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0/13 04:47:45
Name SDI
Subject 2005년 11월 임성춘 해설 인터뷰 (팀리퀴드)
안녕하세요, 나라가 어수선한 가운데 평안하신지요.

2005년 11월에 임성춘 해설이 팀리퀴드와 한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웹서핑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되어 재미있게 읽었는데요.
자유게시판, 인터뷰게시판, 유머게시판을 검색해 보았으나 발견하지 못하여 pgr가족 여러분들도 함께 보시면 좋을 것 같아 올립니다.

영어로만 되어 있는 인터뷰를 그냥 가져오면 보시기에 부담되실 지도 몰라서 어줍은 실력으로나마 번역을 하였으니 틀린 점은 주저마시고 지적해 주세요.
제가 주석을 단 내용에는 앞에 [주]를 붙여 표시했습니다.

원문링크로 가시면 재미있는 덧글들도 보실 수 있습니다.


원문출처
http://www.teamliquid.net/

원문링크
http://www.teamliquid.net/forum/viewmessage.php?topic_id=33521


그럼 시작합니다.

========================================


Japan. November 13 2005 19:32. Posts 5973  
New to StarCraft? Time for a history lesson. IntoTheRain started as an old school protoss gamer and magic user extrordiaire, then advanced to a career in broadcasting after his playing days were over. Last night, our beloved Uhjoo gave our forum members a chance to ask the legend anything they wanted, for a limited time only
그대는 스타크래프트 새내기인가? 그렇다면 역사를 공부할 시간이다. IntoTheRain은 올드 프로토스 게이머이며 비범한 마법 유저였다. 선수생활을 그만 둔 지금은 해설가로서 경력을 이어가고 있다. 어젯밤, 사랑스러운 우리의 Uhjoo가, 우리 포럼 멤버들이 그 전설[주: 임성춘 해설]에게 제한된 시간 내에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Before I start, Ujhoo,  You bring value here like no other.
시작하기 전에, Ujhoo, 너는 무엇보다 귀한 걸 가져다 주었어.

Uhjoo: Ask Questions now and he will answer gogo~
이제 질문해. 그가 대답할 거야. 고고~



--------------------------------------------------------------------------------
On November 09 2005 11:03 FrozenArbiter wrote:
:O The stormgod lives :D
1. Why did he decide to retire?
2. Does he still play at all?
3. Has he ever considered coming back?
:O 스톰의 신은 살아있다. :D
1. 왜 은퇴하기로 결정했나?
2. 지금도 조금은 플레이 하나?
3. 복귀할 생각은 없나?
--------------------------------------------------------------------------------


IntoTheRain:
1. It wasn't fun anymore. Just got tired of it.
2. I love gaming, but not Starcraft anymore. I play solo-player RPG's like Final Fantasy.
3. Probably not, because of army duties.
1. 더 이상 재미가 없었다. 싫증이 났다.
2. 게임하는 걸 좋아하지만, 스타는 더 이상 아니다. Final Fantasy 같은 솔로 RPG를 즐긴다.
3. 아마도 없다. 군 문제 때문이다.



--------------------------------------------------------------------------------
On November 09 2005 11:08 SP)diQ wrote:
Best toss player atm according to him ?
본인이 생각하는 현재 최고의 토스 플레이어는?[주: atm = at this moment]
--------------------------------------------------------------------------------


IntoTheRain: No one really stands out now. Everyone seems pretty even. You can't pick a winner if any top two play against each other.
지금 특출난 사람은 없다. 모두가 비슷한 것 같다. 어떠한 탑플레이어 두 명이 상대한다 해도 승자를 예측할 수 없다.



--------------------------------------------------------------------------------
On November 09 2005 11:09 HaiVan wrote:
Does he like apple pie ?
애플파이 좋아하나?
--------------------------------------------------------------------------------


IntoTheRain: what kind of question is that?
i like french pie (korean snack)
무슨 질문이 이래?
난 후렌치파이(한국과자) 좋아해.



--------------------------------------------------------------------------------
On November 09 2005 11:10 pubbanana wrote:
Where does he live now that he left the GO team office?
GO 팀을 떠나고 나서 어디에 사나?
--------------------------------------------------------------------------------


IntoTheRain: kangnam-gu daechi-dong, seoul.
서울 강남구 대치동.



--------------------------------------------------------------------------------
On November 09 2005 11:10 MaGic~PhiL wrote:
For which pro gamers does he have the biggest respect ? ( Grrrr, Boxer, Nada, Garimto .. ect.. aynone else ?? )
어떤 프로게이머를 가장 존경하나? (Grrr[주: 기욤], Boxer[주: 임요환], Nada[주: 이윤열], Garimto[주: 김동수] 등... 혹은 다른 사람?)

--------------------------------------------------------------------------------


IntoTheRain: Those guys who succeed very late, who have worked really hard and for a few years do poorly but later succeed purely through hard work and effort, like GoRush.
최근 성공을 거둔 선수들, 매우 열심히 했고 몇 년간 성적이 좋지 않았으나 후에 순전한 열심과 노력으로 성공한 게이머를 존경한다. GoRush[주: 박태민] 같은.



--------------------------------------------------------------------------------
On November 09 2005 11:10 FrozenArbiter wrote:
Oh, ask him how he feels about game balance ~ I can't remember ever hearing a toss progamer talk about it :X
게임 밸런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어봐 줘. 토스 프로게이머가 밸런스에 대해 이야기한 기억이 없어.
--------------------------------------------------------------------------------


IntoTheRain: Nowadays it seems like the balance is great, it seems like whoever is better wins.
요즘은 밸런스가 매우 좋은 것 같다. 누구든 더 잘 하는 사람이 이기는 것 같다.



--------------------------------------------------------------------------------
On November 09 2005 11:11 Hot_Bid wrote:
how did he come up with IntoTheRain? i always thought it was one of the coolest names...
어떻게 IntoTheRain이라는 아이디를 쓰게 되었는지? 난 항상 가장 멋진 아이디 중 하나라고 생각했어.
--------------------------------------------------------------------------------


IntoTheRain:I was in a guild called intothe. When the guild was first made, they made a bunch of id's that we had to choose from. The best id was intotheaiur but that one was taken. Later on that id was stupid. I took the worst one, intotherain.
나는 intothe 길드에 있었다. 길드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길드원들은 많은 아이디들을 만들었고 우리는 그 중에서 골라야 했다. 가장 좋은 것은 intotheaiur였는데 다른 사람이 이미 골랐었다. 나중에 보니 그 아이디는 촌스러웠다. 나는 가장 안 좋은 것을 골랐는데, 그것이 intotherain이었다.



--------------------------------------------------------------------------------
On November 09 2005 11:12 Smorrie wrote:
What was his best & worst experience during his progaming career?
프로게이머 경력 중 최고와 최악의 경험은?
--------------------------------------------------------------------------------


IntoTheRain: The best: when i won. worst: when i lost in the qualifiers SKY starleague (the one Garimto won).
최고: 이겼을 때. 최악: 스카이 스타리그 탈락했을 때.(Garimto[주: 김동수]가 이긴 게임)
But i was always happy not to meet zergs in a tournament.
하지만 난 토너먼트에서 저그랑 안 만나면 항상 행복했다.



--------------------------------------------------------------------------------
On November 09 2005 11:16 expostfacto wrote:
who is his favorite player to watch?
어느 게이머의 경기 보는 것을 가장 좋아하나?
--------------------------------------------------------------------------------


IntoTheRain: Boxer. He's the most fun, because he's not perfect. He's flawed, but then when he makes up for those flaws it's fun to watch.
Boxer[주: 임요환]. 그는 가장 재미있다. 왜냐하면 그는 완벽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결점이 있지만, 그 결점을 메우는 것을 보는 것이 재미있다.



--------------------------------------------------------------------------------
On November 09 2005 11:17 EnDeR_ wrote:
If he could be any vegetable he wanted, which one would he be?
만약 어떤 야채로든 될 수 있다면, 무엇이 되고 싶은지?
--------------------------------------------------------------------------------


Quoting intotherain after he heard the question: do you usually ask questions like this overseas? (then after pause) obviously it's cucumber.
그 질문을 듣자 임성춘 해설이 한 말: 너는 해외로 질문하면서 보통 이런 걸 묻니? (잠시 후) 당연히 오이.



--------------------------------------------------------------------------------
On November 09 2005 11:18 BLaCk,.VipeR wrote:
His favourite final fantasy game?
가장 좋아하는 final fantasy 게임은?
--------------------------------------------------------------------------------


IntoTheRain: FF X
파판 X



--------------------------------------------------------------------------------
On November 09 2005 11:20 exalted wrote:
What does he feel about the future of starcraft? How long does he feel it will still remain at this level of competitiveness in Korea?
스타크래프트의 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스타크래프트가 얼마 동안이나 한국에서 이 정도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거라 보나?
Does he worry that other progamers like him (especially the long time gamers, like Nada, Boxer) will start to become jaded with the game and play it only as a job now?
현재 다른 프로게이머들(특히 올드 게이머들, Nada[주: 이윤열]이나 Boxer[주: 임요환] 같은)이 이 게임, 또 직업으로써 이 게임을 하는 것을 지겨워할 것에 대해 걱정하나?
--------------------------------------------------------------------------------


IntoTheRain:
First question: Every year people say, it will disappear, but it keeps going year after year, so i guess it will keep going.
첫째 질문: 매년 사람들은 스타크래프트가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지만, 해를 거듭해도 스타크래프트는 지속되고 있다. 그래서 나는 앞으로도 주욱 스타크래프트의 경쟁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본다.
Second question: It's obviously a concern. I'm a case of someone who stopped playing because it wasn't fun anymore. But to succeed as a progamer, you have to consider it a job. It's just like another job: if you don't enjoy it, your performance will fall.
둘째 질문: 물론 염려한다. 나는 게임이 재미없어서 그만 둔 경우이다. 하지만 프로게이머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직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다른 직업들과 마찬가지로, 그것을 즐기지 못하면 성과가 떨어지게 마련이다.



--------------------------------------------------------------------------------
On November 09 2005 11:22 ZoXXeR wrote:
1. Favourite match ever played?
2. How come he chose Protoss as his main race?
3. Regretting anything from the professional gaming career?
1. 플레이했던 게임 중 가장 좋아하는 게임은?
2. 메인 종족으로 왜 프로토스를 선택했는지?
3. 프로게이머 경력에서 후회하는 것이 있는지?
--------------------------------------------------------------------------------


IntoTheRain:
1st question: can't pick.
2nd question: i always liked magic-using units, like storms. even in warcraft i liked those types of skills, and the high templar had those skills. i like magic units more than regular warrior type units.
3rd question: if i had less success, i might regret it, and although i could've achieved more, i'm rather satisfied. around 70-80% satisfied.
첫째 질문: 고를 수 없다.
둘째 질문: 나는 항상 스톰과 같은 마법을 쓰는 유닛을 좋아했다. 워크래프트에서도 그런 종류의 스킬을 좋아한다. 그리고 하이템플러가 그런 마법들을 가지고 있다. 나는 마법 유닛을 보통 영웅 타입의 유닛보다 좋아한다.
셋째 질문: 이렇게 성공하지 못했다면 후회했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비록 내가 더 많은 것을 달성할 수 있었지만, 오히려 만족한다. 70-80퍼센트 정도 만족한다.



--------------------------------------------------------------------------------
On November 09 2005 11:23 (paladin)roMAD wrote:
What can he say about AnyTime?
AnyTime[주: 오영종]에 대해 평가한다면?
--------------------------------------------------------------------------------


IntoTheRain: Although he won the starleague, i think we still have to wait and see if he will continue to do well. He needs to prove his consistency at this point.
그가 스타리그에서 우승했지만, 그가 계속해서 잘 해 나갈지 기다리며 지켜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현 시점에서 꾸준한 성적을 올릴 만한 실력을 갖췄음을 증명해야 한다.



--------------------------------------------------------------------------------
On November 09 2005 11:26 Redstorm[MFx] wrote:
ask him who he tought was the best foreigner ever in korea. (plz say slayer;P)
한국에서 플레이했던 최고의 외국인 게이머는 누구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봐 줘. (slayer[주: 프레드릭]이라 말해 줘~ ;P)
--------------------------------------------------------------------------------


IntoTheRain: grr...
grr...[주: 기욤]



Uhjoo: Ok, it is 4:20 am, time to say good-bye
자, 새벽 4시 20분이네. 작별할 시간이야.



Again, thanks a lot Uhjoo, invaluable stuff.
Uhjoo, 다시금 고마워. 정말 소중한 시간이었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크리스
06/10/13 06:10
수정 아이콘
atm=at this moment 지금 현재 라는 뜻입니다.
크리스
06/10/13 06:16
수정 아이콘
어떤 야채가 되고싶냐? .,..당연히 오이! <--여기서 대폭소했네요. 푸하하하핫 역시 성춘형님의 유머는..ㅜ,.ㅠ)b (제 생각이 맞다면 아잉*-_-*)
Polaris_NEO
06/10/13 07:52
수정 아이콘
청춘이형 ㅠ
이제 그의 한방러쉬 천지스톰은.. 꿈에서나 VOD로 보아야 하는군요ㅠ

크리스 님//
저도 그 생각 했는데.. 그 생각이 아니면 어쩌죠? -_-;
06/10/13 08:27
수정 아이콘
가지나 호박도 좋다는..쿨럭;;
지포스
06/10/13 09:36
수정 아이콘
오이 ㅡㅡ;;;
06/10/13 09:57
수정 아이콘
크리스 님//
at this moment군요. 감사합니다. 본문에 추가하였습니다.

네, 오이를 좋아하신다네요. 후후.
개척시대
06/10/13 09:58
수정 아이콘
아놔.. 성춘이 횽..푸하하.. 오이라니;;
06/10/13 10:31
수정 아이콘
오이.....는 십 입니다...5*2
06/10/13 11:22
수정 아이콘
청춘오이......... 상상해 버렸다...크킄
yellinoe
06/10/13 12:15
수정 아이콘
헐 협보는 사용이 좋아하고 오이는 성춘이 좋아하고,,, 아 말휘는 어쩌죠,,, 어떤 남정내가 ..... 아...
06/10/13 16:19
수정 아이콘
성춘님의 모습을 전혀 색다른 인터넷공간에서 만났을때의 그 기쁨이란

오이로도 표현할수 없죠....흐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316 용감한 투명인간에게도 관심의 빛을~ [4] 달려라4422 06/10/16 4422 0
26315 파이터포럼 혹은 esFORCE는 PGR을 참고하라 [9] 연아짱5981 06/10/16 5981 0
26314 두가지 의문. for STX SouL [35] naphtaleneJ5467 06/10/15 5467 0
26311 근데 이거 방송사의 짜잘한 견제인가요;;; [43] 골든마우스!!6616 06/10/15 6616 0
26308 스타에도 5-tool 플레이어를 만들어볼까? [32] SojuSalang4556 06/10/15 4556 0
26307 과연 계속해서 돌풍이 일어날것인가! STX VS MBCgame 라인업! [283] SKY925055 06/10/15 5055 0
26306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스무번째 이야기> [17] 창이♡4140 06/10/15 4140 0
26305 '마재윤'이란 선수의 경기를 처음으로 봤습니다...... [46] 로에6382 06/10/15 6382 0
26304 2006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5주차 삼성전자 대 이네이쳐☆ [314] 나라4860 06/10/15 4860 0
26302 떠난 임요환 선수와 남은 홍진호 선수.... [11] 김주인4237 06/10/15 4237 0
26300 나는 기다린다. 초S급 플레이어의 등장을. [41] 볼텍스7915 06/10/14 7915 0
26299 변화의 침묵이 일어라! [7] 포로리4085 06/10/14 4085 0
26298 [L.O.T.의 쉬어가기] Without BoxeR.. [7] Love.of.Tears.4426 06/10/14 4426 0
26296 최연성과 김준영전 퀸 한마리가 아쉬웠다... [19] SEIJI7166 06/10/14 7166 0
26295 스톰 대결? [44] 노게잇더블넥4761 06/10/14 4761 0
26294 오늘의 하이라이트! 1위 쟁탈전!!! CJ VS 르까프 OZ 엔트리!!! [139] SKY924892 06/10/14 4892 0
26293 유지태의 삼풍백화점 발언에 대해.. [53] love6466 06/10/14 6466 0
26289 2006 SKY 프로리그 후기리그 5주차 1경기 SK텔레콤 대 한빛!!!!!!!!!!! [542] 나라7747 06/10/14 7747 0
26288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을 이전할려고 하는군요. [15] 강가딘5462 06/10/14 5462 0
26287 프로토스의 심시티 [22] 그래서그대는8865 06/10/14 8865 0
26284 [축구] 이번 주말경기 [8] 초스피드리버3621 06/10/14 3621 0
26283 오영종VS김준영 감상.. [10] 제로벨은내ideal4266 06/10/14 4266 0
26281 KBL 2006~2007 시즌 점프볼 D-5 (역대 KBL 관련 기록 포함) [29] Altair~★3806 06/10/14 380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