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8/12 13:50:28
Name kimbilly
File #1 070810_0001.jpg (295.9 KB), Download : 17
Subject e-stars 2007 - 곰TV 시청과 현장에서 보고 온 느낌 정리...


e-stars 2007... 서울 국제 e스포츠 페스티벌 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의 e스포츠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기획 된 이번 대회에서 매일 곰TV 로 방송을 보고, 직접 현장에도 다녀 오면서 많은 것을 느꼈습니다.

전체적인 진행
- 시간 약속은 계속 어깁니다. 워크래프트3 오전 11시에 시작한다면서 계속 지연시키고... 첫날 방송 12시 40분에 시작...
- 화질... 캐스파컵 당시와 별반 다른게 없습니다... 현장에서 중계진들/관객들이 보는 화면도 뭉게지고 있으니 말 다했죠...
 (인터넷 게임 방송 하는 곳 보다 장비도 좋은 장비를 쓰면서, 그런 뭉게지는 화질로 곰TV 방송을 해야 했었는지...)
- 곰티비 무한 광고 작렬... 광고 수입 많아 좋겠네... (단, VOD 가 상당히 빨리 올라와서 그거 하나만 만족...)

워크래프트3
- ToD 는 한국까지 와서 출전 거부 (맵 추첨 방법이 자기 마음에 안 든다고... 맨날 투덜)
- 옵저버... 본진 찍어달라고 찍어달라고 하는데도 절대 안 찍어주는 뚝심의 옵저버. 최고의 명경기를 그렇게 만들다니...
- 앞서 말씀드린 대로 무대에서도 화질이 안좋으면서 해설진들이 '몇 레벨 쯤 되었겠죠' 라는 예측 해설을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오디션
- 해설진들이 해설보다는 수다만 떱니다.
- 발라드 음악에 춤으로 스핀 도는거 보고 경악...OTL (사실 이건 게임 문제이니 그렇다 칩시다.)

워록
- 베틀필드 표절 게임이라 외국인들이 보면 굴욕... (카스 보려고 인터넷 방송 키면 워록 볼텐데...)
- 중계진 분들이 열정적으로 중계를 하고 싶어도, 전체맵 이런거 안보여줘서 힘든 상황에서 중계 진행...

카운터스트라이크
- 일반적인 대회 방식이 아닌 홈-어웨이 방식 적용으로 혼란이 되었음.
- HLTV 송출 이 안되면서 순전히 인터넷 방송에만 의지해서 봐야 되는 환경.
- 자막이 너무 커서 우측 상단 다 가려서 누가 누구를 잡았는지 전혀 알 수가 없네요.
 (물론 이건 다음날 방송분 부터는 개선이 되긴 했습니다.)
- 앞에서 언급 한 것 처럼 화질이 안좋아서 하단에 나오는 어느 선수 화면인지 모르겠네요...
- 앞에 경기들 다 지연되면서 결국 첫날 새벽 1시에 방송 종료... 둘째날 새벽 1시 40분에 종료...

스타크래프트
- 경기만 많으면 뭐하나요... 다 해주지도 않는데...  한 경기와 다음 경기 사이에 간격이 1시간 넘는...
- 서브 무대 화면은 현장에서 전혀 틀어주지도 않습니다. 그 분들은 순전히 카메라만 보고 중계를...
- 관객들이 메인 무대로 갈 수가 없었습니다. 머나먼 2층 플로어에서 카메라로 선수 얼굴 비추는것만 봐야 되는...
 (바닥의 1/3 과 1층 플로어를 예선 경기석 및 선수 대기석으로 쓰면서 메인 무대 좌석으로 접근을 차단)
- 상황판은 바닥에 위치 해 있고, 전광판으로도 안 알려주면서 현장에 있는 관객들이 무대 경기 이외의 경기 결과 알 수가 없음.
 (PC 가 없기에 인터넷으로 확인 하면서 내가 응원하는 선수가 이겼는지 확인 할 수도 없고... 차라리 집에서 결과 보는게...-_-)

한국의 많은 e스포츠 팬들이 지난 KeSPA Cup 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했던 것이 바로 얼마 전 입니다.
하지만 이번 e-stars 2007 에서도 화질이나 대회 진행이나 관객 면에서는 크게 개선 된 모습은 안 보입니다.

특히 저는 스타크래프트 무대 경기에서 무대 진행을 해야 되는 콘솔쪽에서 경기 시작을 하자
자신의 노트북으로 영화나 돌려보고 있는 모습을 보고 할 말을 잃었습니다. -_-;;

Warcraft 3 에서도 수많은 명경기가 탄생을 했고, Counter-Strike 에서는 각 팀간의 접전의 경기가 펼쳐졌으며
Starcraft 에서도 개인 리그에서는 빛을 바라지 못한 선수들이 현재 결승전에 진출 해 있는 상황 입니다.

KeSPA Cup 와는 달리 이번 대회는 한국의 e스포츠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전세계로 생중계 되는 대회 입니다.
그들도 ongamenet, MBCgame 을 못 보는것도 아닙니다. 그들이 이런 진행을 보고 뭐라 생각 할까요...

아직 후발 주자이긴 하지만 CJ 의 (= 곰TV 의) e스포츠 대회 진행/화질 등의 개선을 기대 해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nu.12414.
07/08/12 13:59
수정 아이콘
어차피 정규 케이블 전파를 못타면 온게임넷과 MBC게임에 길들여져 있는 사람들은 만족을 하지 못합니다.(어제 엑스포츠로 로 해주긴 했지만, 그게 몇달동안 그 시간에 LIVE로 해주는게 아니기 때문에..) 그렇다고 저렇게 돌아가는게 잘했다고 하는건 아니고요. 전 어차피 이벤트 대회일뿐 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뭐 그럼 그렇지.. 경기나 보자 라는 식으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제1회 케스파컵과 제2회 케스파컵은 너무나도 달랐거든요. 그게 케이블 전파를 타냐 못타냐에 한계겠죠.
똘똘한아이'.'
07/08/12 14:03
수정 아이콘
전 스타팬이니 스타에 대해서 애기만 할께요...솔직히 이런 대회는 좋다고 합니다...하지만 처음이라 그런지 미흡한 점이 너무 많더군요;;해설진도 그렇고 경기 진행면에서도 그렇고..아무리 처음이지만 준비를 잘 갖춰서 처음이라도 실수업이 해야하는데;;보는 팬입장에서는 진행면에선 영 꽝이엇습니다..플게이머들이 대다수 참가하는데 관중동원도 업고 홍보도 제대로 안되잇고...256강 자체가 좀 무리가 잇엇죠 획기적이긴 햇으나 그다지// 빅매치 만들어 냇어도 다 볼 수도 업엇고....여튼 이번 대회는 좀 아닌거 같네요 다음에 할떈 좀 더 진행깔끔하고 홍보도 잘되서 많은 팬들이 왓으면 하녜요;; 사진만 봐도 플게이머들끼리 그냥 pc방 예선 온 느낌....
the hive
07/08/12 21:50
수정 아이콘
뭐 다음에는 좀더 나아지리라 기대를 해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817 요즘 WCG 예선을 보면서 한 생각.. [31] 오즈의마법사6362 07/08/17 6362 0
31816 퇴색되어버린 사기유닛 사이언스 베슬 [45] Ace of Base9762 07/08/17 9762 0
31815 다음 스타리그 시즌2. 저그 드림팀의 출격. [36] Leeka5892 07/08/17 5892 0
31814 마재윤에 묻혔지만,송병구도 오늘 잘했습니다. [18] SKY925434 07/08/17 5434 0
31813 프로토스전 퀸은 과연 입스타일 뿐인가~~ [35] 펠릭스~6911 07/08/17 6911 0
31812 마본좌는 살아있다!!!!!!!!!!!!! [32] 오소리감투5295 07/08/17 5295 0
31811 마재윤 아직 안죽었네요 -_- [77] 히로하루9771 07/08/17 9771 0
31809 @@ 2006 ~ 2007 년 공식경기 전적데이터. [4] 메딕아빠4399 07/08/17 4399 0
31808 독기와 승부욕이라면,변형태. [19] SKY924656 07/08/17 4656 0
31807 프루브와 다크아콘.... [18] Yes5798 07/08/17 5798 0
31806 데이터를 놓고 벌이는 고민 [14] 소현4125 07/08/17 4125 0
31805 차기시즌 진출자현황(2) [9] 信主NISSI5632 07/08/16 5632 0
31804 운영이란..? [30] Gennaro5751 07/08/16 5751 0
31803 미네랄핵 디텍션입니다. & 1.15 버그 픽스 및 간편 로더 포함. [11] LiQuidSky7719 07/08/16 7719 0
31802 강민의 캐리어 사랑. [38] SKY927269 07/08/16 7269 0
31801 어느 날 저녁 스타에 관한 생각들 [38] 공룡8237 07/08/16 8237 0
31800 천재는 천재다. [28] Axl7911 07/08/16 7911 0
31798 김택용선수도 어느새 하나의 흥행카드네요... [31] 나다1238018 07/08/15 8018 0
31796 [알림] 8월 15일 ... 감점에 대한 초기화 작업 실시 (작업완료) [30] 메딕아빠4573 07/08/14 4573 0
31795 임-박-전-이-윤 vs 김-강-박-김 호불호의 대척점. [46] legend6769 07/08/15 6769 0
31794 <배넷 어택>을 아시나요? p.s추가+2 [34] 심심6404 07/08/15 6404 0
31793 본좌 등재의 조건과 김택용 선수- [19] 비수4840 07/08/15 4840 0
31790 IEF2007 결승으로 살펴본 김택용과 PvsZ [39] Judas Pain9101 07/08/15 910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