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1/02/02 20:18:31
Name 엘푸아빠
Subject 온게임넷이 철권을 한다면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포모스 인터뷰 본 후 )
포모스 인터뷰에서 온겜에서도 철권리그 런칭한다고해서 이렇게 급하게 글을 적습니다 ^^;

1. 꼭 3:3으로 팀짜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예전 wcg경기나 가끔 다음팟으로 데스를 볼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같은 케릭터 대결을 여러번 본다는 것은 상당히 지루합니다. 물론 그 속에서 해설이 뛰어나서 선수들의 심리를 잘 묘사해준다면 모르겠지만 1:1 다전제를 보는 것보다 확실히 3:3으로해서 선수를 갈라서 쓰는 방식이 확실히 재미가 있더군요. 꼭 3:3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방식이 좋은게 기존팀에서 후원받기도 용이하고, 여러모로 편한거 같거든요 ^^;

2. 어설픈 코스프레는? No!

차라리 엠겜의 크래시걸처럼 가볍게 양념을 치는 정도여야지, 스파처럼 그들을 전면적으로 내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거할바에 차라리 무대를 조금더 신경써주고 사람들이 경기 잘보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 경기에 부담안되고 보는 사람들에게 큰 위화감 없는 정도라면 괜찮겠네요. (엠겜이 그런면에서 초반에 깔끔하게 했습니다)

3. 이상한 방식은 싫어요.

예전에 철권고수들 3:3으로 나왔는데 게임방식이 요상했었습니다. 처음엔 프로리그방식 그리고 그 다음엔 승자 연전. 이건 뮝미?하는 심정으로 바라봤습니다. 아무리봐도 저건 이런 표현으로 보였습니다.

"우리 온게임넷이 어떻게 엠겜에서 했던 방식 그대로하지? 우린 우리만의 전통이 있다능!"

이러면서 무리수를 둔거 같았습니다. -_-; 제발 그러지 마시고, 좋은건 좋게 받아들여줬으면 합니다. 타리그방식이라고 배척하지 말고, 특별히 우리만의 무언가나 차별화를 두려고하기 보다는 선수들에게서 좋은 경기장과 관객들이 편하게 관람할 수 있는 시설이 있는게 좋습니다. 그것이 경기방식 꼬거나 막 어설픈 연기를 시키는 것보다 훨씬 큰 효과가 있습니다. 편한 상황에서 명경기가 나오고 방식이 물흐르듯이 자연스러워야 시청자들의 몰입을 유도합니다.

4. 좋은 해설자를 부탁드려요.

아무래도 경기가 경기인만큼, -_- 해설자가 누구냐에 따라서 확 갈립니다. 더더욱 문제점이라면 이 분야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는 사람중 방송인은 박현규해설 딱 하나라는 점이죠. 그게 아쉽긴 하지만, 해설에 따라서 경기의 질이 확 갈린다는점을 알았으면 좋겠습니다.

5. 열린 마음으로 방송해주세요.

제가 엠겜의 박현규해설을 칭찬하는 점중 하나가 열린마음이라는 겁니다. 경기를 해설할 때 엔스타에서 주관했던 투극예선의 결과를 인용해서 해설하기를 두려워하지 않고 각종 사소한 그린데스나 개인적인 썰을 풀어내길 주저하지 않고 방송을 하십니다. 요즘이야 이게 당연하게 여기겠지만 온게임넷 분위기는 다들 아시잖아요.

04년도에 최연성이 처음 온겜 갔을 때 신인발언하면서 MSL 없던거 취급하고, 요즘에도 MSL과 관련해서 선수들간 스토리가 나와도 모르는척 무시하고 넘어갑니다. 분명 관련직종 종사자라 포모스기사정도 읽고 왔다면 알 수 있는 내용인데, 일부러 모르는척 하는거라면 그들 마음이 닫힌 것이고 기사조차 안봐서 몰랐다면 직무유기죠.

(이것에 대한 예시는 PD팝 MSL 조지명식에서 염보성이 아저씨 원빈흉내낸걸 누가 온겜임넷 본방에서 치어풀로 언급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해설들은 이게 뭐죠? 하면서 다들 모르는척 얼렁뚱땅 넘어가더라고요. 이때 아직 온겜은 완벽하게 마음을 열지 않았구나를 느꼈습니다)

철권에서만큼은 후발주자인만큼 다른 방송사에서 나온 스토리건, 개인적인 스토리건 시청자가 경기를 보면서 경기외적으로 몰입가능한 스토리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또 후발주자니까요 ^^:

6.(리플로 예고한 수정부분) 동영상 퍼지게 팍팍 도와주세요 ^^;

온겜 입장에서야 온겜홈페이지에서 다시 보기를 통한 서비스를 이용해주면 자사 광고료도 챙기고 좋겠지만 여러곳과 제휴를 통해서 널리 퍼졌으면 좋겠습니다. 예전 엠겜이 곰tv와 함께해서 커졌듯이 온겜도 그런식으로 커졌으면 좋겠거든요 (단 화질은 온겜 자체도 좋아서 불만은 없습니다 ^^)

애궁, 이만 글을 줄입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02/02 20:23
수정 아이콘
일단 차비는 엠겜보다 더 많이 지급해준다던데......

해설자는 소용돌이님은 상근이라서 방송이 안되는걸로 알고 GTR님이 하실것 같네요
스치파이
11/02/02 20:24
수정 아이콘
철권을 무척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구구절절 공감합니다.
버파도 이렇게 활성화되면 좋겠는데 워낙 요즘 버파가 시망인지라 안타깝네요.
황신강림
11/02/02 20:27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이번시즌은 왜 크래쉬걸분들 안나오시나욤 ㅠ
11/02/02 20:28
수정 아이콘
온겜은 한때 전용준 캐스터가 격겜 중계를 많이 해주셨는데..... (철권에서 나살문 원,투,쓰리~ 라고 해주시던거 아직도 생각나네요) 요즘은 성캐에게 넘어간것 같더군요. 성캐식의 만담 중계가 과연 격겜에도 잘 작용할지는.... 흠. 뭐 엠겜이 너무 잘하다 보니 온겜이 격겜 해설에 있어서 많이 까이는건 사실이죠;;
11/02/02 20:35
수정 아이콘
이렇게 대회가 늘어나고 규모가 커지는 건 좋습니다만,
텍크와 엠겜 둘다 본선에 오른 지방 플레이어는 일정에 상당한 부담이 될 거 같군요. 대회 진행이 주말 밖에 안될텐데 방송사x방송사 간, 방송사x선수 간에 충분한 조율이 필수적일 것 같습니다.
엘푸아빠
11/02/02 20:42
수정 아이콘
글 하나만 수정더 할게요 ^^; 죄송죄송
11/02/02 20:48
수정 아이콘
해설도 해설인데 캐스터도 중요한 거 같습니다. 이런 생각이 드는 이유가 정인호 캐스터 때문인데, 정인호 캐스터 스스로도 철권의 오랜 유저여서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상황 설명과 박현규 해설을 받아주는 능력이 좋아 서로 간에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WCG를 보면 GTR님의 해설은 매우 좋았지만 성캐는 추임새와 분위기 만드는 것에만 역할이 머물러 있어서 아쉬웠습니다.(그리고 예전 KOF 시절의 전용준 캐스터도 크크) 물론 성캐도 중요한 기술 이름을 외쳐주는 등의 공부한 모습은 많이 보였지만 아무래도 정인호 캐스터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죠. 근데 이건 성캐의 문제가 아니고 텍크가 좀 특수한 경우라 노력으로 극복될 문제가 아니어서 중계진 만큼은 앞으로도 텍크가 탑일 거 같네요.
엘푸아빠
11/02/02 20:51
수정 아이콘
돈 관련 문제 투명한 집계와 WCG같은 만행은 계속 없어야겠죠. 그 부분은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부분이 아니라 안적었지만, 그 것은 양 방송사 모두 공정하고 깔끔하게 집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핫타이크
11/02/02 22:44
수정 아이콘
텍크걸이 없는 텍크는 너무 밋밋해요~~
엠겜은 다음시즌부터 텍크걸을 부활시켜주시길
11/02/03 02:39
수정 아이콘
제가 원하는게 있다면..
1. 중계는 아이디 위주로.
많은 사람들은 처음에 이름보다는 아이디를 기억합니다.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서 아예 아이디를 정한 사람도 있구요. (ex: 무릎, 한쿠마 등등...)
단순히 톡톡튀기 위해서 아이디를 만드는 사람도 있고... 어쨌든 제가 말하고 싶은건 모든 게임은 성명보다는 아이디로 시작한다는 겁니다.

저도 2004년 스타를 시작으로 게임방송을 본 사람이기 때문에 처음 텍크때는 아이디 위주로 보여주는게 뭔가 어색하더라구요.
유치해보이기도 하고 했었는데, 아예 그 게임에 지식이 없는 백지상태에서는 아무 특색없는 성명보다는 아이디가 결국엔 확실하게 기억에 남더라구요. 애초에 기억하기도 쉽기도 하구요.

하지만 온겜에서 예전에 투혼할 때는 아이디 보다는 성명을 보여줬고, 결국에는 기억에 남는 사람은 별로 없었습니다.
우리는 풍림꼬마라는 사람을 기억하지, 이충곤이라는 사람을 먼저 기억하기는 쉽지 않다는 겁니다.
스타도 지금은 워낙 자주 노출되고 하니까 이름을 먼저 기억하지만, 스타의 역사를 되짚어 올라가보면 결국 가장 처음에는 쌈장이라는 아이디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 않았습니까..

우선은 아이디 위주의 중계로. 이후 메이저급으로 성장하고 선수들이 아이디 보다는 이름으로 유명하게 된다면 그 때 이후로는 성명으로 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도 아이디가 더 기억에 남을 것 같네요..)

2. 캐스터도 지식이 빠삭한 사람으로.
위에도 써주셨지만, 캐스터도 철권에 대한 지식이 빠삭한 사람을 쓰셨으면 합니다.
이전에 성승헌 캐스터가 하셨던 것 같은데... 너무 지식이 적으셔서 그런지 흥이 안났습니다.
하시는 이야기라고는 펀치, 킥, 잡기, 콤보 뭐 이런 정말 기초적인 거 밖에 없던거 같구요..
적어도 기술이름은 모두 아는 분으로 캐스터를 선정하셨으면 합니다.

시청자들이 지식이 없더라도 (저도 포함됩니다만) 단순히 다리걸기라고 해설하는 것보다는 나락, 초풍 등으로 정확하게 해설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다리걸기와 나락, 띄우기와 컷킥 등등은 어감에서 너무 차이가 납니다. 특히 다리걸기는 그냥 다리 거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락이라 그러면 무언가 이 캐릭만의 특별한 기술이라는 것이 느껴지죠. 또한 자주 들으면 뭐가 나락인지 자연스럽게 외우게 됩니다. (참고로 저도 철권은 단 한판도 안해본 사람입니다...) -> 이건 실제로 그렇다는게 아니라 제가 느낀 점이 그렇다는 겁니다.. 이건 예를 든겁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해설도 나쁘지 않습니다만, 쓸데없는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 무게감을 줄이지는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다리걸기라고 굳이 말 안해도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봐도 다리거는 기술이라는 건 아니까, 그걸 굳이 다리걸기라고 부르지 않아도 된다는 거죠.

일단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이 두개를 짚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두개가 제가 투혼을 안본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하구요..
트윈스
11/02/03 10:14
수정 아이콘
온겜도 캐스터선정에 고민이 좀 많이되겠네요.
텍크1기때의 무조건 초풍,초스카이 외치던 정인호씨가 아니라 정말 많은 발전을 해버린 정인호씨라 ..
캐스터가 누가될진 몰라도 대충 공부하고 중계하시면 가루가 되도록 까일것같네요 ....
Thehabit
11/02/03 13:43
수정 아이콘
구구절절 맞는 말씁입니다
저도 어제 텍크 4강보면서 왜 철권을 엠겜에서만 하지...온겜도 해서 격투겜방송도 성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했습니다
RealWorlD
11/02/04 00:47
수정 아이콘
구구절절 맞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오오오 드디어 온겜에서 철권을하는군요 ㅠㅠ 아 감동..
철권은 정말 명작이죠 스타1처럼 정체된것도아니고 계속계속 새로운버전 철권 4 ,철권4확장팩(br) 철권 5 등등 으로 업글되서 경기하고 이점이 굉장히 좋습니다.

저는 아이디 부르는것에 찬성입니다. 위에 무릎 본명을 얘기하면 모르고 무릎하면 아는것등에 대해 예를 드셨는데 그렇게 따지면
연예인들도 마찬가지아닌가요; 아이유, 빅뱅,랩퍼들(미쓰라,버벌진트,다이나믹듀오 개코,최자) 등등..

스타,워크,카트 등등 거의 모든게임이 선수본명을 호칭하지만 철권은 아무래도 닉네임으로 부르는게 몇년동안 익숙해져있는데..
그와마찬가지인 이유로 온겜만의 방식으로 하지말고 현재 하고있는 방식으로 하자는식이 좋으니까 추천한다 그런얘기도 나오는거구요
엘푸아빠
11/02/04 15:10
수정 아이콘
엠겜과 차별화를 둬서 풀리그로한다면 몰라도, 예전의 그 이상한 방식이나 1:1은 좀 지양했으면 좋겠습니다. 1:1 다전제는 같은 패턴이라 좀 지루한 맛이 있어서고, 그때의 그 3:3 대결은 아무리봐도 영아니었기 때문입니다 -0-;
후루꾸
11/02/09 16:3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소용돌이님의 해설은 처음인걸 감안하고라도 실망이었고

GTR님 해설이 좋았습니다. 닌님과는 다른 스타일로 조금 흥이 덜 나긴 했지만 차분하게 깜짝 놀랄정도로

디테일 한것까지 해설 해주시더군요. 괜히 철권계의 이론가가 아니라는 느낌.

캐스터는.. 사실 성캐 철권에 대해 너무 모르는게 표나더군요. 좀 재미가 반감된다고 느꼈습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새로 캐스터를 공수해오지 않는 바에야 현 온겜넷 캐스터중엔 성캐가 가장 잘 어울리지 않나요?

GTR님과의 시너지도 괜찮아보이던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5953 WCG 2011 Grand Final - 3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3 [182] kimbilly8108 11/12/10 8108 1
45949 WCG 2011 Grand Final - 3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 [268] kimbilly6774 11/12/10 6774 0
45941 WCG 2011 Grand Final - 2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31] kimbilly7672 11/12/09 7672 0
45933 WCG 2011 Grand Final - 1일차 : 스타2, 워크3, 철권6, 카스, LOL [119] kimbilly9799 11/12/08 9799 0
45718 생각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가고 있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2와 아케이드 시장 [21] 히소카9230 11/10/22 9230 0
45479 철권 크래쉬 지금까지 우승자 및 준우승자 정리 (시즌 8 로얄럼블 16강 진출자 스포도...) [28] 흑태자만세8700 11/09/06 8700 0
45105 철권에 대한 나의 이야기 [23] dsfsdfdsf4584 11/07/30 4584 0
44177 철권 최초 프로게임단 나진 엠파이어 창단 [21] 모리아스7212 11/04/01 7212 0
43927 철권 크래쉬 6기, 텍갓들의 결승전 예상(+선수들의 출사표) [17] SKY926818 11/02/11 6818 1
43900 온게임넷이 철권을 한다면 바라는 점이 있습니다.(포모스 인터뷰 본 후 ) [32] 엘푸아빠7896 11/02/02 7896 1
43777 철권의 생방송은 한동안 요원할거 같습니다. [22] 엘푸아빠5950 11/01/20 5950 1
43713 철권 크래시 32강 전환 가능성에 대하여...... [24] 세인5249 10/11/23 5249 0
43591 [철권] 지금, MLG라는 큰 게임대회 철권 경기 중입니다. [31] flyhack5533 10/11/07 5533 0
43563 [철권 고수를 이겨라7시 30분 시작! ]알림판겸 불판입니다.(한쿠마) [111] 엘푸아빠5386 10/11/03 5386 0
43359 [철권] 그린게임랜드, 자체 철권리그! [65] flyhack7527 10/10/20 7527 0
43050 2010 투극 철권 부문 시작합니다 [87] 6288 10/09/18 6288 0
42919 [철권] 또다시 이어지는 홀맨과, 말구의 텍엠데쓰! [350] flyhack8467 10/09/11 8467 0
42862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3) [113] SKY925928 10/09/05 5928 0
42859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2) [204] SKY926785 10/09/05 6785 0
42857 투극 철권한국대표 선발전 [294] SKY927739 10/09/05 7739 0
42827 [철권] 곧 국내에 또한명의 텍갓이 나오겠네요! [85] flyhack8400 10/09/03 8400 0
42516 WCG 2010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철권 16강 7,8경기&스타크래프트 16강 2회차(2) [87] SKY925659 10/08/12 5659 0
42513 WCG 2010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철권 16강 7,8경기&스타크래프트 16강 2회차 [327] SKY929726 10/08/12 972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