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5/24 06:11:19
Name 제갈공명
Subject [잡담]임요환선수..대체..왜?...
왜 이렇게 됐을까요? 한동안 슬럼프다..은퇴할시기이다..말이 많았지만

kpga를 우승하면서 자신이 아직 건재하다는 것을 알렸지만..어제 경기

를 보니..예전에 보여주었던 날카로운 칼타이밍이나..터렛을 박는 꼼꼼

하고 세심한 플레이..예전에는 벙커까지 만들어서 뮤탈게릴라를 대비

하시더니..너무 안이한 플레이로 경기를 내준게 아닌가 합니다..

사실상..플레인즈투힐은 저그에게 유리한 맵이므로 기대를 하지 않았

지만..반섭맵인 인디안라멘트에서는 유리한경기를 이끌지 않을까 생

각했는데..의외로 초반에 승부가 나버려 조금 실망스러웠습니다..

요즘 들어 임선수 먼가..걱정거리라도 있는지?

kpga 의 우승이 자신감보다는 부담감을 더 안겨주었는지..그런생각

들이 듭니다..슬럼프라면 빨리 딛고 일어서서 강한모습 보여주셨으면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2/05/24 09:58
수정 아이콘
그러게 말입니다..
저도 어제 경기를 보고 상당히 실망했져...
예전에 그 완벽하던 수비가...
02/05/24 10:20
수정 아이콘
저두 요환선수의 팬입니다..
진호동에 가서 진호선수의 글을 봤는데..
진호선수가 훼이크로 히드라덴 짓고 구석에다가 스파이어를 졌는데..
요환선수는 스캔으로 히드라덴만 보여서 본진 방어를 안했다고 하네요..
심리전의 대가 요환선수가 심리전에서 지다니.. ㅠ.ㅠ
초능력연구가
02/05/24 14:35
수정 아이콘
2차전은 깜빡 속았다고 해서 그럴수 있는데요.
전 1차전이 더 이해가 안갑니다. 지난번 임요환 선수 김동우 선수와 할 때도 저글링 러시에 마린이 무척 많이죽었더랬습니다. 입구에 scv한기만 세워놓아도 마린1기도 죽지 않을 러시였는데요. 전에는 그걸 컨트롤로 막았던것 같기도 하고 미리 예상해서 scv를 세워놓았던 것 같기도 하고 해서 아무튼 초반에 그렇게 허무하게 마린을 잃지는 않았거든요. 그런데 요즘엔 그렇게 마린이 허무하게 저글링한테 죽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네요. 두번째 경기도 전에 한빛 16강 첫경기에서 막을 수 없을 것 같았던 럴커 뮤탈 러시를 막아낸 때의 불가사의를 보면 참 평범한 테란처럼 보인다는 것입니다. 요즘엔... 이윤열 선수의 경기가 과거의 임요환 선수의 경기처럼 좋은 내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만. 임요환 선수 작년초의 그 화려하고 다양하고 경의롭고 말도 안되는 승률을 보여줄 때와는 아무래도 차이가 있습니다.
저능아
02/05/24 18:0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으로는 이젠 우리들이 임요환 선수에게 너무 큰 부담을 안주는게 좋을듯 합니다....
15만이 넘는 팬들이 임요환 선수에게 너무 큰 부담을 주는것 같네요....
그래야지 임요환선수가 편안한 마음으로 경기를 할수있지 않을까요?
초보유저
02/05/25 00:59
수정 아이콘
두번째 경기에서 히드라덴은 훼이크일 것 같았습니다. 옵저버가 홍진호 선수 진영을 잡았을 때 화면 끝 미네랄 뒤에 스파이어가 지어지고 있었고 그걸 보면서 "아.. 스캔이 어설프게 찍힌다면 사각지대라 안 보이겠군" 생각했는데 역시나 임요환 선수 속더군요. T_T 첫번째 경기는 중간부터 봐서 상황을 잘 모르겠지만.. 이전에 김동우 선수(? 그 날카롭게 생기신 분)와 할때의 플레이는 정말 답답했죠. 초반 러쉬 때 마린 한기를 성큰 밖에 세워서 드론을 쏘는 쓸데없는 플레이로 위험을 자초했고.. 저그의 테크트리를 살펴봐야 할 타이밍에 김동우 선수가 던져준 럴커 한마리 잡는 컨트롤(마린 한기가 쫓아가던..)에 집착하면서 저그 진영에 스캔 뿌릴 타이밍도 놓쳐 버렸고.. 덕분에 갑자기 뜬 무탈에 이리저리 방황하다가 gg.
아직까지도 임요환 선수의 팬들이 부담된다는 건 아닐 것 같구요. 언제나 해왔던 그의 말대로 연습량을 좀 늘려야 할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41 [잡담] Reset. [3] Apatheia1243 02/05/24 1243
3132 kpga어제 경기가 어떻게.. [3] 포 아둔~!1386 02/05/24 1386
3129 [잡담]임요환선수..대체..왜?... [5] 제갈공명1625 02/05/24 1625
3104 겜방송사의 프로게이머에 대한 처우개선 필요 [2] 윤석배1070 02/05/23 1070
3099 희대의 라이벌 이윤열:이재훈 과거의 임요환:임성춘을 보는듯 [8] Legend3317 02/05/23 3317
3095 [kpga] 재미없는 저그VS저그 보다보니까 나다포유준위1375 02/05/22 1375
3053 게임은 이렇게 하는것이다..이재훈선수 화이팅~ [6] 제갈공명1323 02/05/20 1323
3049 3대 메이저 4개대회 8강 진출 현황 [7] 수시아1876 02/05/19 1876
3041 kpga 이재훈-홍진호 전을 이제야 보고.. [3] nowjojo1862 02/05/19 1862
3040 1.08이후 프토 vs 저그 각종 대회 전적 로템/라이벌리 [8] 자퇴생임건호1452 02/05/19 1452
3035 플토 vs 저그의 로템전 전적 [5] wook981688 02/05/18 1688
3030 2002 kpga투어 3차리그에 대한 간략 정보.. [21] Sir.Lupin1974 02/05/18 1974
3004 [분석] 어제 경기에서 드러난 플토의 문제점. [16] 목마른땅1365 02/05/17 1365
2996 kpga투어 파이널 8강 경기결과 수시아1044 02/05/17 1044
2993 이재훈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다가 절대 질수 없는 상황에서 번번이 역전패 [19] hasuchobo1507 02/05/16 1507
2991 오늘 kpga 정말 명경기였습니다. [3] nting1251 02/05/16 1251
2980 오늘 8시에는 .... [7] SoberMan1073 02/05/16 1073
2955 스투 김진태씨 기사를 보고 나서.. [19] 천승희1661 02/05/14 1661
2900 테란의 원팩더블... 과연 어떻게.... [3] [귀여운청년]1615 02/05/10 1615
2888 블레이드 스톰에 대한 의견 부탁드립니다.. [13] Sir.Lupin1502 02/05/10 1502
2880 음.. kpga 패자조 4강 [9] Madjulia1399 02/05/10 1399
2846 김창선 해설위원 에게 드리고 싶은 글.. [1] 낭천1371 02/05/09 1371
2845 어느 프로게이머의 바닥이 닳은 마우스를 보고.... [13] Rokestra2261 02/05/09 22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