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5 10:22:58
Name 플토는 나의 힘
Subject 스타 방송에 바란다..
1. 유닛의 공방(쉴)업의 표시

선수들이 전투를 함에 있어서 승부를 예측하거나, 진출 타이밍을 재는데 있어서 업그레이드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면에서 그 업그레이드를 확인하기는 그렇게 쉽지 않습니다. 특히 2업과 3업의 차이는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쉽게 구분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은 전문가이신 해설자들도 종종 업그레이드를 놓치는 실수를 하는 경우를 더러 볼 수 있습니다.

옵저버를 하나 더 두면 어떨까요? 실제 방송이 되는 옵저버를 제외하고 예비옵저버를 두는 것입니다. 그 옵저버는 주로 유닛의 업그레이드 상황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업그레이드가 완료됨에 따라서 바로 경기의 화면에 반영할 수 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닐테고 많은 번거로움이 따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충분히 고려해 볼 수 있는 일이 아닐까요?


2. 빌드오더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주로 해설자분들께서 이 맵에서의 주된 전투양상은 이러이러하다~라는 말씀을 해주시는데, 이것을 실제로 수치화 해서 표기한다면 어떨까요?
예를들어 어떠한 맵에서 테저전은 원배럭 더블이 80퍼센트, 투배럭 더블이 10퍼센트 등과 같이 수치화시킨다면 초반에 경기를 보는 흥미가 더 생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은 주로 이 선수는 더블이 많더라, 저 선수는 쓰리해처리만 하더라, 그 선수는 열에 아홉은 패스트리버더라~ 라고 하는 것까지 수치화하길 바란다면 제 욕심이겠죠?



3. 경기시간의 표시

온게임넷에서는 한 경기가 끝나고 나면 BWchart 프로그램을 이용한 apm과 시간, 자원등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경기가 모두 끝나고 나서 이 경기들의 시간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경기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파모사이트 역시 경기 시간은 얼마나 되었는지 표기는 되어있지 않습니다.
하루의 경기가 끝나고 모든 경기들의 시간을 살펴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못보고 놓친 분들을 위해서 대강의 요약과 함께 이 경기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는 것도 살펴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

이러쿵 저러쿵 항상 말이 많아도, 스타방송이 발전되어나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참 즐거운 일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05 10:29
수정 아이콘
첫번째 같은 경우는 워크 경기서 영웅 레벨을 표시해주는 바를 옆에 표시해 주듯이 하면 될 거 같네요.
07/01/05 10:38
수정 아이콘
2번은 과거 프라임리그에서 해줬던거 같은데 한번 해보면 재밌겠네요 (작년에 김성제 선수가 리버를 썼을때 승률같은걸 보여준 기억도 있습니다) 3번은 온게임넷에서 표기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개척시대
07/01/05 10:49
수정 아이콘
업글 옆에서 보여주는 것도 괜찮겠네요.
그런데 지금도 해설자분들이 요청하면 바로바로 집어주지 않나요? 업글 같은건 제법 잘 잡아주던데요.. 마우스를 빙빙 돌려가며..
반대로 옵저버의 의도를 해설자분들이 놓칠때가 있는것 같습니다.
전에 김택용 선수와 오영종 선수 경기에서, 오영종 선수 드라군이 본진에 있던 김택용 선수 옵저버 잡은 것을 강조하려고, 드라군 킬수 1에서 마우스를 빙빙 돌리던데 아무도 언급을 안하시더군요;;
papercut
07/01/05 10:53
수정 아이콘
보통 스포츠 경기를 중계할때는 카메라를 여러대, 혹은 수십대씩 두어놓고 방송국에서 상황마다 적절한 카메라를 선택해서 화면을 내보내줍니다. 하지만 스타중계에서는 메인옵저버 + 개인화면 2개의 카메라가 전부이지요. (그나마 개인화면도 비중이 낮지요.) 축구경기로 치면 경기장 풀샷만 90분 내내 잡고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물론 심판자리도 있고, 타 방송사 자리도 있어야 되니 많은 옵저버를 쓰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최소한 2명 정도는 배치하고, (지금도 예비로 하나를 두고는 있는 것 같더군요.) 한 명이 각각 한 선수를 맡아서 그 선수의 움직임만 집중적으로 체크하고, (그러면 옵저버의 부담도 적고 실수도 적어지겠지요.) PD가 각각의 화면을 적절히 전환하면서 뿌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한 명은 전투의 흐름을 따라가고, 한 명은 각 선수의 빌드와 확장만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형식으로 하고 적절하게 돌려가면서 (A선수의 본진을 찍으라고 말하고, 그 곳을 찍으면 화면을 돌려서 내보내주고 하는 식으로) 보여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의 중계는 옵저버 한 명의 부담이 너무 크기도 하고, 그 한 명의 클릭에 모든 중계진과 시청자가 경기 흐름을 파악해야 되는 부담도 있지요.
경기를 보는 안목이 있는 전문 연출(은퇴한 프로게이머라든지, 해설자 출신이라든지)을 도입하여 좀 더 다각도로 경기를 볼 수 있으면 어떨까 싶네요.
유즈맵 세팅을 이용해서 각 선수의 자원상황을 옵저버창에 뿌릴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예전 2001 스카이때였던가요, 그 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원상황을 가끔 보여주기는 했는데, 자원/인구수 등은 꼭 필요할때 잘 보이지도 않는 개인화면으로 돌려서 보여주기 보다는 어떻게 빈 공간등에 표시좀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StaR-SeeKeR
07/01/05 11:27
수정 아이콘
보조 옵저버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방송은 기본 옵저버가 보여주고, 보조 옵저버는 중계는 하지 않고 업글이나 테크, 멀티 등등 계속 체크해주는 겁니다. 그리고 그 정보를 옆의 옵저버나 해설자에 전달하고요.
꼭 있었으면 하네요.
빌드 오더... 저 같은 경우는 초반 빌드를 잘 설명해주지 않는 게 아쉽더군요. 초반 병력을 뽑는 가난한 빌드라던지 일꾼을 쉬는 것이라던지 그냥 넘어가거나 대충 설명하는 일이 는 것 같습니다 요즘은.

화면에 따로 무언가 표기하는 것은 가뜩이나 지금 상단에 정보표시도 화면 좁다하는 말이 나오는 판에 좀 힘들지 않나 싶습니다. 차라리 예전에 상단에는 지금과 같은 정보 표시를 하고 우하단에 자원 상황 등을 보여주던 중계 형태라면 좋을 지도...

으음... 그리고 경기 끝난 후에 주요장면 리플레이는 모든 경기에서 보여줬으면...
Lavender
07/01/05 11:35
수정 아이콘
저도 자원/인구수 같은건 선수 이름 옆에 표시 해줬으면 하는 바램이..
저녁달빛
07/01/05 11:47
수정 아이콘
요즘 엠비씨 게임 채널 보고 있으면, 조금 화날 정도입니다. 왜 생중계가 아닌 방송에는 "하단 고정자막"으로 광고를 하냔 말입니다. 낮에도 어쩌다가 가끔씩 게임방송을 보게 되는데, 그 하단 고정자막 때문에 유닛 업그레이드 상황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됩니다. 또한 그 크기가 큰 편이라서 방송에 집중하기 가끔씩 힘들어질때가 있습니다.

지금은 프로리그 결승전 광고를 하단에 하고 있지만, 지난주까지는 MSL광고가 나가고 있었습니다. 왜 MBC 게임 로고를 이용해서 광고를 안하는 건지 알수가 없습니다. (MBC espn은 자사 로고를 이용해 EPL광고 하더군요) 스포츠 채널, 온게임넷도 이런 식으로 광고하지는 않습니다. 제발 이 댓글 좀 보고 각성 좀 했으면 합니다.
슈바인호랑이
07/01/05 11:59
수정 아이콘
그 하단 자막 광고 온게임넷에서 먼저 한것 같은데 그 이후에 MBC게임에서 따라 도입하더니 너무 빈번한 감이 있네요. 사실 그거 별로 보기 좋지 않은데 말이죠.
동네슈퍼주인
07/01/05 12:39
수정 아이콘
2번째 사항같은경우 MBC게임에서 했던듯합니다;; 사이언배에서 조용호선수와 마재윤선수 간의 준결승/결승전에서 각선수가 사용한 빌드오더(9드론 스포닝..12드론앞마당등등)횟수와 승패를 보여준적이있죠;
청수선생
07/01/05 12:3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펭귄 프로그램을 쓰는게 좋아보입니다.
펭귄 프로그램. 굉장히 유용하잖습니까

업글상황, 선수 상황을 다 표시해주니까 말이죠.
아니면 김태형 해설이 말했듯 해설자에게 옵저버 기능을 주는것도 좋아보입니다.

해설자가 경기를 옵저빙 하면서 궁금한점을 다 찍어 볼 수 있으니까요.
물론 방송용 옵저버는 따로 있구요. 해설 옵저버는 따로 두는것이지요.

어차피 옵맵으로 하면 자리는 많이 남으니까..
elecviva
07/01/05 13:06
수정 아이콘
불과 2~3년전에, 옵저버를 2명 두자는 이야기를 꺼냈을 때는 비관론이 대세였었는데 신기합니다. 흐흐. 아무튼 요즘은 '변화'에 대한 이야기가 잦아서 좋아요.
새벽의사수
07/01/05 13:15
수정 아이콘
옛날에 자원, 인구수 표시해줬는데 요즘은 왜 안해주는지 궁금하네요.
papercut
07/01/05 13:17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스포츠처럼 명장명이 나왔을때는 리플레이를 해줘도 좋지 않을까요. 물론 경기흐름을 끊을 우려가 있고 중요한 장면을 놓칠 우려가 있으니 신중하게 생각해야 되겠지만, 경기중 가끔 관중석이나 선수 얼굴 잡는 타이밍 정도로 방금 전의 명장면을 다른 각도 (혹은 개인화면?)로 재생해주는 것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수요일의 이윤열 선수와 이학주 선수의 배틀싸움이 벌어지고 나서 잠시 소강상태였을때 같은 타이밍에 이윤열 선수 개인화면으로 다시 한번 보여주거나..하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happyend
07/01/05 13: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스타리그가 32강으로 재편되더라도 좋으니 월드컵식 조배정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지역 안배와 랭킹을 주요 근거로 해서...(랭킹은 오바일지도^^::)
각 종족별로 조금 안배를 해 놓는 것이 좋을 듯해요.예컨대 예전 경인방송처럼 랭킹전을 치룬 뒤...상위 랭크부터 각종족별로 몇명씩.. 40위 내에서...그리고 나머지는 차출된 랭커빼고 남은 랭커를 상위순으로...
이렇게 되면 시드자 4명 빼고 남는 선수들 중 최소한 최악의 종족배분은 없을 듯....
지금은...종족이 그다지 다양하지 않아서 그런지....뭔가 두근거림이 없습니다
StaR-SeeKeR
07/01/05 13:25
수정 아이콘
경기 도중 리플레이는 좋긴 한데 과연 실 경기의 흐름이 어떻게 될지가 정말 =_=;
종족 배분은 심히 불공평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07/01/05 13:27
수정 아이콘
지금 온게임넷 개인리그는 옵저버 두 명이죠...;? 온게임넷, 온게임넷2...
문제는 예비시의 옵저버일 듯=_=;
금쥐수달
07/01/05 14:37
수정 아이콘
전 선수들의 자원상황 표시를 다시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아주 예전에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내보내다가 어느순간 사라졌죠-_-
얼마전에 전장영웅인가?
김동수 vs 김정민 네오버티고에서 하는 경기를 다시 보는데 화면 하단에 두 선수 자원상황과 인구수가 실시간으로 나오니까 경기상황을 보기가 훨씬 좋더군요...
07/01/05 15:46
수정 아이콘
전에 메가웹 오프가면서 알게된게 심판과옵져버 하시는 분의 자리는 바로옆이라서 심판하시는분이 옵저버하시는분에게 이처 발견하지 못한부분을 말해주기도 하면서 하던데요. 이미 보조옵져버면에서는 예전부터 비슷하게 이루어졌었죠
제3의타이밍
07/01/05 17:26
수정 아이콘
예전 01SKY 였던가요. 김동수 선수와 김정민 전 선수(지금은 해설)의 버티고 경기에서 자원 상황을 보여줬었는데 자원상황을 알고 보니까 재밌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07/01/05 17:39
수정 아이콘
자원하고 인구수를 초반부터 표시하게 되면 선수의 세세한 빌드 하나하나가 공개된다는 단점이 있죠.
보는 사람입장에서는 궁금하기도 하겠습니다만 한 빌드를 만들기 위해 수십게임을 하며 고생한 프로게이머의 노력은 순식간에 만인의 빌드가 됨으로써 없어지게 되는 것이구요.
자원 상황이라면 중반쯤에 현재 잔존 자원이 얼마나 되는지 개인화면과 함께 잠깐 보여주는 지금의 방식이 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조 옵저버가 펭귄 런쳐를 통해 현재인구수와 자원상황, 생산되고 있는 유닛, 업그레이드여부 등을 중요할때 해설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은 해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392 김택용 vs 진영수 16강전 2,3경기 완전분석 <김택용의 신의 한 수> [30] 남자의로망은4929 07/10/21 4929 0
32126 새로운 팀 단위 리그 방식 제안 [7] 김국자3990 07/09/21 3990 0
32066 [관전평] MSL GomTV S3 32강 A조, 김택용:이영호 / 이윤열:최연성 [15] ls7597 07/09/14 7597 0
31106 왜 운영의 마술사인가... [15] forgotteness7204 07/06/17 7204 0
30961 [곰TV 2 소설] 괴로운 선택 #3 - 6 결심, 7 결전, 8 새로운 목표 [7] 점쟁이4123 07/06/07 4123 0
30437 [PT4] 4강 2차전 방송, 29일 일요일 오후 5시! [5] kimbilly3501 07/04/27 3501 0
30271 난 동족전이 좋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23] Zwei3831 07/04/18 3831 0
29311 e-스포츠, 더욱 상업화되기 위해서.. [13] Tabloid4840 07/02/17 4840 0
28674 세팅시간 단축을 향한 노력은 결실을 맺었는가? [26] kama5759 07/01/21 5759 0
28432 본선과 예선을 동시에 치루면? [5] 信主NISSI4015 07/01/06 4015 0
28418 스타 방송에 바란다.. [20] 플토는 나의 힘3829 07/01/05 3829 0
28159 CPL 2006 Championship Finals 3일차 경기 합니다. [3] kimbilly3690 06/12/20 3690 0
26545 시청률, 흥행을 걱정하는 팬들...누구의 팬인가? [85] Mars5067 06/10/27 5067 0
26341 슈퍼파이트 2회 + 3회 대진 발표 되었습니다. (수정 #1) [202] kimbilly11152 06/10/17 11152 0
25755 슈퍼스타 박지호 [40] 호수청년7658 06/09/18 7658 0
25537 랜파티 후기... [6] BaekGomToss4241 06/09/09 4241 0
25170 프링글스 1주차 3경기까지 감상 후기. [16] 김주인5178 06/08/24 5178 0
24829 덕수옹의 굴욕 ㅜ.ㅜ [9] 어딘데4028 06/08/04 4028 0
24413 또 하나의 결승전이 끝났네요~~ [13] 김주인3797 06/07/16 3797 0
22256 올해 WCG예선에 참가하실 게이머분들~ 자세한 스타크래프트 경기규칙 확인해주세요! [5] 구우~3517 06/04/05 3517 0
21944 [공지] 8차 서바이버 리그 예선 대진표 공개, 오전조 오후조 분리 [29] i_terran4310 06/03/22 4310 0
21807 WBC 에도 3g이라도 좋으니 관심좀 가져주세요.!! [139] 호나우딩요7681 06/03/16 7681 0
20174 인파이터와 아웃복서 [23] Gidday4130 06/01/16 41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