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01/23 21:38:26
Name Windymilly
Subject [나름 리뷰] 정전만 아니였어도 최고의 명경기가 되었을 리쌍록
진짜 오늘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요?

그 좋았던 경기들.... 그 명경기. MBC 게임이 다 말아먹었습니다.
케스파의 판정도 판정이지만 우선 정전같은 비상시 사태를 대비하지 못하고 명경기에 먹칠을 한 MBC 게임에 책임을 묻고 싶습니다.

짜증났던 오프닝 타임과 광고 타임, 벡터맨을 연상시켰던 매직스튜디오, 그리고 협소한 결승장소 등
최고의 대진에 어울리지 않는 최악의 환경 덕에 적지 않은 원성이 있었습니다만 경기 내용은 역시 리쌍록 답게 최고의 수준이였습니다.
아, 물론 정전이 되기 전 까지는요.


1경기 매치포인트

비록 경기 시간은 짧았지만 이제동 선수의 화려한 뮤탈 컨트롤. 해설의 말대로 이영호 선수 대비를 잘했지만 이제동 선수가 신기에 가까운 뮤탈 컨트롤을 보여주며 승리를 가져갑니다. 짧은 경기 시간이였지만 이제동 선수의 뮤탈 컨트롤에 보는 사람들은 넋을 잃고 말았죠.


2경기 얼티메이텀

물론 이제동 선수가 가필패군 옆에 스컬지양을 붙이지 않은 실수를 했습니다만 앞마당을 성큰꽃밭으로 막고 있어서 이영호 선수가 쉽게 뚫지 못할거라 생각했습니다만 이영호 선수는 섬을 공략하지 않고 드랍쉽으로 마린상륙작전을 펼치며 이제동 선수의 빈틈을 노렸고 이게 보기 좋게 성공하여 2경기를 이영호 선수가 가져갑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어느 한 쪽으로 페이스가 기울지 않는 치열한 리쌍록에 사람들은 광고의 압박 속에서도 결승전에 눈을 땔 수가 없었죠.


3경기 오드아이

드디어 1.23 사태의 주범인 정전이 여기에 나타나게 됩니다. 정전 전까지는 손에 땀을 쥐는 명경기가 펼쳐졌습니다. 이제동 선수는 2경기와 같이 노스포닝 3해처리를 시작했지만 가필패군을 쓰지 않고 노럴커 저글링 울트라를 준비하면서 1시 멀티를 가져갔고 이영호 선수는 마메 배슬을 준비하면서 7시 해처리를 깨고 1시 공략을 합니다. 1시 전투에서 이제동 선수가 밀리고 1시를 잃습니다만 3시 멀티를 막고 7시 멀티까지 준비합니다. 반면 이영호 선수는 7시는 반드시 깨야 한다는 각오로 7시 공략에 나서고 드디어 정전록의 하이라이트 '7시 대전' 이 발발합니다. 이영호 선수와 이제동 선수는 서로 이레디에이트와 다크 스웜으로 밀고 당기기를 이어가고 이제동 선수가 가까스로 이영호 선수의 병력을 막아내려는 찰나! 드디어 정전느님이 강림하시고 두 선수의 치열한 전투를 손에 땀을 쥐고 보고 있던 관중들과 시청자들은 갑자기 벌어진 어이없는 사태에 탄식을 지르고 맙니다. 결국 케스파는 이제동 선수의 우세승을 선언하고 장내와 리쌍록을 지켜보던 네티즌은 원성을 내기 시작합니다.


4경기 투혼

결국 씨끌씨끌한 상황이 1시간 10여분 만에 정리되고 투혼에서 경기가 시작되었습니다만 심리적으로 상당히 흔들렸는지 몰라도 두 선수는 전 경기와는 완전히 다른 빌드를 꺼내게 됩니다. 하지만 위치가 대각선이였고 정찰도 아쉽게 실패한 이영호 선수가 앞마당 성큰을 뜷지 못하고 저글링 뮤탈에 병력을 잃으며 GG를 치게 됩니다.



뭐 다른 말이 필요할까요? 유게에도 올라왔던 포모스의 평점에 공감 천표를 드리고 싶습니다.
이제동, 이영호 두 선수 어느 누구건 간에 정말 최선을 다 했습니다. 두 선수 관계자 여러분도 힘드셨을 겁니다.  돌발상황에서도 어떻게 어떻게 시간을 벌면서 양해를 구했던 중계진들도 수고하셨습니다. 좁은 자리에 선착순 경쟁까지 이겨내며 오프 가셨던 분들 다 고생하셨습니다.

MBC 게임. 이 사태 그냥 넘어가면 안됩니다. 반드시 이 사태에 관계자들의 책임을 묻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해야 합니다. 두 선수의 꿈을... E스포츠 팬들에게는 가슴뛰는 그 명경기를 모두 망쳐버렸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텍사스전기톱
10/01/23 21:43
수정 아이콘
리쌍 둘다 최고!!! 정전되기전까진 진짜 이름에 걸맞는 최고의 경기력이였는데...
흑흑
10/01/23 21:43
수정 아이콘
그 경기 마지막까지 못본건 천추의 한으로 남을것 같아요. 위너스 러시아워 대전에 버금가는 명경기였는데..
10/01/23 21:44
수정 아이콘
그런데.. 포모스 평점에 뭐라고 써있길래 많은분들이 언급하시는거죠? 지금 포모스 먹통이라 들어가지질 않네요. 되시는분 복사좀 부탁드려요 ^^
핸드레이크
10/01/23 21:45
수정 아이콘
초롬님 유게에 올라와있어요 ⓑ
루이스 엔리케
10/01/23 21:46
수정 아이콘
3경기 정말 감동하면서 봤어요. 이영호 마린 메딕 생산력을 어찌어찌 막아내는 모습이 정말 감탄했습니다. 분명히 이영호는 예전보다 업그레이드 되어있었는데 그거를 어떻게든 갖은 노력을 다해서 쥐어짜서 운영으로 이겨먹는 모습이 정말 대단했습니다. 경기력이 둘다 정말 대단했습니다.
엡실론델타
10/01/23 21:47
수정 아이콘
초롬님// 유게에 올라와있습니다~
카르패디엠
10/01/23 21:48
수정 아이콘
최대 피해자는 nate가 아닐지....돈 쓰고 욕먹게 생겼으니...당분간 nate광고는 쳐다보기도 싫으내요..
10/01/23 22:02
수정 아이콘
엡실론델타님,핸드레이크님// 감사합니다. 보고왔어요. 아 정말 공감 100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796 LOL Summer 리그 중간 집계 - 픽밴과 대세 챔피언 [34] The_Blues9357 12/07/14 9357 9
47330 [LOL] The 2nd NVIDIA Game Tournament 참가 접수 마감 임박 [4] Fix_me4553 12/06/04 4553 1
47020 SK planet StarCraft Proleague Season 2 - 미디어데이 (+ 사진) [149] kimbilly11144 12/05/10 11144 0
46928 [LOL] 누가 그들을 마이너라 하는가 (NLB 8강 Review A조) [17] 강동원9681 12/04/29 9681 4
46911 5월 2일에 진행될 이번 E-Sports 비전 선포식을 바라보며... [7] RPG Launcher5790 12/04/27 5790 0
46667 반상위의 돌부처 - 2 - [14] fd테란7095 12/03/28 7095 22
46521 lol 경기양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고찰 [98] 마빠이9150 12/03/08 9150 0
45426 25 게이트 & 7넥, 온게임넷 갭스의 버그 [17] ArcanumToss8444 11/08/27 8444 0
44562 결승에 앞서, 이번 시즌 필자가 생각한 테저전. [12] §최종병기§7281 11/06/05 7281 2
44280 MSL에 바라는 점 몇가지 [21] 빵pro점쟁이6882 11/04/18 6882 0
43646 스타크래프트2 올스타전 개최!!(참가선수 16인 명단 추가/그분 참가) [15] Leeka7948 10/11/15 7948 0
43573 이정훈 선수의 결승전 진출을 축하드립니다.. [37] Leeka9865 10/11/04 9865 0
43490 지방인의 첫 GSL 직관 소감기. [16] 풍경8944 10/10/29 8944 0
43144 1회 GSL 을 보고 나서 개선점 및 건의사항, 느낀점들 [24] JunStyle4587 10/10/05 4587 0
42937 전 이번 결승전이 절대 망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12] Onviewer6420 10/09/12 6420 4
42663 당신이 가장 감동 받았던 순간은 언제입니까? [99] Crescent7193 10/08/23 7193 0
42332 MSL 16강 3회차,4회차 경기일정입니다. [5] 꼬꼬마윤아5017 10/07/26 5017 0
42150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3일차 [9] kimbilly4372 10/07/03 4372 0
42142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0 Grand Final - 2일차 [7] kimbilly4188 10/07/02 4188 0
41697 시작 전에는 E스포츠의 뿌리, 종료 후에는 짐덩어리??? [37] 엑시움8094 10/05/23 8094 10
41055 테란vs테란, 그 속도전의 미학. 그리고 프로토스와 저그. [19] LucidDream5291 10/04/25 5291 3
40057 직접 다녀온 MSL 결승전 사진+후기 ㅜ_ㅜ) [16] Eva0107216 10/01/24 7216 1
39985 [나름 리뷰] 정전만 아니였어도 최고의 명경기가 되었을 리쌍록 [8] Windymilly4156 10/01/23 415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