 뭘지.. 감이 안 잡힙니다.
율곡이이
11/09/05 19:46
수정 아이콘
결국 이렇게 되면 드림팀 새로운 팀 창단은 힘들겠군요....이런 상황에서 팀 창단 하는 기업은 팬입장에선 고맙지만
비지니스능력에선 상당히 의구심이 들 정도라서...;;
11/09/05 20:10
수정 아이콘
스포츠쪽에 투자하는 것은 사회환원적인 면도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광고효과 바라는 것이죠. 다만 돈이 안되도 한다는겁니다.
스포츠단 꾸리는데 이스포츠만큼 돈이 적게 드는 스포츠도 없고, 일부 비인기 종목 스포츠들보다는 광고효과도 높다고도 생각합니다.
일단 노출량이 다르니까요. 비록 엠겜이 없어지긴 했지만, 하려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게임 자체가 안좋은 이미지인데 거기에 조작까지 있었고 엠겜까지 문닫는 상황이라 참 나서기 힘들긴 하겠지만요.
뭔가, 사회환원해서 좋은 이미지를 쌓으려는데 게임이미지+조작에 노출도까지 떨어지니 안좋은 상황은 맞는 것 같습니다.
다만, SKT, KT, STX, 웅진같은 대기업이 힘을 계속 쏟는한 다른 기업이 또 나타날 것이라 봅니다.

생각해보면, 보상금없이 스타 선수들을 영입할수 있고 3개 구단이나 문을 닫으니 이미 구축해놓은 시스템을 싼 가격에 사올수
있는 찬스까지 있습니다. (3개 구단이 닫았으니까요) 투자하는게 능력없다고 보기엔, 기존에 있는 팀들에 비해서 얻을수 있는
이점이 많습니다. 물론, 기존팀이 없어서 FA룰이 적용되지 않을테니, 이제동 선수를 연봉만 주고 데려갈수 있는 기업이 있겠지만,
새로온 팀에게 먼저 선택하게 해준다면 굉장히 큰 이점이죠. 사실 이런 기회없죠. 이제동, 박준오, 염보성, 전태양 선수가 한팀에
들어간다면, 바로 우승전력이니까요. 잘 추르셔러 선수들 제 실력만 내게 할수 있다면 기존 화승 엠겜 위메이드와는 차원이
다른 광고효과를 얻을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런 기회가 없죠.

예전에 한번쯤 투자할까 생각해봤던 기업입장에서는, 원래 부담해야하는 것보다 적은 투자로 큰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기존 신생팀과는 차원이 다른 혜택을 얻게 되죠. 판자체가 휘청이긴 하지만, 기업입장에서도 해볼만하다고 봅니다.
또, 지금 나타나주는 것에 대한 고마움 + 3개 팀의 팬들까지 모은다면 신생팀인데 얻기 힘든 두꺼운 팬층까지 따라오게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6641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PO 2차전, 삼성전자 vs KT #4 [289] kimbilly8080 12/03/25 8080 0
46463 대기업 효과는 환상에 불과하다? [36] TAMBANG7316 12/02/29 7316 1
46435 방금 이예훈 vs 이신형 경기 보셨습니까? [27] RealityBites8135 12/02/26 8135 0
46434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2 [136] SKY925710 12/02/26 5710 0
46433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13주차, STX vs SKT #1 [222] SKY925500 12/02/26 5500 0
46272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1 - 9주차, 8게임단 vs 삼성전자 #1 [215] SKY925872 12/02/01 5872 0
46148 스타2 연습중인 스타1게이머들? [41] 마냥좋은11404 12/01/12 11404 0
46134 제8게임단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 [34] noknow7409 12/01/10 7409 1
45887 하나, 둘, 셋, CJ 파이팅! [9] 전준우4733 11/11/27 4733 0
45817 11-12 프로리그 판도 예상 [22] 본좌7973 11/11/12 7973 2
45816 지금까지 진로가 결정된 해체된 프로게이머들의 향방 [10] 삼성전자홧팅7879 11/11/12 7879 0
45808 수많은 이들을 떠나보내며 [8] VKRKO 6529 11/11/10 6529 1
45784 해체 게임단 공개 포스팅 결과가 공개되었습니다 [70] 운체풍신11029 11/11/04 11029 0
45589 그들은 역시 우리를 실망 시키지 않는다. [40] 리멤버10021 11/09/26 10021 0
45552 혹시 방금전 철구방송 보셧나요?? 익명 현프로간의 경기.. [12] 바알키리13758 11/09/21 13758 0
45474 드림팀떡밥 [22] 로베르트11354 11/09/05 11354 0
45439 화승, MBC게임 프로게임단 해체 [84] 소주는C118940 11/08/29 18940 0
45396 우리 스타판을 살려주세요. [73] 영웅과몽상가6943 11/08/24 6943 0
45392 위메이드 폭스를 떠나보내며. [3] VKRKO 6007 11/08/24 6007 0
45378 지금이라도 유즈맵 자체 패치로 리그를 진행 했으면 좋겠습니다. [71] 마빠이7582 11/08/23 7582 0
45374 이달말 폭스외 2개팀이 더 문을 닫는다는군요... [76] 마재곰매니아12246 11/08/23 12246 1
45371 (위메이드) 폭스 게임단 해체 소식입니다. [95] 플로엔티나16258 11/08/22 16258 0
45295 경남 STX컵 마스터즈 2011 8강 토너먼트 5회차 화승 OZ VS 위메이드 FOX [319] SKY925080 11/08/16 50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