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16 16:18:28
Name 헌터지존
Subject 프로리그 주말 만이라도 경기 시간대 분산좀 시키자..
평일은 학생들 수업 땡땡이(?) 여러 에로사항있으므로

평일은 힘들더라도

주말만은 기존대 2시가 아닌

저녁 6시30분과 2시에 걸쳐 프로리그를 진행했으면 바랍입니다..

시청자 입장에서도 2시에 동시에 진행하면 보고싶은 경기 보고싶은선수 겹치는 경우가 여럿있습니다..

볼거리를 제한하는 경우를 없애고..

주5일제이긴 하지만 아직 토요일 일하는 분들도 있어 경기장에 가고싶어도 못가는 경우가 있어..

저녁 6시 30분경기면 즐겁고 부담없이 경기 관람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경우엔 주말에 꼭 결혼식등 여러행사가 있어 2시대 관람을 여러차례 포기한 경우가 많은지라..

꼭좀 저녁 6시 30분 경기가 만들어졌으면 하는 소망이 간절합니다..~~


한가지 더 말하자면..

경기수에 대해 한마디 하겠는데요..

지금의 프로리그 주5일은 지나치게 경기수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개인리그의 경기질적상승과 프로리그 관심도 증가등을 고려할때 주3일이 적당한듯 싶습니다..

일주일에 한팀이 한경기 치르는 방식이 좋습니다..

신한은행 스폰서의 반대로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7/16 16:40
수정 아이콘
에로~
회전목마
08/07/16 16:57
수정 아이콘
무한도전하고 시청률 경쟁에서 이길수 있을까요?
젖소맛 우유
08/07/16 17:05
수정 아이콘
주말 저녁에는 재미있는 프로들을 많이 방송하기 때문에...;;
08/07/16 17:08
수정 아이콘
MSL이 32강과 16강 할때는 한주에 목요일, 토요일날 하고 일요일 저녁에는 곰티비 경기가 있어서 좀 어려울거 같네요..
08/07/16 19:19
수정 아이콘
그 시간대에 공중파와 경쟁하는 건 게임방송사로서도 거의 자살행위에 가깝겠죠.

게다가, 혼자 사시는 분 아니면 가내(家內)경쟁을 이길 수가 없어요...
TV에서는 부모님이 좋아하는 주말연속극이 돌아가고...
한쪽에서는 조카가 컴퓨터 잡고 뽀로로 보고 있고...
(음... 책이나 읽을테니 더 좋은건가요?)
08/07/16 19:24
수정 아이콘
지금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12개 팀인데 경기 수를 늘리면 늘렸지 줄이지는 못할 겁니다..
08/07/16 20:06
수정 아이콘
하루라도 스타 경기가 없으면 허전합니다.
videodrome
08/07/16 22:08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왜 주3일제를 주장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하루라도 더 보면 좋을 것 같은데 말이죠... 지금도 안해서 심심한데..
다세포소년
08/07/16 22:45
수정 아이콘
저도 매일하던 경기를 안하니까 심심해 죽겠네요..
크리슈나
08/07/16 23:20
수정 아이콘
지금 프로리그 안 한 지 며칠이나 됐다고 저도 벌써 허전하더군요;;
히라이예
08/07/17 10:20
수정 아이콘
그렇죠 바로 이 반응이죠~!
주 5일제는 너무 많다고들 하지만. 안하면 심심하거든요.
월요일부터 오늘을 기다려 왔어요.,
슈페리올
08/07/17 10:55
수정 아이콘
주 5일제는 너무 많다고들 하지만. 안하면 심심하거든요.
월요일부터 오늘을 기다려 왔어요., x2
살인의추석
08/07/17 12:29
수정 아이콘
주 5일제는 너무 많다고들 하지만. 안하면 심심하거든요.
월요일부터 오늘을 기다려 왔어요., x3
하얀그림자
08/07/17 19:35
수정 아이콘
주5일제에 어느새 적응이 되어버린듯 한거 같기도...
진짜 예전엔 일주일에 금요일이 오기만을 기다렸는데...
매일 컴퓨터 키면 일단 오늘 경기가 어땠는지 확인하는 이 버릇...
장경진
08/07/18 10:5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예전에 MSL이 목요일, 스타리그가 금요일에만 열렸을 때 굉장히 열광적인 반응이 나왔죠.
매일 안하면 심심하긴 하지만 그만큼 경기에 대한 집중도도 높아집니다. 선수는 물론 팬도 말이죠.
어쨌든 신한은행의 요구라니 주5일제 논의는 당분간 할 수 없겠고, 양방송사의 경기시간대 분리에는 찬성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845 라이트 시청자로서... 머리가 너무 아프네요. [30] 아우구스투스6308 10/01/17 6308 3
39790 다전제 재밌지않으십니까? [53] Ascaron6550 10/01/14 6550 1
39606 경기의 재미는 경기 시간과 비례한다? [45] Flocke5325 09/12/26 5325 2
39239 테켄 크래쉬의 가능성. [76] ipa7917 09/11/16 7917 0
37233 정말 살떨리는 위너스리그 포스트경쟁. [24] SKY926296 09/03/07 6296 0
37003 오늘 김택용선수의 마지막 경기 긴박한 상황에서 두가지 실수가 있었습니다. [37] dnsgksthghl5615 09/02/16 5615 0
36598 온게임넷 스타리그 조지명식 성공을 위한 몇 가지 조언? [38] Alan_Baxter6284 09/01/11 6284 1
36378 프리뷰 쇼의 순기능과 바람 [6] 점쟁이4076 08/12/21 4076 3
36265 EAK가 후원하는 레드얼럿3 리그(KRL) 시즌 1이 열립니다. [8] lgw8274520 08/12/11 4520 0
35788 [선수선발안내] Pgr21과 후로리그와의 3회 교류전을 개최합니다. [6] 라벤더3984 08/10/12 3984 0
35497 프로토스의 대저그전 항쟁사 [80] 김연우13803 08/08/18 13803 57
35220 프로리그 주말 만이라도 경기 시간대 분산좀 시키자.. [15] 헌터지존4974 08/07/16 4974 0
35190 [이벤트 결과] 2008 에버 스타리그 ... 승패맞히기 이벤트 결과. [34] 메딕아빠4641 08/07/12 4641 0
35163 EVER 2008 스타리그 경기 시간 예상 게시판^^ [19] 마에스트로 박3940 08/07/12 3940 0
35010 [공지] PgR21과 후로리그와의 2회 교류전을 개최합니다. [9] 라벤더3946 08/06/22 3946 0
34613 펌] Zergology 2. - 12앞마당의 발견. 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7] 펠쨩~(염통)5300 08/04/27 5300 2
34516 곰티비 클래식 128강.(+이현규 선수의 바카닉 플레이에 관해) [82] legend9340 08/04/13 9340 0
34134 [공지] PgR21과 후로리그와의 교류전 안내. [31] 라벤더4027 08/02/26 4027 0
34003 그랜드 파이널에 대한 아쉬운 점 몇가지 [6] 彌親男4045 08/02/17 4045 0
34001 치어리더의 등장.. [5] 물빛은어5265 08/02/16 5265 0
33678 [스타구경] 온게임넷 박카스 스타리그 16강 1회차 [11] ls4529 08/01/22 4529 3
33025 게임 자료를 분석하려고 합니다 [3] 수비저그3597 07/11/30 3597 0
32870 팀리그의 장점과 단점 [26] 포도주스4351 07/11/17 435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