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6 16:35:48
Name MistyDay
Subject CJ 엔투스와 르까프 OZ, 명문팀은 죽지 않는다.(수정했습니다)
안녕하세요 PGR에서 눈팅하면서 여러 좋은정보들을 얻어가서 항상 감사한 맘을 가지고 있는 MistyDay입니다

스타리그를 재방송으로밖에 볼수없고 프로리그도 주말에나 가끔 보게 된건 고등학교에 들어와서부터네요. 그러다보니 요즘은 방송사별 공식맵도 자주 헷갈립니다.(라이드 오브 발키리즈가 Neo버전이었는지 2버전이었는지도 생각이 안납니다)

뭐 이런 상황이지만 CJ 엔투스와 르까프 OZ팀에 대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_-;;

플러스가 한창 죽을 쑤던 2004년-2005년 전반기까지는 그다지 이런 생각이 들지 않았지만 지금 보면 르까프와 CJ는 닮은 팀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명문팀인 GO팀과 IS팀은 수많은 선수들을 배출해냈고 중요한 선수들의 이적으로 힘든 시기를 보냈으나 결국 꺾이지 않고 다른 선수들을 배출, 결국 기업팀 창단을 얻어내고 안정적인 재정적 기반을 얻은 두 팀은 지금 프로리그와 개인리그 양쪽에서 모두 덜덜덜한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라는 것이죠.

실제로 지금 프로리그 1, 2위를 마크하고 있는 팀이 이 르까프 OZ와 CJ 엔투스이며
지난 이틀동안 열렸던 개인리그 예선에서 두 팀은 각각 6명의 선수를 본선으로 진출시켰습니다. 11개 팀중 가장 많은 수입니다.(르까프의 최가람 선수, CJ의 김성기 선수는 양대 본선에 동시에 진출하는 기분좋은 성과를 올렸습니다.) 게다가 결승 진출자가 한명씩 있죠..

GO팀 같은 경우는 모르는 사람이 없죠-_-;; 서지훈 강민 선수의 양대리그 우승 후에 슬슬 분위기를 타다가 강민 선수의 OSL 2연속 결승 진출과 함께 피망배 프로리그 우승을 가져간 Suma GO팀은 강민 선수의 이적, 부활하던 최인규 선수와 슬슬 커가던 김근백 선수의 임대이적으로 휘청 합니다. 그러다가 다시 서지훈 선수 중심으로 돌아왔습니다. 전상욱 선수를 확실한 1승 카드로 키워내고 즉시전력감으로 마재윤 선수를 키워내고 변형태선수도 슬슬 성장해 나갔습니다. 김환중 선수와 이주영 선수도 그땐 분위기 좋았죠. 그리고 2004년 겨울 박태민 선수는 그 누구도 따라오지 못할 포스를 보여주면서 그때 있던 3개의 대회(MSL 프리미어 OSL)에서 우승 준우승 3위를 휩씁니다. 그러나 기쁨은 잠시, MBC무비스배 팀리그까지 우승을 차지한 GO팀은 이번엔 박태민선수와 전상욱선수를 세트로 이적시킵니다 ㅠㅠ 하지만 서지훈 선수가 여전히 팀에 남아있었고 이재훈 이주영 김환중 선수 등 기존의 주축 선수들이 열심히 싸워주었습니다. 그리고 조규남 감독님은 다시한번 변형태 마재윤 선수를 끌어올리고 CJ 엔투스 창단에 골인~했습니다. 그리고 안정된 기반을 토대로 현재는 박영민, 장육선수가 슬슬 성장해가고 있고 후발주자로 김성기 권수현 주현준 선수 등을 준비중입니다.

사실 눈물겨운 스토리로 따지면 당시에 비인기팀이어서 그랬지 Plus팀이 GO팀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2003년까지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최강의 IS팀은 이윤열 선수와 홍진호 선수의 KTF이적, 임요환, 김성제 선수(후엔 김현진선수까지)와 주훈감독(당시는 감독이 아니었죠)의 오리온 팀 창단으로 인한 이탈, 빠져나갈 대로 빠져나간 IS팀은 Ever 1라운드 리그 후에 송호창 감독이 김종성, 이재항, 이용범 선수 등 그나마 남아있는 선수들을 다시 데리고 SG 패밀리를 만들어 나가버렸습니다. 그 결과 IS팀은 2라운드에서 5위의 초라한 성적을 거둬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명문팀 IS는 그렇게 쉽게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팀명을 Plus로 바꾼 IS팀은 남아있는 에이스 성학승 선수의 분전과 신인 프로토스 박지호 선수의 등장으로 라이프존배 팀리그에서 3위를 차지합니다.
하지만 플러스의 시련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성학승 선수는 SKT T1으로, 박지호 선수는 이고시스 POS팀으로 이적해버립니다. 당시 키우려고 했던 테란선수인 박경수 선수 역시 POS팀으로 가고, 그 후 영입되어 기대를 모았던 로템 최강의 저그 플레이어 박성준(저그맨) 선수 역시 그 다음 스토브리그에서 삼성 칸으로 이적하여 삼성준 선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플러스는 무너지지 않고 2005년 후기리그부터 '플러스 스피릿' 신드롬을 일으키더니 결국 오영종 선수를 정상급 선수로 키워내어 So1 스타리그의 우승자로 만들어버립니다.
오영종 선수를 필두로 김정환, 최가람선수가 등장하고 또 한명의 신인 저그인 이제동 선수가 등장하는 찰나에 Plus는 르까프 창단이라는 감동적인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그 후는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이제동 선수가 무럭무럭 자라 지금의 프로리그 1위팀 르까프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Greatest One 팀과 Ideal Space 팀은 이러한 파란만장한 역사와 눈물겨운 시련을 견디고 지금의 CJ Entus 팀과 lecaF OZ 팀이 되었습니다.

정말 이렇게 보면 두 팀의 선수들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조'감독님들이 얼마나 맘고생을 심하게 했을지 볼수만 없을 뿐 다 알 수 있겠죠^^;

가장 강력하던 시절보단 아니지만 지금 두 팀은 어떤 상대를 만나더라도 밀리지 않을 강팀입니다. 그럼 잠깐 막간을 이용해서, 두 팀의 올드보이들을 모아와서 호러한 엔트리를 만들어봅시다.(일단 방송경기에 출전한 현역선수들을 적어봅니다)



Greatest One(現 CJ Entus)
감독 조규남
코치 김동우
T - 서지훈 변형태 김성기 주현준 + 전상욱(SKT) 최인규(공군)
P - 이재훈 김환중 박영민 + 강  민(KTF)
Z - 마재윤 이주영 장  육 김민구 + 김근백(삼성) 박태민(SKT)

Ideal Space(現 lecaf OZ)
감독 조정웅
코치 한상용 + 김현진(eSTRO)
T - 이학주 박지수 구성훈 + 임요환(공군) 이윤열(팬택)
P - 오영종 이유석 손찬웅 김민제 + 박지호(MBC) 김성제(SKT)
Z - 이제동 김성곤 최가람 김정환 + 홍진호(KTF) 성학승(공군) 박성준(삼성) 이재항(팬택)


아는 선수들만 추려도 이런 엔트리가 나옵니다-_-;;
정말 이벤트전에라도 이런 엔트리가 9전 5선승제로 펑펑펑 하고 맞붙으면
그날은 PGR 스갤 두부에러에 파포 마비를 자신할 수 있겠습니다-_-;;
물론 실현 가능성은 없겠습니다만..


어쨌거나 CJ Entus와 lecaf OZ 두 팀, 앞으로도 지금처럼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길 바라겠습니다!


ps. 이재훈 김환중 부활좀 ㅠㅠ 개인리그에서 좀 봅시다 ㅠㅠ

--------------------------------------------------------

수정했습니다-_-;; 미처 발견하지 못했군요-_-;;






임성춘, 김환중 선수에 대해

임성춘 선수는 GO 입단후 팀플 두판하고 개인리그 예선참가도 안하고 바로 은퇴했습니다-_-;; 사실상 GO입단은 이름뿐인 거였죠-_-;;

김환중선수는 줄곧 무소속으로 활동하다 단체생활의 필요성을 느껴 2003년 한빛 들어갔다가 적응이 안돼서 그해 여름 나가고 무소속으로 다시 활동하다가 슈마GO에서 영입해갔다고 알고있습니다- 잘못하면 이용범선수처럼 될지도 몰랐겠죠-_-;;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붉은낙타
06/11/16 16:39
수정 아이콘
IS 멤버는 언제나 봐도.. 입이 딱 벌어지는;;
네버마인
06/11/16 16:43
수정 아이콘
CJ팀의 지오선수 명단중 테란 김정민 선수도 추가요.
Menestrel
06/11/16 16:43
수정 아이콘
이윤열(SKT)의 압박..

2005프로리그하기전에 GO vs 한빛 경기처럼
슈퍼파이트에서 한번 해줬으면 좋겠네요
델마와루이스
06/11/16 16:45
수정 아이콘
GO 팀 프로토스 올드보이 임성춘 선수도 추가해주세요~
은퇴한 선수들은 빼는건가요?
신화테란
06/11/16 16:4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그렇게 따지면 GO엔 김동준,김정민씨도 있어야 하는데 -0-
네버마인
06/11/16 16:4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우주방어테란 유병준 선수도 지오팀에 들어가야 하는 거 아닌가요.
지오팀 소속으로 경기를 했었던가 정확한 기억은 가물거리지만요.
06/11/16 16:48
수정 아이콘
흠,, 가끔 몇몇 분들이 모르시는것중에 하나가
임성춘선수(?)는 KTF에서 GO로 이적한거랍니다..^^
네버마인
06/11/16 16:50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렇게 따지면 김환중 선수도 한빛에서 이적한 거 아니던가요? 혹시 잘못 알았나?
신화테란
06/11/16 16:52
수정 아이콘
네버마인// 말씀대로 보면 김민구 선수도 KTF에서 왔죠 크크
06/11/16 16:54
수정 아이콘
임성춘선수는 KTF에 몇달간 몸을 담았다가 계약 만료로 팀을 나와서 그린 뭐라고^^; 하는 소속(?)으로 잠깐 있다가 지오팀에 합류했습니다. 김환중선수도 한빛에 있던 기간이 길지가 않았고, 방출되다시피 해서 팀을 나와 무소속으로 어느 정도 있다가 지오팀에 들어오게 됐습니다. 두 선수 모두 엄밀히 말하면 이적은 아니죠.
신화테란
06/11/16 16:55
수정 아이콘
2002년 초 한빛과 IS의 라이벌전이 재밌었는데요

온겜넷에서 특별전으로 한 VOD를 보면 대부분의 경기를 IS가 이기죠
06/11/16 16:57
수정 아이콘
김환중선수는 한빛에서 나와서 무소속시절에 GO에 입단한 거 아닌가요?
델마와루이스
06/11/16 16:58
수정 아이콘
네...임성춘 해설이 GO원년멤버가 아닌건 알고 있습니다만...
GO전지훈련이나, 워크샵이나, 각종행사에 자주 참석하시고
꾸준히 올드지오 멤버로 모이시는것 같아 GO맨이 아닐까? 한거죠 ^^:

그리 따지면 박태민 선수도 GO전에 어느팀인가에 소속되어 있지 않았나요? WCGC우승하고, 학업때문에 잠시 은퇴했다가, 복귀를 GO팀으로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네버마인
06/11/16 17:00
수정 아이콘
하긴, 한빛에 잠깐 있다가 나와서 시간이 흘러 슈마지오에 입단했으니 이적이라고 부르기는 좀 그렇겠네요.
임성춘 선수가 KTF에 있었던 시간도 굉장히 짧았고...어쨌든 (구)지오에 김정민 선수가 빠지면 정말 섭해요.
이 시점에서 불현듯 떠오르는 우리 신영 선수...이 선수도 KTF에서 왔지만 꽤 오래 지오팀에 몸 담았었죠.
지금 잘 지내는지 모르겠네요.
06/11/16 17:05
수정 아이콘
정말 호러(-_-)한 엔트리로군요. 특히 IS쪽 올드보이들은... 덜덜덜;;;
구경플토
06/11/16 17:19
수정 아이콘
임요환 이윤열 홍진호 - 세 선수만 해도 연봉이 ;;;;;;;
하늘수
06/11/16 17:31
수정 아이콘
저도 갑자기 떠오르는 신영선수...군대갔다고 들었는데...잘 지내고 계시는건지 궁금하네요. 그 조용하기로 유명한 GO팀에서 해설자를 네명이나 배출했네요.(김정민,김동준,임성춘,유병준해설) 참 아이러니하죠?
볼텍스
06/11/16 18:06
수정 아이콘
그런데 경기하면 GO가 이길것같아요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646 lecAF VS CJ FINAL 예상엔트리 (삼성칸은 어느팀을 원할지???) [35] 처음느낌5618 08/01/19 5618 0
33287 lecafOz n Die_Jaedong, 이제동 [14] kama6221 07/12/22 6221 4
32586 e스포츠 팀과 축구 팀 비교 [26] 택용스칸4462 07/10/28 4462 0
32342 강민 vs 박지수 버그 플레이 영상 입니다. [86] kimbilly11906 07/10/18 11906 0
32315 @@ 문득 꺼내 본 " 2006 StarCraft Award in PgR21 " ...! [13] 메딕아빠4554 07/10/16 4554 0
31686 복수라는 단어를 맘속 깊이 새기고... [13] JuVinT3939 07/08/04 3939 0
31609 # 신한은행배 2007 전기리그 플레이오프 MBCgame HERO Vs lecaf OZ [33] 택용스칸6720 07/07/27 6720 0
31280 나의자랑이스트로,내고향의자랑 이유석선수 [17] Ace of Base4326 07/06/28 4326 0
29973 개인리그 예선 취소 되었군요 -_- [13] Pnu.5667 07/03/09 5667 0
29132 현재 MSL 최소,최대로 보는 종족별&팀별 총정리! [3] Estrela3956 07/02/11 3956 0
28564 슈퍼파이트 4회 대진 발표 되었습니다. [86] kimbilly8989 07/01/12 8989 0
27360 차기시즌 시드권자 소개(後) - 신한 3rd 스타리그 [11] KuTaR조군3794 06/11/22 3794 0
27144 CJ 엔투스와 르까프 OZ, 명문팀은 죽지 않는다.(수정했습니다) [18] MistyDay3957 06/11/16 3957 0
26495 LSC(여성부 스타리그) 8강 2주차 - 여유와 인내심이 승패를 정한다. [6] BuyLoanFeelBride6674 06/10/25 6674 0
26314 두가지 의문. for STX SouL [35] naphtaleneJ5459 06/10/15 5459 0
24203 러시아워3 저그 vs 테란 전적... [12] 체념토스4317 06/07/09 4317 0
24127 최종 11주차 모든게임이 다 빅게임.... [32] 초보랜덤4409 06/07/03 4409 0
24111 누가 광안리로 직행할까요? [107] 초보랜덤6919 06/07/02 6919 0
23233 내가 사랑하는 Q&A게시판. [3] Q&A"글설리"3516 06/05/14 3516 0
22742 [유럽스타크레프트] 르카프,한빛 편 [6] ROSSA3409 06/04/26 3409 0
22327 신한은행이 스타리그를 후원하면서 궁금해지는 것 중 하나 이러다 혹시? [39] 에휘루스6077 06/04/09 6077 0
22169 [알림] 만우절 이벤트를 종료 합니다. [14] homy4230 06/04/01 4230 0
8327 [필독] 꼭 읽어주세요 !!!!!!! [21] 비롱투란3570 04/10/17 35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